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392B1 -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392B1
KR100572392B1 KR1020050052379A KR20050052379A KR100572392B1 KR 100572392 B1 KR100572392 B1 KR 100572392B1 KR 1020050052379 A KR1020050052379 A KR 1020050052379A KR 20050052379 A KR20050052379 A KR 20050052379A KR 100572392 B1 KR100572392 B1 KR 100572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upper frame
height adjustment
height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9949A (ko
Inventor
백남준
Original Assignee
백남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남준 filed Critical 백남준
Priority to KR1020050052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2392B1/ko
Publication of KR20050079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 또는 걸상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높이 조절공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외측으로 끼워지며 일측에는 상기 높이 조절공과 연통되도록 제 1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공의 하측에는 높이 조절공 내경의 크기에 비해 큰 내경을 갖는 제 2관통공이 형성된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관통공과 연통되는 제 1안내공이 형성된 제 1안내부와 상기 제 2관통공과 연통되는 제 2안내공이 형성된 제 2안내부가 형성된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설치되며, 편심된 누름부가 형성된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에 따라 누름부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 1관통공을 통해 높이 조절공으로 삽입되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의 이동에 탄반력을 부여하기 위해 걸림편의 외면에 설치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수단; 그리고, 상기 제 2안내부에 설치되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부 프레임이 하부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었을때, 자중에 의한 상부 프레임의 하강을 차단하는 상부프레임 하강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책상,걸상,높낮이조절,고정,걸림,작동레버

Description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height adjust for desk and chair}
도 1은 종래의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가 책상에 적용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가 장착되는 상태를 일부만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에 의해 책상이 상향조절되는 상태를 부분 확대하여 나타낸 작용도.
*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고정브라켓 101 : 단턱
102 : 높이조절수단 102a : 걸림편
102b : 탄성부재 102c : 단부
102d : 회동축 102e : 작동레버
102f : 누름부 104 : 하강방지수단
104a : 간섭편 104b : 탄성부재
105 : 제 1안내부 106 : 제 2안내부
107 : 제 1안내공 108 : 제 2안내공
109 : 절개부 109a : 나사공
200 : 하부프레임 201 : 제 1관통공
202 : 제 2관통공 300 : 상부프레임
301 : 높이 조절공
본 발명은 책상 또는 걸상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의 일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지지되는 하부프레임(10)과, 이 하부프레임(10)의 상부에 승강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상부프레임(20)과, 하부프레임(10)의 내부와 연통되게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일측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수평관(30)을 구비한다.
상부프레임(20)에는 복수개의 결합공(2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관(30)의 내측으로 하부프레임(10)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공(21)에 걸리는 걸림봉(40)이 삽입 설치된다.
상기 걸림봉(40)은 결합공(21)의 외측면에 걸리는 걸림돌기(41)을 가지며 수평관(30)의 외부로 노출되는 타단으로 걸림봉(40)을 잡아당길 수 있는 손잡이(42)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봉(40)의 외주면에는 스프링(50)이 설치되어 걸림봉(40)이 상부프레임(20)의 결합공(21)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탄성력을 부여한 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조작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손잡이(42)를 잡아당기면 스프링(50)이 걸림돌기(41)에 의해 압축되면서 걸림봉(40)이 수평관(30)의 내부로 인입되며, 상부프레임(20)은 하부프레임(10) 내에서 승강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부프레임(20)의 결합공(21)과 걸림봉(40)이 수평상태로 일치되도록 상부프레임(20)을 조절하여 책걸상을 원하는 높이로 맞춘다.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책걸상이 셋팅되면, 사용자는 잡아당겼던 손잡이(42)를 놓는다. 이렇게 하면, 스프링(50)으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았던 걸림봉(40)이 전진하면서 걸림봉(40) 단부가 상부프레임(20)에 형성된 결합공(21)에 걸림으로써 상부프레임(20)의 승강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책걸상의 높낮이를 자신의 체형에 맞게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손잡이(42)를 수평방향으로 잡아 당겨야 하므로 큰 조작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걸림이 이루어지는 수평관(30)이 하부프레임(10)의 외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손상되기 쉽다.
