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087Y1 - 테이블의 이동받침 - Google Patents

테이블의 이동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087Y1
KR200172087Y1 KR2019990019503U KR19990019503U KR200172087Y1 KR 200172087 Y1 KR200172087 Y1 KR 200172087Y1 KR 2019990019503 U KR2019990019503 U KR 2019990019503U KR 19990019503 U KR19990019503 U KR 19990019503U KR 200172087 Y1 KR200172087 Y1 KR 2001720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s
supporting
links
stopper
actu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5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수
Original Assignee
이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수 filed Critical 이명수
Priority to KR2019990019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0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0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0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6Gli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고안은 테이블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사용중에는 임의로 위치이동됨이 없이 확실하게 정지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테이블의 이동받침에 관한 것이다.
본고안의 기술구성상의 특징은; 테이블의 보드(2)를 떠받쳐서 지지하여 주는 복수의 기둥(10)들과, 상기 기둥(10)들 하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이동바퀴(21)들이 각각 장착되는 받침부재(20)들로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0)들의 하부로부터 기둥(10)들 내측 상부를 향하여 길게 연장되는 자유단이 외향 돌출되도록 절곡된 작동암(31)을 가지는 작동링크(30)들을 구비하여, 그 각각의 작동링크(30)들이 상기 받침부재(20)내에 탄지되는 탄발스프링(32)으로서 탄력적으로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작동링크(30)들의 작동암(31)을 단속하여서 그 작동링크들을 상하방향으로 동작시켜 주도록 상기 기둥(10)들의 상부 일정위치에 조작수단(40)을 설치하며, 상기 작동링크(30)들의 하단부에 바닥면을 향하여 접지되도록 스토퍼(50)를 착설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테이블의 이동받침{A Movable Leg for the Table}
본고안은 테이블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사용중에는 임의로 위치이동됨이 없이 확실하게 정지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테이블의 이동받침에 관한 것이다.
이전부터 회의실이나 강의실 및 식당에서는 여러명이 동시에 용무를 볼 수 있도록 테이블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테이블은 사용목적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서 개발되어 있으며 그 중의 하나는 도1a의 도시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복수의 기둥(110)들 하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이동바퀴(121)들이 장착된 받침부재(120)들을 가지는 이동받침(100)과, 상기 기둥(110)들의 상부에 부착 고정되는 고정철물(210)들로서 지지되어서 수평하게 설치되는 보드(200)로 구성된 테이블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테이블은 이동받침(100)의 기둥(110)들 위에 보드(200)를 설치하여서 된 구조로서, 이동받침(100)의 받침부재(120)에 장착되는 이동바퀴(121)들을 이용하여 밀거나 끌어당겨서 위치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운반 및 이동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테이블에 있어 이동받침(100)은 그 받침부재(120) 하부에 장착되는 이동바퀴(121)들로서 테이블을 보다 편리하게 운반하거나 이동시켜 주는 원래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는 것이 사실이나, 사용중에 움직이거나 흔들림 등이 발생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즉, 종래의 테이블의 이동받침(100)은 도1b의 도시와 같이, 받침부재(120)들의 전,후방측 하부에 일체형의 잠금레버(122)를 가지는 이동바퀴(121)들을 축고정시켜서 축지점을 중심으로 자유회전하면서 구름운동하도록 장착하여, 이동시에는 잠금레버(122)로서 이동바퀴(121)를 해지시켜서 