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529B1 -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 - Google Patents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529B1
KR100652529B1 KR1020060024200A KR20060024200A KR100652529B1 KR 100652529 B1 KR100652529 B1 KR 100652529B1 KR 1020060024200 A KR1020060024200 A KR 1020060024200A KR 20060024200 A KR20060024200 A KR 20060024200A KR 100652529 B1 KR100652529 B1 KR 100652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assembly
caster
brake ro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 수 이
Original Assignee
명 수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 수 이 filed Critical 명 수 이
Priority to KR1020060024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 B65D85/67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18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of polygon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3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lled ou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절첩식 테이블에 사용되는 캐스터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브레이크 레버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쉽게 파손되어 브레이크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판을 절첩함에 따라 브레이크가 작동 및 해제되도록 한 절첩식 테이블이 있으나 이는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며 원가상승을 초래하게 될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브레이크 패드와 테이블 후방다리에 결합된 캐스터 조립체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테이블이 쉽게 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파이프형 테이블 다리의 하단에 결합되는 캐스터 조립체와 파이프형 다리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브레이크 로드 및 이 브레이크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는 브레이크 패드로 브레이크 장치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브레이크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절첩식 테이블이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하고, 바닥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에도 절첩식 테이블이 흔들리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Caster assembly and collapsible tabl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캐스터 조립체의 제1 실시예를 보인 부분 종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캐스터 조립체의 제2 실시예를 보인 다리 하단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의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캐스터 조립체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종단면도,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테이블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테이블의 상판이 생략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테이블의 상판 조립체가 접힌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테이블의 상판 조립체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9 및 도 10은 브레이크 수단의 하단부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브레이크 로드의 상단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12는 상판멈춤수단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13은 상판 프레임과 선반 및 완충스프링의 설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테이블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4는 절첩식 테이블의 상판 조립체가 접힌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5는 절첩식 테이블의 상판 조립체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6은 브레이크 로드와 높이조절나사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17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테이블의 제3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7은 절첩식 테이블의 상판이 생략된 사시도,
도 18은 절첩식 테이블의 상판 조립체가 접힌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9는 절첩식 테이블의 상판 조립체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0 및 도 21은 누름부재와 눌림편을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200,300 : 캐스터 조립체 110,210 :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
120,220,310 : 캐스터 프레임 130,230,320 : 바퀴
122,216,312 : 브레이크 로드 승강 안내통로
500 : 다리 조립체 510,520 : 테이블 전후방다리
600 : 상판 조립체 610 : 상판 프레임
710 : 멈춤레버 720 : 멈춤핀
730 : 토션스프링 810 : 브레이크 로드
820 :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 830 : 복원스프링
840 : 높이조절나사 850 : 누름부재
860 : 눌림편
본 발명은 상판을 펼치거나 접어서 사용하는 절첩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블 전체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판을 펼쳐서 사용할 때 테이블의 확실한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의실이나 강의실 또는 식당 등에서는 좌석의 개수와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4개의 다리 하단에 캐스터(caster)가 달린 절첩식 테이블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절첩식 테이블은 좌석 배치 시에는 캐스터에 의하여 손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좌석의 배치가 완료된 후에는 캐스터가 구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달린 캐스터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브레이크 달린 캐스터는 다리 하단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캐스터 프레임과, 이 바퀴 프레임의 양측에 수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와, 캐스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양측 바퀴를 제동하거나 제동해제하기 위한 브레이크 레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브레이크 달린 캐스터는 브레이크를 작동 및 해제하기 위해서는 허리를 굽혀서 손으로 조작하므로 그 조작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허리를 굽히는 것을 귀찮게 생각하여 발로 조작하고 있는 바, 브레이크 레버가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파손되어 제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출원인)는 등록특허 0317721호와 같은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받침을 개발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의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받침은 양측 하단의 받침부재 전후부에 설치된 전후방측 이동바퀴 사이에서 전방측 이동바퀴측으로 편위된 위치에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으로, 스토퍼를 승강 작동시키기 위해서 기둥의 내부에서 보드의 절첩에 따라 승강하는 작동링크와, 받침부재에 중간부가 지지되어 상하 회동되는 승강부재 등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원가상승 및 조립생산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토퍼와 작동링크, 승강부재 등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전후방 다리를 연결하는 받침부재가 반드시 필요하게 되므로 그 만큼 원가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토퍼를 하강시켰을 경우 전방측 이동바퀴가 바닥면에서 들리게 되는 데, 스토퍼에 의해 지지점이 받침부재의 전방측 이동바퀴에서 후방측으로 상당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기 때문에 바닥면에서 여러 개의 절첩식 테이블을 전후 좌우로 배치하였을 때 앞쪽의 절첩식 테이블의 사용자가 이동시 뒤쪽의 절첩식 테이블의 전방측 이동바퀴를 밟게 될 경우 테이블 전체가 앞쪽으로 넘어지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며, 원가절감과 조립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으면서도 테이블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테이블이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한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닥이 고르지 않은 경우에도 별도의 종이나 나무 등으로 고이지 않고 자체적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절첩식 테이블의 사용이 보다 편리하게 되도록 한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브레이크 로드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며 대략 수직형으로 설치되는 파이프형 테이블 다리의 하단에 겉으로 씌워진 상태로 고정 결합되는 다리연결관부와, 이 다리연결관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파이프형 테이블 다리의 내부와 연통되는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공을 가지는 받침판부와, 상기 다리연결관부와 받침판부의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테이블 다리가 삽입되는 테이블 다리 삽입공간과, 상기 받침판부의 하면에서 다리연결관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내부에 상기 브레이크 로드가 승강 안내되는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통로가 형성되는 수평회전 지지축부로 구성되는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와; 상기 수평회전 지지축부가 삽입되는 축공을 가지는 원통축과, 이 원통축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퀴지지부로 구성되는 캐스터 프레임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의 양측에 수직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캐스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략 수직형으로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파이프형 전방 테이블 다리와 절곡형으로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파이프형 후방 테이블 다리가 그 상단은 서로 근접하며, 하단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되는 다리 조립체와; 상기 다리 조립체의 상단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판 조립체와; 상기 상판 조립체가 펼쳐졌을 때 상판 조립체가 임의로 접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상판멈춤수단과; 상기 파이프형 테이블 다리의 하단에 겉으로 씌워진 상태로 고정 결합되는 다리연결관부와, 이 다리연결관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파이프형 테이블 다리의 내부와 연통되는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공을 가지는 받침판부와, 상기 다리연결관부와 받침판부의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전방 테이블 다리가 삽입되는 테이블 다리 삽입공간과, 상기 받침판부의 하면에서 다리연결관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내부에 상기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통로가 형성되는 수평회전 지지축부로 구성되는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와, 상기 캐스터 프레임은 상기 수평회전 지지축부가 삽입되는 축공을 가지는 원통축과, 이 원통축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퀴지지부로 구성되는 캐스터 프레임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의 양측에 수직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를 가지는 전방 캐스터 조립체와; 상기 다리 조립체의 후방 테이블 다리가 하단에 결합되는 후방 캐스터 조립체와; 상기 전방 테이블 다리의 내부와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통로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판 조립체의 절첩작동에 따라 승강하는 브레이크 로드와; 상기 브레이크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는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 및; 상기 브레이크 로드를 상기 브레이크 해제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첩식 테이블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을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캐스터 조립체의 제1 실시예를 보인 부분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캐스터 조립체(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형 테이블 다리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110)와; 상기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통로(122)가 형성된 캐스터 프레임(120)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120)의 양측에 수직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110)는 크롬 도금된 강철재로 형성되며, 캐스터 프레임(120)과 바퀴(130)는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상기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110)는 테이블 다리의 하단에 결합되는 다리연결관부(111)와, 이 다리연결관부(11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공(113)을 가지는 받침판부(112)와, 상기 다리연결관부(111)와 받침판부(112)의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테이블 다리가 삽입되는 테이블 다리 삽입공간(114)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리연결관부(111)의 일측에는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110)를 테이블 다리에 연결하기 위한 리벳공(115)이 형성된다.
