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433Y1 - 탁상금고의 서랍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탁상금고의 서랍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433Y1
KR200159433Y1 KR2019970003176U KR19970003176U KR200159433Y1 KR 200159433 Y1 KR200159433 Y1 KR 200159433Y1 KR 2019970003176 U KR2019970003176 U KR 2019970003176U KR 19970003176 U KR19970003176 U KR 19970003176U KR 200159433 Y1 KR200159433 Y1 KR 200159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drawer
fixed
locking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31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726U (ko
Inventor
조기옥
Original Assignee
조기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기옥 filed Critical 조기옥
Priority to KR20199700031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433Y1/ko
Publication of KR199800587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7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4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탁상용으로 사용되는 소형의 금고에 사용되는 서랍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구조가 극히 간단하여 조립 생산이 간편하고, 서랍의 개폐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오동작이 발생할 염려가 전혀 없도록 한 탁상금고의 서랍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금고본체의 외부로 서랍의 전면판이 노출되는 형태의 금고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메인기판(100)의 상면에 서랍(104)에 고정된 걸림편(105)을 괘정하는 괘정턱(111)과, 경사안내면(112)이 형성된 고정편(110)을 상기 메인기판(100)에 회동가능토록 회동축(113)으로 고정하되, 상기 고정편(110)의 일측을 연장한 연장편(114)의 일단을 기립하여 걸림턱(115)을 형성하며, 상기 메인기판(100)에 회전가능토록 고정된 고정편(110)의 상측에 연결간(133)과 연결되는 연장절곡편(121)과, 서랍(104)에 고정된 걸림편(105)이 진입할 수 있는 공간부(122)와, 상기 고정편(110)의 회동축(11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여유공간부(123)를 형성하며, 일측에는 연장작동편(124)을 형성하여서 된 작동편(120)을 고정축(125)으로 회전가능토록 고정하며, 상기 메인기판(100)에는 스프링고정편(106)을 절곡형성하여 스프링(107)을 고정편(110)의 걸림턱(115)과 연결장착하며, 상기 작동편(120)이 후방으로 더 이상 후진 못하도록 연장작동편(124)의 후방부에 스토퍼(108)를 기립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탁상금고의 서랍 개페장치
제1도는 종래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2a, b도는 종래 실시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3도는 또다른 종래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개폐장치에 서랍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6a, b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7도는 서랍이 인출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인기판 101 : 경보종
102 : 타구 106 : 스크링고정편
108 : 스토퍼 110 : 고정편
111 : 괘정턱 114 : 연장편
115 : 걸림턱 120 : 작동편
121 : 연장절곡편 122 : 여유공간부
124 : 연장작동편
본 고안은 탁상용으로 사용되는 소형의 금고에 사용되는 서랍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구조가 극히 간단하여 조립 생산이 간편하고, 서랍의 개폐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오동작이 발생할 염려가 전혀 없도록 한 탁상금고의 서랍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본국 공개 실용신안 공보 소54-55393호와,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9-21154호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었던 바, 이하, 종래 고안의 구성 및 작동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두 개의 선출원 고안이 극히 유사한 바, 설명의 편리를 위하여 한국의 선출원 고안을 중점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a,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으로 서랍이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 금고본체(1)가 구비되고, 금고본체(1)의 저면 서랍(2) 위의 경사면에 해정버튼(4)을 장착하여 일측으로 연동케 한 연동고정간(5)을 금고본체(1)의 안쪽으로 돌입시켜, 기틀에 착설한 돌간(8)에 궤도공(9)을 관삽한 왕복작동편(6)에 고착부(7)로 고착하며, 그 선단부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축간(12)으로 정착한 유동작동편(11)의 후단부 경사면과 접연되게 하고, 유동작동편(11)에 연동간(13)을 착설하며, 금고본체의 안쪽 부위에 괘정기틀(14)을 착설하여 한면에는 제1괘정편(16)을 축간(15)으로 축착하고, 스프링(17)을 스프링 괘착부(18)로서 장착하며, 앞쪽에는 괘정요구(16'')를, 아래부위에는 괘정턱(16'')을 형성하고, 다른 한면에는 제2괘정편(19)을 축간(21)으로 축착하여 그 상단에는 