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532Y1 - 핫 워터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핫 워터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532Y1
KR200497532Y1 KR2020210001638U KR20210001638U KR200497532Y1 KR 200497532 Y1 KR200497532 Y1 KR 200497532Y1 KR 2020210001638 U KR2020210001638 U KR 2020210001638U KR 20210001638 U KR20210001638 U KR 20210001638U KR 200497532 Y1 KR200497532 Y1 KR 200497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late
fixing
main body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842U (ko
Inventor
유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이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이노텍
Priority to KR2020210001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532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8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8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5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9Supports
    • B67D1/0894Supports for the vessel to be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핫 워터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상기 핫 워터 디스펜서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물을 일정 온도를 가변시켜 공급하는 물 공급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물 공급부로부터 공급 받는 상기 물을 출수하는 출수부; 상기 출수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용기 받침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 받침부가 서로 다른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핫 워터 디스펜서{Hot Water Dispenser}
본 고안은 핫 워터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수 또는 온수를 출수하는 출수구 하방에서 컵과 같은 용기의 받침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핫 워터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수기는 도 1에서와 같이 본체(1) 전면 상부에는 정수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해주는 표시부(2)와, 정수된 물을 급수시키기 위한 급수스위치(3)와, 상기 급수스위치(3)의 작동에 의해 정수된 물을 급수시키는 급수부(4)가 설치되어 있고, 전면 하부에는 급수부(4)에서 급수되는 물을 담는 용기가 안착될 수 있는 받침대(5)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정수기를 사용시에는 먼저 용기를 받침대(5)위에 올려 놓은 후 급수스위치(3)를 누른다. 그러면 이 급수스위치(3)의 눌림 동작에 의해 급수부(4)를 통해 정수된 물이 용기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정수기를 이용하여 정수된 물을 공급 받기 위해서는 받침대(5)위에 용기가 안착된 상태에서 급수부(4)를 통해 물을 공급 받아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입구가 큰용기는 물을 공급 받는데는 별지장이 없으나, 입구가 작은용기는 상대적으로 입구가 작기 때문에 급수부(4)에서 급수되는 물을 정확히 받을 수 없을 뿐 아니라, 받는다 하더라도 급수부(4)와 받침대(5)위에 올려진 용기와의 간격이 많이 차이 나기 때문에 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77664호(공개일: 2012.07.10)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냉수 또는 온수를 출수하는 출수구 하방에서 컵과 같은 용기의 받침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핫 워터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제 1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용기 받침을 본체의 둘레에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홈을 사용하여 그 위치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냉수 또는 온수를 출수하는 출수구 하방에서 컵과 같은 용기의 받침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핫 워터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제 2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핫 워터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상기 핫 워터 디스펜서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물을 일정 온도를 가변시켜 공급하는 물 공급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물 공급부로부터 공급 받는 상기 물을 출수하는 출수부; 상기 출수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용기 받침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 받침부가 서로 다른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 받침부는,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양측단에서 하방을 따라 절곡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받침판 또는 상기 한 쌍의 측판의 전면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 부재가 끼워지는 고정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받침판의 전면부에서 상방을 따라 절곡되는 하나 이상의 걸침편과,
상기 한 쌍의 측판 각각의 전면부에서 돌출되는 한 쌍의 끼움편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홀은,
상기 하나 이상의 걸침편이 관통하여 걸리도록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제 1고정홀과,
상기 한 쌍의 끼움편이 관통하여 끼워지는 한 쌍의 제 2고정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고정홀은,
수평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 2고정홀은,
수직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걸침편은,
상기 받침판의 전면부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방을 따라 절곡되되,
상기 일정 길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끼움홀을 이루는 상기 본체부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받침판의 상단에는 제 1방향을 따르는 제 1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 상부에는,
상기 제 1슬라이딩 레일과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는 안착판이 배치되고,
상기 제 1슬라이딩 레일은, 제 1리니어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 1리니어 모터는,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안착판의 이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착판의 상단에는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를 이루는 제 1방향을 따르는 제 2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판 상부에는,
상기 제 2슬라이딩 레일과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어 용기가 안착되는 보조 안착판이 배치되고,
상기 제 2슬라이딩 레일은, 제 2리니어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 2리니어 모터는,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 안착판의 이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안착판 상에 안착되는 용기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값들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측정되는 상기 압력값들을 통해 상기 용기의 중심점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용기의 중심점 위치가 상기 출수부의 출수 위치와 일치되도록 상기 제 1리니어 모터와 상기 제 2리니어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안착판 및 상기 보조 안착판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홀이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이동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 레일과 상기 이동 레일은 레일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승강 모터에 의해 승강 위치가 가변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출수부에는,
상기 보조 안착판에 안착되는 용기 상단 까지의 거리값을 측정하는 거리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보조 안착판 상에 상기 용기가 안착되면, 측정된 상기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이격 거리값에 이르도록 상기 승강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보조 안착판의 승강 위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의 과제에 따라 본 고안은 냉수 또는 온수를 출수하는 출수구 하방에서 컵과 같은 용기의 받침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용기 받침을 본체의 둘레에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홈을 사용하여 그 위치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냉수 또는 온수를 출수하는 출수구 하방에서 컵과 같은 용기의 받침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들과 더불어 본 고안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받침대를 갖는 종래의 정수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핫 워터 디스펜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용기 받침부가 본체부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받침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받침부를 보여주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판에 형성되는 걸침편들의 형상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2고정홀의 형성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받침부가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판의 상단에 안착판이 더 배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 플레이트가 승강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핫 워터 디스펜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용기 받침부가 본체부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 하면, 본 고안에 따른 핫 워터 디스펜서는 사각 박스 형상의 본체부(100)와, 물 공급부(미도시)와, 출수부(300)와, 용기 받침부(400)와, 고정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본체부(100)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물 공급부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물 공급부는 외부의 관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에 따른 물 공급부는 상기의 수조를 구비하지 않고 직수형으로 공급하는 연결 파이프 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부는 온수관과 냉수관과 연결된다.
