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520B1 - 접이식 컵받침대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컵받침대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520B1
KR101704520B1 KR1020150080814A KR20150080814A KR101704520B1 KR 101704520 B1 KR101704520 B1 KR 101704520B1 KR 1020150080814 A KR1020150080814 A KR 1020150080814A KR 20150080814 A KR20150080814 A KR 20150080814A KR 101704520 B1 KR101704520 B1 KR 101704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foldable
height
support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4246A (ko
Inventor
정휘동
박재훈
문창모
Original Assignee
정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휘동 filed Critical 정휘동
Priority to KR1020150080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520B1/ko
Publication of KR20160144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8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9Supports
    • B67D1/0891Supports for the beverage container
    • B67D1/0892Supports for the beverage container the beverage container being stored in a rack or shelf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음료가 배출되는 음료 배출구가 배치되고, 상기 음료 배출구의 하부에는 컵을 넣을 수 있는 취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수 공간의 후방에 위치한 장치 정면에 전,후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으로 선회하여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취수 공간에 배치되는 접이식 컵받침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컵받침대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Beverage Supplying Apparatus Having Foldable Cup Support}
본 발명은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예컨대 정수기나 생수기, 커피 머신, 음료 자동 판매기와 같은 음료를 제공하는 장치에서 컵받침대의 높이조절 기구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나 생수기, 커피 머신, 음료 자동 판매기와 같은 음료를 제공하는 장치(이하, 간단히 장치라고도 한다)에서는 다양한 크기(높이)의 컵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음료 배출구와 컵 간의 거리를 컵의 높이에 따라 조절할 수 없다면, 음료 배출구와 컵받침대 사이의 취수 공간에 컵을 넣거나 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또는 음료 배출구에서 낙하하는 음료가 컵 바닥에서 되튀어 주변 또는 사용자를 오염시키고 뜨거운 음료의 경우 화상의 염려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음료 배출구와 컵 간의 거리를 컵의 높이에 따라 조절하는 기능을 구비할 필요가 있는데, 이 조절 기능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첫째는, 음료 배출구 자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음료 저장 탱크에서 음료 배출구에 이르는 음료 배출관은 플렉서블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고, 음료 배출관은 음료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구부러지게 된다. 그런데, 구부러진 음료 배출관 안에 배출되지 않고 남은 음료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오염되는 문제가 있고, 다음 사용자의 음료 배출시 원하지 않게 혼합되는 문제가 있다.
둘째는, 음료 배출구 아래에 배치된 컵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냉온수 공급 가능한 자판기에서는 양측벽에 높이 조절용 선반홈을 형성하고, 선반 형태의 컵받침을 원하는 높이의 선반홈에 끼움으로써 높이를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잠금 장치가 없어 원하지 않은 상태에서 컵받침이 미끌어져 나올 수 있고, 컵받침을 분실할 염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콜드컵 자동판매기의 컵받침장치에서는 컵받침의 좌우 측판에 계단진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컵받침을 끼우고 나사못으로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컵받침장치는 기본적으로 자동판매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컵받침의 높이조절은 일반 사용자가 아닌 유지보수 요원이 행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한편, 커피 머신이나 온수를 제공하는 정수기 또는 생수기와 같이 뜨거운 음료를 제공하는 장치에서는, 일반 사용자의 부주의나 실수로 컵받침대 위에 뜨거운 음료가 든 컵이 놓여진 상태에서 컵받침대의 높이조절 버튼(잠금 해제 버튼)이 눌려져 음료가 든 컵의 하중에 의해 컵받침대가 아래로 낙하하면서 뜨거운 음료가 엎질러져 화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가정이나 직장 등의 일반 수요자 상대로 커피 머신이나 정수기 등이 널리 보급되고 있는데, 이러한 음료 공급 장치는 기능이나 품질뿐만 아니라 제품 외관 디자인도 제품개발시 고려해야 할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0-0517874호 특허문헌 2: 등록특허 제20-016257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일반 사용자가 손쉽게 컵받침대를 취수 공간에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컵받침대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취수 공간 내에서 컵받침대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컵받침대의 미사용 시에는 접혀서 숨겨진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 시에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펼쳐서 간편히 노출시킬 수 있게 하는 구조의 높이조절 기구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는, 상부에 음료가 배출되는 음료 배출구가 배치되고, 상기 음료 배출구의 하부에는 컵을 넣을 수 있는 취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수 공간의 후방에 위치한 장치 정면에 전,후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으로 선회하여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취수 공간에 배치되는 접이식 컵받침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수 공간의 후방에 위치한 장치 정면에는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와 형합 가능한 리세스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는 후방으로 선회하여 접힌 상태에서 상기 리세스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부의 양측벽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높이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의 