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635B1 - 브레이크 조정구조가 적용된 절첩식 테이블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조정구조가 적용된 절첩식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635B1
KR101792635B1 KR1020170074692A KR20170074692A KR101792635B1 KR 101792635 B1 KR101792635 B1 KR 101792635B1 KR 1020170074692 A KR1020170074692 A KR 1020170074692A KR 20170074692 A KR20170074692 A KR 20170074692A KR 101792635 B1 KR101792635 B1 KR 101792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rod
brake rod
leg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 수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명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명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명산업
Priority to KR1020170074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12Leg supports, e.g. cup-shaped, also under cas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78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 B60B33/0089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act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의실이나 강당 등에서 상판을 펼치거나 접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형 다리의 선단으로부터 상판 프레임이 회전되게 하고, 상기 파이프형 다리에는 상판 프레임과 간섭되게 한 브레이크 로드 및 브레이크 패드가 결합된 절첩식 테이블에 있어, 상기 브레이크 로드의 선단에 높이조절구조가 적용된 회전조정구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바닥면이 고르지 못한 실외 혹은 실내에서 절첩식 테이블을 고정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브레이크 로드 및 브레이크 패드의 하강량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어 절첩식 테이블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중 테이블이 유동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절첩식 테이블의 안정적인 고정 설치로 인해 학습 효과 향상 및 주의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며, 나열된 절첩식 테이블들의 정렬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브레이크 조정구조가 적용된 절첩식 테이블 {Folding table}
본 발명은 강의실이나 강당 등에서 상판을 펼치거나 접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 전체가 자유롭게 이동되는 것은 물론 상판의 펼침과 동시에 테이블의 확실한 멈춤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바닥면에 고르지 못한 경우 브레이크 패드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정하여 테이블에 대한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인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한 절첩식 테이블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의실이나 강의실 또는 식당 등에서는 좌석의 개수와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4개의 다리 하단에 캐스터(caster)가 달린 절첩식 테이블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절첩식 테이블을 이용한 좌석 배치시에는 캐스터에 의하여 테이블을 손쉽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고, 좌석의 배치가 완료된 후에는 캐스터가 구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브레이크가 구비된 캐스터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브레이크형 캐스터는 다리 하단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캐스터 프레임과, 이 바퀴 프레임의 양측에 수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와, 상기 캐스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양측 바퀴를 제동하거나 제동 해제하기 위한 브레이크 레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브레이크 달린 캐스터는 브레이크를 작동 및 해제하기 위해서 허리를 굽혀 손으로 조작하므로 그 조작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허리를 굽히는 것을 귀찮게 생각하여 발로 조작하고 있는바, 브레이크 레버가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파손되어 제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0361156호와 같이 기둥 및 받침부재들을 관통하여서 상,하 방향으로 동작되도록 설치되는 작동링크를 어느 한쪽의 이동바퀴에 근접되도록 하고 별도 구비의 스토퍼를 함께 착설하여서, 보드를 펼쳐서 사용할 때에 건들거리거나 흔들림없이 정지상태를 확실하게 유지시켜 주는 절첩식 테이블용 이동받침을 안출 및 등록한 바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등록특허 제0317721호와 같은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받침을 안출 및 등록받은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의 절첩식 테이블용 이동받침은 양측 하단의 받침부재 전,후부에 설치된 전,후방측 이동바퀴 사이에서 전방측 이동바퀴 측으로 편위된 위치에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으로, 스토퍼를 승강 작동시키기 위해서 기둥의 내부에서 보드의 절첩에 따라 승강하는 작동링크와, 받침부재에 중간부가 지지되어 상,하 회동되는 승강부재 등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원가상승 및 조립생산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스토퍼와 작동링크 및 승강부재 등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전,후방 다리를 연결하는 받침부재가 반드시 필요하게 되므로 그만큼 원가상승을 초래하는 것이고, 스토퍼를 하강시켰을 경우 전방측 이동바퀴가 바닥면에서 들리게 되는데, 스토퍼에 의해 지지점이 받침부재의 전방측 이동바퀴에서 후방측으로 상당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기 때문에 바닥면에서 여러 개의 절첩식 테이블을 전,후 및 좌,우로 배치하였을 때 앞쪽의 절첩식 테이블의 사용자가 이동시 뒤쪽의 절첩식 테이블의 전방측 이동바퀴를 밟게 될 경우 테이블 전체가 앞쪽으로 넘어지기 쉬운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0652529호와 같이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며 원가절감과 조립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으면서도 테이블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을 안출 및 등록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절첩식 테이블의 경우 파이프형 다리에 내장된 브레이크 로드가 테이블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하며 브레이크 로드 하단의 브레이크 패드가 지면 혹은 설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설치 바닥면과 브레이크 패드 간의 접촉 저항이 약화되거나 상실 또는 상호 접촉 저항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절첩식 테이블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상기의 절첩식 테이블의 경우 통상적으로는 평평한 바닥면을 갖고 있는 실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긴 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실외 설치도 가능할 것이고, 때에 따라서는 바닥면이 고르지 못한 실내에 설치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브레이크 로드는 상판과 간섭하여 하강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고, 상판과 간섭하여 하강되는 브레이크 로드 및 브레이크 패드의 하강량은 항상 일정할 것이므로, 바닥 설치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평평한 바닥이 아닌 경우 혹은 바닥재에 요철이나 홈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설치 바닥면과 브레이크 패드 간의 충분한 간섭 저항이 발생하지 못하게 될 것이므로 상기 절첩식 테이블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폐단을 갖게 된다.