또한,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사용자에 의해 걸림봉은 한시적으로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부터 탈거된 상태가 불가피하게 되는데, 이때, 상부프레 임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원하고자 하는 책걸상의 높낮이를 맞추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부프레임을 잡아줘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책걸상이 편리하게 높낮이가 조절되고, 높낮이 조절시, 상부프레임의 자중에 의한 하강이 방지되는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높이 조절공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외측으로 끼워지며 일측에는 상기 높이 조절공과 연통되도록 제 1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공의 하측에는 높이 조절공 내경의 크기에 비해 큰 내경을 갖는 제 2관통공이 형성된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관통공과 연통되는 제 1안내공이 형성된 제 1안내부와 상기 제 2관통공과 연통되는 제 2안내공이 형성된 제 2안내부가 형성된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설치되며, 편심된 누름부가 형성된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에 따라 누름부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 1관통공을 통해 높이 조절공으로 삽입되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의 이동에 탄반력을 부여하기 위해 걸림편의 외면에 설치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수단; 그리고, 상기 제 2안내부에 설치되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부 프레임이 하부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었을때, 자중에 의한 상부 프레임의 하강을 차단하는 상부프레임 하강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책걸상용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책상 또는 걸상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책상에 적용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한다.
본 발명의 책걸상용 높이조절 장치는, 책걸상의 다리 상부를 이루는 상부프레임(300)과,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외측으로 끼워져 책걸상의 다리 하부를 이루는 하부 프레임(200)과,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외측에 고정되며 고정브라켓(100)과,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제 1안내부(105)에 설치되어 책걸상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102)과,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제 2안내부(106)에 설치되어 상부프레임(300)이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는 것을 차단하는 하강방지수단(1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프레임(300)은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다수의 높이 조절공(301)이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균일하게 형성되며, 상측으로는 책걸상의 일측에 고정되고 하측으로는 하부프레임(200)의 상부로 삽입된다.
또한, 하부프레임(200)은 상부프레임(300)의 외측으로 끼워지고 일측에는 상기 높이 조절공(301)과 연통되는 한 쌍의 관통공(201,202)이 형성되며, 하부프레임(200)의 외측에는 상기 관통공(201,202)과 연통되는 제 1안내부(105)와 제 2안내부(106)가 형성된 고정 브라켓(10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은 제 1안내부(105)와 연통되는 제 1관통공(201)과 제 2안내부(106)와 연통되는 제 2관통공(202)으로 구분된다.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관통공(202) 내경의 크기는 상기 높이 조절공(301) 내경의 크기에 비해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 2관통공(202)과 높이 조절공(301)의 위치가 일치되어 서로 연통되었을 때, 상기 상부 프레임(300)의 외면 중 높이 조절공(301)측과 상기 하부 프레임(200)의 내면 중 제 2관통공(202)측 사이에 단차가 발생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후술하는 간섭편의 만곡 선단부가 상부 프레임(300)의 외면 중 높이 조절공(301)측에 걸려 높이 조절공(301)으로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100)은 상기 하부프레임(200)과 상부프레임(300)을 견고히 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작동레버(102e)가 설치된 부분의 타측에, 중간부에서 하측으로 양분되어 절개되고, 상기 절개된 양면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공(109)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수단(102)은 높이 조절공(301)측으로 출입 가능 하도록 제 1안내부(105)에 삽입된 걸림편(102a)과, 일측은 제 1안내부(105)의 내측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걸림편(102a)에 지지되어 걸림편(102a)이 높이 조절공(301)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탄반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102b)와, 상기 걸림편(102a)의 단부(102c)와 접촉되도록 고정브라켓(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정도에 따라 걸림편의 미는 정도를 달리하면서 상기 걸림편을 선택적으로 높이 조절공으로 출입시키는 작동레버(102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레버(102e)는 작동레버(102e)의 회동에 따라 걸림편(102a)과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작동레버(102e)의 회동축(102d)에 대하여 상,하로 편심되게 형성된 반원형의 누름부(102f)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강방지수단(104)은 제 2안내부(106)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부 프레임(300)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할 경우 높이 조절공(301)으로부터 미끄러지면서 자력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높이 조절공(301) 내측에 지지되는 만곡 선단을 갖는 간섭편(104a)과, 제 2안내부(106)의 입구에 끼워져 간섭편(104a)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캡(104c)과, 상기 이탈 방지캡(104c)과 간섭편(104a) 사이에 설치되어 간섭편(104a)이 높이 조절공(301)의 내측에 지지되도 록 탄반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10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단에, 고정브라켓(1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두께와 동일한 폭을 갖는 단턱(10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하부프레임(200)의 외측으로 고정브라켓(100)이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고정브라켓(100)은 절개부(109)에 의해 하부프레임(200)의 외측에 용이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형성된 단턱(101)이 하부프레임(200)의 선단에 걸려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제 2안내부(106)에 구비된 간섭편(104a)은 탄성부재(104b)의 탄성력에 의해서 하부프레임(200)의 제 2관통공(202)에 결합된다.
