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462B1 - 3d 모션 의자 - Google Patents

3d 모션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462B1
KR102616462B1 KR1020230082774A KR20230082774A KR102616462B1 KR 102616462 B1 KR102616462 B1 KR 102616462B1 KR 1020230082774 A KR1020230082774 A KR 1020230082774A KR 20230082774 A KR20230082774 A KR 20230082774A KR 102616462 B1 KR102616462 B1 KR 102616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bar
frame
motion
guid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2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주)베스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스툴 filed Critical (주)베스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4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3D 모션 의자는, 등판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요추지지대, 요추지지대에 고정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요추가이드레일이 구비된 요추가이드, 요추가이드레일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요추모션프레임 및 제1요추모션프레임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요추모션프레임을 포함하는 요추모션장치 및 요추모션장치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요추패드를 포함한다. 이때, 요추패드는 상하방향(Z축) 및 전후방향(X축)으로 이동가능하고, 좌우방향(Y축)으로 연장된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의 요추부분을 지지한다.

Description

3D 모션 의자{3D Motion Chair}
본 발명은 3D 모션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번거로운 조정없이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지지해주고 반응하며 일상에서 필요한 다양한 자세를 지원하는 3D 모션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소정의 형상으로 고정되고, 사용자의 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제작되었다. 즉, 일반적인 의자는 사용자의 몸에 어떠한 자극을 주지 않으며 자세를 바꾸는 행위가 힘들게 제작되었다.
그에 따라, 장시간 의자에 착석시에 근육이 위축되며 신진대사 능력이 저해되는 등 사용자의 건강에 좋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앉는 자세를 교정하여 바른 자세로 의자를 사용하거나 매시간마다 의자에서 일어나 스트레칭을 할 것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자세 교정이 아닌 의자의 모션을 통해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지지해주고 반응할 수 있는 3D 모션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번거로운 조정이 필요없이 사용자에 움직임의 맞추어 입체적으로 조정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자세를 지원할 수 있는 3D 모션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요추부분을 사용자의 움직임에 맞추어 지지하여 허리부분의 압박감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요통을 방지할 수 있는 3D 모션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3D 모션 의자는, 등판 프레임 및 상기 등판 프레임에 결합되는 요추지지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요추지지유닛은, 상기 등판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요추지지대, 상기 요추지지대에 고정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요추가이드레일이 구비된 요추가이드, 상기 요추가이드레일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요추모션프레임 및 상기 제1요추모션프레임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요추모션프레임을 포함하는 요추모션장치 및 상기 요추모션장치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요추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요추패드는 상하방향(Z축) 및 전후방향(X축)으로 이동가능하고, 좌우방향(Y축)으로 연장된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의 요추부분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등판 프레임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로 이격배치된 상부 프레임부와 하부 프레임부 및 상기 상부 프레임부와 상기 하부 프레임부를 연결하도록 전방으로 구부러져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추지지대는, 요추지지부 및 상기 요추지지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에 고정 결합되는 요추지지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추가이드는, 전면에 상기 요추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요추가이드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요추지지부와 상기 요추가이드부가 고정 결합되도록 상기 요추가이드부에 형성된 복수의 요추가이드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추모션장치는 상기 제1요추모션프레임과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요추모션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추모션레버는, 상기 제1요추모션프레임에 결합되는 레버바디부, 상기 레버바디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손잡이부,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과 탄성결합되는 레버돌출부 및 상기 레버바디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손잡이부와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레버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요추모션프레임은, 제1모션프레임부, 상기 제1모션프레임부의 양 측에 형성된 요추가이드결합부 및 상기 제1모션프레임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요추레버결합부와 요추프레임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추가이드결합부는 상기 요추가이드레일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요추레버결합부의 내측에 상기 레버바디부가 삽입결합되고, 상기 요추프레임결합부는 상기 요추레버결합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은, 상기 요추프레임결합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2모션프레임부, 상기 제2모션프레임부에 중심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요추프레임개구, 상기 제2모션프레임부의 양 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요추패드결합돌기 및 상기 요추프레임개구를 중심으로 상기 제2모션프레임부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레버돌기와 접하며 원주방향으로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한 레버돌기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과 상기 레버돌출부가 전후방향으로 