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965B1 - 세면대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세면대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965B1
KR100821965B1 KR1020070015171A KR20070015171A KR100821965B1 KR 100821965 B1 KR100821965 B1 KR 100821965B1 KR 1020070015171 A KR1020070015171 A KR 1020070015171A KR 20070015171 A KR20070015171 A KR 20070015171A KR 100821965 B1 KR100821965 B1 KR 100821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frame
lever
lifting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화
Original Assignee
박진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화 filed Critical 박진화
Priority to KR1020070015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 E03C1/32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connected to the wall only
    • E03C1/324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connected to the wall only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A47K1/05Holding devices for basins or ju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가 안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후면에 부착되며 상, 하로 이동하는 승강 레일과, 상기 승강 레일의 상, 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단에 안치되며 태엽형태로 끝단부는 상기 승강 레일의 후면부에 부착 고정되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면대의 상단에는 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레버의 하단에는 연결봉이 끼워지며, 상기 레버의 동작에 작동하여 상기 승강장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전면 하단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핀으로 체결되고, 상기 핀을 축으로 회동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레버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을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턱에 걸려지게 하는 편심캠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고정부재 각각의 양끝단에 걸려지며, 상기 고정부재의 끝단을 당겨서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을 상기 걸림턱에서 떨어지게 하는 스프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세면대, 승강, 스토퍼

Description

세면대 승강장치{Device for lifting a wash stand}
도 1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세면대 승강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인 세면대 승강장치를 측면에서 절개하여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세면대 승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세면대 승강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인 세면대 승강장치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세면대 승강장치 12: 가이드 프레임
16: 승강 레일 18: 판 스프링
28: 걸림턱 30: 세면대
40: 고정부재 42: 편심캠
44: 스프링
본 발명은 세면대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승강 레일의 후면부에 태엽형식의 판 스프링의 끝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승강 레일의 정면부에는 세면대의 고정대를 형성하여 세면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세면대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안 및 양치를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세면대는 욕실의 벽면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처럼 상기 세면대가 욕실의 벽면에 고정부착되었을 때, 일반 성인들은 상기 세면대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아무런 불편함이 없었으나, 키가 작은 어린아이들 또는 신체적 제약을 받는 사람들이 상기 세면대를 사용하기에는 높이가 맞지 않아 상기 세면대를 사용함에 있어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출원번호 제 20-1987-0011146 호(이하, "선행기술" 이라 칭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모우터를 이용하여 세면대를 승강조절케한 것에 있어서, 세면대를 전면에 착설한 후레임플레이트의 이면 상, 하향측에 부착시킨 브라켓트의 가이드휠을 양지지레일에 접동자재하게 삽설하고, 양 지지레일 상측에 모우터와 감속기를 설치하여 감속기축에 축착한 구동베벨기어를 상측 브라켓트에 유착된 작동스프로켓축 일단에 축설한 작동 베벨기어에 교합시키며, 작동스프로켓에 궤설한 체인의 일단은 후레임플레이트이면에 부착된 지지판의 연결구에 연결하고 타단에는 웨이트밸런스를 연결, 현수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키가 작은 사용자가 세면대를 사용함에 있어서 발 생하는 문제점은 해소하였으나 물의 사용이 많고 습기가 많이 차는 욕실에서 상기와 같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세면대를 설치하였을 경우 감전의 위험이 있고, 심할 경우에는 화재로 번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세면대의 높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세면대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전이나 화재의 위험성이 없이 어린아이들이나 신체적 제약을 받는 사람들이 사용하기 편하도록 하는 