다음으로, 책상의 일측에 고정된 상부프레임(300)은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내부를 거쳐 하부프레임(20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상부 프레임(300)이 상기 높이 조절공(301)과 상기 제 2관통공(202)이 서로 연통되는 위치까지 삽입되었을때, 상기 높이 조절공(301)의 내주면은 상기 간섭편(104a)의 만곡진 선단에 지지된다.
이로써, 상기 상부프레임(300)은 이 간섭편(104a)에 걸리면서 자중에 의한 하강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높이 조절공(301)과 제 2관통공(202)은 서로 다른 크기의 내경으로 인해 서로가 연통되는 위치에 있을 때, 상부 프레임(300)의 외면 중 높이 조절공(301)측과 하부 프레임(200)의 내면 중 제 2관통공(202)측 사이에 단차가 발생된다.
이에따라, 상기 간섭편(104a)의 선단부가 높이 조절공(301)의 내주면에 걸리면서 간섭편(104a)은 상기 높이 조절공(301)으로 과도하게 삽입되지는 않게 된다.
만약, 높이 조절공(301) 내경의 크기와 제 2 관통공(202) 내경의 크기가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간섭편(104a)이 과도하게 높이 조절공(301)으로 삽입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의 경우, 상부 프레임(300)이 하부 프레임(200) 내부에서 상,하 이동될 때, 상기 높이 조절공(301)의 내주면이 상기 간섭편(104a)의 선단이 아닌 외주면에 걸리면서 상기 상부 프레임(300)의 상,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물론, 간섭편(104a)이 높이 조절공(301)으로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간섭편(104a)의 후단부가 상기 제 2안내공(108)측에 형성된 단턱에 걸리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지만, 상기 간섭편(104a)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상기 간섭편(104a)의 후단부가 상기 단턱에 걸리더라도 높이 조절공(301)에 간섭편(104a)이 자연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간섭편(104a)의 제작시에 길이를 고려해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작동레버(102e)를 아래로 회동시키면, 걸림편(102a)이 상기 누름부(102f)에 의해 하부프레임(200)의 제 1관통공(201)을 통해 상부프레임(300)의 높이 조절공(301)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상부프레임(300)은 하부프레임(200)에 결합된다.
그리고, 고정브라켓(100)의 일측에 양분된 절개부(109)의 나사공(109a)에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하부프레임(200)과 상부프레임(300)은 더욱 밀착되고, 본 발명의 따른 책걸상용 높이조절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하, 첨부된 도 4a 내지 도 4d를 통해,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a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이 되기전의 상태로서, 앞서 설명한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의 조립된 상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 도 4b는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걸림편(102a)이 높이 조절공(301)으로부터 인출되어 걸림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상부프레임(300)을 승강시키도록, 작동레버(102e)를 위로 회전시켜 높이 조절공(301)으로부터 삽입된 걸림편(102a)을 인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작동레버(102e)는 누름부(102f)가 회동축(102d)으로부터 편심되어 있으므로, 회동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누름부(102f)가 걸림편(102a)의 단부(102c)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걸림편(102a)은 탄성부재(102b)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높이 조절공(301)으로부터 탈거된다.
