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550Y1 -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550Y1
KR200450550Y1 KR2020080013569U KR20080013569U KR200450550Y1 KR 200450550 Y1 KR200450550 Y1 KR 200450550Y1 KR 2020080013569 U KR2020080013569 U KR 2020080013569U KR 20080013569 U KR20080013569 U KR 20080013569U KR 200450550 Y1 KR200450550 Y1 KR 2004505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liding table
pin
sleev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108U (ko
Inventor
김기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디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디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디즈
Priority to KR2020080013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55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1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1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5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5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47C1/03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adjustable rectilinearly in vertical direction
    • A47C1/03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adjustable rectilinearly in vertical direction by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47C1/03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adjustable rectilinearly in vertic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1Supports for the arms of adjustable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아암 프레임에 구비된 슬리이브(120)와, 아암 패드에 연결되어 상기 슬리이브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대(130)와, 상기 슬라이딩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조작하는 조작대(140)와, 상기 슬라이딩대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슬라이딩대와 슬리이브 사이에 결합된 스톱퍼(150)를 포함하되, 상기 슬리이브(120)에는 상기 스톱퍼(150)가 걸리도록 다수의 걸림부(121)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150)는 핀(160)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대(130)에 연결되며, 상기 조작대(140)는 상기 슬라이딩대(13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조작가능케 상기 슬라이딩대(130)에 끼워지는 한편 상기 핀(160)에 끼워지며, 상기 조작대(14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핀(160)을 매개로 상기 스톱퍼(150)를 작용시키도록 상기 조작대(140)에는 상기 핀(160)을 안내하는 안내부(141)가 형성되어 있다.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팔걸이의 높이조절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chair armrest}
본 고안은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팔걸이의 높이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에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양팔을 걸치도록 팔걸이가 좌판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팔걸이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 패드(2) 하측으로 지지대(3)가 연장되고, 상기 지지대(3)가 좌판의 저면측으로 절곡되어 브라켓(4)을 매개로 의자의 좌판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상기 지지대(3)의 상단에는 안착대(5)가 고정되어 상기 아암 패드(2)가 고정되며, 상기 안착대(5)의 하측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커버(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의자의 팔걸이는 높이조절이 불가능하여 사용자가 팔걸이에 팔을 지지할 때 불편함이 있다.
팔걸이의 높이가 낮으면 팔꿈치를 지지하기 위해 허리가 옆으로 휘어야 하는데 이는 허리의 측만증을 유발할 수 있고 바른 자세로 앉지 못하게 하며 기운 자세로 유도하게 된다. 또한 팔걸이의 높이가 높게 되면 팔꿈치가 위로 올라가고 어깨도 함께 올려져 어깨의 근육이 피로해지고 이로 인해 어깨와 연결된 목부분에 통증을 야기할 수 있다.
종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팔걸이가 제안되어 있으나, 높이 조절이 용이하지 못하고 조작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조작하기가 간편한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는, 아암 프레임에 구비된 슬리이브와, 아암 패드에 연결되어 상기 슬리이브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대와, 상기 슬라이딩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조작하는 조작대와, 상기 슬라이딩대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슬라이딩대와 슬리이브 사이에 결합된 스톱퍼를 포함하되, 상기 슬리이브에는 상기 스톱퍼가 걸 리도록 다수의 걸림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는 핀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대에 연결되며, 상기 조작대는 상기 슬라이딩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조작가능케 상기 슬라이딩대에 끼워지는 한편 상기 핀에 끼워지며, 상기 조작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핀을 매개로 상기 스톱퍼를 작용시키도록 상기 조작대에는 상기 핀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부는 조작대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으로 되어 있다.
