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588Y1 - 의자등판 각도조정용 스토퍼 - Google Patents

의자등판 각도조정용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588Y1
KR200371588Y1 KR20-2004-0026971U KR20040026971U KR200371588Y1 KR 200371588 Y1 KR200371588 Y1 KR 200371588Y1 KR 20040026971 U KR20040026971 U KR 20040026971U KR 200371588 Y1 KR200371588 Y1 KR 200371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angle
locking
plat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하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하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하정공
Priority to KR20-2004-0026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5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5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등판 각도조정용 스토퍼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의자등판 각도조정을 위하여 등판을 뒷쪽으로 재칠때 일정 각도이상으로는 등판의 회전이 제어되게 하여 원활한 등판 각도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 일측에 축공이 뚫린 지지편이 구성되고, 본체 전면에는 다수개의 걸림홈과 걸림편이 형성된 통상의 등판 각도조정용 스토퍼를 구성하되 본체 전면에 돌출구성된 다수개의 걸림편 중 최하단 걸림편이 윗쪽 걸림편보다 약 2∼5mm정도 길게 돌출구성하여 등판 각도조정을 위한 등판의 회전시 걸림판의 선단부가 걸려 제어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등판 각도조정용 스토퍼{Stopper for regulating angle of the chair back}
본 고안은 의자등판 각도조정 스토퍼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걸림판과 스토퍼를 이용한 의자등판의 각도를 조정함에 있어서, 걸림판이 스토퍼의 각도 조정범위를 벗어나지 않게 하여 원활한 각도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용 등판은 필요에 따라 안락감을 위하여 적절한 각도로 조정가능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등판 각도조정은 여러구성의 것들이 제공되고 있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등판 각도조정 스토퍼는 스토퍼의 걸림홈에 걸림판이 선택적으로 끼워져 결합되게 하므로서 등판의 각도조정이 이루어지도록한 의자에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종래 의자에 사용되고 있는 등판 각도조정을 위한 구성은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스토퍼(10)의 본체(20) 전면에 다수개의 걸림편(21)을 구성하되 걸림편(21)사이에는 걸림홈(22)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걸림홈(22)에 걸림판(도시않됨)이 선택적으로 끼워져 결합되게 하므로서 의자의 등판 각도가 조정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스토퍼(10)에 구성된 다수개의 걸림편(21)은 돌출된 길이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어 등판 각도조정시 필요에 따라 걸림판이 스토퍼 본체(20)에 구성된 최하단 걸림홈(22)에 끼워지게 조정하고자 할 때에는 간혹 걸림판이 최하단 걸림편(21')을 이탈하여 원활한 각도조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는 스토퍼(10)의 본체(20)에 구성된 걸림홈(22)에 걸림판이 끼워진 상태에서 등판의 각도조정을 위하여 윗쪽 혹은 아랫쪽 걸림홈(22)으로 이동시키고자 할때 스토퍼 본체(20)를 후방으로 위치 이동시켜 걸림홈(22)으로부터 걸림판이 완전 벗어나게 한 다음 윗쪽 혹은 아랫쪽 걸림홈(22)으로 이동시키키 위하여서는 걸림판이 걸림편(21)을 이탈하여 지나가게 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최하단에 위치한 걸림편(21')도 윗쪽에 위치한 걸림편(21)과 동일한 조건으로 구성하게 되고, 따라서 등판의 각도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최하단에 위치한 걸림편(21')을 이탈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 의자등판 각도조정장치부의 부품들이 손상될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등판의 각도를 재조정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단점을 시정하고자 스토퍼와 걸림판을 이용한 의자등판 각도조정시 등판을 가장 뒷쪽으로 기울여지게 조정하기위하여 스토퍼를 당겨 걸림판이 걸림홈으로부터 완전 이탈되게 한 다음 등판을 뒷쪽으로 재칠때 걸림판이 스토퍼의 각도조정범위를 이탈되지 않게 하여 부품의 손상방지는 물론 등판의 원활한 각도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의자등판 각도조정용 스토퍼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토퍼의 본체 전면에 다수개의 걸림홈과 걸림편을 구성하되, 최하단에 위치하는 걸림편은 윗쪽의 다른 걸림편보다 길게 돌출구성되게 하여 등판 각도조정시 걸림판이 최하단 걸림편에 걸려 더이상 뒷쪽으로 회전되지 않게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 1 : 본 고안 스토퍼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 스토퍼의 단면구성도.
도 3 : 본 고안 스토퍼의 사용상태 평면구성도.
도 4 : 본 고안 스토퍼의 사용상태 측면구성도.
도 5 : 본 고안 스토퍼의 사용상태 측면구성도.
도 6 : 본 고안 스토퍼의 사용상태 측면구성도.
도 7 : 종래 스토퍼의 사시도.
도 8 : 종래 스토퍼의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스토퍼 (110)--본체
(111)--걸림편 (112)--걸림홈
(120)--지지편 (121)--축봉
이하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등판 각도조정용 스토퍼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등판 각도조정용 스토퍼(100)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단면구성도로서, 스토퍼(100)의 본체(110) 일측에 축공(121)이 형성된 지지편(120) 구성하고, 본체(110) 전면에는 다수개의 걸림편(111)을 구성하여 그 사이에 걸림홈(112)이 형성되게 하되, 최하단에 위치하는 하단 걸림편(111')은 다른 걸림편(111)보다 좀 더 길게 돌출구성되게 한다.
상기에서 하단 걸림편(111')이 다른 걸림편(111)보다 길게 돌출되는 정도는의자의 등판 각도조정을 위한 걸림판이 하단 걸림편(111')을 이탈하지 않을 정도로 돌출되게 하면 되며, 그 길이는 약 2∼5mm정도이면 된다.
미 설명부호 (200)은 고정프레임, (210)은 좌판지지대, (211)은 회전축봉, (212)는 걸림판, (213)은 축핀, (214)는 작동로드, (215)는 스프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등판 각도조정용 스토퍼(100)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축핀(213)을 스토퍼 본체(100) 일측에 구성된 지지편(120)의 축공(121)에 끼운 다음 축핀(213)을 이용하여 고정프레임(200) 내면 일측에 결합구성하되, 본체(110) 전면에 구성된 걸림편(111) 및 걸림홈(112)은 좌판지지대(210)에 연결설치된 회전축봉(211)의 걸림판(212) 선단부에 위치되게 하고, 지지편(120)의 단부에는 작동로드(214)가 관통설치되게 한 다음 스프링(215)으로 탄력설치되게 하므로서 스토퍼(100)의 본체(110) 선단부에 구성된 걸림편(111)이 걸림판(212)의 선단부와탄력적으로 접촉하여 의자등판의 각도조정이 이루어지게 한다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등판 각도조정용 스토퍼(100)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스토퍼(100)의 본체(110) 전면에 구성된 윗쪽 걸림홈(112)상에 걸림판(212)이 걸려진 상태에서, 등판의 각도는 뒷쪽으로 조정하고자 할 경우에 의자 측부에 구성된 작동레버(도시않됨)를 당겨 작동로드(214)가 당겨지게 하면 스토퍼(100)는 지지편(120)의 축공(121)에 끼워진 축핀(213)을 축으로 본체(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도 5에서와 같이 걸림홈(112)으로부터 걸림판(212)의 단부가 이탈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등판을 뒤로 재치면 걸림판(212)이 회전축봉(211)을 축으로 아랫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등판을 무의식적으로 뒤로 재치더라도 걸림판(212)의 단부가 스토퍼(100)의 걸림편(111)을 이탈하지 않는다.
즉 스토퍼(100)의 본체(110) 전면 최하단에 구성된 하단 걸림편(111')은 윗쪽에 구성된 다른 걸림편(111)보다 전방으로 좀 더 돌출구성되어 있어 각도조정을 위하여 등판을 무의식적으로 뒤로 재치더라도 걸림판(212)의 단부가 길게 돌출구성된 하단 걸림편(111')에 걸려 더이상의 회전이 제어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당겼던 의자 측부의 작동레버(도시않됨) 놓으면 스프링(215)의 탄지력에 의해 스토퍼(100)의 본체(110)는 축핀(213)을 축으로 시계회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복하면서, 도 6에서와 같이 하단 걸림편(111')의 걸림홈(112)에 걸림판(212)의 선단부가 끼워져 결합고정되므로 등판은 각도가 조정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의자등판 각도조정용 스토퍼를 구성하되, 스토퍼의 본체 선단부에 구성된 걸림편 중 최하단 걸림편의 길이를 좀 더 길게 구성하여 등판 각도조정을 위한 걸림판의 하강시 걸림판의 선단부가 걸려 제어되게 하므로서 종래와 같이 걸림판이 스토퍼의 조정범위를 벗어나 원활한 조정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본체 일측에 축공이 뚫린 지지편이 구성되고 본체 전면에는 다수개의 걸림편과 걸림홈이 형성되게 하여서 된 통상의 의자등판 각도조정용 스토퍼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110) 전면에 돌출구성된 다수개의 걸림편(111) 중 최하단 걸림편(111')이 윗쪽 걸림편(111)보다 약 2∼5mm정도 길게 돌출구성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등판 각도조정용 스토퍼.
KR20-2004-0026971U 2004-09-20 2004-09-20 의자등판 각도조정용 스토퍼 KR200371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971U KR200371588Y1 (ko) 2004-09-20 2004-09-20 의자등판 각도조정용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971U KR200371588Y1 (ko) 2004-09-20 2004-09-20 의자등판 각도조정용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588Y1 true KR200371588Y1 (ko) 2005-01-14

