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613B1 -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613B1
KR101788613B1 KR1020170066238A KR20170066238A KR101788613B1 KR 101788613 B1 KR101788613 B1 KR 101788613B1 KR 1020170066238 A KR1020170066238 A KR 1020170066238A KR 20170066238 A KR20170066238 A KR 20170066238A KR 101788613 B1 KR101788613 B1 KR 101788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urniture
block
support memb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맥스
Priority to KR1020170066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50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구장에 연결되는 하우징, 하우징에 축 방향으로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가구장이 설정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며 가구장의 넘어짐을 방지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의 축 방향 이동시의 마찰 저항을 줄이기 위해 하우징이 축 방향을 따라 절개되도록 형성되는 절개부, 및 하우징에 삽입된 초기 상태의 지지부재가 기울어지는 가구장에 연동되어 하우징으로부터 인출 작동을 유도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가구장이 설정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질 경우, 가구장이 더 이상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넘어짐에 따른 가구장의 파손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구용 전도방지장치{ANTI-UPSIDE DOWN DEVICE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도방지장치를 가구장의 하측에 결합함으로써 가구장의 다리 역할을 함에 따라 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고, 가구장이 설정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질 경우 가구장이 더 이상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넘어짐에 따른 가구장의 파손 및 안전사고를 예방하고자 하는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실내에 일정높이를 갖도록 배치되어 인테리어나 수납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구는, 바닥면에 대해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목재나 철재, 플라스틱 등의 소재가 사용되며, 적절한 무게를 가지게 되며, 사용목적에 따라 기능과 더불어 미적요소가 추구되어 사용자의 취미나 취향에 맞게 다양한 종류로 제작된다.
서랍장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0480156호(2016.04.12., 고안의 명칭: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서랍장은 일정 중량을 갖는 가구는 유아나 어린이가 서랍부분을 잡고 당기거나, 어른이라도 부주의에 의해 인체 방향으로 넘어질 수 있는 있어 상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도방지장치를 가구장의 하측에 결합함으로써 가구장의 다리 역할을 함에 따라 미감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가구용 전도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가구장이 설정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질 경우에 연동되어 가구장이 더 이상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넘어짐에 따른 가구장의 파손 및 안전사고를 예방하고자 하는 가구용 전도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는: 가구장에 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축 방향으로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가구장이 설정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며 상기 가구장의 넘어짐을 방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축 방향 이동시의 마찰 저항을 줄이기 위해 상기 하우징이 축 방향을 따라 절개되도록 형성되는 절개부; 및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초기 상태의 상기 지지부재가 기울어지는 상기 가구장에 연동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 작동을 유도하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장착부재; 상기 장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연결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축 삽입시 탄성적으로 펴짐에 따라 롤 타입으로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는 탄성롤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초기에 상기 하우징 내측에서 구속하고, 상기 가구장의 전측 기울어짐시에 상기 지지부재의 구속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탄성롤부재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의 축 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로킹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탄성롤부재를 상기 하우징 측으로 노출하기 위해 개방구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은 후크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롤부재는 상기 후크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경질의 걸고리를 일측에 연장할 수 있다.
상기 로킹부는, 상기 가구장이 기울어질 경우, 바닥에 대해 벌어지는 상기 하우징의 설정 부위 내측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에 안착되는 걸림블록; 상기 걸림블록에 돌출되는 걸림돌부;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어 초기 상태에 상기 걸림돌부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탄성롤부재가 탄성 복원력이 작용시에도 상기 지지부재의 축 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걸림홀부; 및 상기 가구장이 기울어질 경우, 상기 걸림블록을 상기 고정블록의 바닥 측으로 밀어 상기 걸림홀부로부터 상기 걸림돌부를 구속 해제시키는 로킹해제작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로킹해제작동부는, 상기 걸림블록의 상기 고정블록 반대측에 배치되고, 작동발을 구비하는 푸쉬블록; 상기 하우징의 기울어짐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대해 상기 푸쉬블록과 상기 걸림블록을 상기 고정블록의 바닥 측으로 밀고, 초기 상태에서 압축되는 푸쉬스프링부재; 및 상기 절개부 일부를 막으며 상기 하우징에 지지된 채, 상기 푸쉬스프링부재가 상기 푸쉬블록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지지하는 어퍼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블록은 상기 걸림돌부를 형성한 일측 가장자리의 반대측 가장자리를 상기 고정블록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걸림블록은 서포트스프링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블록의 바닥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고정발을 연결하며, 완충캡이 씌워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결속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결속 또는 결속해지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임의적으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전도방지장치를 가구장의 하측에 결합함으로써 가구장의 다리 역할을 함에 따라 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가구장이 설정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질 경우에 연동되어 가구장이 더 이상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넘어짐에 따른 가구장의 파손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의 초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의 초기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장에 설치된 전도방지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방지장치의 확대 작동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의 인출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의 초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의 초기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장에 설치된 전도방지장치의 작동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방지장치의 확대 작동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의 인출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100)는 하우징(110), 지지부재(120), 절개부(150) 및 작동부(20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100)는 가구장(10)의 바닥면에 복수 개 구비되는데, 편의상 가구장(10)의 하측면에 2개를 나란하게 배치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100)는 가구장(10)의 다리 역할도 한다.