상기 캐스터 프레임(120)은 테이블 다리에 대하여 동축상으로 배치되며 중심부에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통로(122)를 가지는 원통축(121)과, 상기 원통축(12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퀴지지부(123)로 구성된다.
상기 원통축(121)의 상면은 테이블에 조립되었을 때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110)의 받침판부(112)의 하면에 받혀지게 되고, 원통축(121)의 하면은 브레이크 패드(후술함)의 상면에 받혀지게 되어 캐스터 프레임(110)이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조립된다.
상기 바퀴(130)는 상기 캐스터 프레임(120)의 바퀴지지부(123)에 바퀴축(131)으로 수직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캐스터 조립체(100)는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110)가 파이프형 다리 하단에 직접 결합되고, 상기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110)의 받침판부(112)에 형성된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공(113)과 캐스터 프레임(120)의 원통축(121)에 형성된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통로(122)를 통해 승강하는 브레이크 로드(후술함)와 이 브레이크 로드 하단에 결합되는 브레이크 패드(후술함)만으로 브레이크 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게 되고, 조립생산성이 향상되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캐스터 프레임(120)에 결합된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110)가 파이프형 테이블 다리 하단에 직접 결합되기 때문에 전후방 다리를 연결하는 받침부재가 필요 없게 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통로(122)가 바퀴(130)의 회전중심에 최대한으로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와 테이블 후방다리에 결합된 캐스터 조립체 사이의 거리가 테이블 상기 바퀴(130)와 테이블 후방다리에 결합된 캐스터 조립체 사이의 거리와 거의 근사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테 이블이 쉽게 넘어지는 일이 없게 되며, 또한 캐스터 조립체를 이용하여 절첩식 테이블을 구성하여 여러 개의 절첩식 테이블을 전후좌우로 배치한 상태에서 앞쪽의 절첩식 테이블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뒤쪽의 절첩식 테이블의 전방측 바퀴를 밟을 경우에도 절첩식 테이블의 쉽게 넘어지는 일이 없게 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캐스터 조립체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다리 하단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캐스터 조립체(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형 테이블 다리[후술하는 테이블 전방다리(510) 참조]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210)와; 상기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210)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캐스터 프레임(220)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220)의 양측에 수직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210)는 크롬 도금된 철재로 형성되며, 캐스터 프레임(220)과 바퀴(230)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된다.
상기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210)는 테이블 다리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다리연결관부(211)와, 이 다리연결관부(21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테이블 전방다리(510)의 내부와 연통되는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공(213)을 가지는 받침판부(212)와, 상기 다리연결관부(111)와 받침판부(212)의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테이블 전방다리가 삽입되는 테이블 다리 삽입공간(214)과, 상기 받침판부(212)의 하면에서 다리연결관부(21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공(213)과 연통되는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통로(216) 를 가지는 수평회전 지지축부(215)로 구성된다.
상기 다리연결관부(211)의 일측에는 테이블 다리에 결합하기 위한 리벳이 삽입되는 리벳공(217)이 형성된다.
상기 캐스터 프레임(220)은 상기 수평회전 지지축부(215)가 삽입되는 축공(222)을 가지는 원통축(221)과, 이 원통축(22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퀴지지부(2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원통축(221)의 외경은 다리연결관부(211)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축(221)의 상단면은 상기 다리연결관부(211)의 받침판부(212)에 마찰접촉되는 상태로 된다.
상기 바퀴(230)는 상기 캐스터 프레임(220)의 바퀴지지부(223)에 바퀴축(231)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평회전 지지축부(215)는 그 하단이 상기 캐스터 프레임(220)의 원통축(221) 하단보다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돌출단부에는 수평회전 지지축부(215)가 원통축(221)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회전 지지축부(215)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용 링홈(251)과, 이 링홈(251)에 끼워지며 원통축(221)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스톱링(252)으로 구성하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회전 지지축부(215)의 하단 돌출부에 형성되는 코킹부(253)로 구성 할 수 있다.
