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276Y1 - 상다리 연결구 - Google Patents

상다리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276Y1
KR200232276Y1 KR2020010005024U KR20010005024U KR200232276Y1 KR 200232276 Y1 KR200232276 Y1 KR 200232276Y1 KR 2020010005024 U KR2020010005024 U KR 2020010005024U KR 20010005024 U KR20010005024 U KR 20010005024U KR 200232276 Y1 KR200232276 Y1 KR 2002322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leg
groove
operating
folded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0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원
Original Assignee
오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원 filed Critical 오재원
Priority to KR20200100050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2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276Y1/ko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상다리를 접고 펼 때 조작하는 작동구를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외관이 미려함은 물론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회동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이 편리한 상다리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상다리를 접고 펼 수 있도록 하는 상다리 연결구에 있어서, 상의 저면에 설치된 보강대의 내측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회동 가능하게 되며 상다리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다리에 고정 설치되는 회동편으로 이루어지는 연결구본체; 및 상기 회동편에 탄력지게 설치되며 반구형상의 곡면을 갖는 작동구와, 상기 지지편에 형성되어 작동구가 슬라이딩 작동하도록 하고, 그 내측으로는 작동구의 곡면과 동일 형상을 갖는 반구형상의 작동홈이 형성되는 작동공과, 상기 작동홈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다리를 접었을 때 작동구가 걸리도록 하는 낮은 깊이의 제1고정홈과, 상기 작동홈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다리를 펼쳤을 때 작동구가 걸리도록 하는 깊은 깊이의 제2고정홈으로 이루어지는 걸림수단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다리 연결구이다.