하우징(110)은 가구장(10)에 연결된다. 상세히, 하우징(110)은 가구장(10)의 하측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축 방향이 가구장(10)의 전후측 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하우징(110) 각각은 가구장(10)의 하측면에 연결된다.
이때, 하우징(110) 각각은 브라켓(112)에 의해 가구장(10)의 하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브라켓(11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하우징(110)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체결부재(113)는 볼트나 스크류인 것으로 한다.
하우징(1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지지부재(120)는 하우징(110) 각각에 축 방향으로 출입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120)가 하우징(110)에서 축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지지부재(120)가 하우징(110)의 외측에서 하우징(110)에 나란하게 배치된 채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특히, 지지부재(120)는 하우징(110)의 일측, 즉 전측으로 출입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지지부재(12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지지부재(120)는 가구장(10)이 설정방향 특히 전측으로 기울어질 경우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출 작동된다. 이로 인해, 가구장(10)은 전측으로 더 이상 넘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절개부(150)는 하우징(110)에 축 방향을 따라 절개되도록 형성된다. 절개부(150)는 하우징(110)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부재(120)가 하우징(110)에 대한 마찰 저항을 줄이기 위해 형성된다.
아울러, 하우징(110)은 절개부(150)로 인해 열 변형(팽창 또는 수축)이 발생되더라도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지부재(120)가 열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하우징(110)도 열 변형이 발생됨으로써, 지지부재(120)는 축 방향 이동시 하우징(110)에 대한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물론, 절개부(150)는 하우징(11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크기에 한정하지 않는다.
특히, 하우징(110)은 절개부(150)를 형성함으로써 제작비를 줄이고, 자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절개부(150)는 가구장(10)의 하측면에 부착되는 하우징(110)의 가구장(10)을 향하는 상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한편, 작동부(200)는 하우징(110)에 최대한 삽입된 초기 상태의 지지부재(120)가 전측으로 기울어지는 가구장(10)에 연동되어 하우징(110)으로부터 강제 인출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가구장(10)이 전측으로 기울어질 경우, 이에 연동되어, 지지부재(120)가 하우징(110)에서 가구장(10)의 넘어지는 전방으로 인출됨으로써, 지지부재(120)가 넘어지려는 가구장(10)을 지지하게 된다. 그래서, 가구장(10)은 더 이상 기울어지거나 넘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120)는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출되는 단부에 커넥터(130)를 결합한다. 물론, 커넥터(130)는 지지부재(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커넥터(130)는 바닥에 접하는 고정발(132)을 구비한다.
여기서, 고정발(132)이 지지부재(120)에 직접 구비될 수 있으나, 변형시 부피가 비교적 큰 지지부재(120)와 함께 교체되어야 함으로써, 비교적 소형으로 제조 단가가 저렴한 커넥터(130)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지지부재(120)가 하우징(110)의 내측에 최대한 삽입된 초기 상태에서도, 고정발(132)이 바닥에 접하지만, 지지부재(120)가, 후술할, 탄성롤부재(2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강제로 하우징(110)에서 인출된다.
아울러, 고정발(132)은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커넥터(13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작동부(200)는 장착부재(210), 탄성롤부재(220) 및 로킹부(300)를 포함한다.