바닥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면서 위치이동되도록 하고, 사용할 때에는 잠금레버(122)로서 이동바퀴(121)를 잠그어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테이블의 이동받침(100)은 일체형 잠금레버(122)를 가지는 이동바퀴(121)들이 받침부재(120) 하부에 축설되어 있기 때문에, 보드(200)를 펼쳐서 사용할 때에 비록 이동바퀴(121)들이 잠금레버(122)에 의하여 잠겨져서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일지라도, 작은 외력이 작용되면 이동바퀴(121)들이 축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테이블 전체가 심하게 움직이거나 흔들려서 매우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바퀴(121)들의 잠금레버(122)를 조작하고자 할 때에 허리를 굽히는 번거로움을 감수하기 보다는 이동바퀴(121)들의 잠금레버(122)를 발로 무리하게 조작하여서 파손시킴에 따라 정지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고안은 기둥 및 받침부재들을 관통하여 조작수단으로 단속되어서 상하방향으로 동작되도록 설치되는 작동링크의 하단부에 스토퍼가 착설되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사용할 때에 정지상태를 확실하게 유지시켜서 안정성을 도모하여 주며, 둘째 무리한 조작을 탈피하여서 사용수명을 연장시켜 주어 신뢰성을 제고하여 주는 테이블의 이동받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a는 종래 테이블을 나타낸 정면도
도1b는 종래 테이블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일부절결 평면도
도2는 본고안 테이블의 이동받침을 나타낸 사시도
도3a 및 도3b는 본고안 테이블의 이동받침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일부절결 측면도
도4는 본고안 변형예에 따른 테이블의 이동받침을 나타낸 일부분 단면도
도5는 본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이동받침을 나타낸 일부절결 측면도
도6은 본고안 다른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이동받침을 나타낸 일부분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이동받침 10: 기둥 11: 안내구멍
12: 막이캡 13: 고정바 20: 받침부재
21: 이동바퀴 22: 끼움홈부 30: 작동링크
31: 작동암 32: 탄발스프링 33: 고정구
34: 나사부 35: 회동링 36: 연장절곡단부
40: 조작수단 41: 회동축 42: 단속편
42a,42b: 제1 및 제2작용홈 43: 핸드레버 44: 걸고리편
50: 스토퍼 41: 나사결합홈
본고안도 테이블의 보드(2)를 떠받쳐서 지지하여 주는 복수의 기둥(10)들과, 상기 기둥(10)들 하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이동바퀴(21)들이 각각 장착되는 받침부재(20)들로서 구성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고안의 테이블의 이동받침(1)은 도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20)들의 하부로부터 기둥(10)들 내측 상부를 향하여 길게 연장되는 자유단이 외향 돌출되도록 절곡된 작동암(31)을 가지는 작동링크(30)들을 구비하여, 그 각각의 작동링크(30)들이 상기 받침부재(20)내에 탄지되는 탄발스프링(32)으로서 탄력적으로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작동링크(30)들의 작동암(31)을 단속하여서 그 작동링크들을 상하방향으로 동작시켜 주도록 상기 기둥(10)들의 상부 일정위치에 조작수단(40)을 설치하며, 상기 작동링크(30)들의 하단부에 바닥면을 향하여 접지되도록 스토퍼(50)를 착설하여서 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즉,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고안의 테이블의 이동받침(1)은 도3a 및 도3b의 도시와 같이, 받침부재(20)로부터 기둥(10)들의 상부로 연장되어서 외향 돌출되는 작동암(31)을 가지며 탄발스프링(32)으로서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작동링크(30)들을 조작수단(40)으로 단속하여서 상하방향으로 동작되도록 하고, 상기 작동링크(30)들의 하단부에 스토퍼(50)를 착설하여서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접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고안은 첫째 사용중에 스토퍼를 바닥면에 접지시켜서 정지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여 외력을 작용받더라도 테이블 전체가 움직이거나 흔들림을 방지하여 주며, 둘째 사용자의 무리한 조작으로 인하여 파손되어서 정지기능을 상실함이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고안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에서 이동받침(1)은 그 기둥(10)들의 상부에 부착 고정되는 고정철물(2a)들로서 지지시켜서 수평하게 고정되도록 보드(2)를 설치하여서 된 고정식 테이블에 적용된 것을 실예로 예시하고 있다.
