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537B1 -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 - Google Patents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537B1
KR101563537B1 KR1020150088957A KR20150088957A KR101563537B1 KR 101563537 B1 KR101563537 B1 KR 101563537B1 KR 1020150088957 A KR1020150088957 A KR 1020150088957A KR 20150088957 A KR20150088957 A KR 20150088957A KR 101563537 B1 KR101563537 B1 KR 101563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ushion
plate
bolt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길
김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시니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시니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시니프
Priority to KR1020150088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 구조(1000)로서, 좌판일체형의자등받이(100)와 좌방석하판(200)으로 형성되어 있되, 좌판일체형의자등받이(100)는 상기 의자등받이(110)에 이어져 의자등받이측판(130)이 앞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속적으로 좌판(14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판(140)의 상부에는 상기 좌방석하판(200)이 연계되어 앞뒤로 체형에 맞추어 이동가능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수단을 형성하되, 상기 좌판(140)과 상기 좌방석하판(200)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이다.

Description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Adjusting chair of the sheet for the people}
본 발명은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람의 체형에 따라 좌방석부분이 앞뒤로 이동이 가능하게 한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면을 참조하면, 국내 특허 10-1476622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등판셀(10)은 고정된 하부프레임(20)에 대해 각각 A 방향 및 B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사이동에 의하여 등받이부(11)와 팔걸이부(12)의 수직 위치 및 전후 위치가 동시에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체형 등판셀(10)이 하부프레임(20)에 대해 A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등받이부(11)가 낮아지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즉, 좌판에서 사용자의 둔부가 지지될 수 있는 면적이 작아지게 된다), 동시에 팔걸이부(12)도 낮아지게 된다. 반대로, 일체형 등판셀(10)이 하부프레임(20)에 대해 B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등받이부(11)가 높아지면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즉, 좌판에서 사용자의 둔부가 지지될 수 있는 면적이 커지게 된다), 동시에 팔걸이부(12)도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등받이부(11)와 팔걸이부(12)의 위치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간단하며 컴팩트한 구조의 의자(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 내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판을 체형에 맞게 움직이기 위한 기술로서, 국내 실용신안등록 20-0195547호에서는 가변장치(10)와 조절판(44)은 샤프트(43)에 의해 고정되어 작용되도록 하고, 상기 가변장치(10)와 조절판(44)의 일측에는 좌판(35)에 고정될수 있도록 고정부(11)(1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조절판(44)에는 각도조절기(21)가 부착되어 있으며, 가변장치(10)에는 수개의 스토퍼와셔(15)가 와셔고정핀(13)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수개의 스토퍼와셔(15)에는 조절홈(23)이 형성되어 고정보울트(19)가 삽입되는데 있어 스토퍼와셔(15)와 스토퍼와셔(15) 사이에는 일정한 유격이 유지 되도록 와셔(16)가 삽입되어 조립된다.
그리고 가변장치(10)의 일측면에는 브라켓트(14)를 부착시키고, 스프링(18)을 조립하여 상기 스토퍼와셔(15)를 고정시킨 보울트(19)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고정보울트(19)는 부시(24)와 너트(20)에 의해 체결되어 가변장치(10)에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트(14)의 끝부분에는 조절레버(12)가 고정핀(22)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가변장치(10)에는 실린더(33)가 조립될수 있도록 고정홈(45)이 형성되어 있고 조정레버(34)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였으며, 좌판(35)의 밑면에는 팔걸이고정부(46)가 형성되어 팔걸이(51)가 조립될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례에 따라 작동되는 과정및 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해서 구성된 가변장치(10)와 조절판(44)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부(11)(11a)에 의해 좌판(35)과 일체로 고정되고 사용자는 가변장치(10)에 샤프트 (43)로 고정된 조절판(44)의 각도조절기(21)를 회전시키면 조절판(44)은 작동하면서 좌판이 상향 또는 하향 으로 이동시킨 다음 가변장치(10)에 형성된 조절레버(12 )를 이용하여 유동을 억제시켜 주므로서 좌판(35)의 기울기가 조절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상태에서 스토퍼와셔(15)는 조절레버(12)의 작용에 의해 유격이 없어지게 되면서 가변장치(10)와 조절판(44)을 견고히 잡아주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좌판(35)의 표면 기울기를 다시 변화 시키려면 조절레버(12)를 작동시켜 스토퍼와셔(15)의 유격이 발생되도록 한 상태에서 조절판(44)에 부착된 각도조절기(21)를 회전시켜 좌판(35)의 기울기를 조정 한상태에서 상기 조절레버(12)를 다시 작동하면 스토퍼와셔(15)는 유격이 없어지면서 가변장치(10)에 고정된 좌판은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의 기울기를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의자용 팔걸이의 폭조절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좌판의 하면에 형성된 삽입홈(50)에 삽입되어진 팔걸이(51)를 좌,우쪽으로 이동시켜 조절나사(48)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였다.