장착부재(210)는 지지부재(120) 특히, 지지부재(120)의 내부 중앙 정도에 고정 설치된다. 그래서, 장착부재(210)는 지지부재(120)와 함께 지지부재(120)의 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장착부재(2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장착부재(210)는 볼팅부재(212)에 의해 지지부재(12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또한, 탄성롤부재(220)는 중심축(222)을 기준으로 장착부재(2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중심축(222)은 탄성롤부재(220)에 축 삽입 후 양측이 장착부재(210)에 거치될 수도 있고, 장착부재(210)의 마주하는 내부 양측에 구비되어 탄성롤부재(220)를 회전 가능하게 거치할 수도 있다.
아울러, 탄성롤부재(220)는 풀려지는 일측이 하우징(110)에 연결 고정된다.
상세히, 지지부재(120)는 탄성롤부재(220)를 하우징(110) 측으로 노출하기 위해 개방구(122)를 형성하고, 하우징(110)은 개방구(122)를 통해 탄성롤부재(220)의 일측을 걸어 위치 고정하기 위해 후크(114)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롤부재(220)는 일측을 후크(114)에 견고하게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일측에 경질의 별물을 연결할 수도 있다. 즉, 탄성롤부재(220)는 후크(114)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경질의 걸고리(224)를 일측에 연장할 수 있다. 이때, 걸고리(224)는 볼팅 등 다양한 방식으로 탄성롤부재(22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후크(114) 및 걸고리(22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탄성롤부재(220)는 지지부재(120)가 하우징(110)에 축 삽입시 탄성적으로 펴짐에 따라 롤 타입으로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탄성롤부재(220)는 펴진 상태에서 초기 상태로 감기려는 힘이 작용함으로써, 지지부재(120)는 하우징(110)에 최대한 삽입된 초기 상태에서 인출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로킹부(300)가 지지부재(120)를 초기에 하우징(110) 내측에서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로킹부(300)는 가구장(10)의 전측 기울어짐시에 지지부재(120)의 구속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지지부재(120)는 탄성롤부재(2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축 방향 이동이 허용됨으로써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강제 인출된다.
특히, 장착부재(210) 또는 지지부재(120)는 가이드핀(216)을 구비하고, 하우징(110)은 지지부재(120)의 직진 이송을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핀(216)을 수용하는 가이드홀부(116)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홀부(116)가 가이드핀(216)의 직진 이송을 안내함으로써, 지지부재(120)는 안정적으로 직진 이송 안내될 수 있고, 이송 거리가 제한되어 하우징(110)과 지지부재(120)의 임의적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편의상, 가이드핀(216)은 지지부재(120)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가이드홀부(116)는 홀 형상이지만 홈 형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로킹부(300)는 고정블록(310), 걸림블록(320), 걸림돌부(330), 걸림홀부(340) 및 로킹해제작동부(350)를 포함한다.
고정블록(310)은 하우징(110)의 내측에 고정 장착된다. 특히, 고정블록(310)은, 가구장(10)이 기울어질 경우, 바닥에 대해 벌어지는 하우징(110)의 설정 부위 내측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고정블록(310)은 초기 상태에 커넥터(130)를 수용하는 하우징(110)의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 내부에 설치된다.
물론, 고정블록(3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걸림블록(320)은 고정블록(310)의 내측에 안착된다. 이때, 고정블록(310)은 초기 상태의 하우징(110)의 내부 상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걸림블록(320)은 일측에 걸림돌부(330)를 돌출 형성한다. 걸림돌부(330)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걸림홀부(340)는 지지부재(120)의 타측에 형성되어 초기 상태의 경우에 걸림돌부(330)를 수용한다. 그래서, 탄성롤부재(220)가 탄성 복원력이 작용시에도, 지지부재(120)는 축 방향으로 전진 이동이 방지된다. 물론, 걸림홀부(340)는 홀 또는 홈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로킹해제작동부(350)는, 가구장(10)과 하우징(110)이 기울어질 경우 특히 하우징(1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기울어질 경우, 하우징(110)의 타측 내부에 배치되는 걸림블록(320)을 고정블록(310)의 바닥 측으로 강제로 소정 밀어 걸림홀부(340)로부터 걸림돌부(330)를 구속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로킹해제작동부(350)는 푸쉬블록(352), 푸쉬스프링부재(354) 및 어퍼커버(356)를 포함한다.