상기 스톱링(252)으로서는 통상적인 C링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캐스터 조립체는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210)의 다리연결관부(211)가 파이프형 테이블 다리 하단에 직접 결합되고, 캐스터 프레임(220)이 수평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210)의 수평회전 지지축부(215)에 형성된 브레이크 로드 안내통로(216)를 통해 승강하는 브레이크 로드[후술하는 브레이크 로드(810) 참조]와 이 브레이크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는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후술하는 브레이크 로드(820) 참조]만으로 브레이크 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게 되고, 조립생산성이 향상되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캐스터 프레임(220)에 결합된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210)가 파이프형 테이블 다리 하단에 직접 결합되는 다리연결관부(211)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전후방 다리를 연결하는 받침부재가 필요 없게 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레이크 로드 안내통로(216)가 바퀴(230)의 회전중심에 최대한으로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와 테이블 후방다리에 결합된 캐스터 조립체 사이의 거리가 테이블 상기 바퀴(230)와 테이블 후방다리에 결합된 캐스터 조립체 사이의 거리와 거의 근사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테이블이 쉽게 넘어지는 일이 없게 되며, 또한 캐스터 조립체를 이용하여 절첩식 테이블을 구성하여 여러 개의 절첩식 테이블을 전후좌우로 배치한 상태에서 앞쪽의 절첩식 테이블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뒤쪽의 절첩식 테이블의 전방측 바퀴를 밟을 경우에도 절첩식 테이블의 쉽게 넘어지는 일이 없게 된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제2 실시예에 의한 캐스터 조립체의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의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210)를 구성하는 다리연결관부(211)와 수평회전 지지축부(215)를 분리형으로 형성하고, 다리연결관부(211)의 받침판부(212)에 형성된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공(213)에 수평회전 지지축부(215)의 상단에 축소된 직경으로 형성된 결합부(218)를 삽입하고 코킹부(219)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다리연결관부(211)와 수평회전 지지축부(215)를 결합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예에서는 다리연결관부(211)와 수평회전 지지축부(215)를 코킹부(219)에 의해 결합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용접이나 기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결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캐스터 조립체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캐스터 조립체(300)는 파이프형 테이블 다리의 하단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통로(312)가 형성된 캐스터 프레임(310)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310)의 양측에 수직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스터 프레임(310)은 파이프형 테이블 다리에 대하여 동축상으로 배치 되며, 중심부에 상기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통로(312)를 가지는 원통축(311)과, 상기 원통축(31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퀴지지부(313)로 구성된다.
상기 바퀴(320)는 상기 바퀴지지부(313)에 바퀴축(321)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원통축(311)을 전방측 테이블 다리(510)의 하단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원통축(311)의 상단과 전방측 테이블 다리(510)의 하단부 사이에는 래디얼형 축받이(330)가 구비된다.
상기 래디얼형 축받이(330)는 원통축(310)의 상단부 외주면과 테이블 전방다리(5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반원형 단면의 링형 홈(331,332)과, 이들 링형 홈(331,332)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볼(3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링형 홈(331,332) 사이에 대한 복수개의 볼(333)의 삽입은 링형 홈(332)이 형성되는 테이블 전방다리(510)의 외주면에 구멍을 뚫고 이 구멍을 통해 복수개의 볼(333)을 삽입한 후 그 구멍을 막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볼(333)을 대신하여 강선(鋼線)을 상기 구멍을 통해 말아 넣을 수도 있다.
도면에서 810은 브레이크 로드이고, 820은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이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 의한 캐스터 조립체(300)는 캐스터 프레임(310)을 구성하는 원통축(311)이 테이블 전방다리(510)의 하단에 직접 수평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원통축(311)에 형성된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통로(312)를 통해 승강하는 브레이크 로드(810)와 이 브레이크 로드(810)의 하단에 결합되는 브레이크 패드 조립 체(820)만으로 브레이크 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게 되고, 조립생산성이 향상되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테이블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테이블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테이블의 상판이 생략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테이블의 상판 조립체가 접힌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테이블의 상판 조립체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9 및 도 10은 브레이크 수단의 하단부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브레이크 로드의 상단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12는 상판멈춤수단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13은 상판 프레임과 선반 및 완충스프링의 설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6 내지 도 8, 도 11 내지 도 13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의 캐스터 조립체(100,200,300)의 어느 것을 채용한 모든 경우의 공통적인 구조를 보인 것이며, 도 9 및 도 10은 상술한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캐스터 조립체(200)를 적용한 구조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절첩식 테이블은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은 서로 근접하며 하단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되는 좌우 각 한 쌍씩의 테이블 전후방다리(510,520)를 가지는 다리 조립체(500)와; 이 다리 조립체(500)의 상단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판 조립체(600)와, 상기 상판 조립체(600)가 펼쳐졌을 때 상판 조립체가 임의로 접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상판멈춤수단과, 상기 테 이블 전방다리(5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전방 캐스터 조립체와; 테이블 후방다리(520)의 하단에 결합되는 후방 캐스터 조립체(400) 및; 상기 상판 조립체(600)의 절첩작동에 따라 브레이크 작동과 브레이크 해제작동하는 브레이크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테이블 전후방다리(510,520)의 상단은 다리상단연결부재(53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테이블 전후방다리(510,520)가 상단에서 서로 근접하고 하단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테이블 전방다리(510)는 수직형으로 형성하고, 테이블 후방다리(520)는 대략 "ㄴ"자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다리 조립체(500)의 상단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판 조립체(600)의 하중이 후방으로 편중되기 때문에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테이블 전방다리(510)는 하단 수직부(511)와, 이 하단 수직부(511)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후방 경사부(512)로 형성하고, 테이블 후방다리(520)는 하단 수직부(521)와, 이 수직부(521)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완만하게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전방 경사부(522) 및, 이 전방 경사부(522)의 선단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후방 경사부(512)와 평행을 이루는 후방 경사부(523)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리상단연결부재(530)는 테이블 전후방다리(510,520)의 상단, 즉 후방경사부(512,523)를 나사(531) 또는 용접에 의해 연결하는 것으로, 단순히 판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후방측에서 테이블 전후방다리(510,520)를 감쌀 수 있는 "U"자형 단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 조립체(600)는 상기 다리 조립체(500)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회동부재(611)와 이들 좌우 한 쌍의 회동부재(611)를 연결하는 전후 한 쌍의 연결부재(612)에 의하여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상판 프레임(610)과, 상기 상판 프레임(610)의 회동부재(611)에 부착되는 상판(6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 조립체(600)를 다리 조립체(500)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다리 조립체(500)의 상단에 고정되는 회동지지편(631)과, 이 회동지지편(631)에 대하여 상판 조립체(60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핀(632)을 구비한다.
상기 회동지지편(661)은 상기 테이블 전후방다리(510,520)의 상단, 즉 후방 경사부(512,523)를 연결하는 다리상단연결부재(530)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핀(632)은 회동지지편(631)의 상단을 관통하여 상판 프레임(610)을 구성하는 회동부재(611)에 고정된다.
