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551Y1 - 책상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책상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551Y1
KR200386551Y1 KR20-2005-0008264U KR20050008264U KR200386551Y1 KR 200386551 Y1 KR200386551 Y1 KR 200386551Y1 KR 20050008264 U KR20050008264 U KR 20050008264U KR 200386551 Y1 KR200386551 Y1 KR 2003865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ever
height
insertion hole
de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2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관영
Original Assignee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정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정관영 filed Critical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82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5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5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5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버에 의해 책상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책상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판(P)의 양측을 지지하며 다수의 높이 조절구멍(h)이 형성된 상부 지지대(FA)와, 상부 일측에 돌기 삽입구멍(h')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12a)가 구비되고 상부에 회전 지지케이싱(120)이 형성된 조절구(100)가 돌출되게 결합된 하부지지대(FB)로 이루어진 수직프레임(F)과; 상기 조절구(100)의 회전 지지케이싱(120)에 회동 가능하게 대응 결합되는 회전구(223)가 배면에 구비된 판상의 회동판(221)에 핀삽입공(221a)이 형성되고 회동판 상부에 고리부(222)가 구비된 작동편(220)과; 상기 핀삽입공(221a)을 관통하여 조절구의 고정돌기(112a)와 결합되는 핀(230)과; 상기 작동편(220)의 고리부(222)가 양측부에 고정되는 작동바(210)와 작동바의 양단부측에 각각 손잡이(211)가 부설된 레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 책상 높낮이 조절장치는 일체로 형성된 레버의 양측에 각각 작동편이 형성되어 레버의 어느 일측을 작동하더라도 한 쌍의 수직 프레임에 구비된 조절구와 작동편이 동시에 작동되어 사용이 편리하며 하부 지지대 내에 장착된 스프링에 의해 레버를 회동시켜 상부 지지대의 높이 조절구멍에 삽입된 고정돌기를 인출하게 되면 상판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향되도록 하여 상판의 높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책상 높낮이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a desk}
본 고안은 책상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상판과 상판을 지지하는 상하부 지지대로 이루어진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을 갖는 책상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 지지대상에 고정돌기 돌출된 조절구가 구비되고, 이에 결합되는 작동편과 레버에 의해 상부 지지대에 고정되는 고정돌기를 유동시켜 상판에 결합된 상부 지지대를 조정하여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할수 있는 조절장치로 레버에 의해 간단한 조작이 가능한 책상이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 중, 고교의 각급 학교나 가정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책상은 좌우 지지대 상단에 사각형의 상판이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사각형의 상판이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상판을 이용하여 업무나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대부분의 책상은 상판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랍등의 부속물이 부착되어 상판 자체가 지지대의 상단에서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상판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는 종래의 책상은 다양한 체형을 가진 사용자들이 체형에 맞는 책상을 선택한다기보다 책상에 체형을 맞추어 사용하거나 의자의 높낮이만을 조절하여 사용되어 왔다.
상기의 경우 키가 큰 사용자들은 다리의 길이 때문에 앉은 자세가 불편할 뿐 만 아니라 키가 작은 사용자의 경우 다리가 지면에 닿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의자에 착석한 상태로 상판을 이용한 학습등으로 인한 장시간 생활할 때에는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에게 척추를 비롯한 신체 발달에 상당한 무리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책상은 서로 다른 체형을 가진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추어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가 부착되어 사용자가 상판의 높이를 의자의 높이와 맞추어 적절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책상은 대부분 조립상태로 출시되거나, 상판을 지지하는 양측의 수직지지대상에 볼트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통공을 통해서 장입되는 조임너트의 조임에 의해 상판을 다단으로 높이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높이 조절을 이루기 위한 절차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구성부품의 작동방법이 까다로워 주로 사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책상 상판의 조절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개선한 실용신안등록제345835호의 '수강용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를 살펴보면, 상판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된 힌지축에 의해 레버가 회동되어 레버의 단부에 구비된 스토퍼핀이 각 통공을 관통하여 수직프레임에 결합된 상판을 고정하는 구조이나, 이는 각 프레임에 각각의 레버가 구비되어 책상의 상판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때에는 양측의 두 레버를 동시에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판의 높이를 조절해야 하는것으로, 양손을 모두 레버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판의 조절이 어려워져 상판 높이 조절에 대한 불편함이 여전히 남게 된다.