탄성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요추프레임개구를 통해 상기 레버돌출부에 결합되는 결합스프링와 스프링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요추모션프레임은, 상기 요추프레임결합부의 양 측으로 각각 돌출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은, 상기 프레임가이드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모션프레임부의 양 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프레임가이드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요추모션레버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레버돌기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레버돌기가이드부(2468)가 전후방향으로 상대이동되며, 상기 프레임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프레임가이드돌기가 전후방향으로 상대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추패드는 요추패드부 및 상기 요추패드부의 후방에 형성된 좌우방향으로 이격배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개구를 갖는 한 쌍으로 구비된 요추패드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추패드결합돌기는 상기 요추패드결합부를 관통하여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요추패드결합돌기와 상기 요추패드결합부는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추패드는 요추패드부 및 상기 요추패드부의 후방에 형성된 요추패드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추패드결합부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회전축을 형성하도록, 상기 요추모션장치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좌우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요추패드부는 상기 요추패드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3D 모션 의자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입체적으로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자세를 더 자주 바꾸며 자연스러운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3D 모션 의자는 번거로운 조정없이 사용자의 움직임에 맞추어 입체적으로 조정되도록 제공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며 개별 사용자에 따라 그 특성을 고려한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한 3D 모션 의자는 요추부분을 사용자의 움직임에 맞추어 지지함에 따라 장시간 앉아서 시간을 보내는 사용자의 고질적인 문제인 요통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의 분해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의 제1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의 제2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의 제3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의 제2요추모션프레임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의 요추모션레버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하방향은 Z축방향, 전후방향은 X축방향, 좌우방향 또는 양측방향은 Y축방향으로 정의된다. 특히, 전방방향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각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 축방향으로 정의된 것으로 수직하거나 일 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1)의 사시도이다. 자세하게는 도 1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전면을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후면을 하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D 모션 의자(1)는 헤드 어셈블리(10), 상부 어셈블리(20), 하부 어셈블리(30), 보조 어셈블리(40) 및 지지 어셈블리(50)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각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자세 및 움직임에 따라 서로 별도의 모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분된다.
상기 헤드 어셈블리(10)는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지지하도록 위치한다. 예를 들어, 상기 헤드 어셈블리(10)는 사용자의 머리가 움직임에 따라 입체적으로 위치가 조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 어셈블리(1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20)는 사용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도록 위치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어셈블리(20)는 개별 사용자의 요추 형태에 따라 효율적으로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20)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30)는 사용자의 엉덩이부분을 포함한 상부를 지지하도록 위치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어셈블리(30)는 사용자의 전후좌우 움직임에 따라 모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3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어셈블리(40)는 사용자의 팔부분을 지지하도록 위치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어셈블리(40)는 사용자의 팔이 움직임에 따라 입체적으로 위치가 조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어셈블리(4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30)의 양 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어셈블리(5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30) 및 그에 연결된 각 어셈블리들을 바닥면에서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어셈블리(50)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상하로 길이가 조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1)의 분해 사시도이다. 자세하게는,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3D 모션 의자(1)의 상부 어셈블리(20)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5 내지 도 8은 상부 어셈블리(20) 중 요추지지유닛(24)의 분해 및 조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어셈블리(20)는 등판 프레임(22), 요추지지유닛(24) 및 등판 시트(24)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등판 프레임(22)은 전체적으로 사각 틀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등판 프레임(22)은 상부 프레임부(220), 하부 프레임부(222) 및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22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부(220) 및 상기 하부 프레임부(222)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평행하게 상하로 이격배치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부(220)에는 앞서 설명한 상기 헤드 어셈블리(1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부(222)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3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부(222)가 상기 하부 어셈블리(30)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어셈블리(20)가 전체적으로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프레임부(222)는 나사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하부 어셈블리(30)의 일 측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224)는 상하로 이격배치된 상기 상부 프레임부(220)와 상기 하부 프레임부(222)를 연결하도록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224)는 전면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는 사람의 인체에 자연스러운 허리 곡선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224)는 곡선을 형성하고, 전면으로 돌출된 부분을 요추지지유닛설치부(2240)로 정의한다. 