KR200472790Y1 -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790Y1
KR200472790Y1 KR2020110006489U KR20110006489U KR200472790Y1 KR 200472790 Y1 KR200472790 Y1 KR 200472790Y1 KR 2020110006489 U KR2020110006489 U KR 2020110006489U KR 20110006489 U KR20110006489 U KR 20110006489U KR 200472790 Y1 KR200472790 Y1 KR 200472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frame
chair
cylindrical fitt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622U (ko
Inventor
김선규
Original Assignee
(주)씨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씨텍코리아
Priority to KR2020110006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79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6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6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7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7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clamps or friction lock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양측 지주 하단부에 끼워져 좌판의 회동홈에 요입되도록 등받이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절구를 구성하되, 상기 조절구의 상측은 원통형 끼움부를 구성하고, 하측에는 원통형 끼움부의 일부가 연장되는 지지편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편에 위치되며 상기 원통형 끼움부와 지지편의 경계선상에 다단식 층의 단턱이 형성되는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Back of a chair varible type Chair}
본 고안은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양측 지주 하단부에 끼워져 좌판의 회동홈에 요입되도록 등받이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절구를 구성하되, 상기 조절구의 상측은 원통형 끼움부를 구성하고, 하측에는 원통형 끼움부의 일부가 연장되는 지지편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편에 위치되며 상기 원통형 끼움부와 지지편의 경계선상에 다단식 층의 단턱이 형성되는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자는 몸을 뒤로 기댈 수 있도록 하거나 걸터앉을 수 있도록 하는 기구로 착석자가 휴식을 취하거나 책상에서 각종 작업을 할 경우 신체를 편안한 자세로 앉을 수 있도로 하는 신체 거치수단이다.
한편, 식당 및 가정에서 사용되는 좌식의자는 좌판과 등받이가 이미 설정된 각도로서 고정되어 있으며 그 각도를 사용자의 임의대로 변경할 수 없었다.
따라서, 몸이 불편한 장애인이 기존의 높은 의자에 앉아 책상을 이용하여 학업, 독서 등 활동을 하는 것은 불편하다. 또한 임산부가 높은 의자에 장시간 앉아 활동을 하는 것도 불편한 상황이다.
또한, 일반 가정에서 많은 학생들이 TV 매체를 이용하여 교육 방송 등을 이용한 학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상기 TV 매체를 이용하는 경우 TV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TV를 시청하는 것이 요구되므로 학생들은 높은 책상을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좌식의자 등받이의 경사각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매우 복잡한 구성을 포함하여야 하므로 그 효과에 비해서 제조 비용이 너무 비싸며 조립 공정도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도 사용자의 자세에 따른 등받이의 경사각 조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조립이 용이한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프레임의 양측 지주 하단부에 끼워져 좌판의 회동홈에 요입되도록 등받이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절구를 구성하되, 상기 조절구의 상측은 원통형 끼움부를 구성하고, 하측에는 원통형 끼움부의 일부가 연장되는 지지편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편에 위치되며 상기 원통형 끼움부와 지지편의 경계선상에 다단식 층의 단턱이 형성되는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는 사용자가 앉는 각도, 사용자와 책상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등받이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가정 및 식당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등받이부를 편안한 각도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고 부피가 작아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똑바로 앉을 수 있도록 자세를 교정하고 그 자세를 편안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장기간 오래 앉을 경우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최소화하여 디스크 등과 같은 질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단면도.
도 4의 (a)(b)(c)는 본 고안의 요부가 작동하는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5의 (a)(b)(c)는 본 고안의 요부가 작동되는 상태의 참고도.