상기 상판멈춤수단은 상기 다리 조립체(500)의 상단에 그 하단이 힌지핀(71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크부(711)와, 이 후크부(711)의 중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멈춤해제손잡이(712)를 가지는 멈춤레버(710)와; 상기 후크부(711)에 대응하여 상기 상판 프레임(610)을 구성하는 회동부재(611)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는 멈춤핀(7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멈춤수단은 상기 멈춤레버(710)를 상시 멈춤핀(720)이 걸릴 수 있는 위치로 탄력지지하는 토션스프링(73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션스프링(730)은 상기 힌지핀(713)에 감기는 코일부(731)와, 이 코일 부(73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멈춤레버(720)에 걸리는 제1 연장부(732) 및 상기 코일부(731)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다리 조립체(500)의 다리상단연결부재(530)에 걸리는 제2 연장부(733)로 구성된다.
도시예에서는 제1 연장부(732)는 멈춤해제손잡이(712)에 걸쳐지고, 제2 연장부(733)는 다리상단연결부재(530)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져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멈춤레버(710)의 후크부(711)가 토션스프링(730)에 의해 항상 멈춤핀(720)에 걸릴 수 있는 위치로 탄력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무방하다.
상기 멈춤레버(710)는 좌우측에 구비되며, 이들 좌우측 멈춤레버(710)는 연결축(740)에 의하여 연결되어 연동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캐스터 조립체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캐스터 조립체들을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캐스터 조립체로서 도 1에 도시한 캐스터 조립체(100)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테이블 전방다리(510)의 하단을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110)의 다리연결관부(111)에 삽입하고, 리벳공(115)에 리벳을 박아서 테이블 전방다리(510)에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110)를 고정 결합하고, 그 하부에 캐스터 프레임(120)의 원통축(121) 상단이 받침판부(112)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킨 다음 추후 후술하는 브레이크 로드(81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캐스터 프레임(110)이 브레이크 로드(810)를 중심으로 수평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하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캐스터 조립체(200)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테이블 전방다리(510)의 하단을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 (210)의 다리연결관부(211)에 삽입하고, 리벳공(217)에 리벳(미도시)을 삽입하여 테이블 전방다리(510)에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210)를 결합하고, 도 5에 도시한 캐스터 조립체(300)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캐스터 조립체(310)의 원통축(311)의 상단을 테이블 전방다리(510)의 하단에 삽입함과 아울러 테이블 전방다리(510)에 형성된 링형 홈(332)의 외주면에 형성된 구멍(미도시)을 통해 복수개의 볼(333)을 삽입하여 래디얼형 축받이(330)를 형성함으로써 캐스터 조립체(300)를 테이블 전방다리(510)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도 5에 도시한 캐스터 조립체(300)를 테이블 전방다리(510)에 결합함에 있어서는 상기 볼(333)을 사용하지 않고 강선을 말아 넣을 수도 있다.
상기 후방 캐스터 조립체는 통상적인 캐스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테이블 후방다리(520)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410)와; 상기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410)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캐스터 프레임(420)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420)의 양측에 수직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방 캐스터 조립체(400)는 통상적인 브레이크 없는 캐스터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다리 조립체(500)의 파이프형 테이블 전방다리(5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판 조립체(600)의 절첩작동에 따라 승강하는 브레이크 로드(810)와, 상기 브레이크 로드(810)의 하단에 결합되는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8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레이크 로드(810)는 그 상단은 테이블 전방다리(510)의 상단에서 돌출되고, 그 하단은, 테이블 전방다리(510)의 하단에 도 1의 캐스터 조립체(100)가 결합된 경우에는 캐스터 프레임(120)의 원통축(121)에 형성된 승강안내통로(122)를 통해, 테이블 전방다리(510)에 도 2 내지 도 4의 캐스터 조립체(200)가 결합된 경우에는 수평회전 지지축부(215)에 형성된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통로(216)를 통해, 테이블 전방다리(510)에 도 5의 캐스터 조립체(300)가 결합된 경우에는 캐스터 프레임(310)의 원통축(311)에 형성된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통로(312)를 통해 각각의 캐스터 조립체(100,200,300)의 하단에서 돌출된다.
상기 브레이크 로드(810)는 테이블 전방다리(510)의 수직부(511)와 후방 경사부(512)에 대응하여 휘어진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브레이크 로드(810)는 복원스프링(830)에 의해 상향 탄력지지되어 상판 조립체(600)를 접을 때 상판프레임(610)을 구성하는 회동부재(611)에 의해 눌릴 수 있도록 상승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브레이크 로드(810)의 상단은 상판 프레임(610)을 구성하는 회동부재(611)와의 접촉시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반구형 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원스프링(830)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 전방다리(510)의 상단에 부착된 막음판(831)과 브레이크 로드(810)의 상단에 결합된 스톱링(832) 사이에 탄력지지되는 압축스프링이 사용된다.
상기 스톱링(832)은 브레이크 로드(810)의 상단에 형성된 링홈(833)에 끼워 지는 것으로, 통상적인 C링, E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82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캡형의 마찰부재(821)와, 이 마찰부재(821)의 외부에 씌워지는 원통캡형의 외측 보강캡(822) 및, 상기 마찰부재(821)의 내측에 끼워지는 원통캡형의 내측 보강캡(823)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찰부재(821)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외측 보강캡(822)과 내측 보강캡(823)은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철재로 형성된다.
상기 브레이크 로드(810)의 하단과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820)를 결합함에 있어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로드(810)의 하단에 직경이 작은 연결부(811)를 형성하여 이 연결부(811)의 상단에 걸림턱(812)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부(811)를 마찰부재(821)와 외측 보강캡(822) 및 내측 보강캡(823)의 상면에 관통시켜 외측 보강캡(822)의 상면이 상기 걸림턱(812)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부(811)의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링홈(813)에 멈춤링(814)을 끼우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820)가 걸림턱(812)과 멈춤링(814) 사이에서 고정 결합되도록 하거나,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811)의 하단에 코킹부(815)를 형성하여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820)가 걸림턱(812)과 코킹부(815) 사이에서 고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7, 도 8,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판 조립체(600)의 하부에는 이 상판 조립체(600)와 함께 절첩되는 선반(640)이 구비된다.