푸쉬블록(352)은 걸림블록(320)의 고정블록(310) 반대측에 배치된다. 즉, 푸쉬블록(352)은 걸림블록(320)의 상측에 놓여진다. 물론, 푸쉬블록(352)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푸쉬블록(352)은 하우징(110)을 통해 하우징(11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발(355)을 구비한다. 작동발(355)은 높낮이 조절 가능하도록 푸쉬블록(352)에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은 일측에 배치되는 커넥터(130)는 고정발(132)을 구비하고, 타측에 배치되는 푸쉬블록(352)은 작동발(355)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고정발(132)과 작동발(355)을 포함하는 전도방지장치(100)는 가구장(10)의 다리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푸쉬스프링부재(354)는 타측이 푸쉬블록(352)의 바닥면에 탄성 지지된다. 하우징(110)의 무게가 푸쉬블록(352)의 무게보다 무겁기 때문에, 푸쉬스프링부재(354)는 하우징(110)에 탄성 지지된 채 푸쉬블록(352)을 걸림블록(320) 측으로 탄성적으로 미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푸쉬블록(352)이 걸림블록(320)을 고정블록(310)의 바닥면 측으로 밀게 된다.
아울러, 어퍼커버(356)는 하우징(110)의 상측면에 개방되게 형성된 절개부(150) 일부를 막도록 하우징(110)에 연결되어, 푸쉬스프링부재(354)가 푸쉬블록(352)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어퍼커버(35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하우징(110)에 연결되어 절개부(150) 일부를 막게 된다.
특히, 전도방지장치(100)가 초기 상태에서, 푸쉬스프링부재(354)는 하우징(110)의 내부 상측면과 푸쉬블록(352) 사이에 배치되어 압축된 상태가 된다. 즉, 작동발(355)이 바닥에 접할 경우, 가구장(10)과 하우징(110) 및 지지부재(120)가 자중에 의해 누르는 힘이 작용시, 작동발(355)은 위치 고정된 하우징(110)의 내부로 소정 상승됨에 따라, 푸쉬블록(352)이 상승되려는 힘을 받음에 따라, 푸쉬스프링부재(354)는 압축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이 기울어질 경우, 푸쉬블록(352)은 푸쉬스프링부재(35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걸림블록(320)과 함께 고정블록(310)의 바닥면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그래서, 걸림블록(320)의 걸림돌부(330)가 걸림홀부(340)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지지부재(120)는 탄성롤부재(2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110)의 일측으로 인출(전진)된다.
여기서, 푸쉬스프링부재(354)는 코일 스프링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특히, 걸림블록(320)은 걸림돌부(330)를 형성한 일측 가장자리의 반대측 가장자리가 고정블록(3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걸림블록(320)은 타측이 힌지핀(322)에 의해 고정블록(310)에 연결됨으로써, 힌지핀(322)을 기준으로 호 궤적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걸림블록(320)은 서포트스프링부재(324)에 의해 고정블록(310)의 바닥에 탄성 지지된다. 특히, 걸림블록(320)의 걸림돌부(330)를 형성한 일측 하부가 고정블록(310)에 대해 서포트스프링부재(324)로 탄성 지지된다.
이에 따라, 걸림블록(320)은 임의적으로 하향 방지되고, 푸쉬블록(352)의 누르는 힘에 의해 서포트스프링부재(324)가 압축되면서 하향 회동된다. 이로써, 걸림돌부(330)가 임의적으로 걸림홀부(340)로부터 이탈 방지된다.
여기서, 서포트스프링부재(324)는 코일 스프링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때, 푸쉬스프링부재(354)가 탄성 복원력으로 푸쉬블록(352)을 누를 경우 푸쉬블록(352)이 걸림블록(320)을 눌러야 하기 때문에, 푸쉬스프링부재(354)의 탄성계수(K1)가 서포트스프링부재(324)의 탄성계수(K2)보다 큰 것으로 적용한다.(K1>K2)
그리고, 푸쉬블록(352)은 연결되는 작동발(355)의 연결부위 면적을 증가시켜 작동발(355)의 휨 방지 등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걸림블록(320) 및 고정블록(310)에 삽입된 채 승하강될 수 있다.