따라서, 절첩식 테이블의 상판을 수평상태로 전개하여 사용하는 도중 평평하지 못한 설치 바닥면으로 인해 절첩식 테이블이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되지 못하면서, 상기 절첩식 테이블이 유동하거나 흔들리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그로 인한 학습 방해는 물론 집중력 저하 및 테이블의 정렬 상태를 해치게 되므로 주위가 매우 산만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361156호 (2002.11.01.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317721호 (2001.12.04.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52529호 (2006.11.24.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파이프형 다리의 선단으로부터 상판 프레임이 회전되게 하고, 상기 파이프형 다리에는 상판 프레임과 간섭되게 한 브레이크 로드 및 브레이크 패드가 결합된 절첩식 테이블에 있어, 상기 브레이크 로드의 선단에 높이조절구조가 적용된 회전조정구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고정 설치하고자 하는 절첩식 테이블의 설치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 상기 회전조정구를 통해 브레이크 패드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절첩식 테이블에 대한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인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한 특징의 브레이크 조정구조가 적용된 절첩식 테이블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단에 캐스터가 각기 장착된 앞쪽의 수직형 테이블다리와 뒷쪽의 절곡형 테이블다리가 선단의 다리 고정구에 결합된 상태로 좌,우 이격 배치되고, 상기 다리 고정구에 힌지 결합되고 상측에는 상판이 결합되어 상기 다리 고정구로부터 회전되게 한 상판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다리 고정구의 일측에는 걸림홈을 갖는 걸림레버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상판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으로 삽입되는 가압걸림핀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직형 테이블다리의 내부에는 상기 가압걸림핀과 선단이 간섭되는 브레이크 로드가 삽입되어 상기 가압걸림핀의 가압에 의해 하강되는 브레이크 로드 하단의 브레이크 패드가 설치 바닥면에 가압 상태로 맞닿도록 구성된 절첩식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로드의 선단에는 상기 가압걸림핀과 간섭되게 한 회전조정구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회전조정구 하단과 수직형 테이블다리 선단의 사이에는 브레이크 로드에 삽입되는 탄발스프링을 구성하되, 상기 회전조정구의 회전에 따라 브레이크 로드 및 브레이크 패드의 하강량이 조정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면이 고르지 못한 실외 혹은 실내에서 절첩식 테이블을 고정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브레이크 로드 및 브레이크 패드의 하강량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어 절첩식 테이블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중 테이블이 유동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절첩식 테이블의 안정적인 고정 설치로 인해 학습 효과 향상 및 주의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며, 나열된 절첩식 테이블들의 정렬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테이블의 접이상태 측면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테이블의 전개상태 측면 전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테이블의 브레이크 작동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테이블의 브레이크 작동부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테이블의 회전조정구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절첩식 테이블에 대한 접이상태 및 브레이크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절첩식 테이블에 대한 전개상태 및 브레이크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테이블의 회전조정구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테이블의 회전조정구 및 브레이크 로드 간 결합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테이블의 회전조정구 및 브레이크 로드 간 결합부를 보인 다른 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테이블의 회전조정구 및 브레이크 로드 간 결합부를 보인 또 다른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테이블의 접이상태 측면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테이블의 전개상태 측면 전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테이블의 브레이크 작동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테이블의 브레이크 작동부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테이블의 회전조정구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테이블은 전방에 양측으로 이격 배치된 수직형 테이블다리(10)와 수직형 테이블다리(10)의 후측에 좌,우 이격 배치된 절곡형 테이블다리(10')로 구성되어, 각기 수직형 테이블다리(10)와 절곡형 테이블다리(10') 한 쌍이 좌,우로 배치된 형태를 갖게 된다.