연동간(13) 선단부를 착설하고, 아래 부위에는 괘정기틀(14)에 천설한 대동공(14')에 삽입될 굴곡부와 괘정기틀(14)사이에 스프링(23)을 장착하고, 반대면에 괘정특간(21)을 돌설하여 괘도통공(22)안에서 움직이게 하고, 서랍(2)의 후단부에 걸림간(25)을 착설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10은 스프링, 20은 제2괘정편(20)이 일정각도 회전가능하게하는 힌지, 26은 서랍(2)에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개폐장치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a도는 서랍(2)이 본체(1)의 내부에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서랍(2)의 후단부에 착설된 걸림간(25) 이 제1괘정편(16)의 괘정요구(16') 에 삽입된 상태로 괘정턱(16'')이 축간(21)에 걸려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해정버튼(4)을 좌에서 우측으로 압지하면, 왕복작동편(6) 이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유동작동편(11)을 밀게되어 유동작동편(11)이 축간(12)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작동편(11)의 타측에 접속되어 있는 연동간이 당겨지게 되어 제2괘정편(19)이 힌지(2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괘정턱(16'')이 걸려있는 축간(21)이 연동 회전하여 이탈하므로서, 스프링(26)의 탄성에 의해 서랍(2)이 본체(1) 전면으로 인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개폐장치는, 서랍(2)의 후단에 걸림간(25)이 고정되는 제1괘정편(16)이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제1괘정편(16)의 괘정턱(16'')이 제2괘정편(19)에 고정된 원기둥형의 축간(21)에 소폭으로 걸린상태에서 서랍(2)이 고정되는 것이어서 본체(1)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제2괘정편(19)이 흔들리면서 축간(21)에 걸린 제1괘정편(16)의 괘정턱(16'')이 이탈되어 서랍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탁상용으로 사용되는 수제금고의 특성상 외부 충격에 의하여 사용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서랍이 열리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탁상금고 개폐장치는 그 구성요소가 필요 이상으로 많고 복잡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비가 상승하고,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서랍이 열리면서 경보를 발성시키도록 하는 타종기가 개폐장치와는 별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재료비 상승 및 제한된 공간에서의 조립작업이 불편한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서랍의 개폐동작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며, 개폐장치의 메인기판에 타종기를 체결하여 부품감소에 따른 제작비의 절감 및 생산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한 수제금고용 개폐장치가 본인의 선출원고안(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6-10908호)으로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본인의 선출원 고안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고본체(30)의 정면부(31)에 명판(32)을 설치하고, 개폐손잡이(34)의 작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동되는 연결간(35)이 설치되고, 본체(30)의 정면으로 개폐되는 서랍(36)을 구비한 수제금고에 있어서, 양측 끝단에 제1 및 제2 연결부(41)(42)가 형성되고, 메인기판(40)이 상측면의 일측으로 힌지(43)에 의해 축설되며, 제1연결부(41)와 연결간(35)이 접속된 제1개폐편(44)과; 메인기판(40) 상측면의 일정위치에 힌지(51)에 의해 축설되며, 제1개폐편(44)의 제2연결부(42)에 걸림턱(52) 접촉되고, 걸림턱(52)의 타측에는 걸림고리(53)와 제3연결부(54)가 형성된 제2개폐편과; 상기 제2연결부(42)와 제3연결부(54)를 연결하는 스프링(55)과; 서랍(36)의 후단에 돌출 형성되며, 제2개폐편(50)의 걸림고리(53)에 걸리기 위한 걸림홈(58)이 형성된 걸림부(57); 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한 본인의 선출원고안의 작동을 살펴보면, 먼저 서랍이 닫히게 되는 경우에는 제1개폐편(44)의 제2연결부(42)에 제2개폐편(50)의 걸림턱(52)이 접촉되어 제1개폐편(44)과 스프링(55)에 의해 연결된 제2개폐편(50)이 고정되고, 스프링(56)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있는 서랍(36)의 후단에 돌출형성된 걸림부(57)의 걸림홈(58)이 제2개폐편(50)의 걸림고리(53)에 걸려 서랍이 고정되게 되며, 서랍후단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62)가 타구(61)의 코일스프링(61a)에 걸리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랍(36)이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개폐손잡이(34)를 압지하면 제1연결부(41)에 접속되어 있는 연결간(35)이 후진하면서 제1개폐편(44)이 힌지(43)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된다.
이에따라 제1개폐편(44)의 제2연결부(42)도 연동회전하게 되어 제2개폐편(50)의 걸림턱(52)을 이탈함과 도시에 스프링(55)을 당김으로써 제2개폐편(50)이 힌지(51)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 회전한다.
상기 제2개폐편(5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걸림부(57)의 걸림홈(58)에 걸려있던 걸림고리(53)가 걸림부(57)를 이탈하고, 이에 의해 메인기판(40)의 전면에 설치된 스프링(56)의 탄력에 의해 서랍(36)이 인출되는 것이다.