또한 가변장치(10)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홈(45)에는 의자다리(47)와 일체로 된 실린더(33)가 삽입되는데 있어 실린더(33)의 높낮이 조정은 가변장치(10)의 상측에 레버브라켓트(52)로 고정된 실린더조정레버(34)에는 레버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면치부가 형성되게 하였고 상기 레버가 실린더(33)에 부착된 가스밸브를 눌러 실린더(33)가 상,하로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의자 좌판에 고정된 가변장치와 조절판을 샤프트로 연결하여 일체화시켜 좌판의 기울기를 스토퍼와셔와 조절레버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조절하고, 좌판의 하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팔걸이가 삽입되고 조절나사가 체결되어 필요에 따라 가변 조절할 수 있고, 가변장치에 부착된 실린더조정레버가실린더를 상,하로 작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자는 종래 등록실용신안 20-0471212호에 의하여, 상기 의자좌판 중 상판(200')은 중앙부에 하판(100')의 통공부(110')와 결합되는 통공부(210')가 형성되고, 이 통공부(210')의 가장자리로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테두리는 상판(200') 저면에서 하향 돌출된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하판(100')과 상판(200')의 조립 결합 시 하판(100')의 통공부(110') 테두리와 상호 밀착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판(200')의 외곽 테두리에도 하판(100')과 결합하기 위하여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에는 요추받이지지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판(100')의 결합홈과 함께 간극을 형성하게 되는 패인 형태의 지지대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실시예의 경우에는 사람의 체형이 맞지 않을 경우에는 즉, 사람이 의자 깊이 앉으려고 할 경우에 팔높이를 낮게 조절하고 있을 경우에는 오히려 팔높이가 높아져 자세가 불편한 점이 발생하였고, 상기 종래 실시예의 경우에는 좌판을 전후로 하는 것은 좋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원가가 너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자가 개발한 좌판의 통기공의 구조를 응용하면서도,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되, 의자 등받이와 좌판이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제조 원가를 줄이고, 의자 좌판과 좌방석 부분을 분리하여 좌방석 부분이 앞뒤로 조절이 편하도록 하여, 착석자는 언제든지 체형에 맞게 의자 착석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의자 구조(1000)로서, 좌판일체형의자등받이(100)와 좌방석하판(200)으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좌판일체형의자등받이(100)는 의자등받이(110)에 이어져 의자등받이측판(130)이 앞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서 연속적으로 좌판(14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판(140)의 상부에는 전방부에 안내장공수용부(240)가 사각형상의 틀로 형성되어 그 사이 내부에 좌판결합안내장공(230)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 좌판결합안내장공(230)의 좌우측으로 좌방석가이드레일(221a)(221b)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 좌방석가이드레일(221a)(221b)의 저면쪽에서 나란히 병행하게 좌우측으로 좌판결합돌기(223a)(223b)가 형성된 좌방석하판(200)이 연계되어 앞뒤로 체형에 맞추어 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판(140)과 좌방석하판(200)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체결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좌방석하판(200)의 안내장공수용부(240) 내측에 수용 배치되어 좌방석가이드레일(221a)(221b) 및 좌판결합안내장공(230)을 따라 이동하도록 볼트체결공(252)을 갖춘 좌판체결부재(250)와, 상기 좌판체결부재(250)의 볼트체결공(252)에 체결되어 조임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좌판(140)의 전면 중앙부에 형성된 좌방석결합공(146)에 끼워지는 좌판체결조절볼트(262)를 갖춘 좌판체결조절볼트손잡이(260)와, 상기 좌방석결합공(146)의 좌우측으로 나란히 병행하여 좌방석하판(200)의 좌판결합돌기(223a)(223b)와 결합되어 좌방석하판(200)을 멈출 수 있도록 좌판(140)에 형성된 