이와 같은 요추지지유닛설치부(2240)에 상기 요추지지유닛(24)이 결합 및 설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사람의 인체는 서 있을 때에 비해 앉아 있을 때 허리에 가해지는 압력이 약1.6배 정도로 증가된다. 이때, 허리 뒤쪽에 곡선으로 들어간 요추 전만을 유지해주는 것이 허리 통증을 방지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즉, 상기 요추지지유닛(24)은 사용자의 허리에 자연스러운 곡선이 형성되도록 상기 요추지지유닛설치부(2240)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요추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등판 시트(26)는 상기 등판 프레임(22)의 전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프레임부(222)는 상기 등판 시트(26)가 고정 및 결합되는 시트 결합프레임(26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등판 시트(26)는 상기 등판 프레임(22)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시트 결합프레임(260)에 고정결합됨에 따라 상기 등판 프레임(22)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판 시트(26)는 사용자의 등부분을 편안하게 지지하도록 탄성이 있으며 통풍이 잘되는 메쉬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편의상 도 1 및 도 3에서는 상기 등판 시트(26)의 후면에 위치한 상기 요추지지유닛(24)을 도시하기 위해 상기 등판 시트(26)를 생략하거나 투명하게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추지지유닛(24)은 요추지지대(200), 요추가이드(210), 요추패드(230) 및 요추모션장치(240)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요추지지대(200)는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224)와 연결되는 구성에 해당된다. 그에 따라, 상기 요추지지대(200)는 좌우로 연장된 요추지지부(2000) 및 상기 요추지지부(2000)의 양 측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224)와 결합되는 요추지지결합부(20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면프레임부(224)와 상기 요추지지결합부(2002)는 나사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서로 고정 및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요추지지부(2000)는 전체적으로 후방으로 구부러진 평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요추지지부(2000)는 사용자의 뒷허리부분에 대응되는 자연스러운 곡면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부분을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추지지부(200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부재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부분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요추가이드(210)는 상기 요추지지대(200)에 결합되어 상기 요추모션장치(240)의 모션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에 해당된다. 그에 따라, 상기 요추가이드(210)는 요추가이드부(2100), 복수의 요추가이드결합부(2102) 및 요추가이드레일(21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추가이드부(2100)는 전체적으로 상기 요추지지부(2000)와 대응되도록 후방으로 구부러진 평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요추가이드결합부(2102)는 나사 등의 결합부재가 관통 결합되도록 상기 요추가이드부(2100)에 형성된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서로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요추가이드부(2100)와 상기 요추지지부(2000)를 고정 및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요추가이드레일(2104)은 상기 요추가이드부(2100)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도 9 및 도 10에서 후술할 제1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된다. 상기 요추가이드레일(2104)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요추모션장치(240)의 상하방향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요추패드(230)는 상하방향(Z축) 및 전후방향(X축)으로 이동가능하고, 좌우방향(Y축)으로 연장된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의 요추부분을 지지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상기 요추패드(230)는 요추패드부(2300), 요추패드개구부(2302) 및 요추패드결합부(23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추패드부(2300)는 전체적으로 상기 요추가이드부(2100) 및 상기 요추지지부(2000)와 대응되는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요추패드부(2300)의 전면은 상기 등판 시트(26)와 함께 사용자의 요추부분에 직접 접하는 부분으로 탄력이 있는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요추패드개구부(2302)는 상기 요추패드부(2300)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추패드개구부(2302)는 상기 요추패드부(2300)가 탄성적으로 변형되거나 이동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상기 요추패드결합부(2304)는 상기 요추패드개구부(2302)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추패드결합부(2304)는 도 7과 같이 상기 요추모션장치(240)와의 결합을 위해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요추패드결합부(2304)는 좌우로 이격 배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결합구를 갖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요추모션장치(240)가 상기 한 쌍의 요추결합결합부(2304)의 사이에 위치하여 나사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요추패드결합부(2304)를 통해 상기 요추패드(230)는 상기 요추모션장치(24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요추패드결합부(2304)가 일 종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축으로 기능하며 상기 요추패드(230)가 이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는 도 13 및 도 14에서 후술할 제3움직임에 해당된다.