상기 슬리이브의 하단에는 상기 슬라이딩대의 하강시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걸리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에 의하면, 팔걸이의 높이조절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의자 팔걸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아암 패드는 제거된 상태)이고,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의 사시도(아암 패드 및 아암 프레임이 제거된 상태)이며, 도4는 도3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아암 프레임(110)에 구비된 슬리이브(120)와, 도시하지 않은 아암 패드에 연결되어 상기 슬리이브(120)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대(130)와, 상기 슬라이딩대(1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조작하는 조작대(140)와, 상기 슬라이딩대(130)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슬라이 딩대(130)와 슬리이브(120) 사이에 결합된 스톱퍼(15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150)의 일단부는 핀(160)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대(130)에 연결되며, 상기 조작대(140)와 상기 슬라이딩대(130) 사이에는 상기 조작대(140)에 복원력을 가하는 복원수단(17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복원수단(170)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상기 아암 프레임(110)은 좌판의 저면측으로 절곡되어 도시하지 않은 브라켓을 매개로 의자의 좌판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리이브(120)가 아암 프레임과 별개의 부품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슬리이브(120)는 상기 아암 프레임(1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슬리이브(120)에는 상기 스톱퍼(150)가 걸리도록 구멍으로 된 다수의 걸림부(121)가 소정의 간격으로 상하방향으로 배열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리이브(120)의 하단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대(130)의 하강시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걸리는 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대(130)와 상기 조작대(140)는 상기 슬리이브(120) 내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조립된다. 상기 걸림부(121)는 턱이나 홈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딩대(130)에는, 그 상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아암 패드 및 앞뒤 위치조절장치가 연결되도록 플랜지(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간에는 상기 상기 조작대(140)가 수용되도록 수용공간부(S)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상기 돌기(122)에 걸리는 걸림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공간부(S)의 하측에는 상기 스톱퍼(150)가 끼워지는 구멍(133) 및 상기 핀(160)이 결합되는 구멍(1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대(140)는 상기 슬라이딩대(13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조작가능케 상기 슬라이딩대(130)의 수용공간부(S)에 끼워지는 한편 상기 핀(160)에 끼워진다. 상기 조작대(14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핀(160)을 매개로 상기 스톱퍼(150)를 작용시키도록 상기 조작대(140)의 하부에는 상기 핀(160)을 안내하는 안내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141)는 조작대(140)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으로 되어 있다. 상기 조작대(14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도록 손잡이(1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톱퍼(150)는 그 일단이 상기 구멍(133)에 끼워져 상기 핀(160)에 의해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걸림부(121)에 끼워지게 되어 있다.
상기 복원수단(170)은 코일 스프링으로 되어 있는데, 판 스프링등 다양한 수단으로 대치될 수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으로 된 상기 복원수단(170)은 상기 슬라이딩대(130)의 플랜지(131)의 저면과 상기 조작대(140)의 손잡이(142) 사이에 끼워져 상기 조작대(140)에 복원력을 가하게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의 작동을 도5에 따라 설명한다. 도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대(130)의 하단(걸림홈 : 132)이 슬리이브(120)의 돌기(122)에 걸리고, 스톱퍼(150)가 슬리이브(120)의 걸림부(121 :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팔걸이의 높이를 높이고자 할 경우에는 조작대(140)의 손잡이(142 : 도3에 도시)를 잡고 상측으로 당기면, 핀(160)이 안내부(141 : 경사 장공)를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여 도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톱퍼(150)가 걸림부(121)에서 빠지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대(1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수 있게 되므로, 도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대(130)를 상승시킨다.
다음에, 원하는 높이에서 조작대(140)의 손잡이를 놓으면 조작대(140)의 자중 및 복원수단(170)의 복원력에 의해 조작대(140)가 하강하면서 핀(160)이 상기 안내부(141 : 경사 장공)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여 도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톱퍼(150)가 걸림부(121)에 걸리게 되어 슬라이딩대(130)를 구속하여 팔걸이의 높이가 변한 상태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복원수단(170)이 없는 경우에는 손으로 조작대(140)를 하측으로 밀어 내릴 수도 있다.