이때, 푸쉬블록(352)이 고정블록(310)의 하측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둘레면에 푸쉬턱부(357)를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푸쉬턱부(357)는 푸쉬블록(352)의 상측면에 접하는 것으로 한다. 상세히, 푸쉬스프링부재(354)가 압축된 초기 상태에서, 푸쉬블록(352)은 푸쉬스프링부재(354)를 압축시키며 상승되기 때문에, 푸쉬턱부(357)는 걸림블록(320)의 상측면과 유격된다.
이 후, 푸쉬스프링부재(354)가 탄성 복원시, 푸쉬턱부(357)가 걸림블록(320)에 접하여 걸릴 때까지, 푸쉬블록(352)은 하강하게 된다. 즉, 푸쉬턱부(357)가 걸림블록(320)을 고정블록(310)의 바닥면 측으로 밀게 된다.
물론, 푸쉬턱부(357)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커넥터(130)는 결속부(140)에 의해 하우징(110)에 결속 또는 결속해지됨으로써 하우징(110)으로부터 임의적으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결속부(140)는 결속레버(142), 결속편(144) 및 결속구(146)를 포함한다.
결속레버(142)는 커넥터(13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결속편(144)은 커넥터(130)의 내측에 위치한 결속레버(142)의 둘레면에 구비된다. 그래서, 결속편(144)은 결속레버(142)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된다. 물론, 결속편(14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결속구(146)는, 결속편(144)의 회전량에 따라, 결속편(144)을 결속하거나 또는 결속 해제하도록 하우징(110)에 형성된다. 여기서, 결속구(146)는 홀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속레버(142)의 회전과 함께 결속편(144)이 회전되고, 결속편(144)이 결속구(146)에 수용됨에 따라 커넥터(130)는 하우징(110)에 구속된다. 반대로, 결속편(144)이 결속구(146)로부터 이탈시, 커넥터(130)는 하우징(110)으로부터 구속 해지된다.
이 후, 가구장(10)이 전측으로 기울어질 경우, 지지부재(120)는 로킹부(300)의 작동으로 인해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억지 인출 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가구장(10)은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지지 않거나 넘어지지 않게 된다.
특히, 초기에, 고정발(132)이 바닥에 접해 있더라도, 탄성롤부재(220)가 탄성 복원되며 지지부재(120)를 하우징(110)의 일측으로 인출하려는 힘이 바닥에 대한 고정발(132)의 마찰력보다 크기 때문에, 지지부재(120)는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지부재(120)가 탄성롤부재(2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강한 힘으로 하우징(110)에서 인출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거나 줄이기 위해, 커넥터(130)는 완충캡(133)이 씌워질 수 있다. 아울러, 완충캡(133)은 바닥과 부딪힐 경우 바닥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완충캡(133)은 스폰지 등 연질로 이루어지고, 다양한 방식으로 커넥터(130)의 단부를 감싸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완충캡(133)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가구장 100: 전도방지장치
110: 하우징 112: 브라켓
114: 후크 116: 가이드홀부
120: 지지부재 130: 커넥터
132: 고정발 140: 결속부
142: 결속레버 144: 결속편
200: 작동부 210: 장착부재
220: 탄성롤부재 300: 로킹부
310: 고정블록 320: 걸림블록
324: 서포트스프링부재 330: 걸림돌부
340: 걸림홀부 350: 로킹해제작동부
352: 푸쉬블록 354: 푸쉬스프링부재
356: 어퍼커버

Claims (8)

  1. 가구장에 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축 방향으로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가구장이 설정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며 상기 가구장의 넘어짐을 방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축 방향 이동시의 마찰 저항을 줄이기 위해 상기 하우징이 축 방향을 따라 절개되도록 형성되는 절개부; 및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초기 상태의 상기 지지부재가 기울어지는 상기 가구장에 연동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 작동을 유도하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는 완충캡이 씌워지고, 고정발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장착부재;
    상기 장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연결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축 삽입시 탄성적으로 펴짐에 따라 롤 타입으로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는 탄성롤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초기에 상기 하우징 내측에서 구속하고, 상기 가구장의 전측 기울어짐시에 상기 지지부재의 구속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탄성롤부재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의 축 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탄성롤부재를 상기 하우징 측으로 노출하기 위해 개방구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은 후크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롤부재는 상기 후크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경질의 걸고리를 일측에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상기 가구장이 기울어질 경우, 바닥에 대해 벌어지는 상기 하우징의 설정 부위 내측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에 안착되는 걸림블록;