상기 요추모션장치(240)는 제1요추모션프레임(242)과 제2요추모션프레임(246) 및 상기 제1,2요추모션프레임(242, 246)의 사이에 배치되는 요추모션레버(2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요추모션프레임(242), 상기 요추모션레버(244) 및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246)는 도 6과 같이 전후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되어 서로 일부가 겹쳐지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요추모션프레임(242)은 소정의 평판으로 구비된 제1모션프레임부(2420), 상기 제1모션프레임부(2420)의 양 측에 형성된 요추가이드결합부(2422) 및 상기 제1모션프레임부(2420)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요추레버결합부(2424)와 요추프레임결합부(24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추가이드결합부(2422)는 앞서 설명한 요추가이드레일(2104)에 결합되는 구성에 해당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상기 요추지지대(200) 와 상기 요추가이드(210)와, 결합된 상기 요추패드(230)와 상기 요추모션장치(240)가 서로 조립된다. 이때, 상기 요추가이드결합부(2422)가 상기 요추가이드레일(2104)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요추레버결합부(2424)는 상기 요추모션레버(244)가 삽입결합되도록 그 형상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추레버결합부(2424)는 상기 요추모션레버(244)의 외형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요추레버결합부(2424)의 상부는 개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요추프레임결합부(2426)는 상기 요추레버결합부(2424)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추프레임결합부(2426)는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246)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추프레임결합부(2426)는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246)의 외형과 대응되는 사각틀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요추프레임결합부(2426)의 상부는 개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추프레임결합부(2426)는 양 측으로 각각 돌출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가이드돌기(24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가이드돌기(2428)는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246)의 전후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요추모션레버(244)는 상기 요추가이드결합부(2422)에 삽입되는 레버바디부(2440), 상기 레버바디부(2440)에서 상부로 돌출된 손잡이부(2442) 및 상기 레버바디부(2440)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레버돌출부(24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바디부(2440)는 원통형상의 외관을 가지며 상기 제1요추모션프레임(242)과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246)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 그 내부에 위치된다. 그에 따라, 도 5 또는 도 7과 같이 상기 요추모션장치(24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상기 레버바디부(2440)는 레버결합부재(2406)를 통해 상기 제1모션프레임부(24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2442)는 이를 파지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요추모션프레임(242)과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246)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 상부에는 상기 손잡이부(2442)가 이동되는 소정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442)는 소정의 개구를 따라 소정의 각도만큼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246)은 상기 요추프레임결합부(2426)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제2모션프레임부(2460), 상기 제2모션프레임부(2460)에 형성된 요추프레임개구(2462), 상기 제2모션프레임부(2460)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되는 요추패드결합돌기(2464), 프레임가이드홈(24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모션프레임부(2460)은 상기 요추프레임결합부(2426)의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제1요추모션프레임(242)의 전방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요추모션프레임(242)과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246)이 결합되면, 상기 제1모션프레임부(2420)가 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모션프레임부(2460)가 측면 및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요추프레임개구(2462)는 상기 제2모션프레임부(2460)의 중심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때,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요추프레임개구(2462)를 통해 상기 레버돌출부(2444)에 결합스프링(2400), 스프링고정부(2402) 및 스프링결합부재(2404)가 결합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246)과 상기 요추모션레버(244)가 전후방향으로 탄성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5 및 도 16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요추패드결합돌기(2464)는 상기 제2모션프레임부(2460)의 양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요추패드결합돌기(2464)는 상기 요추패드결합부(2304)에 삽입되어 나사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추패드결합돌기와 상기 요추패드결합부(2304)는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가이드홈(2466)은 상기 제2모션프레임부(2460)의 양 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가이드홈(2466)은 상기 프레임가이드돌기(2428)가 끼워지는 부분에 해당된다. 그에 따라 상기 프레임가이드홈(2466)을 따라 상기 프레임가이드돌기(2428)가 전후방향으로 상대이동될 수 있다.