즉, 작동레버(103)가 위로 회전 되었을 때, 걸림편(102a)의 단부(102c)에 접촉된 누름부(102f)와 작동레버(102e)의 회동축(102d) 사이의 거리는 최소가 되고, 상기 작동레버(102e)가 아래로 회전 되었을 때, 상기 회동축(102d)과 걸림편(102a)의 단부(102c)와 접촉된 누름부(102f) 사이의 거리는 최대가 된다.
상기 걸림편(102a)은 작동레버(102e)의 회동에 의해 발생되는 걸림편(102a) 단부(102c)와 누름부(102f)와의 거리차 만큼 후방으로 밀려 나면서 상부프레임(300)으로부터 탈거된다.
이때, 상기 걸림편(102a)이 상부프레임(300)으로부터 탈거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상부프레임(300)의 자중에 의한 하강은 높이 조절공(301)이 간섭편(104a)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부프레임(300)의 하강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편, 도 4c는 걸림편(102a)이 작동레버(102e)에 의해 높이조절공(301)으로부터 탈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 상태에서, 상부프레임(300)에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게 되면, 상부프레임(300)의 높이조절공(301)을 지지하던 간섭편(102a)의 만곡 선단부가,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높이조절공(301)으로부터 미끄러지면서 자력으로 후방 이동된다. 이때, 간섭편(104a)을 후방에서 지지하던 탄성부재(104b)는 압축된다. 이 상태가 되면, 상부프레임(300)의 승강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며 책상을 원활하게 들고 내려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부프레임(300)에 일정 이상의 힘을 지속적으로 가할 경우, 간섭편(104a)은 만곡 선단부에 의해 상부프레임(300)이 미끄러지면서 높이 조절공(301)은 순차적으로 간섭편(104a)에 지지되어 책상의 높이가 다단으로 조절되고,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서 상부프레임(300)으로 가하는 힘을 멈추므로써 손쉽게 책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4 d는 책상이 상향으로 높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간섭편(104a)은 탄성부재(104b)의 복원력에 의해, 높이 조절공(301)으로 간섭편 (104a)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부프레임(300)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작동레버(102e)를 하향으로 회전시키면, 누름부(102f)가 걸림편(102a)의 단부(102c)를 밀면서 높이 조절공(301)으로 삽입되면서 책상의 높이가 상향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 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에 의하면, 높이조절수단과 하강방지수단이 장착된 고정브라켓을 하부프레임의 상단에 안착시키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주면을 통해 상부프레임이 삽입되어 높이조절수단의 작동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기 상부프레임에 형성된 높이 조절공에 선택적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손잡이를 잡아당겨 작동시키는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큰 조작력이 요구되지 않아 간편하게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걸림수단이 책걸상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외력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고 통행중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한시적으로 걸림편이 상부프레임의 높이 조절공으로부터 해제가 되어도 상부프레임이 자중에 의해 하강되지 않도록 하강방지수단이 구비됨으로써, 편리하게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을 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에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함으로써, 하강방지수단의 걸림편에 의해 상부프레임의 높이조절공이 순차적으로 지지되면서 책상높이의 다단조절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브라켓의 일측이 양분되어 절개되고 절개된 면에 나사공을 형성하여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브라켓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외주면을 더욱 밀착시킬 수 있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Claims (2)

  1. 높이 조절공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외측으로 끼워지며 일측에는 상기 높이 조절공과 연통되도록 제 1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공의 하측에는 높이 조절공 내경의 크기에 비해 큰 내경을 갖는 제 2관통공이 형성된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관통공과 연통되는 제 1안내공이 형성된 제 1안내부와 상기 제 2관통공과 연통되는 제 2안내공이 형성된 제 2안내부가 형성된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설치되며, 편심된 누름부가 형성된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에 따라 누름부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 1관통공을 통해 높이 조절공으로 삽입되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의 이동에 탄반력을 부여하기 위해 걸림편의 외면에 설치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수단; 그리고,
    상기 제 2안내부에 설치되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부 프레임이 하부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었을때, 자중에 의한 상부 프레임의 하강을 차단하는 상부프레임 하강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 하강방지수단은,