또한, 서랍(36)이 열릴때에, 서랍(36)의 후면에 장착된 걸림부(62)에 걸려있던 타구(61)가 일정폭 당겨지다가 놓게되어 타구(61)를 지지하는 코일스프링(61a)의 탄력으로 타종기(60)를 타격하여 경보음을 발성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된 본인의 선출원 고안은, 단일의 기판(40)상에 타종구와 걸림장치가 설치되는 것이어서, 금고본체(30)에 장착이 편리하고, 정확한 위치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등의 소정의 효과를 얻을 수는 있으나, 걸림턱(52)을 지지하는 제2연결부(42)가 좌, 우로 흔들리게 되면, 걸림턱(52)이 제2연결부(52)로부터 이탈되는 염려가 있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금고 본체의 전면부로 서랍의 전면판이 노출되는 금고의 경우에는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즉, 상기한 서랍(36)이 전진하여 걸림부(57)가 제2개폐편(50)을 밀어올려주게 되고, 이 제2개폐편(50)의 걸림턱(52)에 제1개폐편(44)의 제2연결부(42)에 걸려야 하는데, 상기 걸림턱(52)이 제2연결부(42)에 효과적으로 걸리기 위하여는 초과이동간극이 필요로 하는 것인바, 이 초과이동간극은 고정점에서 적어도 2-3mm 가량 더 전진하여야 제1개폐편(44)이 원활하게 회전하여 걸어주게되는 것이다.
이러한 초과이동간극의 발생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금고본체외부로 전면판이 노출되는 모델에는 측면부에 상기 초과이동간극만큼의 이격틈이 발생하여 미관상 좋지 못하였고, 소음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 된 것으로서, 상기한 금고본체의 외부로 서랍의 전면판이 노출되는 형태의 금고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랍을 지지하는 지지편에 여유작동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메인기판(100)의 일측에 경보종(101)과 코일스프링(102)에 지지된 타구(103)을 장착하되, 메인기판(100)의 상면에 서랍(104)에 고정된 걸림편(105)을 괘정하는 괘정턱(111)과, 경사안내면(112)이 형성된 고정편(110)을 상기 메인기판(100)에 회동가능토록 회동축(113)으로 고정하되, 상기 고정편(110)의 일측을 연장한 연장편(114)의 일단을 기립하여 걸림턱(115)을 형성하며, 상기 메인기판(100)에 회전가능토록 고정된 고정편(110)의 상측에 회동편(33)과 연결되는 연장절곡편(121)과, 서랍(104)에 고정된 걸림편(105)이 진입할 수 있는 공간부(122)와, 상기 고정편(110)의 회동축(11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여유공간부(123)를 형성하며, 일측에는 연장작동편(124)을 형성하여서 된 작동편(120)을 고정축(125)으로 회전가능토록 고정하며, 상기 메인기판(100)에는 스프링고정편(106)을 절곡형성하여 스프링(107)을 고정편(110)의 걸림턱(115)에 장착하며, 상기 작동편(120)이 후방으로 더 이상 후진 못하도록 연장작동편(124)의 후방부에 스토퍼(108)를 기립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109는 탄발스프링, 130은 본체, 131은 기판, 132는 개폐편, 133은 회동편, 134는 연결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제6도a, b를 참고하여 서랍(104)이 본체(130)의 후변부에 장착된 본 고안의 괘정장치에 괘정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서랍(104)을 강제로 밀어 넣게되면, 서랍(104)의 후면부에 고정된 걸림편(105)이 고정편(110)의 경사안내면(112)을 따라 전진하게 된다.
이때, 서랍(104)에 고정된 걸림편(105)에 의하여 고정편(110)이 회전축(11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걸림편(105)이 완전히 진입하여 괘정턱(111)에 걸리게 되면, 스프링(107)의 복귀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걸림편(105)을 걸어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편(110)의 괘정턱(111)에 걸려 고정된 서랍(104)을 인출할 때에는 금고 본체(130)의 전면에 장착된 기판(131)에 좌, 우로 유동 가능토록 장착된 개폐편(132)을 압지하게 된다.
상기 개폐편(132)을 압지하게 되면, 상기 개폐편(132)이 회동편(133)을 밀어 회전시키게 되고, 연결간(134)을 당겨주게 된다.
연결간(134)이 당겨지게 되면, 작동편(120)이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작동편(120)이 회전하게 되면 연장작동편(124)에 의하여 저면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고정편(110)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즉, 작동편(120)의 연장작동편(124)이 고정편(110)의 연장편(114)에 기립형성된 걸림턱(115)에 걸려 다같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편(110)이 회전하게 되면, 괘정턱(111)에 걸쳐진 걸림편(105)이 상기 괘정턱(111)으로부터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서랍(104)은 메인기판(100)의 전면부에 고정된 탄발스프링(109)의 반발력으로 자연스럽게 인출된다.