세면대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세면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세면대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가 안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후면에 부착되며 상, 하로 이동하는 승강 레일과, 상기 승강 레일의 상, 하 이동을 가이드 하며 측면에 걸림턱이 부착된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단에 안치되며 태엽형태로 말려진 상태에서 끝단부는 상기 승강 레일의 후면부에 부착 고정되어, 상기 승강 레일을 지탱하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면대의 상단에는 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레버의 하단에는 연결봉이 끼워지며, 상기 레버의 동작에 작동하여 상기 승강장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 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전면 하단부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핀으로 체결되고, 상기 핀을 축으로 회동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연결봉의 끝단에 고정되고, 상기 레버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을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턱에 걸려지게 하는 편심캠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고정부재 각각의 양끝단에 걸려지며, 상기 고정부재의 끝단을 당겨서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을 상기 걸림턱에서 떨어지게 하는 스프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도시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인 세면대 승강장치(10)는 가이드 프레임(12)을 가진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12)은 후술할 승강 레일(16)이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해주게 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12)은 내부가 비어있으며 정면은 개구부 형태의 모양으로 제작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12)은 두개가 서로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두개의 가이드 프레임(12)들은 연결부재인 연결판(14)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판(14)은 상기 각각의 가이드 프레임(1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두개의 가이드 프레임(12)들을 연결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12)의 내부에는 받침대(24)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걸림턱(28)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8)의 전면에는 톱니 모양의 돌기가 형성되어 후술할 스토퍼(50)와 맞닿아 상기 승강장치(10)를 멈추게 된다. 상기 받침대(24)의 상단에는 후술할 판 스프링(18)이 안치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프레임(12)의 비어있는 내부에는 승강 레일(16)이 삽입된다. 상기 승강 레일(16)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12)의 내부에 삽입된 채 상,하로 움직임을 가지게 되며, 상기 승강 레일(16)이 상,하로 움직임을 가짐으로 인해서 세면대(3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 레일(16)의 정면 상단에는 받침대(20)가 설치된다. 상기 받침대(20)의 상단부에는 세면대(30)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대(20)가 상,하로 이동되는 상기 승강 레일(16)의 정면부에 설치됨으로 인해서 상기 받침대(20) 역시 상,하 이동이 가능해지고 상기 받침대(20)가 상,하 이동이 가능해짐으로서 상기 받침대(2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세면대(30) 또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시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프레임(12)의 내부에 형성된 받침대(24)의 상단에는 태엽형태로 감겨져 있는 판 스프링(18)이 안치된다. 상기 판 스프링(18)은 상기 받침대(24)에 안치된 채, 끝단부가 상기 승강 레일(16)의 후면부에 부착되고 상기 승강 레일(16)이 하강할 시에는 상기 태엽 형태로 감겨 있는 판 스프링(18)이 풀리게 되며, 상기 승강 레일(16)이 상승할 시에는 상기 판 스프링(18)은 원상태로 감기게 된다.
이때, 상기 세면대(30)와 상기 받침대(20)를 포함한 상태의 승강 레일(16)의 하중과 상기 판 스프링(18)의 텐션력과 동일하여, 상기 승강 레일(16)은 같은 위치를 고수하게 되며, 상기 판 스프링(18)이 가지는 텐션력보다 더 큰 하중을 가해주면 상기 승강 레일(16)이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즉, 상기 세면대(30)를 누르거나 들어 올려서 하중을 더하게 되면 상기 세면대(30)와 상기 받침대(20)를 포함한 승 강 레일(16)은 상기 판 스프링(18)의 텐션력보다 더 큰 하중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 레일(16)은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세면대(30)를 누르거나 들어올림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하중을 해지하게 되면 상기 세면대(30)와 상기 받침대(20)를 포함한 승강 레일(16)의 하중은 상기 판 스프링(18)의 텐션력과 동일해짐으로서 하중을 해지한 그 위치를 고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세면대(30)의 상단에는 레버(34)가 구비된다. 상기 레버(34)는 상기 받침대(20)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부(22)에 의해 고정된 연결봉(26)의 선단에 끼워지며, 상기 레버(34)의 돌림 동작에 작동하는 스토퍼(50)에 의해서 상기 승강장치(1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레일(16)의 전면 하단부에는 프레임(36)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36)에는 고정부재(40)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36)과 상기 고정부재(40)는 키(38)에 의해서 결합 된다.