양측면에는 상기 높이 고정홈에 끼워져서 선회 축을 제공하는 샤프트 봉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의 양측면에는 집게 타입의 높이조절 버튼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높이조절 버튼을 두 손가락으로 집었을 때 상기 샤프트 봉이 상기 높이 고정홈으로부터 이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 버튼과 상기 샤프트 봉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 버튼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높이조절 버튼을 탄성 바이어스하는 스프링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는 상기 복수개의 높이 고정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샤프트 봉이 끼워진 상태에서 선회하게 되고,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에 있어서 접힌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면의 하단 가장자리부에는 누름 조작을 안내하는 문구나 도형이 형성된 누름영역부가 구비되고, 상기 누름영역부가 상기 샤프트 봉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누름영역부를 눌렀을 때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가 전방으로 선회하여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의 하면에는 다른 부분에 비해 돌출된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스토퍼를 수용하여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가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를 고정하는 컵받침대 결합홈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컵받침대 결합홈 중 가장 하부에 위치한 컵받침대 결합홈은 상기 스토퍼가 선회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의 선회 시 상기 스토퍼는 이를 수용하는 컵받침대 결합홈의 바닥부와 접촉하고 마찰에 의해 감속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가 접혀서 상기 리세스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의 표면은 상기 취수 공간의 후방에 위치한 장치 정면의 표면과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와 상기 리세스부 중 어느 한쪽에는 마그네트가 장착되고 다른 한쪽에는 상기 마그네트와 자기적으로 결합 가능한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의 접힘 상태를 자력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는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 또는 상기 리세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의 접힌 상태를 선택적으로 록킹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푸시버튼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는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추가적인 받침 면을 제공하는 하부 지지플레이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컵받침대의 사용 시 컵받침대가 음료 공급 장치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선회하여 취수 공간에 배치되므로 컵받침대의 낙하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컵받침대의 미사용 시에는 음료 공급 장치의 정면에 매립되어 보관되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컵받침대의 컵 지지면에 쌓이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셋째, 컵받침대의 양측면을 엄지와 검지를 이용해 잡을 수 있는 구조상 컵받침대를 파지하는 동시에 높이조절 버튼을 누르는 것이 가능하므로 컵받침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컵받침대 높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넷째, 한 손가락을 이용해 컵받침대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펼쳐서 취수 공간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섯째, 샤프트 봉과 높이 고정홈의 결합 구조를 적용하여 컵받침대를 잡아당기더라도 컵받침대가 취수 공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아 컵받침대의 분실 등의 염려가 없으면서도, 컵받침대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다.
여섯째, 컵받침대가 접힌 상태에서 컵받침대의 표면이 음료 공급 장치의 표면과 일치하는 형상과 디자인을 적용함으로써, 의도하지 않게 컵받침대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접이식 컵받침대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접이식 컵받침대를 일차적으로 살짝 누른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접이식 컵받침대를 완전히 펼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접이식 컵받침대의 외관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음료 공급 장치에서 접이식 컵받침대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높이조절 버튼을 누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음료 공급 장치에서 접이식 컵받침대의 높이 조절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 후, 좌, 우, 상, 하, 정면, 측면과 같은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서술하는 기준 방향이 달라지면 이러한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도 당연히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음료 공급 장치(1)는 커피 머신이지만, 본 발명은 커피 머신에 제한되지 않고, 정수기나 생수기, 음료 자동 판매기 등 다양한 음료 공급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음료 공급 장치(1)에는, 장치 정면(10)에 취수 공간(11)이 형성되어 있다. 취수 공간(11)의 상부에는 음료(커피나 물)가 배출되는 음료 배출구(12)가 배치되고, 음료 배출구(12)의 하부에는 컵을 놓는 접이식 컵받침대(20)가 배치된다. 비록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음료 공급 장치(1)의 정면에는 원하는 음료(커피)의 종류나 각 기능을 선택하는 소정의 조작 버튼과 선택가능한 음료의 종류나, 온수의 온도, 저장량, 각종 경고 램프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료 배출구(12)의 하부에 배치된 접이식 컵받침대(20)에 컵을 올려 놓고, 디스플레이를 보면서 조작 버튼을 눌러 원하는 음료를 취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접이식 컵받침대(20)의 하방에는 하부 지지플레이트(17)가 설치되어 추가적인 받침 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 지지플레이트(17)는 접이식 컵받침대(20)에 올려 놓기가 곤란한 상대적으로 큰 크기(높이)의 컵을 받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1)는 취수 공간(11)의 후방에 위치한 장치 정면(10)에 정해진 깊이로 형성된 리세스부(13)에 매립식으로 설치된 접이식 컵받침대(20)를 전방으로 선회시켜서 음료 배출구(12) 하부의 취수 공간(11)에 수평으로 펼침으로써 컵받침 기구를 배치한다.