상기 기둥(10)들은 그 내부가 비어서 상하로 트여지는 단면형상으로서 상기 작동링크(30)들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기둥(10)들의 하단부를 받침부재(20)에 각각 결합 고정시켜서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설치하고, 그 기둥(10)들 상부의 내측면 일정위치에 상기 작동링크(30)들의 작동암(31)이 외향 돌출되도록 끼워져서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안내구멍(11)을 형성하여서 된다.
또, 상기 기둥(10)들의 상단부에는 막이캡(12)을 끼워서 밀봉되도록 하고, 상기 기둥(10)들 사이에 가로질러서 수평하게 설치되는 고정바(13)로서 상호간이 견고하게 연결 조립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상기 받침부재(20)들은 상기 기둥(10)들의 하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전,후방측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바퀴(21)들을 장착하여서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20)들은 그 상부 일정위치에 상기 기둥(10)들과 상응하는 단면형상으로서 끼움홈부(22)를 요입 형성하여서, 상기 기둥(10)들의 하단부가 결합되어서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한다.
또, 상기 받침부재(20)들의 끼움홈부(22)에는 수직으로 뚫어지는 통공(23)를 형성하여서, 상기 작동링크(30)들의 하단부가 관통되게 끼워져서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작동링크(30)들은 상기 받침부재(20)들의 하부로부터 기둥(10)들의 상부를 향하여 길게 연장되어서 작동암(31)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그 각각의 작동링크(30)들이 상기 받침부재(20)의 끼움홈부(22) 내에 탄지되는 탄발스프링(32)으로서 탄력적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작동링크(30)들의 작동암(31)은 상기 기둥(10)들의 안내구멍(11)을 관통하여 외향 돌출되게 끼우고, 그 작동링크(30)들의 하단부는 상기 받침부재(20)의 끼움홈부(22)에 형성된 통공(23)을 관통하여 돌출되게 끼워서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링크(30)들은 그 탄발스프링(32)이 신축되는 길이를 감안하여서 하단부 일정위치에 착설되는 고정구(33)를 가져서, 상기 조작수단(40)으로서 작동링크(30)의 작동암(31)을 누르면 고정구(33)가 탄발스프링(32)을 압축하면서 하강하고, 반대로 조작수단(40)으로서 작동링크(30)의 작동암(31)에 가해지는 누름작용력을 해지시키면 탄발스프링(32)의 복원력을 고정구(33)로부터 전달받아서 상승되도록 한다.
또, 상기 작동링크(30)들의 하단부에는 나사부(34)를 형성하여서 상기 스토퍼(50)를 견고하게 착설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작동링크(30)들의 작동암(31)에는 회동링(35)을 착설하여서, 상기 조작수단(40)을 조작할 때에 접촉에 의한 마찰저항을 줄여서 원할하게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수단(40)은 상기 작동링크(30)들의 작동암(31)을 단속하여서 그 작동링크들을 상하방향으로 동작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수단(40)은 기둥(10)들의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축(41)과, 상기 회동축(41)의 양측단에 일체로 고정되어서 상기 기둥(10)들의 내측면에 위치하여 작동링크(30)들의 작동암(31)에 대하여 교대로 절환되는 제1 및 제2작용홈(42a)(42b)을 가지는 단속편(42)들과, 상기 회동축(41)의 양측단에 연결시켜서 상기 기둥(10)들의 외측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단속편(42)들을 절환동작시켜 주는 핸드레버(43)들로 구성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단속편(42)들은 상기 회동축(41)을 기준으로 제1작용홈(42a)은 가깝고 제2작용홈(42b)은 멀리 떨어져서 위치되도록 편심되게 설치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상기 핸드레버(43)로서 상기 단속편(42)들의 제1작용홈(42a)내에 상기 작동링크(30)의 작동암(31)이 위치되도록 절환시키면 상기 작동링크가 상승되도록 하고, 반대로 상기 핸드레버(43)로서 상기 단속편(42)들의 제2작용홈(42b)내에 상기 작동링크(30)들의 작동암(31)이 위치되도록 절환시키면 상기 작동링크가 하강되도록 단속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작동링크(30)들의 하단부에 그 작동링크들의 상하동작으로서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접지되도록 착설하여서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50)는 탄력성 및 접지력이 양호한 고무재질로 만들어서, 바닥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임의로 유동됨이 없이 확실하게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 상기 스토퍼(50)의 상부 중앙에는 나사결합홈(51)을 형성하여서, 상기 작동링크(30)들의 나사부(34)에 나사결합되어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스토퍼(50)가 심하게 마모되어서 정지능력을 상실하면 새로운 스토퍼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4는 본고안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작동링크(30)들의 하단부에 상기 받침부재(20)들의 후방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서 직각으로 절곡되는 연장절곡단부(36)들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작동링크(30)들의 연장절곡단부(36) 끝단에 스토퍼(50)를 각각 착설하여서 된 것이다. 