또한, 이들 수직형 테이블다리(10)와 절곡형 테이블다리(10') 한 쌍은 선단이 밀착된 상태로 별도 구비의 다리 고정구(20)에 의해 고정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다리 고정구(20)는 테이블다리(10)(10')를 감싸는 형태로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또한, 이들 양측으로 이격된 테이블다리(10)(10') 및 다리 고정구(20)의 상호 대향 측부에는 별도 구비의 상판 프레임(30)이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상판 프레임(30)은 다리 고정구(20)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이고, 양측으로 이격된 다리 고정구(20)의 내측면에 각기 결합 형성되는 것이며, 서로 이격 형성된 이들 상판 프레임(30) 상에 직사각 형태로 된 상판(31)이 고정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상판(31)은 상판 프레임(30)과 함께 다리 고정구(20)로부터 회전되면서 상판(31)의 수직 상태에 의한 테이블의 절첩 및 상판(31)의 수평 상태에 의한 테이블의 전개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다리 고정구(20)와 상판 프레임(30)의 사이에는 걸림레버(40)가 삽입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걸림레버(40)는 상기 다리 고정구(20)에 힌지 결합되어 스프링 등에 의해 탄력 계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걸림레버(40)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 개방 형태의 걸림홈(41)으로는 상기 상판 프레임(30)의 측부에 돌출 형성된 가압걸림핀(32)이 삽입 계지되면서 상호 간의 결합수단 및 고정수단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판(31)을 수평 상태로 회전 전개시키는 과정에서 상판 프레임(30)의 가압걸림핀(32)은 걸림레버(40)의 걸림홈(41)으로 탄력 계지되면서 상기의 상판(31)이 수평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의 걸림레버(40)를 수동 조작에 의해 회전시켜 가압걸림핀(32)이 걸림홈(41)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면 상기 수평 상태인 상판(31)은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될 것이므로 상기 걸림레버(40)를 이용하여 상판(31)의 수평 전개 및 수직 절첩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 수직형 테이블다리(10)의 내부에는 별도 구비의 브레이크 로드(50)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브레이크 로드(50)의 하단에는 브레이크 패드(51)가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브레이크 로드(50) 및 브레이크 패드(51)의 경우 상판(31)이 수직 절첩된 상태에서는 상승되어 있다가 상판(31)이 수평 상태로 전개되는 경우에는 상판 프레임(30)에 돌출 형성된 가압걸림핀(32)이 상기 브레이크 로드(50)의 선단을 눌러 브레이크 로드(50) 및 브레이크 패드(51)가 하강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 로드(50) 및 브레이크 패드(51)가 하강되면 브레이크 패드(51)의 하단면은 지면 혹은 바닥면에 맞닿으면서 하향 가압력에 의해 강력한 간섭 지지력을 유발하게 될 것이고, 이와 같은 상호 간섭 지지력은 수직형 테이블다리(10)의 하단에 결합된 캐스터(11)를 살짝 들어올리는 힘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므로 결국 상기의 절첩식 테이블은 브레이크 로드(50) 및 브레이크 패드(51)의 수직 지지력에 의해 안정적인 고정 설치 상태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대로 상기 걸림레버(40)를 회전시켜 걸림홈(41)으로부터 상판 프레임(30)의 가압걸림핀(32)이 빠지면서 상판(31)을 수직방향으로 절첩시키면, 상판 프레임(30)의 회전과 함께 가압걸림핀(32)이 상향 회전되면서 하강되어 있던 브레이크 로드(50) 및 브레이크 패드(51)에 작용하고 있는 가압력이 상실될 것이므로 지면으로부터 살짝 들떠 있던 수직형 테이블다리(10)의 캐스터(11)가 다시 지면 혹은 바닥면에 맞닿으면서 수직형 테이블다리(10)의 캐스터(11)와 절곡형 테이블다리(10')의 캐스터(11')를 통해 절첩식 테이블은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압걸림핀(32)에 의해 일정량 하강되는 브레이크 로드(50)의 하강량을 간편하게 조정함에 따라 지면 혹은 바닥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에도 절첩식 테이블을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수직형 테이블다이(10)의 선단을 통해 돌출되는 브레이크 로드(50)의 선단에 별도 구비의 회전고정구(6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회전고정구(60)는 브레이크 로드(50)로부터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 형성하게 된다.