    제 2안내부에 설치되며, 선단이 만곡지게 형성되면서 제 2안내공 및 제 2관통공 사이를 왕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간섭편;
    상기 제 2안내공의 반대편에 끼워지며 상기 간섭편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캡과,
    상기 이탈 방지캡과 간섭편 사이에 개재되어 간섭편이 높이 조절공의 내주면을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탄반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050052379A 2005-06-17 2005-06-17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KR100572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379A KR100572392B1 (ko) 2005-06-17 2005-06-17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379A KR100572392B1 (ko) 2005-06-17 2005-06-17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949A KR20050079949A (ko) 2005-08-11
KR100572392B1 true KR100572392B1 (ko) 2006-04-24

Family

ID=37266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379A KR100572392B1 (ko) 2005-06-17 2005-06-17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23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507B1 (ko) 2006-05-19 2007-01-09 주식회사 한성교구 높이 조절장치
KR101588022B1 (ko) * 2015-04-28 2016-01-26 (주)제이와이 책걸상의 승강조절시스템을 이용한 승강조절방법
KR102210396B1 (ko) * 2019-10-16 2021-02-01 유한플라텍(주)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102425428B1 (ko) 2022-05-06 2022-07-27 서우산업 주식회사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441B1 (ko) * 2007-02-08 2008-11-06 주식회사 뉴맥스채널 다림질대
KR101413875B1 (ko) * 2012-12-03 2014-06-30 천요성 공부 집중을 유도할 수 있는 책상
KR101691382B1 (ko) * 2016-02-01 2016-12-30 이현용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101970736B1 (ko) * 2017-05-31 2019-04-23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의자
KR102162864B1 (ko) * 2020-04-29 2020-10-07 영남강철 주식회사 학생용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102303511B1 (ko) * 2021-07-27 2021-09-17 선진공업주식회사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102637329B1 (ko) * 2023-12-28 2024-02-20 (주)캠퍼스라인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507B1 (ko) 2006-05-19 2007-01-09 주식회사 한성교구 높이 조절장치
KR101588022B1 (ko) * 2015-04-28 2016-01-26 (주)제이와이 책걸상의 승강조절시스템을 이용한 승강조절방법
KR102210396B1 (ko) * 2019-10-16 2021-02-01 유한플라텍(주)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102425428B1 (ko) 2022-05-06 2022-07-27 서우산업 주식회사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949A (ko) 200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2392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KR20080094363A (ko) 선반의 높이 조절 구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RU2506873C2 (ru) Складной высокий стул со столиком
US6163906A (en) Load supporting apparatus for a person
KR10186729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옷걸이봉 조립체
KR102246019B1 (ko)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KR20100045008A (ko)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KR200348789Y1 (ko) 옷걸이를 구비한 바퀴형 의자
KR20110039102A (ko) 의자의 등판높이 조절장치
KR101788613B1 (ko)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EP2390447B1 (en) Bracket with front coupling for carriages of sliding wings or doors
KR101008888B1 (ko)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019834B1 (ko) 책·걸상의 높이 조절장치
KR101282481B1 (ko) 의자의 등받이 높낮이 조절 구조
KR200411915Y1 (ko) 의자용 팔걸이 높이 조절 장치
KR100821965B1 (ko) 세면대 승강장치
JP5858487B2 (ja) 可搬便器
KR100721128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KR200253642Y1 (ko) 조립식책상의높낮이조절장치
KR200381980Y1 (ko) 책걸상용 높낮이조절장치
KR200312551Y1 (ko) 옷걸이용 포스트
KR20230118271A (ko)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KR200369699Y1 (ko) 책상 상판의 틸팅 장치
JP4279643B2 (ja)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JPS5920126Y2 (ja) 座席のサイサポ−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