또한, 제한된 직경을 갖는 관형상의 수직 프레임 내부에 회전축과 유동방지편을 비롯하여 코일스프링이 구비된 레버 등의 구조가 갖추어져야함으로써 공정이 까다로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책상에서 제기되고 있는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책상의 상판을 지지하며 다수의 높이 조절구멍이 형성된 수직 프레임에 스프링에 의해 유동가능한 고정돌기가 구비된 조절구가 결합되고, 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를 유동시켜 수직프레임과 상판을 조절함에 따라 작동이 간편하며, 일체로 구비된 레버가 한 쌍의 수직프레임에 동일하게 작동되어 사용상의 편리성과 실용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책상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책상의 상판을 지지하며 다수개의 높이 조절구멍이 형성된 상부 지지대와 프레임의 내부로 돌출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고정구가 장착된 조절구를 갖는 하부 지지대로 이루어진 한 쌍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조절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핀삽입공이 구비된 작동편과, 상기 핀삽입공을 관통하여 조절구의 고정구와 결합되는 핀과, 상기 작동편이 양측부에 고정되는 레버레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책상은 상판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의 하단부와 결합되어 지면상에 접촉 지지되는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판 양측부가 지지되며 일측에 다수개의 높이 조절구멍이 일렬로 배열 형성된 상부 지지대와, 상부 지지대 하단부가 상단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하부 지지대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 지지대 상부에는 돌기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하부 지지대의 내부로 삽입된 상부 지지대의 높이 조절구멍과 상기 돌기 삽입구멍이 일치하게 되면 높이 조절구멍을 통해 돌출되는 고정돌기에 의해 상부 지지대와 이에 결합된 상판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돌기 삽입구멍이 형성된 하부 지지대에는 상기 돌기 삽입구멍에 삽입 혹은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갖는 고정구와 이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감싸는 하우징의 상부에 회전축 지지케이싱이 결합된 조절구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 지지케이싱의 내부에는 회전축이 구비된다.
상기 작동편은 조절구의 전면에 밀착 결합되며, 중앙에 핀결합공이 구비된 판상의 회동판과, 회동판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부와, 회동판 배면에 형성된 회전구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구는 조절구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동가능한 구조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편의 핀결합공을 관통하여 조절구 내부의 고정구에 나사결합되는 핀은 작동편의 회동에 의해 유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고정구의 고정돌기도 함께 유동하게 된다.
상기 레버를 아래로 내리게 되면, 작동편이 회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편에 결합된 핀이 하우징의 바깥쪽으로 유동하면서 고정구의 고정돌기가 상부 지지대의 높이 조절구멍에서 빠져나와 상부 지지대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부 지지대에 결합된 상판을 조절한 후 다시 레버를 원상태로 놓게되면 작동편이 아래로 회동하여 작동핀과 고정구를 하부 지지대 방향으로 유동시켜 고정구의 고정돌기가 하부 지지대의 돌기 삽입구멍에 삽입되고, 상부 지지대의 높이 조절구멍에 삽입되면서 상판을 지지하게 되는것이다.
이때, 상기 레버는 작동바의 양단부가 절곡되어 양측절곡단부에 손잡이가 부설된 것으로, 상기 레버의 양측에 상기 작동편이 결합됨으로써 레버의 어느 일측 손잡이를 작동시키더라도 한 쌍의 수직 프레임에서 동일한 작동이 일어나 간편하게 책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 지지대의 하단 내주면에는 스프링에 의해서 지지되는 부싱이 구비되어 레버를 아래로 내리면 상부 지지대에 결합된 상판이 하부 지지대 내의 스프링 탄성에 의해 상부로 올라가게 되어 상판을 위로 올릴필요가 없이 원하는 높이로 맞추기 위해 상판을 가압하면 되어 편리성을 도모하게 된다.