도 6 및 도 7,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본 고안은 도 1과 같이 좌판(14)의 후방에 등받이(11)를 마련하기 위해 프레임(12)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2)의 양측 단부는 좌판(14)의 후방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있는 고정부재(31)의 회동홈(13)에 끼워진다. 상기 고정부재(31)의 회동홈(13)은 프레임(12)이 전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되고, 후방은 프레임(12)이 더 이상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벽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2)의 양측 지주 하단부에 끼워져 승강 되면서 좌판(14)의 회동홈(13)에 요입되어 등받이(11)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절구(15)가 도 2 및 도 3과 같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구(15)의 상측은 원통형 끼움부(16)를 형성하고, 하측에는 원통형 끼움부(16)의 일부가 연장되는 지지편(17)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끼움부(16)와 지지편(17)의 경계선상에는 다단식 층이 형성되는 단턱(30)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구(15)의 원통형 끼움부(16)에 개구부(18)를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12)에 끼움 방식으로 조립되어 승강 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구(15)의 지지편(17) 내측 소정의 위치에 돌기(19)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프레임(12)에는 다수의 홀(20)을 구성하여 상기 프레임(12)과 조절구(15)는 일체로 고정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조절구(15)의 지지편(17) 하단부에는 스톱부(21)를 형성하여 상기 등받이(11)와 일체로 형성되는 프레임(12)의 끝 부분에 걸려 받치도록 함으로써 상기 조절구(15)가 역으로 빠져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도 4의 (a)(b)(c) 및 도 5의 (a)(b)(c)와 같이 프레임(12)과 일체로 조립되는 조절구(15)의 후방에 형성된 단턱(30) 부분은 프레임(12)을 안전하게 받치는 회동홈(13)을 가진 고정부재(31)의 상단부에 걸려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단턱(30) 부분은 다단식으로 형성되어 등받이(11)의 경사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원통형 끼움부(16)는 하나의 원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프레임(12)에 끼우는 방법으로 조립되므로 도 7 및 도 8과 같이 지지편(17)에는 스톱부(21)의 구성을 생략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프레임(12)에 끼워진 조절구(15)는 상기 프레임(12)을 타고 승강되면서 단턱(30) 부분이 고정부재(31)의 상단부에 걸리도록 하는 수단에 의해 등받이(11)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프레임(12)의 양측 지주 하단부에 끼워져 좌판(14)의 회동홈(13)에 요입되도록 등받이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절구(15)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구(15)의 상측은 원통형 끼움부(16)가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원통형 끼움부(16)의 일부가 연장되는 지지편(17)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원통형 끼움부(16)와 지지편(17)의 경계선상에는 다단식 층의 단턱(3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구(15)는 프레임(12)을 타고 승강 된 후, 상기 조절구(15)에 구성된 단턱(30)이 상기 회동홈(13)의 후방 고정부재(31)의 상단부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등받이(11)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는 사용자가 앉는 각도, 사용자와 책상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가정 및 식당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등받이부를 편안한 각도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고 부피가 작아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똑바로 앉을 수 있도록 자세를 교정하고 그 자세를 편안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장기간 오래 앉을 경우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최소화하여 디스크 등과 같은 질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 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 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좌석의자 11. 등받이
12. 프레임 13. 회동홈
14. 좌판 15. 조절구
16. 원통형 끼움부 17. 지지편
18. 개구부 19. 돌기
20. 홀 21. 스톱부
30. 단턱 31. 고정부재

Claims (5)

  1. 프레임(12)에 신체의 등을 받쳐주기 위해 마련되는 등받이(11)와, 상기 등받이(11)가 구비된 프레임(12)이 체결되어 상기 등받이(11)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 가능하도록 좌판(14)의 후방에 마련된 고정부재(31)의 회동홈(13)이 구성되어 있는 좌식의자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2)의 양측 지주 하단부에 끼워져 좌판(14)의 회동홈(13)에 요입되도록 등받이(11)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절구(15)를 구성하되,