상기 선반(640)은 상판 조립체(600)의 하부에서 다리 조립체(500)에 회동 가 능하게 지지되며, 이 선반(640)과 상판 조립체(600)는 연결링크(641)에 의해 연결되어 상판 조립체(600)를 절첩할 때 선반(640)이 함께 절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링크(641)는 그 양단이 상판 조립체(600)를 구성하는 회동부재(611)의 후방측과 다리상단연결부재(530)에 힌지 연결된다.
상기 연결링크(641)와 상판 조립체(600) 사이에는 도 7, 도 8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 조립체(600)가 급격히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스프링(650)이 구비된다.
상기 완충스프링(650)은 인장스프링으로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 조립체(600)를 펼친 상태에서는 그 길이가 수축된 상태로 유지되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 조립체(600)를 접은 상태에서는 신장되도록 설치된다.
도 13에서 651은 상판 프레임(610)의 연결부재(612)에 구비되어 완충스프링(650)의 선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고정편이고, 652는 연결링크(641)에 완충스프링(650)의 후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고정핀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절첩식 테이블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 조립체(600)가 다리 조립체(500)에 대하여 상판 조립체(600)가 접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판(620)이 테이블 전후방다리(510,520)의 후방 경사부(512,523)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유지되며, 상판 프레임(610)에 연결링크(641)로 연결된 선반(640)도 접힌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브레이크 로드(810)는 그 상단이 상판 프레임(610)을 구성하는 회동부재(611)에 의해 눌리지 않은 자유상태로서 복원스프링(8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 방으로 상승한 상태로 유지되어 그 하단에 결합된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820)는 바닥면에서 위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고, 테이블 전후방 다리(510,520)의 하단에 결합된 캐스터 조립체(100,200,300)(400)의 바퀴(130,230,320)(430)가 바닥면에 닿게 되어 이들 바퀴(130,230,320)(430)를 이용하여 절첩식 테이블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판(620)의 하단부를 잡고 상판 조립체(600)를 들어올리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 조립체(500)에 고정된 회동지지편(631)과 상판 조립체(600)의 회동부재(611)를 연결하는 힌지핀(632)을 중심으로 상판 조립체(600)가 회동하여 수평상태로 된다.
이 과정에서 상판 조립체(600)의 회동부재(611)에 고정된 멈춤핀(720)이 멈춤레버(710)의 후크부(711) 상단을 눌러서 멈춤레버(710)를 토션스프링(73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고, 상판 조립체(600)가 완전히 수평상태로 되면 후퇴하였던 멈춤레버(710)가 토션스프링(730)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하게 되어 멈춤핀(720)이 후크부(711)에 걸리게 되어 상판 조립체(600)가 임의로 접히는 일이 없이 펼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동시에 연결링크(641)에 의해 상판 프레임(610)에 연결도어 있는 선반(640)도 함께 펼쳐져서 사용자가 각종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판 프레임(610)을 구성하는 회동부재(611)가 브레이크 로드(810)의 상단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 로드(810)가 복원스프링(830)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 로드(810)가 하강하게 되면, 그 하단에 결합된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820)가 바닥면에 닿게 되어 브레이크가 걸리게 되고, 테이블 전방다리(510)의 하단에 결합된 캐스터 조립체(100,200,300)의 바퀴(130,230,320)가 바닥면에서 들리게 되어 절첩식 테이블은 임의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820)는 전방 캐스터 조립체(100,200,300)에 최대한으로 근접한 위치에서 바닥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이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820)와 후방 캐스터 조립체(400)의 바퀴(430) 사이의 거리가 전방 캐스터 조립체(100,200,300)의 바퀴(130,230,320)와 후방 캐스터 조립체(400)의 바퀴(430) 사이의 거리와 거의 동일한 거리로 되므로 절첩식 테이블이 쉽게 넘어지는 일이 없이 안정된 자세로 유지되며, 절첩식 테이블의 앞쪽을 지나가는 사람에 의해 전방측 캐스터 조립체(100,200,300)가 밟히더라도 절첩식 테이블이 쉽게 넘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다리 조립체(500)의 테이블 전방다리(510)는 하단의 수직부(511)와 이 수직부(511)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후방 경사부(512)로 구성되어 있고, 테이블 후방다리(520)는 하단의 수직부(521)와 이 수직부(521)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완만하게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전방 경사부(522) 및 이 전방 경사부(522)의 선단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후방 경사부(512)와 평행을 이루는 후방 경사부(52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판 조립체(600)는 테이블 후방다리(520)측으로 접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첩식 테이블은 상판 조립체(600)를 접었을 경우나 펼쳤을 경우 모두 안정된 자세로 유지된다.
또한 상판 조립체(60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링크(641)와 상판 조립체(600) 사이에 연결된 완충스프링(650)이 수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 조립체(600)가 펼쳐진 상태에서 멈춤레버(710)의 멈춤해제손잡이(712)를 누르면, 멈춤레버(710)가 토션스프링(73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그 후크부(711)에 걸려 있던 멈춤핀(720)이 해제되면, 상판 조립체(600)는 자중에 의하여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히게 된다.
이때, 멈춤핀(720)이 후크부(711)에서 완전히 이탈되면 멈춤레버(710)는 토션스프링(730)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동하여 상판 조립체(600)가 펼쳐질 때 멈춤핀(720)이 걸릴 수 있는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판 조립체(600)가 접힘에 따라 상판 프레임(600)의 회동부재(611)는 브레이크 로드(810)의 상단에서 이격되어 브레이크 로드(810)를 누르고 있던 힘이 제거됨에 따라 브레이크 로드(810)가 복원스프링(830)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며, 브레이크 로드(810)의 하단에 결합된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820)가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이격되면서 브레이크가 해제되고, 테이블 전방다리(510)에 결합된 캐스터 조립체(100,200,300)의 바퀴(130,230,320)가 바닥면에 닿게 되어 절첩식 테이블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된다.
한편, 상판 조립체(600)는 접히는 과정에서 상판 프레임(610)과 연결링크(641) 사이에 연결된 완충스프링(650)에 의해 급격히 접히지 않고 부드럽게 접히게 된다.