좌방석결합돌기(148a)(148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레일수단은 상기 좌판(140)에 전후 좌우측에는 길게 좌방석안내장공(144a)(144b)(144c)(144d)을 형성하여 이들은 각각 상기 좌방석하판(200)의 좌판체결공(222a)(222b)(222c)(222d)과 볼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레일수단은 상기 좌판(140)에 전후 좌우측에는 길게 좌방석안내장공(144a)(144b)(144c)(144d) 대신에 “ㄱ”자형 고리로 대체하고, 상기 좌방석하판(200)의 좌판체결공(222a)(222b)(222c)(222d) 대신에 “ㄴ”자형 고리로 대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이다.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도록 1번의 사출에 의하여 의자 등받이와 좌판이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제조 원가를 줄였고, 의자 좌판과 좌방석 부분만을 분리하여 좌방석 부분이 앞뒤로 조절이 편하도록 하여, 착석자는 언제든지 체형에 맞게 의자 착석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여, 착석자의 체형에 맞도록 하여 편안한 안락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
도 2, 3은 종래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및 개략 평면도
도 4는 종래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좌판 일체형 의자등받이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좌판 일체형 의자등받이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좌방석 하판의 상부구조가 보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좌방석 하판의 하부구조가 보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좌판 일체형 의자등받이의 하부 구조가 보이는 결합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좌판 일체형 의자등받이와 좌방석 하판의 정면 결합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좌판 일체형 의자등받이와 좌방석 하판의 측면 결합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좌판 일체형 의자등받이와 좌방석 하판의 저면 결합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도 6에 대응되는 가이드레일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도 8에 대응되는 가이드레일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좌판 일체형 의자등받이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좌판 일체형 의자등받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좌방석 하판의 상부구조가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좌방석 하판의 하부구조가 보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좌판 일체형 의자등받이의 하부 구조가 보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좌판 일체형 의자등받이와 좌방석 하판의 정면 결합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좌판 일체형 의자등받이와 좌방석 하판의 측면 결합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좌판 일체형 의자등받이와 좌방석 하판의 저면 결합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자 구조(1000)는 좌판일체형의자등받이(100)와 좌방석하판(200)으로 형성되어 있되, 좌판일체형의자등받이(100)는 의자등받이(110)와 의자등받이부착판(120) 및 의자등받이측판(130), 좌판(1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의자등받이(110)는 통상의 등을 기댈 수 있는 다소 둥글게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의자등받이손잡이홀(111)이 형성되어 사람이 이를 이용하여 옮길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의자등받이(110)에 의자등받이부착판(120)이 부착되고, 상기 의자등받이손잡이홀(111)에 일치되게 의자등받이손잡이홀(121)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의자등받이(110)에 이어져 의자등받이측판(130)이 형성되어 있고, 연속적으로 좌판(14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판(140)의 상부에는 상기 좌방석하판(200)이 연계되어 앞뒤로 체형에 맞추어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는 외부의 커버는 생략되어 있다.