Description

상다리 연결구{Table legs join structure}
본 고안은 상다리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다리를 용이하게 접고 펼수 있도록 함은 물론 외관이 미려하도록 한 상다리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다리 연결구는 고정편과 회동편 및 지지편으로 된 세부분이 다수의 체결수단과 리벳힌지축으로 체결되어 상다리를 접고 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161437호의 '상다리 연결구'가 공고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종래의 상다리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상다리 연결구는 회동편(1)을 상다리(8)에 나사못(7)으로 체결하여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회동편(1)에는 장착홈(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홈(2)에 고정레버(5)가 스프링(6)에 의해 탄력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레버(5)의 끝단에는 회전축(5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편(1)에는 지지편(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편(3)은 상의 보강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편(3)과 회동편(1)은 리벳힌지축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편(3)에는 상다리가 접혀지거나 펴지는 위치에 고정홈(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홈(4)에 상기 고정레버(5)가 위치되어 상다리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회전된 후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 상다리 연결구는 상기 상다리(8)를 회동시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고정레버(5)를 누른 상태에서 상다리를 회동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고정레버(5)는 회동편(1)과 지지편(3)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서 외관이 미려하기 못한 단점이 있음은 물론, 상기 고정레버(5)의 돌출로 인해 상다리를 접거나 펼칠 때 걸리게 문제점이 있어 사용상에 있어서 많은 불편을 초래하는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다리를 접거나 펼 때 상기 고정레버가 회동편과 지지편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작동됨으로서 그 표면에 마모가 발생됨으로서 수명을 단축시킴은 물론, 작동시에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다리를 접고 펼 때 조작하는 작동구를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외관이 미려함은 물론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회동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이 편리한 상다리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다리를 접고 펼 수 있도록 하는 상다리 연결구에 있어서, 상의 저면에 설치된 보강대의 내측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회동 가능하게 되며 상다리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다리에 고정 설치되는 회동편으로 이루어지는 연결구본체; 및 상기 회동편에 탄력지게 설치되며 반구형상의 곡면을 갖는 작동구와, 상기 지지편에 형성되어 작동구가 슬라이딩 작동하도록 하고, 그 내측으로는 작동구의 곡면과 동일 형상을 갖는 반구형상의 작동홈이 형성되는 작동공과, 상기 작동홈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다리를 접었을 때 작동구가 걸리도록 하는 낮은 깊이의 제1고정홈과, 상기 작동홈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다리를 펼쳤을 때 작동구가 걸리도록 하는 깊은 깊이의 제2고정홈으로 이루어지는 걸림수단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다리 연결구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상다리 연결구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상다리 연결구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상다리 연결구의 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상다리 연결구의 요부 구조인 작동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상다리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회동편 14 - 홈
16 - 힌지축 20 - 지지편
24 - 작동공 26 - 작동홈
28,29 - 제1,2고정홈 30 - 작동구
32 - 곡면 34 - 스프링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상다리 연결구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40)의 저면에 보강대(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강대(42)의 내측으로는 연결구본체가 설치되어 상다리(44)가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상다리(44)는 상을 보관할 때에는 접어서 보관하는 것이고, 사용할 때에는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에 직각으로 펼쳐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본체는 상다리(44)에 고정 설치되는 회동편(10)과 이 회동편(10)에 힌지축(16)으로 설치되며 상기 보강대(42)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편(20)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상다리 연결구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본체는 회동편(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회동편(10)은 나사못(18)에 의해 상다리(44)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회동편(10)에는 힌지축(16)이 결합되도록 하는 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12)에서 소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14)에는 스프링(36)에 의해 탄력지게 작동구(30)가 설치된다. 상기 작동구(30)는 반구형상의 곡면(32)을 갖고 있다. 이러한 작동구(30)는 작동공(24)에 결합된 상태에서 머리부(34)가 일체형으로 결합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본체는 지지편(2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편(20)은 상(40)의 저면으로 설치되는 보강대(42)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 지지편(20)에 회동편(10)이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편(20)에는 회동편(10)과 힌지축(16)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2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호는 회동편(10)에 설치되는 작동구(30)가 슬라이딩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다리(44)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각도 즉, 90°의 각도 만큼 형성된다.
상기 원호의 내측 즉, 상기 회동편(10)과 접촉되는 면에는 상기 작동구(30)에 형성되는 반구형의 형상과 동일 형상을 갖는 작동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작동홈(24)에 작동구(30)의 곡면(32)이 접촉되어 슬라이딩된다. 상기 작동공(24)의 양끝단에는 각각 그 깊이를 달리하는 제1,2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상다리 연결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다리가 접혀지거나 펼쳐진 후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 고정수단은 상기 회동편(10)에 형성되는 홈(14)에 작동구(30)가 스프링(36)에 의해 탄력지게 설치되고, 이 작동구(30)는 상기 지지편(20)에 형성되는 작동공(24)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머리부(34)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작동구(3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작동공(24)에 설치되는 작동구(30)에는 반구형상의 곡면(3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곡면(32)과 접촉되도록 하는 반구형상이 상기 작동홈(2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구(30)는 스프링(36)에 의해 탄력지게 설치되어 상기 작동공(24)에 가이드 되면서 슬라이딩 작동하여 그 회동을 돕는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상다리 연결구의 요부 구조인 작동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원호로 형성된 작동공(24)이 펼쳐진 상태로 가상하여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다리가 접혀지거나 펼쳐진 후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의 작동공(24) 양측 끝단에는 각각 그 깊이를 달리하는 제1고정홈(28)과 제2고정홈(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홈(28)과 제2고정홈(29)에는 상기 작동구(30)의 곡면(32)과 동일형상으로 되는 홈이 그 깊이를 달리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고정홈(28)의 깊이는 낮게 형성된 것이고, 제2고정홈(29)의 깊이는 깊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1고정홈(28)은 상다리를 접었을 때 작동구(30)가 위치되어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제2고정홈(29)은 상다리를 펼쳤을 때 작동구(30)가 위치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제1고정홈(28)은 낮게 형성하고 제2고정홈(29)은 깊게 형성하는 것은 상기 상다리(44)를 펼쳤을 때에는 작동구(30)가 깊이가 깊은 제2고정홈(29)에 위치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상다리(44)를 접기 위해서는 상기 작동구(30)를 반드시 눌러 주어야만 제2고정홈(29)으로부터 빠져나와 작동공(24)에 가이드 되면서 슬라이딩 작동하여 상다리를 접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다리(44)를 접었을 때에는 작동구(30)가 깊이가 낮은 제1고정홈(28)에 위치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상다리(44)를 펴기 위해서는 상기 작동구(30)를 누르지 않아도 제1고정홈(28)으로 빠져나와 작동공(24)에 가이드 되면서 슬라이딩 작동하여 상다리를 펼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고정홈(28)의 깊이는 낮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상다리를 회동시기키 위한 힘만으로 작동구(30)가 제1고정홈(28)으로 빠져 나올 수 있어 상다리를 쉽게 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작동구(30)가 제1고정홈(28)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인위적인 힘이 가해지지 전에는 그 고정상탤르 계속 유지하고 있음으로서 상다리(44)가 접혀진 상태에서 펴지는 것은 방지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구(30)는 스프링(36)에 탄력지게 설치됨으로서 항상 외측으로 밀려나려는 탄성력을 받아 작동공(24)의 작동홈(24)에 곡면(32)이 접촉되어 슬라이딩 작동되고, 작동홈(24)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1,2고정홈(28)(29)에 작동구(30)가 위치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2고정홈(28)(29)으로 작동구(30)가 밀려들어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다리(44)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제1고정홈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작동구(30)를 누르지 않아도 상다리를 쉽게 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작동구(30)가 제2고정홈(29)에 결합되면 그 깊이가 깊기 때문에 상기 제2고정홈(29)에서 작동구(30)를 빠져나오록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작동구(30)를 눌러 주어야만 제2고정홈(29)에서 빠져 나올 수 있어 상다리의 펼쳐진 태를 유지하기가 좋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상다리 연결구에 의하면, 상다리를 접고 펼 때 조작하는 작동구를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외관이 미려하고 깨끗하며, 또 상다리를 접거나 편 상태에서 상기 상다리를 고정하도록 된 고정수단을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회동되도록 하여 상다리를 고정시킴으로서 함으로서 사용이 편리한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상다리를 접고 펼 수 있도록 하는 상다리 연결구에 있어서,
    상의 저면에 설치된 보강대의 내측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회동 가능하게 되며 상다리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다리에 고정 설치되는 회동편으로 이루어지는 연결구본체; 및
    상기 회동편에 탄력지게 설치되며 반구형상의 곡면을 갖는 작동구와, 상기 지지편에 형성되어 작동구가 슬라이딩 작동하도록 하고, 그 내측으로는 작동구의 곡면과 동일 형상을 갖는 반구형상의 작동홈이 형성되는 작동공과, 상기 작동홈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다리를 접었을 때 작동구가 걸리도록 하는 낮은 깊이의 제1고정홈과, 상기 작동홈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다리를 펼쳤을 때 작동구가 걸리도록 하는 깊은 깊이의 제2고정홈으로 이루어지는 걸림수단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다리 연결구.
KR2020010005024U 2001-02-26 2001-02-26 상다리 연결구 KR2002322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024U KR200232276Y1 (ko) 2001-02-26 2001-02-26 상다리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024U KR200232276Y1 (ko) 2001-02-26 2001-02-26 상다리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2276Y1 true KR200232276Y1 (ko) 2001-09-28