이어, 상기 수직형 테이블다리(10)의 선단에 별도 구비의 스프링받침대(80)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탄발스프링(70)의 하단이 스프링받침대(80)의 안치홈(81) 상에 올려지도록 하고, 상기 스프링받침대(8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82)을 통해 상향 돌출된 브레이크 로드(50)의 선단에 회전조정구(60)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상기 탄발스프링(70)은 압축된 상태를 갖게 된다.
여기서 상기의 회전조정구(60)는 브레이크 로드(50)의 선단으로부터 자유 회전될 수 있는 결합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고, 회전조정구(60)의 선단 상면에는 나선경사면(61)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결국 회전조정구(60)의 상면은 평평한 상태가 아닌 회전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는 나선경사면(61)에 의해 이루어져 있어 상기 회전조정구(60)의 상면에 밀착되어 이를 하강시키는 가압걸림핀(32)과의 대응 하강량에 대한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가장 낮은 위치의 나선경사면(61)에 가압걸림핀(32)이 위치된 상태에서 가압걸림핀(32)의 회전 및 회전조정구(60)를 포함한 브레이크 로드(50)의 하강시 브레이크 패드(51)의 하강량이 충분하지 못하여 지면 혹은 바닥면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밀착 지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회전조정구(60)를 회전시켜 가압걸림핀(32)과의 간섭부가 나선경사면(61) 중 높은 부분에 위치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회전조정구(60)는 가압걸림핀(32)과의 간섭부 차이에서 발생하는 상호 높이 차이만큼 더 하강될 수 있으므로 결국 브레이크 패드(51) 역시 더 하강하면서 불규칙한 지면 혹은 바닥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일반적으로 평평한 상태의 지면 혹은 바닥면인 경우 상기 나선경사면(61) 중 중간 부분에 가압걸림핀(32)이 접촉되어 브레이크 패드(51)의 하강으로 인해 절첩식 테이블이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면, 상기 브레이크 패드(51)의 하강 지점이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나선경사면(61) 중 낮은 지점과 가압걸림핀(32)이 접촉될 수 있도록 하여, 절첩식 테이블의 앞쪽이 과도하게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고, 브레이크 패드(51)의 하강 지점이 움푹 패인 경우에는 나선경사면(61) 중 높은 지점에 가압걸림핀(32)이 접촉될 수 있도록 회전조정구(60)를 임의 회전시켜 브레이크 패드(51)가 더욱 깊게 하강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불규칙한 바닥면에도 절첩식 테이블이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탄발스프링(70)의 반발력에 의해 회전조정구(60)를 지속적으로 밀어올리려는 힘을 제공하게 될 것이므로 결국,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브레이크 로드(50)와 브레이크 패드(51)는 상판(31)이 수직 방향으로 절첩된 상태에서는 상측으로 올라간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인데, 탄발스프링(70)의 반력에 의해 상승되려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51)는 수직형 테이블다리(10)에 결합된 캐스터(11) 일측과 간섭되면서 일정 수준으로만 상승된 상태를 갖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판(31)을 수평으로 회전 전개시키게 되면 상기 상판(31)과 함께 상판 프레임(30)이 회전을 하게 될 것이고, 상기 상판 프레임(30)의 가압걸림핀(32)은 회전 과정에서 회전조정구(60)의 선단과 간섭을 일으킬 것이다.