이는, 상기 작동링크(30)들의 연장절곡단부(36) 끝단에 상기 받침부재(20)들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후방측으로 치우쳐서 위치되도록 스토퍼(50)들이 착설되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50)들이 바닥면에 접지될 때에 받침부재(20)들의 전,후방측 이동바퀴(21)들이 바닥면으로부터 들떠서 임의로 유동됨을 방지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도5는 본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받침부재(20)들의 끼움홈부(22)들이 후방측으로 치우쳐서 일정한 기울기로서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상기 기둥(10)들의 하단부가 상기 받침부재(20)들의 끼움홈부(22)에 끼워져서 경사지게 조립되도록 하며, 상기 받침부재(20)들의 하부로부터 상기 기둥(10)들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일정길이로서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작동링크(30)들의 하단부에 스토퍼(50)를 각각 착설하여서 된 것이다. 이는, 상기 받침부재(20)의 하부로부터 경사지는 기둥(10)들을 관통하여서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작동링크(30)들의 하단부에 상기 받침부재(20)들의 후방측으로 치우쳐서 위치되도록 스토퍼(50)들이 착설되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50)들이 바닥면에 접지될 때에 받침부재(20)들의 전,후방측 이동바퀴(21)들이 바닥면으로부터 들떠서 임의로 유동됨을 방지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도6은 본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조작수단(40)은 그 회동축(41)의 양측단에 상기 기둥(10)들의 내측면에 위치하여 작동링크(30)들의 작동암(31)을 누르거나 누름작용력을 해지시켜 주도록 걸고리편(44)을 일체로서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 조작수단(40)은 필요시에 보드(2)를 절첩시킬 수 있는 절첩식 테이블에 훌륭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도6에서는 상기 조작수단(40)의 회동축(41)에 상기 기둥(10)들의 상부에 지지철물(2b)들로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보드(2)를 절첩시킬 때에 연동되는 연결부재(2c)들을 연결한 것을 실예로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드(2)를 수평하게 펼치면 연동되는 연결부재(2c)에 의하여 조작수단(40)의 회동축(41)이 정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걸고리편(44)이 상기 작동링크(30)의 작동암(31)을 눌러서 하강시키게 되고, 반대로 사용자가 보드(2)를 수직으로 접으면 연동되는 연결부재(2c)에 의하여 상기 조작수단(40)의 회동축(41)이 역방향으로 회동하여서 걸고리편(44)이 상기 작동링크(30)의 작동암(31)에 가해지는 누름작용력을 해지하여서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고안의 테이블의 이동받침은 사용중에는 정지상태를 확실하여 유지하여 주면서도, 무리한 조작에 의하여 파손됨이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테이블의 보드(2)를 떠받쳐서 지지하여 주는 복수의 기둥(10)들과, 상기 기둥(10)들 하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이동바퀴(21)들이 각각 장착되는 받침부재(20)들로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0)들의 하부로부터 기둥(10)들 내측 상부를 향하여 길게 연장되는 자유단이 외향 돌출되도록 절곡된 작동암(31)을 가지는 작동링크(30)들을 구비하여, 그 각각의 작동링크(30)들이 상기 받침부재(20)내에 탄지되는 탄발스프링(32)으로서 탄력적으로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작동링크(30)들의 작동암(31)을 단속하여서 그 작동링크들을 상하방향으로 동작시켜 주도록 상기 기둥(10)들의 상부 일정위치에 조작수단(40)을 설치하며, 상기 작동링크(30)들의 하단부에 바닥면을 향하여 접지되도록 스토퍼(50)를 착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이동받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40)은 기둥(10)들의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축(41)과, 상기 회동축(41)의 양측단에 일체로 고정되어서 상기 기둥(10)들의 내측면에 위치하여 작동링크(30)들의 작동암(31)에 대하여 교대로 절환되는 제1 및 제2작용홈(42a)(42b)을 가지는 단속편(42)들과, 상기 회동축(41)의 양측단에 연결시켜서 상기 기둥(10)들의 외측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단속편(42)들을 