이하,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입체적인 움직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움직임을 제1 내지 제3모션으로 구분하여 기재 및 설명하지만 이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동시에 수행가능한 모션에 해당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1)의 제1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등판 시트(24)를 투명하거나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추패드(230)는 상하방향, 즉, Z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모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도 10에 비하여 상기 요추패드(230)가 상부방향, Z축방향으로 일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0은 도 9에 비하여 상기 요추패드(230)가 하부방향, Z축방향으로 타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제1모션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요추지지대(200) 및 상기 요추가이드(210)는 상기 등판 프레임(22)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요추지지대(200)에는 상하로 연장된 요추가이드레일(2104)이 형성되고, 상기 요추가이드레일(2104)에 상기 요추가이드결합부(242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요추가이드레일(2104)에 상기 제1요추모션프레임(242)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요추모션프레임(242)을 포함한 요추모션장치(240) 및 그와 연결된 요추패드(230)가 전체적으로 상기 요추가이드부(2100)를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요추패드(23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요추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요추패드(230)의 상하방향이동은 상기 요추가이드부(2100)의 길이에 따라 그 움직임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요추패드(230)는 상하방향으로 50 내지 55mm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모션은 개별 사용자의 허리 형태에 따라 상하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이동되거나 사용 중 사용자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의 신체구조를 갖거나 움직임이 있어도 사용자의 허리를 계속하여 지지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1)의 제2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요추지지대(200) 및 상기 요추가이드(210)를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추패드(230)는 전후방향, 즉, X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모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는 도 12에 비하여 상기 요추패드(230)가 후방방향, X축방향으로 일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2는 도 11에 비하여 상기 요추패드(230)가 전방방향, X축방향으로 타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제2모션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요추가이드레일(2104)에 상기 요추가이드결합부(2422)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요추가이드결합부(2422)는 상하방향이 아닌 타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요추가이드결합부(2422)가 형성된 제1요추모션프레임(242)은 전후방향으로 상기 요추가이드(210)에 고정된다. 이때, 상부로 노출된 상기 손잡이부(2442)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246)은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가이드돌기(2428)를 따라 상기 프레임가이드홈(2466)이 상대이동되며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246)이 상기 제1요추모션프레임(242)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246)은 상기 제1요추모션프레임(242)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246)과 연결된 상기 요추패드(230)가 전체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요추패드(23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요추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요추패드(230)의 전후방향이동은 상기 손잡이부(2442)의 회동에 따라 그 움직임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442)는 단계별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결합스프링(2400)이 압축되는 탄성운동을 통해 부드러운 동작이 가능하며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부(2442)는 4단계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요추패드(230)는 약10mm를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모션은 개별 사용자의 허리 형태에 따라 전후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손잡이부(2442)의 회동각도를 조정함에 따라 개별 사용자의 허리 형태에 맞추어 섬세한 위치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의 신체구조를 갖는 사용자의 허리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1)의 제3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요추지지대(200) 및 상기 요추가이드(210)를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추패드(23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는 제3모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에 비하여 상기 요추패드(230)의 상부가 전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제3모션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요추패드결합부(2304)와 상기 요추패드결합돌기(2464)는 서로 하나의 가상의 회전축을 형성하며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요추패드결합부(2304)는 서로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246)은 상기 요추패드결합부(2304)의 개구에 상기 요추패드결합돌기(2464)가 각각 삽입되도록 상기 요추패드결합부(2304)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나사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246)이 상기 요추패드(23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요추패드결합부(2304)와 상기 요추패드결합돌기(2464)는 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246) 및 그를 포함하는 요추모션장치(240)는 회전방향으로 고정됨에 따라, 상기 요추패드(230)는 상기 요추패드결합부(2304) 및 상기 요추패드결합돌기(2464)가 형성한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모션은 개별 사용자의 허리 형태에 따라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회동되거나 사용 중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의 신체구조를 갖거나 움직임이 있어도 사용자의 허리를 계속하여 지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1)의 제2요추모션프레임(246)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1)의 요추모션레버(244)의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246)은 상기 요추프레임개구(2462)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돌출된 레버돌기가이드부(24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돌기가이드부(2468)는 상기 제2모션프레임부(2460)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돌기가이드부(2468)는 상기 요추프레임개구(2462)가 중심에 위치하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돌기가이드부(2468)의 후단부는 경사면(2469)을 가진다. 