상기 고정부재(40)의 선단("S")의 전면은 상기 걸림턱(28)과 동일하게 톱니 모양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40)가 상기 걸림턱(28)과 맞닿게 되면 상기 승강레일(16)이 멈추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0)의 끝단과 상기 프레임(36)의 끝단은 서로 스프링(40)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프레임(36)과 고정부재(40)가 서로 스프링(4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40)의 늘어나고 복원되는 힘에 의해서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키(38)를 축으로 전,후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봉(26)의 끝단에는 편심캠(42)이 고정된다. 상기 편심캠(42) 은 상기 연결봉(26)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편심캠(42)이 회전함으로서 상기 고정부재(40)의 선단("S")이 상기 걸림턱(28)과 접지 및 해지를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구성들로 이루어진 세면대 승강장치(10)의 작용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받침대(20)의 상단에 구비된 세면대(30)를 잡고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받침대(20)가 하강을 하게 되고, 상기 받침대(20)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받침대(20)의 후면부에 설치된 승강 레일(16)이 하강하게 된다. 이후, 상기 승강 레일(16)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승강 레일(16)의 후면부에 끝단부가 부착되어 있는 판 스프링(18)이 하강을 하게 된다. 상기 판 스프링(18)의 끝단부가 상기 승강 레일(16)과 하강을 하게 되면, 받침대(24)의 상단에 안치되어 있는 태엽형태로 감겨 있는 상기 판 스프링(18)은 풀리게 되고 이로 인해서 마찰이 없이 상기 세면대(3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세면대(30)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만큼 내려갔을 때, 상기 판 스프링(18)이 감기지 않는 이유는 상기 세면대(30)와 상기 받침대(20)를 포함한 상태의 승강 레일(16)의 하중과 상기 판 스프링(18)의 텐션력과 동일하여, 상기 승강 레일(16)은 같은 위치를 고수하게 되며, 상기 판 스프링(18)이 가지는 텐션력보다 더 큰 하중을 가해주면 상기 승강 레일(16)이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즉, 상기 세면대(30)를 눌러서 하중을 더하게 되면 상기 세면대(30)와 상기 받침대(20)를 포함한 승강 레일(16)은 상기 판 스프링(18)의 텐션력보다 더 큰 하중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 레일(16)은 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 다. 이후, 상기 세면대(30)에 물을 받게 되면 상기 판 스프링(18)의 텐션력보다 더 큰 하중이 발생하여 상기 세면대(30)가 내려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세면대(30)의 상단에 구비된 레버(34)를 돌려주게 되면, 상기 레버(34)와 연결된 연결봉(26)이 돌아가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봉(26)의 끝단에 고정된 편심캠(42)이 돌아가면서 상기 편심캠(42)이 상기 고정부재(40)의 일측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고정부재(40)는 키(38)를 축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후, 상기 고정부재(40)가 움직이면서 상기 고정부재(40)의 선단("S")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12)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턱(28)과 접지되어 고정됨으로서 상기 세면대(30)는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를 고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40)와 프레임(36)의 각각의 끝단에 연결된 스프링(44)은 늘어나게 된다. 이후, 상기 세면대(30)의 위치를 높이고자 할 때에는 상기 레버(34)를 돌리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40)의 일측을 지지하던 편심캠(42)이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부재(40)의 지지를 해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36)과 상기 고정부재(40)의 양끝단에 연결된 상기 스프링(44)의 원래대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키(38)를 축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걸림턱(28)과의 접지가 해지된다. 이후, 상기 세면대(30)를 잡고 위로 올려주게 되면 상기 판 스프링(18)이 감겨 올라가고 이에 따라 상기 판 스프링(18)의 끝단부가 부착된 상기 승강 레일(16) 또한 상승하게 되고, 상기 승강 레일(16)의 정면부에 형성된 받침대(20)와 상기 받침대(20)의 상단에 구비된 세면대(30) 역시 상승하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태엽형태의 판 스프링과 상,하 이동이 가능한 승강 레일에 받침대를 사용하여 세면대를 구비함으로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전과 화재의 위험이 없고 어린아이들 또는 신체적 제약을 받는 사람들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세면대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Claims (2)

  1. 세면대(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세면대 승강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30)가 안치되는 받침대(20)와,
    상기 받침대(20)의 후면에 부착되며 상, 하로 이동하는 승강 레일(16)과,
    상기 승강 레일(16)의 상, 하 이동을 가이드 하며 측면에 걸림턱(28)이 부착된 가이드 프레임(12)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12)의 상단에 안치되며 태엽형태로 말려진 상태에서 끝단부는 상기 승강 레일(16)의 후면부에 부착 고정되어, 상기 승강 레일(16)을 지탱하는 판 스프링(18)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면대(30)의 상단에는 레버(34)가 구비되며,
    상기 레버(34)의 하단에는 연결봉(26)이 끼워지며,
    상기 레버(34)의 동작에 작동하여 상기 승강장치(10)를 고정시키는 스토퍼(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승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12)의 전면 하단부에 설치되는 프레임(36)과,
    상기 프레임(36)의 일측에 핀(38)으로 체결되고, 상기 핀(38)을 축으로 회동하는 고정부재(40)와,
    상기 연결봉(26)의 끝단에 고정되고, 상기 레버(34)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고정부재(40)의 선단("S")을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턱(28)에 걸려지게 하는 편심캠(42) 및;
    상기 프레임(36)과 상기 고정부재(40) 각각의 양끝단에 걸려지며, 상기 고정부재(40)의 끝단을 당겨서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부재(40)의 선단("S")을 상기 걸림턱(28)에서 떨어지게 하는 스프링(44)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승강장치.