절환동작시켜 주는 핸드레버(43)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이동받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링크(30)들의 하단부에 상기 받침부재(20)들의 후방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서 직각으로 절곡되는 연장절곡단부(36)들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작동링크(30)들의 연장절곡단부(36) 끝단에 스토퍼(50)를 각각 착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이동받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0)들의 끼움홈부(22)들이 후방측으로 치우쳐서 일정한 기울기로서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상기 기둥(10)들의 하단부가 상기 받침부재(20)들의 끼움홈부(22)에 끼워져서 경사지게 조립되도록 하며, 상기 받침부재(20)들의 하부로부터 상기 기둥(10)들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일정길이로서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작동링크(30)들의 하단부에 스토퍼(50)를 각각 착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이동받침.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40)은 그 회동축(41)의 양측단에 상기 기둥(10)들의 내측면에 위치하여 작동링크(30)들의 작동암(31)을 누르거나 누름작용력을 해지시켜 주도록 걸고리편(44)을 일체로서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이동받침.
KR2019990019503U 1999-09-13 1999-09-13 테이블의 이동받침 KR2001720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503U KR200172087Y1 (ko) 1999-09-13 1999-09-13 테이블의 이동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503U KR200172087Y1 (ko) 1999-09-13 1999-09-13 테이블의 이동받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053A Division KR20010027350A (ko) 1999-09-13 1999-09-13 테이블의 이동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087Y1 true KR200172087Y1 (ko) 2000-03-15

Family

ID=1958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503U KR200172087Y1 (ko) 1999-09-13 1999-09-13 테이블의 이동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0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529B1 (ko) 2006-03-16 2006-12-04 명 수 이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529B1 (ko) 2006-03-16 2006-12-04 명 수 이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6748A (en) Leg assembly for a keyboard or the like
US8474840B2 (en) Collapsible skateboard
JPH02174806A (ja) テーブル用天板起倒装置
GB2508250A (en) Armrest folding device for foldable stroller
US6364562B1 (en) Tiltable sunshade
WO2023274152A1 (zh) 一种轮组件装置
JP3706255B2 (ja) キャスタ装置
KR200172087Y1 (ko) 테이블의 이동받침
KR20010029598A (ko)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받침
US5478138A (en) Security device for a foldable chair
JP4093936B2 (ja) 肘掛け装置
KR20010027350A (ko) 테이블의 이동받침
KR200172088Y1 (ko)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받침
US6820563B2 (en) Table with flaps hinged thereto and maneuverable by means of angular movements of the table top
KR200175132Y1 (ko)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받침
KR100317721B1 (ko)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받침
KR100670550B1 (ko) 회전 다림판
KR20000004172U (ko)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받침
KR200300070Y1 (ko) 절첩식 테이블의 스프링장치
CA1281699C (en) Gravity assisted swingdown support for keyboards or the like
KR200362843Y1 (ko) 의자의 조절장치
KR20020071800A (ko)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받침
KR200232276Y1 (ko) 상다리 연결구
KR200245058Y1 (ko) 이동이 가능한 절첩식 테이블
JP2002000410A (ja) 収納式幼児用ベッドにおけるベッド回動構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