상기 경사면(2469)는 상기 요추프레임개구(2462)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전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레버돌기가이드부(2468)의 일 측이 후방으로 가장 돌출되어 마련되고, 원주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전방으로 절단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돌기가이드부(2468)의 대략 우측부에 절반에 해당하는 부분에 상기 경사면(246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469)이 시작되는 상측은 상기 제2모션프레임부(2460)의 후면과 접하고, 상기 경사면(2469)이 끝나는 후측은 상기 제2모션프레임부(246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추모션레버(244)는 상기 레버바디부(2440)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레버돌기(24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돌기(2446)는 상기 손잡이부(2442)와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돌기(2446)의 전면은 경사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돌기(2446)는 상기 경사면(2469)과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레버돌기(2446)의 전면은 상기 경사면(2469)의 각도와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246)과 상기 요추모션레버(244)가 결합되면 상기 레버돌기(2446)는 상기 경사면(2469)의 일 측에 접한 상태로 배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레버돌기(2446)가 상기 경사면(2469)이 시작되는 상측에 접한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246)과 상기 요추모션레버(244)는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제1요추모션프레임(242)과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246)이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가이드돌기(2428)가 상기 프레임가이드홈(2466)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요추패드(230)가 가장 후방으로 배치된 상태에 해당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2442)를 파지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키면 상기 레버돌기(2446)도 소정의 각도로 회동된다. 그에 따라. 상기 레버돌기(2446)가 상기 경사면(2469)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246)이 전방으로 점점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레버돌기(2446)는 전후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경사면(2469)이 점점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레버돌기(2446)가 상기 경사면(2469)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246)은 상기 제1요추모션프레임(242)과 멀어지도록 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프레임가이드돌기(2428)가 상기 프레임가이드홈(2466)에서 점점 분리된다. 또한, 상기 요추패드(230)가 가장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모션 의자
22: 등판 프레임 24: 요추지지유닛
200: 요추지지대 210: 요추가이드
230: 요추패드 240: 요추모션장치
242: 제1요추모션프레임 246: 제2요추모션프레임
2104: 요추가이드레일

Claims (8)

  1. 등판 프레임 및 상기 등판 프레임에 결합되는 요추지지유닛을 포함하는 3D 모션 의자에 있어서,
    상기 요추지지유닛은,
    상기 등판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요추지지대;
    상기 요추지지대에 고정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요추가이드레일이 구비된 요추가이드;
    상기 요추가이드레일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요추모션프레임 및 상기 제1요추모션프레임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요추모션프레임을 포함하는 요추모션장치; 및
    상기 요추모션장치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요추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요추패드는 상하방향(Z축) 및 전후방향(X축)으로 이동가능하고, 좌우방향(Y축)으로 연장된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의 요추부분을 지지하되,
    상기 요추패드는 요추패드부 및 상기 요추패드부의 후방에 형성된 요추패드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추패드결합부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회전축을 형성하도록, 상기 요추모션장치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좌우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요추패드부는 상기 요추패드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션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 프레임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로 이격배치된 상부 프레임부와 하부 프레임부 및 상기 상부 프레임부와 상기 하부 프레임부를 연결하도록 전방으로 구부러져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추지지대는, 요추지지부 및 상기 요추지지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에 고정 결합되는 요추지지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추가이드는, 전면에 상기 요추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요추가이드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요추지지부와 상기 요추가이드부가 고정 결합되도록 상기 요추가이드부에 형성된 복수의 요추가이드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션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추모션장치는 상기 제1요추모션프레임과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요추모션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추모션레버는,