상기 출수부(300)는 냉수를 출수하는 제 1출수부(310)와, 온수를 출수하는 제 2출수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출수부(300)는 냉수 및 온수의 구분 없이 외부의 물을 공급하도록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수관은 제어기(600)의 제어에 따라 물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는 히터 모듈(미도시)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냉수관은 제어기(600)의 제어에 따라 물을 일정 온도로 냉각하는 냉각 모듈(미도시)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출수부(310)는 일정 온도로 냉각된 물을 출수하고, 제 2출수부(320)는 일정 온도로 가열된 온수를 출수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부 하단에는 전장으로 돌출되는 물받이(110)가 설치된다. 상기 물받이는 제 1,2출수부(310, 320)에서 낙하되는 잔류 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본체부(100)의 전면부에 상기 제 2출수부(320)의 하부에는 용기 받침부(400)가 배치된다. 상기 용기 받침부(400)는 상하를 따라 일정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500)는 상기 용기 받침부(400)가 서로 다른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부에 형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받침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받침부를 보여주는 후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판에 형성되는 걸침편들의 형상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 하면,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받침부(400)는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받침판(410)과, 상기 받침판(410)의 양측단에서 하방을 따라 절곡되는 한 쌍의 측판(420)과, 상기 받침판(410) 또는 상기 한 쌍의 측판(420)의 전면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부재(430)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받침부(400)는 금속 또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일정 두께를 갖는 판 상으로 형성되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 부재(430)는 상기 받침판(410)의 전면부에서 상방을 따라 절곡되는 한 쌍의 걸침편(431)과, 상기 한 쌍의 측판(420) 각각의 전면부에서 돌출되는 한 쌍의 끼움편(432)을 갖는다.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걸침편(431)은 받침판(410)의 전면부의 일정위치에서 상방을 따라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된다.
여기서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걸침편(431)은 받침판(410)의 전면부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며, 그 끝단에서 상방을 따라 절곡된다.
이에 각각의 걸침편(431)은 받침판(410)의 전면부로부터 돌출되는 네크(431a)를 갖는다.
상기 네크(431a)의 돌출 길이는 실질적으로 본체부의 두께에 상응하는 길이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2고정홀의 형성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 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돌출 부재(430)는 상기 고정부(50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 부재(430)가 끼워지는 고정홀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홀은 상기 한 쌍의 걸침편(431)이 관통하여 걸리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제 1고정홀(510)과, 상기 한 쌍의 끼움편(432)이 관통하여 끼워지는 한 쌍의 제 2고정홀(5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 1고정홀(510)은 수평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제 1고정홀(510)의 위치는 상술한 한 쌍의 걸침편(431)이 끼워질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 2고정홀(520)은 수직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제 2고정홀(520)은 상기 한 쌍의 끼움편(432)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의 홀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끼움편(432)은 한 쌍의 제 2고정홀(520)에 끼워진다.
다음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받침부의 위치 고정 방식을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받침부가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 하면,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받침부(400)의 받침판(410)의 전면부에 형성된 한 쌍의 걸침편(431)은 본체부(100)의 전면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 1고정홀(510)을 관통할 수 있다. 이때, 받침판(431)은 상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한 쌍의 걸침편(431)이 제 1고정홀(510)에 끼워지도록 한다.
한 쌍의 걸침편(431)이 한 쌍의 제 1고정홀(510)을 관통하면, 한 쌍의 걸침편(431)은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다.