KR1020070015171A 2007-02-14 2007-02-14 세면대 승강장치 KR100821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171A KR100821965B1 (ko) 2007-02-14 2007-02-14 세면대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171A KR100821965B1 (ko) 2007-02-14 2007-02-14 세면대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1965B1 true KR100821965B1 (ko) 2008-04-15

Family

ID=39534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171A KR100821965B1 (ko) 2007-02-14 2007-02-14 세면대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19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2008864U1 (de) * 2012-09-17 2013-12-18 Viega Gmbh & Co. Kg Tragvorrichtung für einen Sanitärkörper
CN107366336A (zh) * 2017-07-31 2017-11-21 合肥隆延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洗漱盆
CN112050004A (zh) * 2020-09-11 2020-12-08 广东省技师学院 一种水龙头强力连接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2477U (ko) 1985-12-20 1987-06-30
KR900006395Y1 (ko) * 1987-07-08 1990-07-20 유경준 세면대의 높이 조절장치
KR0129021B1 (ko) * 1994-02-04 1998-04-10 김건한 세면대의 높이조절 승강장치
JP3049025U (ja) * 1997-11-19 1998-05-29 株式会社キーアンドクラフト 昇降式洗面台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2477U (ko) 1985-12-20 1987-06-30
KR900006395Y1 (ko) * 1987-07-08 1990-07-20 유경준 세면대의 높이 조절장치
KR0129021B1 (ko) * 1994-02-04 1998-04-10 김건한 세면대의 높이조절 승강장치
JP3049025U (ja) * 1997-11-19 1998-05-29 株式会社キーアンドクラフト 昇降式洗面台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2008864U1 (de) * 2012-09-17 2013-12-18 Viega Gmbh & Co. Kg Tragvorrichtung für einen Sanitärkörper
CN107366336A (zh) * 2017-07-31 2017-11-21 合肥隆延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洗漱盆
CN107366336B (zh) * 2017-07-31 2020-06-19 南京白下高新技术产业园区投资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洗漱盆
CN112050004A (zh) * 2020-09-11 2020-12-08 广东省技师学院 一种水龙头强力连接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2392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KR100821965B1 (ko) 세면대 승강장치
JP7074770B2 (ja) 天井患者リフトシステムのための受入モジュール
KR101301874B1 (ko) 암레스트를 구비한 양변기
KR20110039102A (ko) 의자의 등판높이 조절장치
KR200263529Y1 (ko) 높낮이 조절 세면대
US7316037B2 (en) Seat lifter
US3933329A (en) Support apparatus for a portable shower head
JP2020040808A (ja) 荷物保持用のハンド部
JP2010037921A (ja) 引戸の開閉装置
JP2008073325A (ja) 昇降洗面化粧台
KR101496969B1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101154263B1 (ko) 트럭용 범퍼 스텝
JP2001173343A (ja)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装置
JP3164472U (ja) 入浴補助装置
KR101024492B1 (ko) 휠체어의 등받이 승강장치
KR101041621B1 (ko) 슬림형 기립 보조 의자 장치
CN216724341U (zh) 一种老年护理淋浴椅
KR101281948B1 (ko) 절수형 수세식 변기
JP3803802B2 (ja) シャッター引下装置
CN208822603U (zh) 升降可调节的浴室柜
JP6193632B2 (ja) 入浴装置
CN216918524U (zh) 一种电力施工用吊架
US6567995B1 (en) Toilet seat lifting and lowering device
JP6962238B2 (ja) 入浴介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