상기 슬리이브(120)에 형성된 돌기(122)는 슬라이딩대(130)가 하강할 때 더 이상 하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도1은 종래 의자의 팔걸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의자 팔걸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의 사시도,
도4는 도3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의 작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아암 프레임 120 : 슬리이브
121 : 걸림부 122 : 돌기
130 : 슬라이딩대 140 : 조작대
141 : 안내부 150 : 스톱퍼
160 : 핀 170 : 복원수단

Claims (3)

  1. 아암 프레임에 구비된 슬리이브(120)와, 아암 패드에 연결되어 상기 슬리이브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대(130)와, 상기 슬라이딩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조작하는 조작대(140)와, 상기 슬라이딩대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슬라이딩대와 슬리이브 사이에 결합된 스톱퍼(150)를 포함하되,
    상기 슬리이브(120)에는 상기 스톱퍼(150)가 걸리도록 다수의 걸림부(121)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150)는 핀(160)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대(130)에 연결되며,
    상기 조작대(140)는 상기 슬라이딩대(13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조작가능케 상기 슬라이딩대(130)에 끼워지는 한편 상기 핀(160)에 끼워지며,
    상기 조작대(14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핀(160)을 매개로 상기 스톱퍼(150)를 작용시키도록 상기 조작대(140)에는 상기 핀(160)을 안내하는 안내부(14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141)는 조작대(140)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120)의 하단에는 상기 슬라이딩대(130)의 하강시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걸리는 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
KR2020080013569U 2008-10-10 2008-10-10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 KR2004505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569U KR200450550Y1 (ko) 2008-10-10 2008-10-10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569U KR200450550Y1 (ko) 2008-10-10 2008-10-10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108U KR20100004108U (ko) 2010-04-20
KR200450550Y1 true KR200450550Y1 (ko) 2010-10-11

Family

ID=44450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569U KR200450550Y1 (ko) 2008-10-10 2008-10-10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5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275Y1 (ko) 2012-08-22 2013-02-08 주식회사 리바트 높이 조절 팔걸이 구조
US9039087B2 (en) 2013-01-23 2015-05-26 Sidiz, Inc. Chair with integrated back plate cel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350058A (zh) * 2012-06-01 2013-12-16 Atec Internat Team Co Ltd 椅扶手高低調整結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7844U (ko) * 1989-09-19 1991-05-07
JPH0379506U (ko) * 1989-12-04 1991-08-14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7844U (ko) * 1989-09-19 1991-05-07
JPH0379506U (ko) * 1989-12-04 1991-08-14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275Y1 (ko) 2012-08-22 2013-02-08 주식회사 리바트 높이 조절 팔걸이 구조
US9039087B2 (en) 2013-01-23 2015-05-26 Sidiz, Inc. Chair with integrated back plate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108U (ko) 201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9376B2 (en)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ackrest of an office chair
KR101635485B1 (ko) 높이 및 각도 조절 가능한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
US9351575B2 (en) Armrest mechanism for a chair
KR101015416B1 (ko)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
KR200450550Y1 (ko)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
KR101104214B1 (ko) 의자의 등판높이 조절장치
KR20130045407A (ko) 의자 팔걸이 조정 장치
KR100738392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 장치
KR200437376Y1 (ko) 의자용 요추받이의 높낮이 조절구조
KR200348789Y1 (ko) 옷걸이를 구비한 바퀴형 의자
JP2017217064A (ja) 昇降棚
KR101547275B1 (ko) 의자용 팔걸이
KR200411915Y1 (ko) 의자용 팔걸이 높이 조절 장치
GB2507834A (en) A foldable high chair with a backrest reclining mechanism
KR101296612B1 (ko) 의자 등받이의 허리받침장치
KR20100066201A (ko)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JP5858487B2 (ja) 可搬便器
KR101235147B1 (ko) 의자 머리받침장치
AU2013101285A4 (en) Adjustable armrest assembly
KR20190054213A (ko) 레버를 이용한 이동식 의자 일체형 수납 책상
KR200422123Y1 (ko) 높이조절 머리 받침대를 구비한 의자
KR102377806B1 (ko) 등 스트레칭용 스트레칭 기구
KR101500100B1 (ko) 길이조절 의자
KR200379536Y1 (ko) 하체 운동기구의 의자 위치 조절장치
KR101802491B1 (ko)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