본 고안 책상 높낮이 조절장치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은 종래 책상 높이 조절장치의 단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3은 도2의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의 (가),(나)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책상 높낮이 조절장치는 다수의 높이 조절구멍(h)이 형성된 상부 지지대(FA)와, 상부 일측에 돌기 삽입구멍(h')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12a)가 구비되고 상부에 회전 지지케이싱(120)이 형성된 조절구(100)가 결합된 하부지지대(FB)로 이루어진 수직프레임(F)과;상기 조절구(100)의 회전 지지케이싱(120)에 회동 가능하게 대응 결합되며 중앙에 핀삽입공(221a)이 형성된 회동판(221) 상부에 고리부(222)가 구비된 작동편(220)과; 상기 핀삽입공(221a)을 관통하여 조절구의 고정돌기(112a)와 결합되는 핀(230)과; 상기 작동편(220)의 고리부(222)가 양측부에 고정되는 작동바(210)와 작동바의 양단부측에 각각 손잡이(211)가 부설된 레버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지지대(FB)는 상부에 돌기 삽입구멍이(h')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 삽입구멍(h')을 중심으로 장착되는 하우징(110) 내부에는 고정돌기(112a)가 돌출되어 상기 돌기 삽입구멍(h')으로 삽입되는 고정구(112)와 상기 고정구(112)와 접하는 스프링(111)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상단 외주면에는 수평방향의 회전축(121)이 구비된 지지케이싱(120)이 구비되어 레버(200)의 작동편(220)과 회동 가능한 결합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레버(200)는 양측부가 절곡된 '└┘'자 형상의 작동바가 개방된측면이 책상의 전방을 향하도록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을 감싸듯이 결합되며, 타측면의 양측에 작동편의 고리부가 결합되고, 양측의 절곡단부에는 손잡이(211)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편(220)은 작동바(210)에 결합되는 고리부(222)와 중앙에 핀결합공(221a)이 구비된 회동판(221)과 배면에 구비된 회전구(223)로 이루어지며, 상기 핀결합공(221a)을 통해 삽입된 핀(230)이 조절구(100)를 관통하여 조절구 내의 고정구(112)와 나사 결합을 이루고, 상기 회전구(223)는 하우징 상부의 회전축(1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핀(230)을 조절하여 조절구 내의 고정구를 유동시키게 된다.
상기 책상 전방으로 인출된 레버(200)의 손잡이(211)를 아래로 내리면 한 쌍의 수직 프레임(F)에 구비된 각각의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작동편(220)이 회동을 하면서 핀(230)을 당기게 되고, 핀(230)이 당겨지면서 핀(230)의 단부에 결합된 고정구(112)가 스프링(111)을 가압하면서 하우징(110)의 내부로 들어오게 되어 하부 지지대(FB) 내에 삽입된 상부 지지대 (FA)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부 지지대(FA)를 조절한 후 레버(200)를 다시 원상태로 놓게 되면 압착된 스프링(111)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구(112)의 고정돌기(112a)가 다시 하부 지지대(FB)의 돌기 삽입구멍(h')으로 삽입되면서 상부 지지대(FA)의 높이 조절구멍(h)을 관통하여 상부 지지대(FA)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레버(200)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F)에 결합되어 각각 작동하는 것으로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어 어느 일측의 손잡이(211)를 작동시키더라도 한 쌍의 수직 프레임(F)에 고정구(112)가 동시에 작동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음에 특징이 있다.