본 고안은, 걸림편(105)이 고정편(110)의 괘정턱(111) 깊숙이 걸리게 되어 견고한 괘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금고 본체(130)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도 스프링(107)이 고정편(110)을 강하게 탄지하고 있어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서랍(104)이 열리는 현상이 배제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괘정장치는 서랍(104)에 장착된 걸림편(105)이 걸리는 고정점보다 소폭으로 더 전진하여야 걸림편(105)이 고정편(110)의 괘정턱(111)에 걸리게 되는 것이나, 본 고안은 걸림편(105)이 고정점에 다다라 괘정턱(111)에 걸리게 되면 그 이상 전진할 필요없이 고정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서랍의 전면판이 금고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제작되는 금고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메인기판(100)의 일측에 경보종(101)과 코일스프링(102)에 지지된 타구(103)을 장착하되, 메인기판(100)의 상면에 서랍(104)에 고정된 걸림편(105)을 괘정하는 괘정턱(111)과, 경사안내면(112)이 형성된 고정편(110)을 상기 메인기판(100)에 회동가능토록 회동축(113)으로 고정하되, 상기 고정편(110)의 일측을 연장한 연장편(114)의 일단을 기립하여 걸림턱(115)을 형성하며, 상기 메인기판(100)에 회전가능토록 고정된 고정편(110)의 상측에 연결간(133)과 연결되는 연장절곡편(121)과, 서랍(104)에 고정된 걸림편(105)이 진입할 수 있는 공간부(122)와, 상기 고정편(110)의 회동축(11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여유공간부(123)를 형성하며, 일측에는 연장작동편(124)을 형성하여서 된 작동편(120)을 고정축(125)으로 회전가능토록 고정하며, 상기 메인기판(100)에는 스프링고정편(106)을 절곡형성하여 스프링(107)을 고정편(110)의 걸림턱(115)과 연결 장착하며, 상기 작동편(120)이 후방으로 더 이상 후진 못하도록 연장작동편(124)의 후방부에 스토퍼(108)를 기립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탁상금고의 서랍개폐장치.
KR2019970003176U 1997-02-26 1997-02-26 탁상금고의 서랍 개폐장치 KR2001594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176U KR200159433Y1 (ko) 1997-02-26 1997-02-26 탁상금고의 서랍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176U KR200159433Y1 (ko) 1997-02-26 1997-02-26 탁상금고의 서랍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726U KR19980058726U (ko) 1998-10-26
KR200159433Y1 true KR200159433Y1 (ko) 1999-10-15

Family

ID=1949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3176U KR200159433Y1 (ko) 1997-02-26 1997-02-26 탁상금고의 서랍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4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853B1 (ko) 2007-01-04 2007-12-27 리콘플러스(주) 내장형 금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072B1 (ko) * 2006-04-24 2008-04-21 전광용 프라이버시 금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853B1 (ko) 2007-01-04 2007-12-27 리콘플러스(주) 내장형 금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726U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4159B2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rmrest
US20090256367A1 (en) Fold down window operator
KR200159433Y1 (ko) 탁상금고의 서랍 개폐장치
US5392799A (en) Four-section umbrella strut spreader structure
KR20110026835A (ko) 로울러식 방충망의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로울러식 방충망 조립체
KR100748616B1 (ko) 출입문 고정구
KR200148397Y1 (ko) 소형 수제금고의 개폐장치
KR200336861Y1 (ko)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KR200343480Y1 (ko) 절첩식 상다리
KR200283281Y1 (ko) 화일박스의 안전 잠금장치
KR200284798Y1 (ko) 접을 수 있는 식탁
KR200167597Y1 (ko) 휴대폰 케이스 걸이
JPH0444969Y2 (ko)
KR100583621B1 (ko) 책상 상판의 틸팅 장치
JP2950628B2 (ja) 手摺の取付構造
KR200394457Y1 (ko) 소형 수제금고의 서랍개폐장치
KR200236608Y1 (ko) 매립형 손잡이
JPH0645769Y2 (ja) ホームごたつ用脚
JPS645408Y2 (ko)
JP2833490B2 (ja) アイロン台
KR940000763Y1 (ko) 가전제품용 도어의 좌우 개폐장치
KR200180152Y1 (ko) 상다리 절첩장치
KR200231088Y1 (ko) 접철식 상다리
JPH063288Y2 (ja) ホームごたつ用脚
JP3047234U (ja) 簡易卓脚折り畳み固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