Family

ID=49353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971U KR200371588Y1 (ko) 2004-09-20 2004-09-20 의자등판 각도조정용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5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790Y1 (ko) 2011-07-18 2014-05-22 (주)씨텍코리아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790Y1 (ko) 2011-07-18 2014-05-22 (주)씨텍코리아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5609A (en) Mechanism to adjust the height of a back support of a chair
CA2341342C (en) Arm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 chair
CN105556589B (zh) 一种击鼓装置
DE4324543C2 (de) Stuhl, insbesondere Bürostuhl
US7744159B2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rmrest
US6585320B2 (en) Tilt control mechanism for a tilt back chair
US20090278393A1 (en) Adjusting Mechanism For Arm Rest
US7441835B2 (en) Angle-adjustable backrest device for a child highchair
US6398304B1 (en) Highchair with an improved seat angle adjustment mechanism
JPH0552726B2 (ko)
US6450577B1 (en) Multifunction tilt control with single actuator
US6540296B1 (en) Chair back height-adjustment mechanism
KR200371588Y1 (ko) 의자등판 각도조정용 스토퍼
EP2572605B1 (en) Seat guiding apparatus for chair
KR20070117130A (ko) 의자의 등받이 기울기 조절장치
KR101902770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KR200390030Y1 (ko) 의자 틸팅장치
KR200292593Y1 (ko) 의자용 팔걸이
KR100522496B1 (ko) 차량 시트 리클라이너
US7510207B2 (en) Ski binding with a positioning and fixing mechanism for the jaw bodies
KR200417184Y1 (ko) 의자의 조절장치용 레버
JP4280861B2 (ja) 鏡板の取付装置
CN206606077U (zh) 椅身角度可调的儿童安全座椅
KR200171559Y1 (ko) 책상 일체형 의자
JPH02114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