상기 의자등받이측판(130)은 의자등받이(110)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며, 좌우측 상부에는 팔걸이체결홈(132)이 형성되어 팔걸이받침대(134)를 체결할 수 있도록 억지끼움 등의 수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판(140)은 상기 의자등받이측판(130)과 일체로 형성하되, 중앙부분에는 공기의 좌판통공(141)을 형성하여 후술되는 좌방석하판(200)의 환기통공부(210)와 같은 방향의 통공으로 되어 엉덩이에 환풍을 시키며, 전후 좌우측에는 길게 좌방석안내장공(144a)(144b)(144c)(144d)을 형성하여 후술되는 좌방석하판(200)의 좌판체결공(222a)(222b)(222c)(222d)과 볼트에 의하여 연결되어(이하, “가이드레일수단”이라 한다) 좌방석하판(200)이 전후로 체형에 맞게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좌판(140)의 중앙부의 전후 좌우측에는 좌판(140)의 체결공(142a)(142b)(142c)(142d)이 형성되어 의자다리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전면 중앙부에는 좌판체결조절볼트손잡이(260)의 좌판체결조절볼트(262)를 끼우는 좌방석결합공(14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방석결합공(146)의 좌우측으로 나란히 병행하여 좌방석하판(200)의 좌판결합돌기(223a)(223b)와 결합되어 좌방석하판(200)을 멈추게 좌판(140)의 하부에 좌방석결합돌기(148a)(148b)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좌방석하판(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좌방석하판(200)은 중앙부에 환기통공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에는 보강리브(220)가 형성되어 좌방석하판(200) 자체를 보강하고 있으며, 상기 좌방석하판(200)의 전후 좌우측에는 길게 좌판체결공(222a)(222b)(222c)(222d)을 형성하여 전술한 좌판(140)의 좌방석안내장공(144a)(144b)(144c)(144d)과 볼트에 의하여 연결되어 좌방석하판(200)이 전후로 체형에 맞게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좌방석하판(200)의 전방부에는 안내장공수용부(240)가 사각형상의 틀으로 형성되어 그 사이 내부에 좌판결합안내장공(230)을 형성하고 그 좌판결합안내장공(230)의 좌우측에는 좌방석가이드레일(221a)(221b)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좌방석하판(200)의 좌판결합돌기(223a)(223b)가 형성되며, 이들과 좌방석하판(200)의 좌방석결합돌기(148a)(148b)가 결합되어 좌방석하판(200)을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방석하판(200)과 좌판(140)의 결합에 있어서는 좌판체결부재(250)가 볼트결합공(252)을 형성하면서 볼트결합로드(254)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결합공(252)에 좌판체결조절볼트손잡이(260)에 형성된 좌판체결조절볼트(262)가 체결되면서 상기 좌방석하판(200)은 좌판체결조절볼트(262)가 조이게 되면 상기 좌판(140)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좌판(140)에 형성된 좌방석결합돌기(148a)(148b)와 좌방석하판(200)의 좌판결합돌기(223a)(223b)와 밀착되면서 결합되어 좌방석하판(200)을 멈추게 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좌판체결부재(250)은 상기 안내장공수용부(240)의의 범위 내에서 전후 이동하게 되게 됨으로써, 결국 좌판(140)의 좌방석결합공(146)에 끼워져 있는 좌판체결조절볼트손잡이(260)의 좌판체결조절볼트(262)를 중심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좌방석하판(200)의 중앙부위에는 환기통공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그 중간에 통공부지지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부지지대의 중간에는 기능성포장체(미도시)를 꽂아 사용될 수 있도록 기능성포장체결합공(21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좌방석하판(200)의 조절은 체형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좌판체결조절볼트손잡이(260)의 조절에 의하여 좌방석하판(200)의 플라스틱으로 된 소재의 탄성에 의하여 평상시에는 좌판(140)과 떨어져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전후 이동이 가능하고, 좌판체결조절볼트손잡이(260)의 조임에 따라 상하 좌방석하판(200)과 좌판(140)의 체결에 따라 고정됨으로써 의자의 폭이 조절되고, 체형에 따라 편한히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가이드레일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도 6에 대응되는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도 8에 대응되는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가이드레일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좌판(140)에 전후 좌우측에는 길게 좌방석안내장공(144a)(144b)(144c)(144d) 대신에 “ㄱ”자형 고리로 대체하고, 상기 좌방석하판(200)의 좌판체결공(222a)(222b)(222c)(222d) 대신에 “ㄴ”자형 고리로 대체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좌판(140)에 전후 좌우측에는 길게 형성된 “ㄱ”자형 고리에 상기 좌방석하판(200)의 대신에 “ㄴ”자형 고리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따라 착석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한 의자가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좌판일체형의자등받이
110 : 의자등받이
120 : 의자등받이부착판
130 : 의자등받이측판
140 : 좌판
200 : 좌방석하판
210 : 환기통공부
220 : 보강리브
230 : 좌판결합안내장공
240 : 안내장공수용부
250 : 좌판체결부재
260 : 좌판체결조절볼트손잡이

Claims (4)