즉 상판 프레임(610)과 연결링크(641) 사이에 연결된 완충스프링(650)은 그 연결점 사이의 거리가 상판 조립체(60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비교적 가깝고, 상판 조립체(600)가 접히는 과정에서 점차 멀어지게 되며, 상판 조립체(600)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는 가장 멀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판 조립체(600)가 처음에는 다소 빠르게 접히기 시작하고, 완충스프링(650)이 점차 인장됨에 따라 서서히 접히게 되어 상판 조립체(600)가 급격히 접히면서 다리 조립체(500)와 충돌하면서 불쾌한 소음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게 되어 보다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테이블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4는 절첩식 테이블의 상판 조립체가 접힌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5는 절첩식 테이블의 상판 조립체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6은 브레이크 로드와 높이조절나사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브레이크 로드(810)의 상단에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여 바닥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에도 절첩식 테이블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브레이크 로드(810)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높이조절나사(8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높이조절나사(840)의 상단에는 높이조절손잡이(841)가 형성되며, 이 높이조절손잡이(841)의 외주면에는 미끄럼방지용 요철부(84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나사(840)의 상단은 상판 프레임(610)의 회동부재(611)와 의 접촉시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반구형 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바닥면이 고르지 않아 테이블이 흔들릴 경우에는 어느 한 쪽 다리 밑에 종이나 나무 등을 고여서 테이블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고 있는 바, 본 실시예에 의한 절첩식 테이블은 별도의 종이나 나무를 고이지 않고서도 좌우측의 브레이크 로드(810)의 상단에 나사결합된 높이조절나사(840)를 돌려서 브레이크 로드(810)와 높이조절나사(840)를 포함한 전체 길이를 서로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바닥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에도 절첩식 테이블이 흔들이는 일이 없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바닥면에 따라 종이나 나무 등을 고여야 하는 쪽의 테이블 전방다리(510)에 대응하는 브레이크 로드(810)에 나사결합된 높이조절나사(840)를 풀리는 방향으로 돌리면 높이조절나사(840)의 상단 높이가 다른 쪽의 높이조절나사(840)의 상단 높이보다 높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판 조립체(600)를 펼치면, 높게 조절된 높이조절나사(840)가 다른 쪽 높이조절나사(840)에 비해 더 많이 눌리게 되어 그 높이조절나사(840)가 나사결합된 브레이크 로드(810)의 하단에 결합된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820)의 하향 돌출 거리가 길어지게 되므로 절첩식 테이블이 흔들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테이블의 제3 실시예를 보인 것 으로, 도 17은 절첩식 테이블의 상판이 생략된 사시도, 도 18은 절첩식 테이블의 상판 조립체가 접힌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9는 절첩식 테이블의 상판 조립체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0 및 도 21은 누름부재와 눌림편을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브레이크 로드(810)의 상단이 상판 조립체(600)의 회동부재(611)에 의해 직접 눌리지 않고 누름부재(850)와 눌림편(860)을 통해 간접적으로 눌리도록 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판 프레임(610)에 누름부재(850)를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 로드(810)의 상단에 상기 누름부재(850)에 의해 눌리는 눌림편(860)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누름부재(850)는 상판 프레임(610)의 회동부재(611)에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멈춤핀(720)에서 연장된 부분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눌림편(860)은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리 조립체(500)의 상단에 후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이 상기 브레이크 로드(810)의 상단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암부(861)와, 이 회동암부(861)의 선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재(850)에 의해 눌리는 눌림부(862)로 구성된다.
상기 누름부재(850)에는 마찰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부싱(851)을 끼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눌림편(850)은 다리 조립체(500)를 구성하는 다리상단연결부재(530)에 직접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으나 다리상단연결부재(530)에 지지브래킷(863)을 고정 설치하고, 이 지지브래킷(86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 및 도 21에서 864는 눌림편(860)의 후단부를 지지브래킷(86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핀이고, 865는 눌림편(860)의 선단부를 브레이크 로드(810)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핀이다.
상기 눌림편(860)의 눌림부(862)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으로 형성하거나,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이 높고 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만곡형으로 형성하여 누름부재(850)와 눌림편(860) 사이의 마찰을 저감시켜 누름부재(850)와 눌림편(860)에 의한 브레이크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절첩식 테이블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 조립체(600)가 접힌 상태에서 상판 조립체(600)를 펼치게 되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부재(850)가 눌림편(860)의 눌림부(862)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회동암부(861)가 다리상단연결부재(530)에 고정된 지지브래킷(863)에 대하여 힌지핀(864)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회동암부(861)의 선단이 하강하면서 이에 힌지핀(865)으로 연결된 브레이크 로드(810)를 하강시키게 되고, 브레이크 로드(810)가 하강함에 따라 그 하단에 결합된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820)가 바닥면에 닿게 되어 브레이크가 걸리게 되고, 테이블 전방다리(510)의 하단에 결합된 캐스터 조립체(100,200,300)의 바퀴(130,230,320)가 바닥면에서 들리게 되어 절첩식 테이블은 임 의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 조립체(600)가 펼쳐진 상태에서 멈춤레버(710)의 멈춤해제손잡이(712)를 누르면, 멈춤레버(710)가 토션스프링(73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그 후크부(711)에 걸려 있던 멈춤핀(720)이 해제되며, 상판 조립체(600)는 자중에 의하여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멈춤핀(720)의 연장부로 형성된 누름부재(850)가 눌림편(860)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 로드(810)를 누르던 힘이 제거되어 브레이크 로드(810)가 복원스프링(830)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며, 브레이크 로드(810)의 하단에 결합된 브레이크 패드(820)가 바닥면에서 위로 들리게 되어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절첩식 테이블은 상판 조립체(600)를 펼칠 때 누름부재(850)가 눌림편(860)을 통해 브레이크 로드(810)를 눌러 작동시키는 것이며, 여타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은 별도의 받침대와 레버 등을 사용하지 않고 테이블 다리 하단에 직접 결합하는 것이므로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며, 원가절감과 조립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으면서도 테이블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은 캐스터 조립체의 바퀴 중심과 브레이크 장치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한 것이므로 테이블이 쉽게 넘어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은 바닥이 고르지 않은 경우에도 별도의 종이나 나무 등으로 고이지 않고 자체적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절첩식 테이블의 사용이 보다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6)

  1. 삭제
  2. 삭제
  3. 그 내부에 브레이크 로드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며 대략 수직형으로 설치되는 파이프형 테이블 다리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다리연결관부(211)와, 이 다리연결관부(21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파이프형 테이블 다리의 내부와 연통되는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공(213)을 가지는 받침판부(212)와, 상기 다리연결관부(211)와 받침판부(212)의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테이블 다리가 삽입되는 테이블 다리 삽입공간(214)과, 상기 받침판부(212)의 하면에서 다리연결관부(21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내부에 상기 브레이크 로드가 승강 안내되는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통로가 형성되는 수평회전 지지축부(215)로 구성되는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210)와;
    상기 수평회전 지지축부(215)가 삽입되는 축공(222)을 가지는 원통축(221)과, 이 원통축(22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퀴지지부(223)로 구성되는 캐스터 프레임(220)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220)의 양측에 수직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캐스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회전 지지축부(215)의 상단은 상기 다리연결관부(211)의 하단의 받침판부(212)에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회전 지지축부(215)의 상단은 상기 다리연결관부(211)의 하단의 받침판부(212)에 코킹에 의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조립체.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그 내부에 브레이크 로드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며 대략 수직형으로 설치되는 파이프형 테이블 다리(510)의 하단에 안으로 끼워져서 제자리에서 수평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캐스터 프레임(310)과;
    그 내부에 브레이크 로드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며 대략 수직형으로 설치되는 파이프형 테이블 다리의 하단에 안으로 끼워져서 제자리에서 수평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심부에 상기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통로(312)를 가지는 원통축(311)과, 상기 원통축(31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퀴지지부(313)로 구성되는 캐스터 프레임(310)과;
    상기 원통축(311)의 상단부 외주면과 테이블 다리(5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반원형 단면의 링형 홈(331,332)과, 이들 링형 홈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볼(333)로 구성되는 래디얼형 축받이(330)와;
    상기 캐스터 프레임(310)의 바퀴지지부(313) 양측에 수직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캐스터 조립체.
