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798Y1 - 접을 수 있는 식탁 - Google Patents

접을 수 있는 식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798Y1
KR200284798Y1 KR2020020015475U KR20020015475U KR200284798Y1 KR 200284798 Y1 KR200284798 Y1 KR 200284798Y1 KR 2020020015475 U KR2020020015475 U KR 2020020015475U KR 20020015475 U KR20020015475 U KR 20020015475U KR 200284798 Y1 KR200284798 Y1 KR 2002847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panel
cabinet
dining table
kitchen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열
Original Assignee
희훈아티퍼니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훈아티퍼니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훈아티퍼니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5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7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7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798Y1/ko

Link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할 때는 넓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주방 공간을 최소로 점유하도록 구성된 접을 수 있는 식탁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주방에서 식탁을 사용할 때에만 주방 공간을 점유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주방 공간을 점유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방 공간을 보다 넓게 사용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접을 수 있는 식탁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벽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고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캐비넷(1)과, 상기한 캐비넷(1)의 전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캐비넷(1) 전면을 개폐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수평 상태에서는 식탁이 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패널(2)과,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2)의 일단이 구름 운동 가능하도록 캐비넷(1)의 전면 내측면과 슬라이딩 패널(2) 사이에 설치된 롤링 수단과,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2)이 수평 상태가 되었을 때 캐비넷(1) 대향측을 지지하고 슬라이딩 패널(2)이 수직 상태가 되면 접히도록 절첩 수단으로 설치된 지지대(3)와,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2)이 직립 상태로 캐비넷(1) 전면에 결합되었을 때 이를 고정시키는 록킹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을 수 있는 식탁{FOLDABLE TABLE}
본 고안은 식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할 때는 넓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주방 공간을 최소로 점유하도록 구성된 접을 수 있는 식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는 씽크대, 식탁등을 배치하여 사용자인 주부가 최소의 동선으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즉,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씽크대를 주방의 가장 좋은 위치(채광, 수도..)에 설치한 상태에서 나머지, 식탁, 수납장등을 배치하여 주방을 꾸미게 되는 것이다.
이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일자형 또는 "ㄱ"자형으로 설치된 씽크대(50)와, 상기한 씽크대(50)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그릇등을 수납하도록 설치된 수납장(51)과, 상기한 수납장(51)에 밀착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일반적으로 주방과 거실을 구분하는 역할을 하도록 설치된 식탁(5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식탁(52)은 통상적으로 주방과 거실을 구분하는 역할을 하도록 도면과 같이 통로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별도의 사각형 식탁을 주방 가운데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주방을 꾸밀 때 싱크대, 수납장, 식탁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배치하게 되면, 상기한 식탁을 수납장 측면에 길게 설치하거나 또는 주방 가운데에 사각 식탁을 설치하여도 주방의 공간이 매우 협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한 식탁 때문에 주방의 공간이 매우 좁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주방에서 음식등을 하는 사람의 거동이 불편하게 될 뿐만 아니라 식탁은 사용하는 시간보다 사용하지 않는 시간이 훨씬 많기 때문에 불필요한 공간 낭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방에서 식탁을 사용할 때에만 주방 공간을 점유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주방 공간을 점유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방 공간을 보다 넓게 사용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접을 수 있는 식탁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벽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고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캐비넷과, 상기한 캐비넷의 전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캐비넷 전면을 개폐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수평 상태에서는 식탁이 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패널과,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의 일단이 구름 운동 가능하도록 캐비넷의 전면 내측면과 슬라이딩 패널 사이에 설치된 롤링 수단과,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이 수평 상태가 되었을 때 캐비넷 대향측을 지지하고 슬라이딩 패널이 수직 상태가 되면 접히도록 절첩 수단으로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이 직립 상태로 캐비넷 전면에 결합되었을 때 이를 고정시키는 록킹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을 수 있는 식탁을 도시한 사시도,