접이식 컵받침대(20)는 리세스부(13)와 형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고, 후방으로 선회하여 접힌 상태에서 리세스부(13)에 안착된다. 도 2에는 접이식 컵받침대(20)가 접혀서 리세스부(13)에 안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접이식 컵받침대(20)가 리세스부(13)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접이식 컵받침대(20)의 제1면은 취수 공간의 후방에 위치한 장치 정면(10)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접이식 컵받침대(20)의 두께는 리세스부(13)의 깊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된다.
접이식 컵받침대(20)는 리세스부(13)의 양측벽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높이 고정홈(14) 중 어느 하나에 샤프트 봉(23)이 끼워짐으로써 음료 공급 장치(1)에 결합된다. 샤프트 봉(23)은 접이식 컵받침대(20)가 접혀서 리세스부(13)에 안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접이식 컵받침대(20)의 하단쪽에 가깝게 위치한다. 또한, 샤프트 봉(23)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접이식 컵받침대(20)의 상기 제1면 하단 가장자리부에는 누름 조작을 안내하는 소정의 문구나 도형이 형성된 누름영역부(P)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한 손가락(예컨대, 검지 손가락)을 이용해 누름영역부(P)를 누르면 샤프트 봉(23)을 축으로 하여 접이식 컵받침대(20)가 전방으로 선회하여 최종적으로는 컵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수평하게, 즉 지면과 나란하게 펼쳐지게 된다.
접이식 컵받침대(20)가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접이식 컵받침대(20)의 하면에는 다른 부분에 비해 돌출된 스토퍼(24)가 구비되고, 리세스부(13)의 바닥면에는 스토퍼(24)를 수용하여 접이식 컵받침대(20)가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를 고정하는 컵받침대 결합홈(15,15')이 높이별로 형성된다. 리세스부(13)의 바닥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컵받침대 결합홈(15,15') 중 가장 하부에 위치한 컵받침대 결합홈(15)은 스토퍼(24)의 선회를 가능케하는 충분한 여유공간을 구비해야 한다. 따라서, 접이식 컵받침대(20)의 선회 시 스토퍼(24)가 상기 컵받침대 결합홈(15) 내에서 선회하고, 접이식 컵받침대(20)가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스토퍼(24)가 상기 컵받침대 결합홈(15)의 상단 내벽에 걸려서 펼쳐진 상태가 고정된다.
접이식 컵받침대(20)가 불필요하게 빠르게 선회하며 하강할 경우에는 손가락(혹은 손등)을 가격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접이식 컵받침대(20)의 선회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접이식 컵받침대(20)의 선회 시 스토퍼(24)는 정해진 선회 구간 동안 컵받침대 결합홈(15)의 바닥부와 살짝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마찰에 의해 감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누름영역부(P)를 눌렀을 때 접이식 컵받침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간적으로 젖혀져서 정해진 각도까지 일차적인 선회를 하고, 이후 접이식 컵받침대(20)의 상기 제1면의 반대쪽에 위치한 제2면을 추가적으로 누르거나 접이식 컵받침대(20)를 잡은 상태에서 끌어내림에 따라 이차적인 선회를 하여 수평하게 펼쳐지게 된다.
접이식 컵받침대(20)가 완전히 접힌 상태를 기준으로 상단 부근 안쪽에는 바람직하게, 마그네트(22)가 장착되고, 리세스부(13)에는 마그네트(22)와 자기적으로 결합 가능한 자성결합부재(16)(철편, 마그네트 등)가 구비되어 있어 접이식 컵받침대(20)의 접힘 상태를 자력으로 고정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접이식 컵받침대(20)의 일측 또는 리세스부(13)에는 접이식 컵받침대(20)의 접힌 상태를 선택적으로 록킹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푸시버튼 스위치가 부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푸시버튼 스위치는, 접이식 컵받침대(20)가 접힌 상태에서, 접이식 컵받침대(20)의 일부를 눌렀을 때 록킹 상태가 해제되고 다시 눌렀을 때는 록킹이 이루어지는 스위치로서 통상의 기술을 채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1)는 컵의 크기(높이)에 따라 접이식 컵받침대(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이식 컵받침대(20)의 양측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 타입으로 사용되는 높이조절 버튼(21)이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가 접이식 컵받침대(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높이조절 버튼(21)을 두 손가락으로 집었을 때 샤프트 봉(23)이 높이 고정홈(14)으로부터 이탈하도록 구성된다. 도 6에 더욱 상세히 나타난 바와 같이 높이조절 버튼(21)과 샤프트 봉(23)은 일체로 형성되어 연동이 가능하다. 또한, 높이조절 버튼(21)에는, 하우징(25)의 내부에 배치되어 높이조절 버튼(21)을 탄성 바이어스하는 스프링(27)이 결합된다.