한 쌍의 측판(420)의 전면부가 본체부(100)의 전면부에 밀착되도록 받침판(410)을 반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 1고정홀(510)을 관통한 한 쌍의 걸침편(431) 역시 반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되면서,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제 1고정홀(510)의 주변영역에 지지된다.
그리고 한 쌍의 측판(420)의 전면부에서 돌출된 한 쌍의 끼움편(432)은 본체부(100)의 전면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 2고정홀(520)을 관통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받침부(400)는 한 쌍의 걸침편(431)이 한 쌍의 제 1고정홀(510)을 관통하여 걸치고, 한 쌍의 끼움편(432)이 한 쌍의 제 2고정홀(520)을 관통하도록 끼워짐에 따라, 본체부(100)의 전면부 해당 위치에 고정된다.
반면, 용기 받침부(400)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용기 받침부(400)의 걸침편(431) 및 끼움편(432)을 다른 위치에 형성된 제 1,2고정홀(510, 520)에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끼움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용기 받침부의 상하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 또는 컵의 높이에 따라 제 2출수부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물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냉수 또는 온수를 출수하는 출수구 하방에서 컵과 같은 용기의 받침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용기 받침을 본체의 둘레에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홈을 사용하여 그 위치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냉수 또는 온수를 출수하는 출수구 하방에서 컵과 같은 용기의 받침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판의 상단에 안착판이 더 배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 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받침판(410)의 상단에는 제 1방향을 따르는 제 1슬라이딩 레일(411)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판(410) 상부에는 상기 제 1슬라이딩 레일(411)과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는 안착판(440)이 배치된다.
상기 제 1슬라이딩 레일(411)은, 제 1리니어 모터(412)와 연결된다.
상기 제 1리니어 모터(412)는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안착판(440)의 이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착판(440)의 상단에는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를 이루는 제 1방향을 따르는 제 2슬라이딩 레일(441)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판(440) 상부에는 상기 제 2슬라이딩 레일(441)과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어 용기가 안착되는 보조 안착판(450)이 배치된다.
상기 제 2슬라이딩 레일(441)은, 제 2리니어 모터(442)와 연결된다.
상기 제 2리니어 모터(442)는 제어기(6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 안착판(450)의 이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제 1방향은 X축 방향일 수 있고, 제 2방향은 Y축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또한 상기 보조 안착판(450) 상에 안착되는 용기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값들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들(460)이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600)는 측정되는 상기 압력값들을 통해 상기 용기의 중심점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용기의 중심점 위치가 상기 출수부의 출수 위치와 일치되도록 상기 제 1리니어 모터(412)와 상기 제 2리니어 모터(442)를 사용하여, 상기 안착판(440) 및 상기 보조 안착판(45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안착판(450)은 실질적으로 XY축을 따라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용기 또는 컵이 보조 안착판(450)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로, 제 2출수부(320)의 하방에 그 중심이 위치되도록 하는 경우, 제어기(600)의 제어를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출수부(320)를 통해 온수를 제공받은 경우, 온수는 용기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제공되어 질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 플레이트가 승강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 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500)는 상기 고정홀(510, 520)이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530)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530)에는 이동 레일(531)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부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530)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 레일(120)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 레일(120)과 상기 이동 레일(531)은 레일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530)는 상기 제어기(60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승강 모터(130)에 의해 승강 위치가 가변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출수부(320)에는 받참판(410)에 안착되는 용기 상단 까지의 거리값을 측정하는 거리 센서(61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600)는 상기 받침판(410) 상에 상기 용기가 안착되면, 측정된 상기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이격 거리값에 이르도록 상기 승강 모터(130)를 구동시켜 상기 받참판(410)의 승강 위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용기가 받침판(410)에 안착되면, 압력 센서들(460)의 압력값 측정에 따라 용기 안착을 인지하고, 상기 거리 센서(610)는 용기의 내부 바닥 까지의 거리값을 측정하고, 이를 제어기(60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기(600)는 측정된 상기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이격 거리값에 이르도록 상기 승강 모터(130)를 구동시켜 상기 용기 받침부(400)의 승강 위치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이격 거리값은 온수가 제 2출수부(320)로부터 출수되는 경우 용기 내부에서 외부로 튀지 않도록 다수의 실험에 의해 얻어진 경험치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온수를 출수받는 경우 안정적으로 용기에 공급되어 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기는 제 2출수부(320)로부터 정해진 양의 온수가 모두 출수되면, 승강 모터(130)를 사용하여 받침판(410)을 원위치 또는 대기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강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본체부
300 : 출수부
310 : 제 1출수부
320 : 제 2출수부
400 : 용기 받침부
410 : 받침판
420 : 측판
500 : 고정부
510 : 제 1고정홀
520 : 제 2고정홀
600 : 제어기

Claims (6)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물을 일정 온도를 가변시켜 공급하는 물 공급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물 공급부로부터 공급 받는 상기 물을 출수하는 출수부;