  10. 그 내부에 브레이크 로드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며 대략 수직형으로 설치되는 파이프형 테이블 다리(510)의 하단에 안으로 끼워져서 제자리에서 수평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캐스터 프레임(310)과;
    그 내부에 브레이크 로드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며 대략 수직형으로 설치되는 파이프형 테이블 다리의 하단에 안으로 끼워져서 제자리에서 수평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심부에 상기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통로(312)를 가지는 원통축(311)과, 상기 원통축(31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퀴지지부(313)로 구성되는 캐스터 프레임(310)과;
    상기 원통축(311)의 상단부 외주면과 테이블 다리(5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반원형 단면의 링형 홈(331,332)과, 이들 링형 홈 사이에 삽입되는 링형 강선으로 구성되는 래디얼형 축받이(330)와;
    상기 캐스터 프레임(310)의 바퀴지지부(313) 양측에 수직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캐스터 조립체.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대략 수직형으로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파이프형 전방 테이블 다리(510)와 절곡형으로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파이프형 후방 테이블 다리(520)가 그 상단은 서로 근접하며, 하단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되는 다리 조립체(500)와;
    상기 다리 조립체(500)의 상단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판 조립체(600)와;
    상기 상판 조립체가 펼쳐졌을 때 상판 조립체가 임의로 접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상판멈춤수단과;
    상기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210)는 파이프형 테이블 다리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다리연결관부(211)와, 이 다리연결관부(21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파이프형 테이블 다리의 내부와 연통되는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공(213)을 가지는 받침판부(212)와, 상기 다리연결관부(211)와 받침판부(212)의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전방 테이블 다리가 삽입되는 테이블 다리 삽입공간(214)과, 상기 받침판부(212)의 하면에서 다리연결관부(21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내부에 상기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통로가 형성되는 수평회전 지지축부(215)로 구성되는 테이블 다리 연결부재(210)와,
    상기 캐스터 프레임(220)은 상기 수평회전 지지축부(212)가 삽입되는 축공(222)을 가지는 원통축(221)과, 이 원통축(22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퀴지지부(223)로 구성되는 캐스터 프레임(220)과,
    상기 캐스터 프레임(220)의 양측에 수직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230)를 가지는 전방 캐스터 조립체와;
    상기 다리 조립체의 후방 테이블 다리(520)가 하단에 결합되는 후방 캐스터 조립체(400)와;
    상기 전방 테이블 다리(510)의 내부와 브레이크 로드 승강안내통로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판 조립체의 절첩작동에 따라 승강하는 브레이크 로드(810)와;
    상기 브레이크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는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820) 및;
    상기 브레이크 로드(810)를 상기 브레이크 해제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8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첩식 테이블.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멈춤수단은 상기 다리 조립체(500)의 상단에 그 하단이 힌지핀(71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크부(711)와, 이 후크부(711)의 중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멈춤해제손잡이(712)를 가지는 멈춤레버(710)와; 상기 후크부(711)에 대응하여 상기 상판 프레임(610)을 구성하는 회동부재(611)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는 멈춤핀(720) 및; 상기 멈춤레버(710)를 상시 멈춤핀(720)이 걸릴 수 있는 위치로 탄력지지하는 토션스프링(7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테이블.
  18. 삭제
  19. 삭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로드(810)의 상단에는 상판 조립체(600)에 의해 눌리는 높이조절나사(8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테이블.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상판 조립체(600)에 결합된 누름부재(850)와, 상기 다리 조립체(500)의 상단에 그 후단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그 선단이 상기 브레이크 로드(810)의 상단에 힌지 연결되는 회동암부(861)와, 상기 회동암부(861)의 선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누름부재(850)에 의해 눌리는 눌림부(862)를 가지는 눌림편(8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테이블.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850)는 상기 상판멈춤수단을 구성하는 멈춤핀(720)에서 연장되는 부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테이블.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편(860)의 눌림부(862)는 수평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테이블.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편(860)의 눌림부(862)는 전방이 높고 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만곡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테이블.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조립체(600)의 하부에서 상기 다리 조립체(5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선반(640)과, 상기 상판 조립체(600)와 선반(640)을 연결하는 연결링크(641)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테이블.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조립체(600)와 연결링크(641) 사이에는 상판 조립체가 급격히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스프링(65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테이블.