도2a는 도1에서 식탁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2b는 도2a에서 식탁이 열리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3은 식탁의 종단에 설치된 롤러가 캐비넷의 가이드홈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4는 도2a에서 록킹 수단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5은 일반적인 가정에서 식탁을 주방에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캐비넷 2: 슬라이딩 패널
3: 지지대 4: 가이드 부재
5: 롤러 6: 회전축
7: 힌지 8: 탄성바
9: 스프링 10: 설치공
11: 누름부 12: 걸림부
13: 록킹 부재 14: 걸림부재
S: 스프링 H: 힌지 브라켓
도1과 도2a와 도2b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을 수 있는 식탁을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로서, 직립된 상태에서 비교적 폭이 좁게 형성되어 주방 벽면에 밀착됨과 아울러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캐비넷(1)과, 상기한 캐비넷(1)의 전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캐비넷(1) 전면을 개폐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수평 상태에서는 식탁이 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패널(2)과,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2)의 일단이 구름 운동 가능하도록 캐비넷(1)의 전면 내측면과 슬라이딩 패널(2) 사이에 설치된 롤링 수단과,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2)이 수평 상태가 되었을 때 캐비넷(1) 대향측을 지지하고 슬라이딩 패널(2)이 수직 상태가 되면 접히도록 절첩 수단으로 설치된 지지대(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2)의 수평/수직 위치 변경 때 탄성을 인가하여 위치 변경이 용이하도록 캐비넷(1)과 슬라이딩 패널(2) 사이에 탄성 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딩 패널(2)이 직립 상태로 캐비넷(1) 전면에 결합되었을 때 이를 고정시키는 록킹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2)의 일단은 캐비넷(1)의 전면에 롤링 수단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2)이 수직 상태가 되면 캐비넷(1)의 전면을 차폐하도록 하고, 수평 상태가 되면 식탁이 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롤링 수단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1)의 전면부에 수직 설치된 가이드 부재(4)와, 상기한 가이드 부재(4)에 삽입되어 롤링하면서 이동 자재함과 아울러 슬라이딩 패널(2)의 일단에 고정된 롤러(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롤러(5)는 금속재질로 제작하여도 되지만, 우레탄등과 같은 재질로 제작하게 되면 소음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부드러운 작동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지지대(3)와 슬라이딩 패널(2)을 연결하는 절첩 수단은 슬라이딩 패널(2) 저면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지지대(3)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브라켓(H)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탄성 수단은 상기한 캐비넷(1)에 설치된 회전축(6)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슬라이딩 패널(2)의 저면에 힌지(7)로 연결된 탄성바(8)와, 상기한 탄성바(8)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캐비넷(1)에 고정된 스프링(9)으로 구성되어, 상기한 탄성바(8)를 스프링(9)이 당기게 됨으로써, 슬라이딩 패널(2)을 접을 때 용이하고 펼칠 때 급격하게 펴지지 않게 된다.
상기한 탄성바(8)는 소정 곡률을 갖는 상태로 제작되어 스프링(9)의 인장력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딩 패널(2)이 당겨질 때 보다 원활하게 당겨지도록 한다.
상기한 록킹 수단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1)의 저면 선단에 형성된 직각형의 설치공(10)과, 상기한 설치공(10)에 삽입되어 캐비넷(1)의 전면으로 누름부(11)가 돌출되고 상면으로 걸림부(12)가 돌출되도록 형성된 록킹 부재(13)와,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2)을 닫았을 때 걸림부(12)에 걸리고 누름부(11)를 밟으면 해제되도록 슬라이딩 패널(2)의 배면에 부착된 걸림부재(14)와, 상기한 록킹 부재를 상승시키도록 설치된 스프링(S)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주방에 캐비넷(1)이 설치된 상태에서 주방을 사용하는 사람이 식탁을 사용하려고 하면, 상기한 누름부(11)를 발로 밟게 되는 바, 상기한 누름부(11)가 밟히게 되면 걸림부재(14)가 걸림부(12)에서 이격되고, 상기한 걸림부재(14)가 걸림부(12)에서 이격되면 슬라이딩 패널(2)의 자중에 의해 하향되면서 슬라이딩 패널(2)의 저면이 열리게 된다.
슬라이딩 패널(2)의 저면이 열리게 되면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2)의 상단에 결합된 롤러(5)가 가이드 부재(4)를 타고 롤링하면서 하향되는 바, 이때 상기한 탄성바(8)와 스프링(9)이 슬라이딩 패널(2)을 소정 탄성으로 잡아 당기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패널(2)이 급격하게 수평 상태로 위치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한 스프링(9)이 소정 탄성으로 당기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2)이 급격하게 하향되지 않게 되는 바,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2)이 서서히 하향되면서 수평 상태가 되면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2)의 저면에 설치된 지지대(3)를 직립 상태로 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지지대(3)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잡고 직립 상태를 만들게 되면 보다 확실하게 슬라이딩 패널(2)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대(3)가 슬라이딩 패널(2)의 일측 저면을 지지하게 되면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2)이 수평 상태에서 식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2)의 일측 즉, 롤러(5)와 가이드 부재(4)가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한 가이드 부재(4)가 지지대(3)의 높이에 맞춰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롤러(5)가 더 이상 하향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슬라이딩 패널(2)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탄성바(8)는 슬라이딩 패널(2)이 수평 상태가 되었을 때 슬라이딩 패널(2)의 중앙 저면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슬라이딩 패널(2)의 수평 안정도를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슬라이딩 패널(2)이 수평 상태가 되면 식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바, 여기에서 음식을 먹거나 여러 가지 일들을 하게 된다.