    상기 걸림블록에 돌출되는 걸림돌부;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어 초기 상태에 상기 걸림돌부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탄성롤부재가 탄성 복원력이 작용시에도 상기 지지부재의 축 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걸림홀부; 및
    상기 가구장이 기울어질 경우, 상기 걸림블록을 상기 고정블록의 바닥 측으로 밀어 상기 걸림홀부로부터 상기 걸림돌부를 구속 해제시키는 로킹해제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해제작동부는,
    상기 걸림블록의 상기 고정블록 반대측에 배치되고, 작동발을 구비하는 푸쉬블록;
    상기 하우징의 기울어짐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대해 상기 푸쉬블록과 상기 걸림블록을 상기 고정블록의 바닥 측으로 밀고, 초기 상태에서 압축되는 푸쉬스프링부재; 및
    상기 절개부 일부를 막으며 상기 하우징에 지지된 채, 상기 푸쉬스프링부재가 상기 푸쉬블록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지지하는 어퍼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블록은 상기 걸림돌부를 형성한 일측 가장자리의 반대측 가장자리를 상기 고정블록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걸림블록은 서포트스프링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블록의 바닥에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결속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결속 또는 결속해지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임의적으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KR1020170066238A 2017-05-29 2017-05-29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KR101788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238A KR101788613B1 (ko) 2017-05-29 2017-05-29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238A KR101788613B1 (ko) 2017-05-29 2017-05-29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613B1 true KR101788613B1 (ko) 2017-10-23

Family

ID=60298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238A KR101788613B1 (ko) 2017-05-29 2017-05-29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6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3455A (zh) * 2018-07-13 2018-10-19 嘉兴尤尼科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能够调节扶手高度的工具柜
KR20200002317A (ko)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네오퍼스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가구
KR102229726B1 (ko) * 2020-08-31 2021-03-22 (주)퍼맥스 가구용 전도 방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9224A (ja) * 2005-07-25 2005-12-22 Michiko Imamoto 家具転倒防止器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9224A (ja) * 2005-07-25 2005-12-22 Michiko Imamoto 家具転倒防止器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317A (ko)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네오퍼스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가구
CN108673455A (zh) * 2018-07-13 2018-10-19 嘉兴尤尼科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能够调节扶手高度的工具柜
KR102229726B1 (ko) * 2020-08-31 2021-03-22 (주)퍼맥스 가구용 전도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613B1 (ko)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EP2138344B1 (en) Car seat
US8215713B2 (en) Child booster seat with a height-adjustable armrest
KR100572392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US20100194256A1 (en) Support construction for at least one furniture drive
KR101780427B1 (ko)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US4703701A (en) Desk with height and angle adjustable table top
AU2009307206B2 (en) Weight control apparatus for a weight training machine
KR101788612B1 (ko)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JP5562025B2 (ja) 椅子
CN110770493B (zh) 托件
KR101831988B1 (ko) 도어 스토퍼
US10165864B1 (en) Chair armrest device
JP5341602B2 (ja) 天板スライド式机
KR101172138B1 (ko) 콘솔 암레스트 구조
JP5213133B2 (ja) 自動車のシートの調整可能なヘッドレストの上昇および下降の機構において使用するように適合されたブラケットシステム
JP2010076809A (ja) 容量可変式物品収納箱
JP3136656U (ja) 靴収納庫用棚板及び靴収納庫
JP4867224B2 (ja) ショーケース
JP7220469B2 (ja) 転倒抑制装置
JP4255935B2 (ja) 踏み台兼用収納ボックス
KR101164782B1 (ko) 의자용 팔걸이
JPH1014711A (ja) 椅子の肘掛け構造
JP5244306B2 (ja) 折り畳みテーブル
JP3009179U (ja) 収納付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