KR1020060024200A 2006-03-16 2006-03-16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 KR100652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200A KR100652529B1 (ko) 2006-03-16 2006-03-16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200A KR100652529B1 (ko) 2006-03-16 2006-03-16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529B1 true KR100652529B1 (ko) 2006-12-04

Family

ID=37731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200A KR100652529B1 (ko) 2006-03-16 2006-03-16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529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964B1 (ko) 2010-04-16 2012-07-09 이종호 다용도 받침대
KR101307251B1 (ko) 2011-06-20 2013-09-11 오상호 스토퍼가 구비된 접이식 책상
KR101379310B1 (ko) 2012-07-31 2014-03-28 장근대 책상다리
KR101792635B1 (ko) * 2017-06-14 2017-11-20 주식회사 대명산업 브레이크 조정구조가 적용된 절첩식 테이블
KR101837409B1 (ko) * 2016-05-26 2018-03-12 주식회사 엠피스 판재 지지구조를 갖는 가구용 캐스터
KR102004868B1 (ko) 2019-03-11 2019-07-29 (주)아모스아인스가구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절곡 프레임형 절첩식 테이블
KR102004866B1 (ko) 2019-03-11 2019-07-29 (주)아모스아인스가구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수직 지주형 절첩식 테이블
KR102040085B1 (ko) * 2019-03-29 2019-11-27 송완수 접이식 강의용 테이블
KR102044862B1 (ko) 2019-06-05 2019-12-02 김동기 책상
KR102078211B1 (ko) 2019-10-11 2020-02-17 한성길 개선된 잠금 및 해제수단이 적용된 조립식 절첩 테이블
KR102076646B1 (ko) 2019-10-11 2020-04-02 한성길 작동 보완수단이 구비된 조립식 절첩 테이블
KR20240025980A (ko) 2022-08-19 2024-02-27 오상호 가림판의 간편 장착구조가 적용된 절첩식 테이블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9102A (ja) * 1992-01-16 1994-07-19 Tokai Kiyasutaa Kk スイッチロック機構付きキャスタ
JPH10113240A (ja) 1996-10-15 1998-05-06 Kokuyo Co Ltd 物体支持装置
KR200172087Y1 (ko) 1999-09-13 2000-03-15 이명수 테이블의 이동받침
KR100361156B1 (ko) 2000-03-16 2002-11-22 명 수 이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받침
KR200300070Y1 (ko) 2002-10-15 2003-01-06 이경상 절첩식 테이블의 스프링장치
KR200349204Y1 (ko) 2004-02-09 2004-04-30 이영상 의자 바퀴의 제동구조
JP2005096713A (ja) 2003-08-29 2005-04-14 Kokuyo Co Ltd 固定脚付キャスタ及びそれを備えた家具
KR100539466B1 (ko) * 2005-03-07 2006-01-10 주식회사 리바트 절첩식 테이블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9102A (ja) * 1992-01-16 1994-07-19 Tokai Kiyasutaa Kk スイッチロック機構付きキャスタ
JPH10113240A (ja) 1996-10-15 1998-05-06 Kokuyo Co Ltd 物体支持装置
KR200172087Y1 (ko) 1999-09-13 2000-03-15 이명수 테이블의 이동받침
KR100361156B1 (ko) 2000-03-16 2002-11-22 명 수 이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받침
KR200300070Y1 (ko) 2002-10-15 2003-01-06 이경상 절첩식 테이블의 스프링장치
JP2005096713A (ja) 2003-08-29 2005-04-14 Kokuyo Co Ltd 固定脚付キャスタ及びそれを備えた家具
KR200349204Y1 (ko) 2004-02-09 2004-04-30 이영상 의자 바퀴의 제동구조
KR100539466B1 (ko) * 2005-03-07 2006-01-10 주식회사 리바트 절첩식 테이블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3611560000
1005394660000
17096713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964B1 (ko) 2010-04-16 2012-07-09 이종호 다용도 받침대
KR101307251B1 (ko) 2011-06-20 2013-09-11 오상호 스토퍼가 구비된 접이식 책상
KR101379310B1 (ko) 2012-07-31 2014-03-28 장근대 책상다리
KR101837409B1 (ko) * 2016-05-26 2018-03-12 주식회사 엠피스 판재 지지구조를 갖는 가구용 캐스터
KR101792635B1 (ko) * 2017-06-14 2017-11-20 주식회사 대명산업 브레이크 조정구조가 적용된 절첩식 테이블
KR102004868B1 (ko) 2019-03-11 2019-07-29 (주)아모스아인스가구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절곡 프레임형 절첩식 테이블
KR102004866B1 (ko) 2019-03-11 2019-07-29 (주)아모스아인스가구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수직 지주형 절첩식 테이블
KR102040085B1 (ko) * 2019-03-29 2019-11-27 송완수 접이식 강의용 테이블
KR102044862B1 (ko) 2019-06-05 2019-12-02 김동기 책상
KR102078211B1 (ko) 2019-10-11 2020-02-17 한성길 개선된 잠금 및 해제수단이 적용된 조립식 절첩 테이블
KR102076646B1 (ko) 2019-10-11 2020-04-02 한성길 작동 보완수단이 구비된 조립식 절첩 테이블
KR20240025980A (ko) 2022-08-19 2024-02-27 오상호 가림판의 간편 장착구조가 적용된 절첩식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529B1 (ko)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
US9913769B2 (en) Item of seating furniture
JP6593971B2 (ja) テーブル付きフィットネスバイク
US7445586B2 (en) Combination chair and leg extension apparatus for obesity prophylaxis
US6695751B1 (en) Jogging machine having a jogging platform adjustable and foldable structure
US9351574B2 (en) Leisure chair
US8794706B2 (en) Leg rest assembly for a chair
AU779091B2 (en) A castored base for an office chair
KR101555859B1 (ko) 상판의 절첩장치
US9738116B1 (en) Mobile folding restaurant booth style bench
US4389070A (en) Reclining chair with supplemental telescoping frame
US20080060562A1 (en) Extendable assembly for supporting sofa table
EP2090740A1 (en) A step stool
CN105832042A (zh) 高承载型耐腐蚀沙发架
CN112841967A (zh) 一种自载重托盘及椅子
US6739560B1 (en) Self-adjusting anti-glide apparatus
JP3167094U (ja) 自動ブレーキ付き車椅子
CN214760153U (zh) 一种椅子及其自载重托盘
KR101133443B1 (ko) 병원용 보호자 침대
US20220265494A1 (en) Extension of Patient Support Deck
AU2012253215A1 (en) A support for a baby
KR100553414B1 (ko) 위치제어용 의자
EP1721592B1 (en) Wheelchairs
JP3782408B2 (ja) 折畳みベッド
GB2254780A (en) Transformable seat and table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