식탁의 사용이 완료되면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2)의 지지대(3)측을 약간 들어 지지대(3)를 접은 후,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2)을 놓게 되면 스프링(9)이 당기는 탄성에 의해 슬라이딩 패널(2)이 약간 수직 상태가 되려고 하는 바,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2)을 가볍게 누르면 슬라이딩 패널(2)이 캐비넷(1)의 전면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2)은 상단에 설치된 롤러(5)가 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2)의 하부를 살짝 밀게 되면 쉽게 캐비넷(1)에 결합되어 큰 힘이 필요치않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2)이 캐비넷(1)에 결합되면 상기한 걸림부(12)와 걸림부재(14)가 결합됨으로써,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2)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식탁으로 사용할 때는 캐비넷에서 슬라이딩 패널을 인출하여 수평으로 배치한 후 사용하고, 사용후에는 캐비넷에 용이하게 수납시킬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주방을 보다 넓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벽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고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캐비넷과, 상기한 캐비넷의 전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캐비넷 전면을 개폐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수평 상태에서는 식탁이 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패널과,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의 일단이 구름 운동 가능하도록 캐비넷의 전면 내측면과 슬라이딩 패널 사이에 설치된 롤링 수단과,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이 수평 상태가 되었을 때 캐비넷 대향측을 지지하고 슬라이딩 패널이 수직 상태가 되면 접히도록 절첩 수단으로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이 직립 상태로 캐비넷 전면에 결합되었을 때 이를 고정시키는 록킹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식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롤링 수단은 캐비넷의 전면부에 수직 설치된 가이드 부재와, 상기한 가이드 부재에 삽입되어 롤링하면서 이동 자재함과 아울러 슬라이딩 패널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롤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식탁.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의 수평/수직 위치 변경 때 탄성을 인가하여 위치 변경이 용이하도록 캐비넷과 슬라이딩 패널 사이에 설치된 탄성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식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 수단은 상기한 캐비넷에 설치된 회전축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슬라이딩 패널의 저면에 힌지로 연결된 탄성바와, 상기한 탄성바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캐비넷에 고정되어 슬라이딩 패널을 소정 탄성으로 당기도록 설치된 스프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식탁.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록킹 수단은 캐비넷의 저면 선단에 형성된 직각형의 설치공과, 상기한 설치공에 삽입되어 캐비넷의 전면으로 누름부가 돌출되고 상면으로 걸림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된 록킹 부재와, 상기한 슬라이딩 패널을 닫았을 때 걸림부에 걸리고 누름부를 밟으면 해제되도록 슬라이딩 패널의 배면에 부착된 걸림부재와, 상기한 록킹 부재를 상승시키도록 설치된 스프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식탁.
KR2020020015475U 2002-05-21 2002-05-21 접을 수 있는 식탁 KR2002847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475U KR200284798Y1 (ko) 2002-05-21 2002-05-21 접을 수 있는 식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475U KR200284798Y1 (ko) 2002-05-21 2002-05-21 접을 수 있는 식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798Y1 true KR200284798Y1 (ko) 2002-08-05

Family

ID=73076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475U KR200284798Y1 (ko) 2002-05-21 2002-05-21 접을 수 있는 식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79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601B1 (ko) 2008-08-27 2010-11-15 진영근 접이식 '탁상과 다리'(탁자)가 부착된 가구
KR101271109B1 (ko) * 2011-01-14 2013-06-05 박태정 발판이 구비된 싱크대 문 구조
KR20160144246A (ko) * 2015-06-08 2016-12-16 정휘동 접이식 컵받침대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601B1 (ko) 2008-08-27 2010-11-15 진영근 접이식 '탁상과 다리'(탁자)가 부착된 가구
KR101271109B1 (ko) * 2011-01-14 2013-06-05 박태정 발판이 구비된 싱크대 문 구조
KR20160144246A (ko) * 2015-06-08 2016-12-16 정휘동 접이식 컵받침대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KR101704520B1 (ko) * 2015-06-08 2017-02-09 정휘동 접이식 컵받침대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5498A (en) Folding bed assembly
US4779539A (en) Wall-mountable folding table
KR200284798Y1 (ko) 접을 수 있는 식탁
CN211093625U (zh) 一种浴缸
US4109326A (en) Bath tub enclosure
JP2003310386A (ja) 壁面取り付け用折畳み椅子
KR100696936B1 (ko) 장식장 겸용 테이블
US6158060A (en) Toilet seat cover assembly
CN210248928U (zh) 一种多功能桌子
US3449773A (en) Bathtub structure
KR100658508B1 (ko) 높이 조절 책상
JP3143557B2 (ja) 流し台
KR200202076Y1 (ko) 컴퓨터용 책상
KR20190042968A (ko) 상부 벽장용 선반의 리프트 인출장치
KR20030090352A (ko) 접을 수 있는 침대
KR200231430Y1 (ko) 침대 겸용 의자
TW202130305A (zh) 櫃體之腳踏裝置
KR200377293Y1 (ko) 접철식 탁자
JP2006192108A (ja) 踏み台付き洗面化粧台
KR200336084Y1 (ko) 책받침판 일체형 의자
KR20200002000U (ko) 쇼파겸용 매트리스
CN209677940U (zh) 一种带作业板的宿舍床
KR102270058B1 (ko)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높낮이 조절 테이블
JPH08117036A (ja) 回転収納ボックス
JPH071036Y2 (ja) 洗面化粧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