Family

ID=73063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024U KR200232276Y1 (ko) 2001-02-26 2001-02-26 상다리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2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2719B2 (en) Tripod button mechanism and a tripod
US7251860B2 (en) Window rotating handle
JP2004533583A5 (ko)
US20070054608A1 (en) Working platform of tool cabinet
JP2009160773A (ja) ファイル用綴じ具
KR200232276Y1 (ko) 상다리 연결구
US7194930B2 (en) Handle
KR100293030B1 (ko) 배전반용 핸들
CA3094726A1 (en) A folding lock mechanism for furniture legs and a piece of furniture with such a mechanism
KR100670550B1 (ko) 회전 다림판
KR200416109Y1 (ko) 회전 다림판
JP3075243U (ja) キックスケータの折りたたみ定位装置
KR200172087Y1 (ko) 테이블의 이동받침
KR200287642Y1 (ko) 작업대의 높이조절장치
KR200159433Y1 (ko) 탁상금고의 서랍 개폐장치
KR200278069Y1 (ko) 상다리 연결구
KR200145634Y1 (ko) 상다리 절첩구
KR200361296Y1 (ko) 절첩식 상다리
KR200394292Y1 (ko) 상다리 연결구
JP3053369B2 (ja) 関節部の接続方法
CN209595566U (zh) 翻转定位结构和煎烤机
KR200386243Y1 (ko) 절첩식 테이블
KR100446116B1 (ko) 작업대의 높이조절장치
KR200197304Y1 (ko) 상다리의 절첩구
KR200180152Y1 (ko) 상다리 절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