또한,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레버(200)를 아래로 내린 후 상판(P)을 올리거나 내려서 조절을 하게 되는데, 하부 지지대(FB)의 하단 내주면에 구비된 스프링(S)에 의해서 지지되는 부싱(B)이 삽입 장착되어 있어 레버(200)에 작동에 의해 돌기 삽입구멍(h')에서 고정돌기(112a)를 돌출시켰을 때에는 상부 지지대(FA)가 스프링(S)의 탄성에 의해 상부로 올라가도록 구성하여 한 손으로는 레버(200)를 조절하고 한손으로는 책상의 상판(P)을 아래로 내리면서 조절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와 실용성을 도모함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책상 높낮이 조절장치는 일체로 형성된 레버의 양측에 각각 작동편이 형성되어 레버의 어느 일측을 작동하더라도 한 쌍의 수직 프레임에 구비된 조절구와 작동편이 동시에 작동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하부 지지대 내에 장착된 스프링에 의해 레버를 회동시켜 상부 지지대의 높이 조절구멍에 삽입된 고정돌기를 인출하게 되면 상판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향되도록 하여 상판의 높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 책상 높이 조절장치의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도2의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4의 (가),(나)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 수직 프레임 FA, FB. 상하부 지지대
100. 조절구 110. 하우징
112. 고정구 120. 회전축 지지케이싱
200. 레버 210. 작동바
220. 작동편 230. 핀
h. 높이 조절구멍 P. 상판

Claims (3)

  1. 상판(P)의 양측을 지지하며 다수의 높이 조절구멍(h)이 형성된 상부 지지대(FA)와, 상부 일측에 돌기 삽입구멍(h')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12a)가 구비되고 상부에 회전 지지케이싱(120)이 형성된 조절구(100)가 돌출되게 결합된 하부지지대(FB)로 이루어진 수직프레임(F)과;
    상기 조절구(100)의 회전 지지케이싱(120)에 회동 가능하게 대응 결합되는 회전구(223)가 배면에 구비된 판상의 회동판(221)에 핀삽입공(221a)이 형성되고 회동판 상부에 고리부(222)가 구비된 작동편(220)과;
    상기 핀삽입공(221a)을 관통하여 조절구의 고정돌기(112a)와 결합되는 핀(230)과;
    상기 작동편(220)의 고리부(222)가 양측부에 고정되는 작동바(210)와 작동바의 양단부측에 각각 손잡이(211)가 부설된 레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책상 높낮이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100)는 하부 지지대(FB)의 돌기 삽입구멍(112a)에 유동적으로 삽입되는 고정돌기(112a)가 정면에 돌출된 고정구(112)의 배면에 스프링(111)이 탄성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111)이 개재된 상태로 고정구(112)를 감싸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00)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축 지지케이싱(1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단 내주면에는 스프링(S)과 스프링에 의해서 지지되는 부싱(B)이 삽입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2005-0008264U 2005-03-25 2005-03-25 책상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865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264U KR200386551Y1 (ko) 2005-03-25 2005-03-25 책상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264U KR200386551Y1 (ko) 2005-03-25 2005-03-25 책상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551Y1 true KR200386551Y1 (ko) 2005-06-13

Family

ID=43687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264U KR200386551Y1 (ko) 2005-03-25 2005-03-25 책상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55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913B1 (ko) * 2007-07-16 2009-08-20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상
KR20160108988A (ko) 2015-03-09 2016-09-21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전도 게이트
CN113558417A (zh) * 2021-08-05 2021-10-29 浙江腾亚工贸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节课椅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913B1 (ko) * 2007-07-16 2009-08-20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상
KR20160108988A (ko) 2015-03-09 2016-09-21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전도 게이트
CN113558417A (zh) * 2021-08-05 2021-10-29 浙江腾亚工贸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节课椅
CN113558417B (zh) * 2021-08-05 2024-01-30 浙江腾亚工贸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节课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2775B1 (en) Head and neck support for a seated person
CA2560306A1 (en) Student desk
KR200386551Y1 (ko) 책상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94565Y1 (ko)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CN209268918U (zh) 一种桌板可调的课桌
CN110743133A (zh) 一种仰卧起坐辅助器
US20030189361A1 (en) Wheelchair having an armrest adjusting device
KR20040004345A (ko) 책걸상용 높이조절장치
KR200396467Y1 (ko) 상판 각도가 조절되는 책상 .
KR100714803B1 (ko) 이젤 기능을 갖는 책상
KR200388266Y1 (ko) 책걸상의 높이 조절장치
KR101696418B1 (ko) 책상
KR20040088329A (ko) 다리 스트레칭기구
KR200241409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 걸상용 지지다리
CN219629136U (zh) 一种可调节躺卧姿势的藤椅
KR200413796Y1 (ko) 책걸상용 높이조절장치
KR20130053598A (ko) 책걸상의 회전식 높이조절장치
KR101483407B1 (ko) 탁자 상판의 각도 조절장치
CN212548182U (zh) 一种拉伸器材座椅旋转定位装置
KR101085522B1 (ko) 교육용 가구의 원터치 높이조절 다리장치
KR100823888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CN212038796U (zh) 一种仰卧起坐辅助器
KR200418208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379961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101381717B1 (ko) 의료침대 밥상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