  1. 의자 구조(1000)로서, 좌판일체형의자등받이(100)와 좌방석하판(200)으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좌판일체형의자등받이(100)는 의자등받이(110)에 이어져 의자등받이측판(130)이 앞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서 연속적으로 좌판(14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판(140)의 상부에는 전방부에 안내장공수용부(240)가 사각형상의 틀로 형성되어 그 사이 내부에 좌판결합안내장공(230)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 좌판결합안내장공(230)의 좌우측으로 좌방석가이드레일(221a)(221b)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 좌방석가이드레일(221a)(221b)의 저면쪽에서 나란히 병행하게 좌우측으로 좌판결합돌기(223a)(223b)가 형성된 좌방석하판(200)이 연계되어 앞뒤로 체형에 맞추어 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판(140)과 좌방석하판(200)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체결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좌방석하판(200)의 안내장공수용부(240) 내측에 수용 배치되어 좌방석가이드레일(221a)(221b) 및 좌판결합안내장공(230)을 따라 이동하도록 볼트체결공(252)을 갖춘 좌판체결부재(250)와, 상기 좌판체결부재(250)의 볼트체결공(252)에 체결되어 조임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좌판(140)의 전면 중앙부에 형성된 좌방석결합공(146)에 끼워지는 좌판체결조절볼트(262)를 갖춘 좌판체결조절볼트손잡이(260)와, 상기 좌방석결합공(146)의 좌우측으로 나란히 병행하여 좌방석하판(200)의 좌판결합돌기(223a)(223b)와 결합되어 좌방석하판(200)을 멈출 수 있도록 좌판(140)에 형성된 좌방석결합돌기(148a)(148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수단은 상기 좌판(140)에 전후 좌우측에는 길게 좌방석안내장공(144a)(144b)(144c)(144d)을 형성하여 이들은 각각 상기 좌방석하판(200)의 좌판체결공(222a)(222b)(222c)(222d)과 볼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수단은 상기 좌판(140)에 전후 좌우측에는 길게 좌방석안내장공(144a)(144b)(144c)(144d) 대신에 “ㄱ”자형 고리로 대체하고, 상기 좌방석하판(200)의 좌판체결공(222a)(222b)(222c)(222d) 대신에 “ㄴ”자형 고리로 대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
  4. 삭제
KR1020150088957A 2015-06-23 2015-06-23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 KR101563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957A KR101563537B1 (ko) 2015-06-23 2015-06-23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957A KR101563537B1 (ko) 2015-06-23 2015-06-23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3537B1 true KR101563537B1 (ko) 2015-10-28

Family

ID=54429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957A KR101563537B1 (ko) 2015-06-23 2015-06-23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5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6235A (ko) * 2015-10-20 2017-05-02 주식회사 나조산업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2848B2 (ja) * 1992-12-24 2001-06-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優れたクリープ強度を有する高Crフェライト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2848B2 (ja) * 1992-12-24 2001-06-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優れたクリープ強度を有する高Crフェライト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6235A (ko) * 2015-10-20 2017-05-02 주식회사 나조산업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
KR102405617B1 (ko) 2015-10-20 2022-06-09 주식회사 나조산업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9318B1 (en) Chair having an adjustable lumbar mechanism
CA2572396C (en) Office chair
CA2837141C (en) Lumbar support for a chair
MX2008012133A (es) Silla reclinable con ajustabilidad mejorada.
US7416251B2 (en) Chair
KR101476622B1 (ko)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CA2720519C (en) Nursing chair
KR101563537B1 (ko)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
KR101873721B1 (ko) 의자
US20120119552A1 (en) Automatically adjustable chair structure
KR101174458B1 (ko) 의자용 등받이
KR101476621B1 (ko)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JP6538020B2 (ja) 椅子の背もたれの高さ調節構造
KR200191797Y1 (ko)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170046235A (ko)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0443595Y1 (ko) 각도조절 허리받침대가 구비된 의자
KR200371544Y1 (ko) 머리받침대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자
KR20160085115A (ko) 의자용 등받이
JP2009273585A (ja) 椅子
KR102616462B1 (ko) 3d 모션 의자
KR200331389Y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0140441Y1 (ko) 의자
KR20240071904A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팔걸이가 구비된 의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결합체
KR20240071888A (ko) 등받이 높이조절 기능을 포함하는 의자 및 이를 이용한 의자 결합체
JP2001299500A (ja) 椅子の背凭れ支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