하우징(25)은 컵을 놓을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면(제2면)을 구비하는데, 이 상면은 낙수가 통과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그릴(26)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5)의 측면에는 높이조절 버튼(21)이 노출되는 버튼홀(25b)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그릴(26)을 통해 낙수가 모이는 공간(25a)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27)은 높이조절 버튼(21)이 눌리는 방향(도 7의 화살표 참조)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높이조절 버튼(21)은 접이식 컵받침대(20)의 측면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렇게 하면, 사용자의 신체나 물건 등이 높이조절 버튼(21)에 접촉하여 의도하지 않게 록킹 상태를 해제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록킹 상태가 아닌 상태(높이 고정홈(14)에 샤프트 봉(23)이 제대로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높이조절 버튼(21)이 접이식 컵받침대(20)의 측면 표면에서 안쪽으로 들어간 상태가 되어, 록킹 상태가 아니라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접이식 컵받침대(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으로 높이조절 버튼(21)을 눌러서 샤프트 봉(23)을 높이 고정홈(14)에서 이탈시키고,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하는 높이로 접이식 컵받침대(20)를 옮겨서 높이조절 버튼(21)의 누름을 해제하여 해당하는 높이 고정홈(14)에 샤프트 봉(23)을 결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음료 공급 장치(1)는 사용자가 컵받침대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장치 정면(10)에 접힌 상태에 있는 접이식 컵받침대(20)의 하단을 눌러서 접이식 컵받침대(20)를 젖힌 후 접이식 컵받침대(20)의 상면에 컵을 올려 놓으면 된다. 이때, 접이식 컵받침대(20)는 높이 고정홈(14)에 끼워져서 록킹 상태에 있는 샤프트 봉(23)을 축으로 하여 선회하여 취수 공간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또한, 컵의 크기(높이)에 걸맞게 접이식 컵받침대(2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접이식 컵받침대(20)의 양측면에 구비된 높이조절 버튼(21)을 엄지와 검지를 이용해 눌러서 접이식 컵받침대(2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한 후 접이식 컵받침대(20)를 원하는 높이로 옮긴 후 해당 높이 고정홈(14)에 샤프트 봉(23)을 록킹함으로써 접이식 컵받침대(20)의 높이를 조정하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음료 공급 장치 10: 장치 정면
11: 취수 공간 12: 음료 배출구
13: 리세스부 14: 높이 고정홈
15,15': 컵받침대 결합홈 16: 마그네트
17: 하부 지지플레이트 20: 접이식 컵받침대
21: 높이조절 버튼 22: 자성결합부재
23: 샤프트 봉 24: 스토퍼
25: 하우징 26: 그릴
27: 스프링 P: 누름영역부

Claims (12)

  1. 상부에 음료가 배출되는 음료 배출구가 배치되고, 상기 음료 배출구의 하부에는 컵을 넣을 수 있는 취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수 공간의 후방에 위치한 장치 정면에 전,후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으로 선회하여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취수 공간에 배치되는 접이식 컵받침대를 구비하고,
    상기 취수 공간의 후방에 위치한 장치 정면에는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와 형합 가능한 리세스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는 후방으로 선회하여 접힌 상태에서 상기 리세스부에 안착되고,
    상기 리세스부의 양측벽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높이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의 양측면에는 상기 높이 고정홈에 끼워져서 선회 축을 제공하는 샤프트 봉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의 양측면에는 집게 타입의 높이조절 버튼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높이조절 버튼을 두 손가락으로 집었을 때 상기 샤프트 봉이 상기 높이 고정홈으로부터 이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버튼과 상기 샤프트 봉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 버튼에는,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높이조절 버튼을 탄성 바이어스하는 스프링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에 있어서 접힌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면의 하단 가장자리부에는 누름 조작을 안내하는 문구나 도형이 형성된 누름영역부가 구비되고,
    상기 누름영역부가 상기 샤프트 봉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누름영역부를 눌렀을 때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가 전방으로 선회하여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의 하면에는 다른 부분에 비해 돌출된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스토퍼를 수용하여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가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를 고정하는 컵받침대 결합홈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컵받침대 결합홈 중 가장 하부에 위치한 컵받침대 결합홈은 상기 스토퍼가 선회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의 선회 시 상기 스토퍼는 이를 수용하는 컵받침대 결합홈의 바닥부와 접촉하고 마찰에 의해 감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가 