이어, 상판 프레임(30)의 지속적인 회전에 따라 가압걸림핀(32)은 회전조정구(60)를 가압하게 되면서 브레이크 로드(50) 및 브레이크 패드(51)는 하강을 시작하게 될 것이고, 가압걸림핀(32)이 걸림레버(40)의 걸림홈(41)으로 탄력 삽입되는 순간 상기 브레이크 로드(50) 및 브레이크 패드(51)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될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51)의 저면은 캐스터(11)의 하단보다 약간 더 하강하여 상기 캐스터(11)는 들어올리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테이블다리(10)에 대한 지지 고정 상태가 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 패드(51)의 하강량은 가압걸림핀(32)에 의한 회전조정구(60)의 하강량과 동일한 것으로, 상기 회전조정구(60)를 브레이크 로드(50)로부터 임의 회전시켜 가압걸림핀(32)과 맞닿게 되는 회전조정구(60) 선단의 나선경사면(61)의 위치를 조정시킴에 따라 상기 회전조정구(60)에 대한 하강량이 가감되면서 결국 브레이크 패드(51)의 하강량 변화로 인해 지면과의 안정적인 간섭 및 지지력을 얻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판(31)을 회전 전개시킨 상태에서 테이블 혹은 수직형 테이블다리(10)가 과도하게 들려 있는 경우 상기 회전조정구(60)를 손으로 회전시켜 낮은 위치의 나선경사면(61)에 가압걸림핀(32)이 위치되도록 함에 따라 상판(31)을 평평하게 조정 및 절첩식 테이블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고, 바닥 및 지면이 불규칙하여 절첩식 테이블이 고정 설치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는 회전조정구(60)를 손으로 회전시켜 나선경사면(61) 중 가장 높은 부분에 가압걸림핀(32)이 위치되도록 함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51)를 더욱 하강시켜 불규칙한 지면 및 바닥면에 가압 지지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사용자는 나선경사면(61)을 갖는 회전조정구(60)를 단순히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브레이크 패드(51)에 대한 하강량의 조정이 가능하므로 지면 혹은 바닥면의 상태에 따라 상기 회전조정구(60)를 간편하게 회전시켜 절첩식 테이블이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조정구(60)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상기 나선경사면(61) 상에 평면상 방사상으로 배치된 핀안치홈(62)(62')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가압걸림핀(32)의 하측이 핀안치홈(62)(62')으로 순차적인 계지 상태를 연출하도록 한 것으로, 단순 나선경사면(61)으로 인해 가압걸림핀(32)과의 슬립 회전이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의 핀안치홈(62)(62')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조정구(60)가 충격 및 진동으로부터도 임의 회전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어, 도 9의 경우 상기 브레이크 로드(50)와 회전조정구(60)의 회전 결합구조를 보인 것으로, 상기 회전조정구(60)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로드삽입공(63)을 형성하되, 상기 로드삽입공(63)의 내면에는 끼움걸림턱(64)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브레이크 로드(50)의 선단에는 상기 끼움걸림턱(64)이 삽입되는 끼움홈(52)을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의 끼움걸림턱(64)은 브레이크 로드(50)에 비하여 연질이거나 탄력적인 소재로 구성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이붙이 와셔와 같이 간헐 돌출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회전조정구(60)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브레이크 로드(50)를 강력하게 밀어올리면 브레이크 로드(50)의 끼움홈(52)으로 상기 회전조정구(60)의 끼움걸림턱(64)이 순간적으로 끼워지면서 상호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회전조정구(60)는 브레이크 로드(50)로부터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결합 구조로부터 상기 회전조정구(60)를 임의 회전시키게 되면 가압걸림핀(32)과 맞닿는 상단의 나선경사면(61)에 대한 위치가 가변되면서 결국 회전조정구(60)를 포함하고 있는 브레이크 로드(50)의 하강량이 조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도 10의 도시와 같이 회전조정구(60)에 수직의 로드삽입공(63)을 형성한 상태에서 로드삽입공(63) 내에 축소 내경으로 된 끼움걸림턱(64)을 형성한 후, 상기 브레이크 로드(50)의 선단에는 상기 끼움걸림턱(64)으로 삽입되게 한 결합돌부(53)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끼움걸림턱(64)을 관통하여 상향 돌출된 결합돌부(53) 상에 별도 구비의 체결와셔(54)를 밀착 및 고정볼트(55)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와셔(54)와 결합돌부(53)를 서로 견고하게 밀착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회전조정구(60)는 