    상기 제1요추모션프레임에 결합되는 레버바디부;
    상기 레버바디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손잡이부;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과 탄성결합되는 레버돌출부; 및
    상기 레버바디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손잡이부와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레버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션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추모션프레임은, 제1모션프레임부, 상기 제1모션프레임부의 양 측에 형성된 요추가이드결합부 및 상기 제1모션프레임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요추레버결합부와 요추프레임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추가이드결합부는 상기 요추가이드레일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요추레버결합부의 내측에 상기 레버바디부가 삽입결합되고,
    상기 요추프레임결합부는 상기 요추레버결합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션 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은,
    상기 요추프레임결합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2모션프레임부;
    상기 제2모션프레임부에 중심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요추프레임개구;
    상기 제2모션프레임부의 양 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요추패드결합돌기; 및
    상기 요추프레임개구를 중심으로 상기 제2모션프레임부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레버돌기와 접하며 원주방향으로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한 레버돌기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과 상기 레버돌출부가 전후방향으로 탄성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요추프레임개구를 통해 상기 레버돌출부에 결합되는 결합스프링와 스프링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션 의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추모션프레임은, 상기 요추프레임결합부의 양 측으로 각각 돌출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요추모션프레임은, 상기 프레임가이드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모션프레임부의 양 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프레임가이드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요추모션레버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레버돌기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레버돌기가이드부가 전후방향으로 상대이동되며, 상기 프레임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프레임가이드돌기가 전후방향으로 상대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션 의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추패드는 요추패드부 및 상기 요추패드부의 후방에 형성된 좌우방향으로 이격배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개구를 갖는 한 쌍으로 구비된 요추패드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추패드결합돌기는 상기 요추패드결합부를 관통하여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요추패드결합돌기와 상기 요추패드결합부는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션 의자.
  8. 삭제
KR1020230082774A 2023-01-31 2023-06-27 3d 모션 의자 KR102616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30012398 2023-01-31
KR1020230012398 2023-01-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462B1 true KR102616462B1 (ko) 2023-12-21

Family

ID=89320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2774A KR102616462B1 (ko) 2023-01-31 2023-06-27 3d 모션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4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446A (ko) * 2007-07-20 2009-01-23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요추지지장치
KR101148032B1 (ko) * 2011-12-15 2012-05-24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요추 지지장치
KR101193404B1 (ko) * 2012-04-05 2012-10-24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가변 허리 받침대가 구비된 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446A (ko) * 2007-07-20 2009-01-23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요추지지장치
KR101148032B1 (ko) * 2011-12-15 2012-05-24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요추 지지장치
KR101193404B1 (ko) * 2012-04-05 2012-10-24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가변 허리 받침대가 구비된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1306B1 (en) Seats
EP2717742B1 (en) Forward sliding reclining chair
CA2798532C (en) Chair with seat depth adjustment and back support
US5411316A (en) Single piece chair shell
JP7427353B2 (ja) 背部支持体
CA2837141C (en) Lumbar support for a chair
KR102206733B1 (ko) 입체적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CN107183977B (zh) 一种坐具
KR200494753Y1 (ko) 등받이가 이동되는 소파
JP2006296960A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椅子
US11910932B2 (en) Motion chair
KR101300678B1 (ko) 의자용 슬라이드 틸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100772167B1 (ko)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
KR102616462B1 (ko) 3d 모션 의자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JP2000287783A (ja) 椅 子
KR102585464B1 (ko) 3d 모션 의자
KR102561429B1 (ko) 3d 모션 의자
KR100893156B1 (ko) 등받이가 이동되는 의자
KR102491240B1 (ko) 틸트기능을 갖는 의자
KR20160085115A (ko) 의자용 등받이
KR102545154B1 (ko) 3d 모션 의자
KR102290271B1 (ko)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JP6901096B1 (ja) 椅子用腰当て構造
KR102558131B1 (ko) 3d 모션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