접혀서 상기 리세스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의 표면이 상기 취수 공간의 후방에 위치한 장치 정면의 표면과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와 상기 리세스부 중 어느 한쪽에는 마그네트가 장착되고 다른 한쪽에는 상기 마그네트와 자기적으로 결합 가능한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의 접힘 상태를 자력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 또는 상기 리세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의 접힌 상태를 선택적으로 록킹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푸시버튼 스위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컵받침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추가적인 받침 면을 제공하는 하부 지지플레이트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KR1020150080814A 2015-06-08 2015-06-08 접이식 컵받침대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KR101704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814A KR101704520B1 (ko) 2015-06-08 2015-06-08 접이식 컵받침대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814A KR101704520B1 (ko) 2015-06-08 2015-06-08 접이식 컵받침대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246A KR20160144246A (ko) 2016-12-16
KR101704520B1 true KR101704520B1 (ko) 2017-02-09

Family

ID=57735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814A KR101704520B1 (ko) 2015-06-08 2015-06-08 접이식 컵받침대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5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842U (ko) * 2021-05-25 2022-12-05 주식회사 동양이노텍 핫 워터 디스펜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2311B (zh) * 2019-06-24 2024-02-09 广东亿龙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奶泡输出角度可调的咖啡机
CN111080918B (zh) * 2019-09-26 2021-09-24 杭州为我健康新零售科技有限公司 适用于蜂蜜饮品贩卖机的降温系统以及降温方法
KR200497553Y1 (ko) * 2023-05-03 2023-12-14 (주) 자바라이프 높이 조절과 회전이되는 애완동물용 식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798Y1 (ko) * 2002-05-21 2002-08-05 희훈아티퍼니처 주식회사 접을 수 있는 식탁
KR100517874B1 (ko) 2002-07-12 2005-09-30 주식회사 태멘시스템 냉온수 공급 가능한 자판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5908B2 (ja) * 1995-09-08 2005-07-27 三洋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KR200162573Y1 (ko) 1997-09-13 1999-12-15 배길성 콜드컵 자동판매기의 컵받침장치
KR101208551B1 (ko) * 2009-11-30 201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또는 정수기의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798Y1 (ko) * 2002-05-21 2002-08-05 희훈아티퍼니처 주식회사 접을 수 있는 식탁
KR100517874B1 (ko) 2002-07-12 2005-09-30 주식회사 태멘시스템 냉온수 공급 가능한 자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842U (ko) * 2021-05-25 2022-12-05 주식회사 동양이노텍 핫 워터 디스펜서
KR200497532Y1 (ko) * 2021-05-25 2023-12-07 주식회사 동양이노텍 핫 워터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246A (ko) 201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520B1 (ko) 접이식 컵받침대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RU2553040C2 (ru) Эргономичный сервисный узел для аппаратов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US8998037B2 (en) Drink dispensing device with holding and drip-collecting system for receptacles of different sizes
US9648981B2 (en) Adjustable dispensing nozzle
US20110108162A1 (en) Ergonomic interface screen for a beverage machine
US20070137726A1 (en) Beverage dispenser
ES2195817T3 (es) Dispositivo de fijacion para rcipiente de bebidas.
CA2869378C (en) Dispenser with holding system for receptacles of different sizes
CA2998453A1 (en) Drinks preparation machine
EP3087880B1 (en) Household coffee-making machine
AU2013304945A1 (en) Handle for a shopping trolley
CN104433811A (zh) 咖啡饮水机
KR200481231Y1 (ko) 높이조절 가능한 컵받침대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US3429252A (en) Coffee maker and brewer
EP3865019B1 (en) 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KR200456899Y1 (ko) 자동 컵 배출장치를 포함하는 음료자동판매기
JP5952606B2 (ja) 容器スタンド
JP6674729B2 (ja) 成分抽出式飲料製造装置および容器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