브레이크 로드(50)로부터 자유 회전이 가능한 결합 상태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 로드(50)의 결합돌부(53) 돌출 높이는 끼움걸림턱(64)의 두께보다 근소한 차이로 높게 형성하여 체결와셔(54)의 결합시 끼움걸림턱(64)의 눌림 현상으로 인한 회전조정구(60)의 자유 회전이 방해되지 않도록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브레이크 패드(51)와 지면과의 과도한 간섭 혹은 미약한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회전조정구(60)의 임의 회전을 통해 브레이크 로드(50)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51)의 승,하강을 유도하여 안정적이고 견고한 상태로 절첩식 테이블이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조정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조정구(60)를 도 11의 도시와 같이 가압걸림핀(32)과 간섭되는 상부체(65)와 브레이크 로드(50)와 결합되는 하부체(66)로 분할 형성하고, 이들 상부체(65)와 하부체(66)를 서로 나사 결합 형성함에 따라 상부체(65) 혹은 하부체(66)의 회전에 따라 상부체(65) 상단의 높낮이가 조정될 수 있는 것으로, 브레이크 패드(51)의 높낮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와 같이 상부체(65) 혹은 하부체(66)를 회전시켜 강제로 브레이크 로드(50) 및 브레이크 패드(51)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가장 최선의 형태로 절첩식 테이블이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브레이크 조정구조를 갖는 절첩식 테이블은 사용자 혹은 설치자가 설치 현장의 지면 혹은 바닥면의 상태에 따라 회전조정구(60)를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설치 위치의 지면 혹은 바닥면에 브레이크 패드(51)가 안정적으로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어 절첩식 테이블이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10' : 테이블다리 11,11' : 캐스터
20 : 다리 고정구
30 : 상판 프레임 31 : 상판
32 : 가압걸림핀
40 : 걸림레버 41 : 걸림홈
50 : 브레이크 로드 51 : 브레이크 패드
52 : 끼움홈 53 : 결합돌부
54 : 체결와셔 55 : 고정볼트
60 : 회전조정구 61 : 나선경사면
62,62' : 핀안치홈 63 : 로드삽입공
64 : 끼움걸림턱 65 : 상부체
66 : 하부체
70 : 탄발스프링
80 : 스프링받침대 81 : 안치홈
82 : 관통공

Claims (7)

  1. 하단에 캐스터(11)(11')가 각기 장착된 앞쪽의 수직형 테이블다리(10)와 뒷쪽의 절곡형 테이블다리(10')가 선단의 다리 고정구(20)에 결합된 상태로 좌,우 이격 배치되고, 상기 다리 고정구(20)에 힌지 결합되고 상측에는 상판(31)이 결합되어 상기 다리 고정구(20)로부터 회전되게 한 상판 프레임(30)을 구비하며, 상기 다리 고정구(20)의 일측에는 걸림홈(41)을 갖는 걸림레버(40)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상판 프레임(30)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41)으로 삽입되는 가압걸림핀(32)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직형 테이블다리(10)의 내부에는 상기 가압걸림핀(32)과 선단이 간섭되는 브레이크 로드(50)가 삽입되어 상기 가압걸림핀(32)의 가압에 의해 하강되는 브레이크 로드(50) 하단의 브레이크 패드(51)가 설치 바닥면에 가압 상태로 맞닿도록 구성하고, 상기 브레이크 로드(50)의 선단에는 눌러지는 가압걸림핀(32)과 간섭 접촉됨과 더불어 나선경사면(61)을 갖는 회전조정구(60)를 자유 회전이 가능토록 결합 형성하여 회전조정구(60)의 회전에 의해 가압걸림핀(32)과 나선경사면(61) 간의 간섭 위치가 가변되면서 브레이크 로드(50)와 브레이크 패드(51)의 하강량이 조정되도록 하며, 상기 회전조정구(60) 하단과 수직형 테이블다리(10) 선단의 사이에는 브레이크 로드(50)에 삽입되는 탄발스프링(70)을 구성토록 한 절첩식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정구(60)의 나선경사면(61) 상에는 방사상의 핀안치홈(62)(62')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조정구(60)가 가압걸림핀(32)과의 간섭시 임의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조정구조가 적용된 절첩식 테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정구(60)에 수직의 로드삽입공(63)을 형성하고 로드삽입공(63)의 내면에는 끼움걸림턱(64)을 돌출 형성하며, 상기 로드삽입공(63)으로 끼워지는 브레이크 로드(50)의 선단에는 상기 끼움걸림턱(64)이 삽입 계지되게 한 끼움홈(52)을 형성하여, 상기 끼움홈(52)에 대한 끼움걸림턱(64)의 강제 결합에 의해 상기 회전조정구(60)가 브레이크 로드(50)에 대하여 자유 회전 상태로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조정구조가 적용된 절첩식 테이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정구(60)에 수직의 로드삽입공(63)을 형성하고 로드삽입공(63)의 내면에는 로드삽입공(63)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된 끼움걸림턱(64)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조정구(60)의 하측으로부터 브레이크 로드(50)를 삽입 형성하되,