    상기 조절구(15)의 상측은 원통형 끼움부(16)를 형성하고, 하측에는 원통형 끼움부(16)의 일부가 연장되는 지지편(17)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17)에 위치되며 상기 원통형 끼움부(16)와 지지편(17)의 경계선상에는 다단식 층을 갖는 단턱(30)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15)의 원통형 끼움부(16)에 개구부(18)를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12)에 끼움방식으로 조립된 후, 상기 조절구(15)는 프레임(12)을 타고 승강 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15)의 지지편(17) 내측 소정의 위치에 돌기(19)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프레임(12)에는 다수의 홀(20)을 구성하여 상기 프레임(12)과 조절구(15)는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2)에 끼워진 조절구(15)는 상기 프레임(12)을 타고 승강 되면서 단턱(30) 부분이 회동홈(13)의 후방 고정부재(31)의 상단부에 걸리도록 하여 등받이(11)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조절구(15)의 지지편(17) 하단부에 스톱부(21)를 구성하여 상기 조절구(15)가 상기 좌판(14)의 회동홈(13)으로부터 역으로 빠져 이탈되는 것이 예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끼움부(16)의 형태를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상기 프레임(12)에 끼워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편(17)의 스톱부(21)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KR2020110006489U 2011-07-18 2011-07-18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KR2004727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489U KR200472790Y1 (ko) 2011-07-18 2011-07-18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489U KR200472790Y1 (ko) 2011-07-18 2011-07-18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622U KR20130000622U (ko) 2013-01-28
KR200472790Y1 true KR200472790Y1 (ko) 2014-05-22

Family

ID=51490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489U KR200472790Y1 (ko) 2011-07-18 2011-07-18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7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548A (ko) 2017-11-03 2019-05-13 전명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용 등받이
KR20210000301U (ko) 2019-07-29 2021-02-08 김종명 등받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56121U (ko) * 1971-10-27 1973-07-18
KR810000391Y1 (en) * 1980-04-09 1981-04-18 Song Rae Kim Cushion chair
KR200371588Y1 (ko) 2004-09-20 2005-01-14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등판 각도조정용 스토퍼
KR20060103625A (ko) * 2005-03-28 2006-10-04 임지선 장애인 이동이 용이한 좌식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56121U (ko) * 1971-10-27 1973-07-18
KR810000391Y1 (en) * 1980-04-09 1981-04-18 Song Rae Kim Cushion chair
KR200371588Y1 (ko) 2004-09-20 2005-01-14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등판 각도조정용 스토퍼
KR20060103625A (ko) * 2005-03-28 2006-10-04 임지선 장애인 이동이 용이한 좌식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548A (ko) 2017-11-03 2019-05-13 전명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용 등받이
KR20210000301U (ko) 2019-07-29 2021-02-08 김종명 등받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622U (ko) 2013-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4604B1 (en) Waist supporting structure of a dual-layer chair back
KR101679795B1 (ko) 지지 위치와 강도를 통합적으로 조절하는 요추지지 조절장치
US20110285190A1 (en) Movable Chair Backrest
JP2015027468A (ja) シーティングユニット用の同調背もたれ
KR102206733B1 (ko) 입체적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KR20140013899A (ko) 의자의 조절장치
KR101015416B1 (ko)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
JP5702479B2 (ja) 一体型背板セル付きの椅子
KR101479647B1 (ko) 유아용 식탁 의자
KR200472790Y1 (ko)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KR101296612B1 (ko) 의자 등받이의 허리받침장치
JP2014188027A (ja) 椅子
KR101616507B1 (ko)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
KR101303263B1 (ko) 허리지지부가 구비된 의자
JP2011103932A (ja) 椅子
KR101563537B1 (ko)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
JP6491049B2 (ja) 椅子及び椅子の調整方法
KR200409233Y1 (ko) 의자용 허리받침대의 설치 구조
KR102445563B1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JP2009045342A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KR101134683B1 (ko) 교정기능을 갖는 의자
JP3130289U (ja) 人体工学を具えた椅子脚の構造
KR20180049904A (ko) 성인 및 유아 공용 의자
KR200428716Y1 (ko) 기능성 쇼파
KR20130007405U (ko) 각도 및 위치 조절형 등받이를 갖는 돌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