    상기 브레이크 로드(50)의 선단에는 상기 끼움걸림턱(64)의 두께보다 높은 상태로 돌출되는 결합돌부(53)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돌부(53)가 끼움걸림턱(64)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하고, 상기 결합돌부(53)의 상면에는 체결와셔(54)가 고정볼트(55)에 의해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조정구조가 적용된 절첩식 테이블.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74692A 2017-06-14 2017-06-14 브레이크 조정구조가 적용된 절첩식 테이블 KR101792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692A KR101792635B1 (ko) 2017-06-14 2017-06-14 브레이크 조정구조가 적용된 절첩식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692A KR101792635B1 (ko) 2017-06-14 2017-06-14 브레이크 조정구조가 적용된 절첩식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2635B1 true KR101792635B1 (ko) 2017-11-20

Family

ID=60809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692A KR101792635B1 (ko) 2017-06-14 2017-06-14 브레이크 조정구조가 적용된 절첩식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6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349B1 (ko) 2019-04-02 2019-06-26 성용기업 주식회사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
KR102004868B1 (ko) * 2019-03-11 2019-07-29 (주)아모스아인스가구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절곡 프레임형 절첩식 테이블
KR101980531B1 (ko) 2019-02-25 2019-08-28 성용기업 주식회사 접이식 테이블
KR20200141269A (ko) 2019-06-10 2020-12-18 성용기업 주식회사 실린더가 내장된 접이식 테이블용 폴딩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529B1 (ko) * 2006-03-16 2006-12-04 명 수 이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529B1 (ko) * 2006-03-16 2006-12-04 명 수 이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531B1 (ko) 2019-02-25 2019-08-28 성용기업 주식회사 접이식 테이블
KR102004868B1 (ko) * 2019-03-11 2019-07-29 (주)아모스아인스가구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절곡 프레임형 절첩식 테이블
KR101993349B1 (ko) 2019-04-02 2019-06-26 성용기업 주식회사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
KR20200141269A (ko) 2019-06-10 2020-12-18 성용기업 주식회사 실린더가 내장된 접이식 테이블용 폴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635B1 (ko) 브레이크 조정구조가 적용된 절첩식 테이블
KR101704526B1 (ko) 내진용 조절발
KR20050079949A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CN101505633B (zh) 家具腿调节装置
CN210276524U (zh) 一种座椅锁定控制机构、座椅锁定控制装置及座椅
KR101557992B1 (ko) 직선주행이 개선된 가구용 캐스터
KR100361156B1 (ko)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받침
CA2827667C (en) Furniture levelling device
KR20090022550A (ko) 스프링 탄설된 회전구를 갖는 의자용 지지각 장착구
KR102004866B1 (ko)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수직 지주형 절첩식 테이블
KR200386551Y1 (ko) 책상 높낮이 조절장치
KR101913665B1 (ko) 가구용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KR102340582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20200082645A (ko) 어린이 보호를 위한 의자용 캐스터
KR102112718B1 (ko) 케스터 일체형 높이 조절 받침구
KR102004868B1 (ko)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절곡 프레임형 절첩식 테이블
KR101806274B1 (ko) 회전식 벤치가 구비된 퍼걸러
KR100666507B1 (ko) 높이 조절장치
KR20220040595A (ko) 의자용 회동쿠션바퀴장치
CN216569101U (zh) 高度可调节的挂墙座椅
KR200342094Y1 (ko) 학생용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KR200463183Y1 (ko) 높이가 조절되는 책상
JPH079601U (ja) 幼児用椅子等の車輪の制動機構
KR20060000020U (ko) 바퀴가 구비된 기능성 의자
KR200222333Y1 (ko) 책상 및 의자의 높낮이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