    상기 출수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용기 받침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 받침부가 서로 다른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 받침부는,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양측단에서 하방을 따라 절곡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받침판 또는 상기 한 쌍의 측판의 전면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 부재가 끼워지는 고정홀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받침판의 전면부에서 상방을 따라 절곡되는 하나 이상의 걸침편과, 상기 한 쌍의 측판 각각의 전면부에서 돌출되는 한 쌍의 끼움편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홀은, 상기 하나 이상의 걸침편이 관통하여 걸리도록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제 1고정홀과, 상기 한 쌍의 끼움편이 관통하여 끼워지는 한 쌍의 제 2고정홀을 구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고정홀은, 수평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 2고정홀은, 수직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걸침편은, 상기 받침판의 전면부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방을 따라 절곡되되,
    상기 일정 길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끼움홀을 이루는 상기 본체부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되,

    상기 받침판의 상단에는 제 1방향을 따르는 제 1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 상부에는,
    상기 제 1슬라이딩 레일과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는 안착판이 배치되고,
    상기 제 1슬라이딩 레일은, 제 1리니어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 1리니어 모터는,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안착판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안착판의 상단에는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를 이루는 제 1방향을 따르는 제 2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판 상부에는,
    상기 제 2슬라이딩 레일과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어 용기가 안착되는 보조 안착판이 배치되고,
    상기 제 2슬라이딩 레일은, 제 2리니어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 2리니어 모터는,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 안착판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보조 안착판 상에 안착되는 용기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값들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측정되는 상기 압력값들을 통해 상기 용기의 중심점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용기의 중심점 위치가 상기 출수부의 출수 위치와 일치되도록 상기 제 1리니어 모터와 상기 제 2리니어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안착판 및 상기 보조 안착판의 위치를 가변시키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홀이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이동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 레일과 상기 이동 레일은 레일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승강 모터에 의해 승강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워터 디스펜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에는,
    상기 보조 안착판에 안착되는 용기 상단 까지의 거리값을 측정하는 거리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보조 안착판 상에 상기 용기가 안착되면, 측정된 상기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이격 거리값에 이르도록 상기 승강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보조 안착판의 승강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워터 디스펜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210001638U 2021-05-25 2021-05-25 핫 워터 디스펜서 KR2004975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638U KR200497532Y1 (ko) 2021-05-25 2021-05-25 핫 워터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638U KR200497532Y1 (ko) 2021-05-25 2021-05-25 핫 워터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842U KR20220002842U (ko) 2022-12-05
KR200497532Y1 true KR200497532Y1 (ko) 2023-12-07

Family

ID=84391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638U KR200497532Y1 (ko) 2021-05-25 2021-05-25 핫 워터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53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874B1 (ko) * 2002-07-12 2005-09-30 주식회사 태멘시스템 냉온수 공급 가능한 자판기
KR101498084B1 (ko) 2012-09-17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704520B1 (ko) * 2015-06-08 2017-02-09 정휘동 접이식 컵받침대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7664A (ko) 2010-12-30 2012-07-10 김예리 받침대가 있는 정수기
KR20120087370A (ko) * 2011-01-28 2012-08-07 장소희 물받이가 움직이는 정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874B1 (ko) * 2002-07-12 2005-09-30 주식회사 태멘시스템 냉온수 공급 가능한 자판기
KR101498084B1 (ko) 2012-09-17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704520B1 (ko) * 2015-06-08 2017-02-09 정휘동 접이식 컵받침대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842U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7352B2 (ja) 容器内の液体食材を泡立てるための泡立て装置
MX2007011063A (es) Distribuidor de torre.
EP2817101B1 (en) Controlled dissolution solid product dispenser
EP0228760A1 (en) Apparatus for heating and dispensing hot liquids
RU2007121669A (ru) Машин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снабженная устройством регулирования высоты, служащим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асстояния между приемным сосудом и выпускным каналом
RU2013129006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озлива напитков
JP2007228970A (ja) 半流動食品を作製し供給するための自動機械
KR200497532Y1 (ko) 핫 워터 디스펜서
US20160255992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beverages
US5909825A (en) Beveridge dispensing system
ITMI951558A1 (it) Macchina con controllo di livello per la produzione ed erogazione di bevande raffreddate o di granite
GB2307976A (en) Glass chilling apparatus
JP2002037390A (ja) 充填装置
JP2012101811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JP2012135412A (ja) 茹で機
JP3699340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US8815171B2 (en) Cast solid product dispenser
JP2020132197A (ja) 飲料供給装置
JP2559840Y2 (ja) 飲料注出装置の受皿構造
SK500202017A3 (sk) Spôsob a zariadenie na vyznačovanie objemovej miery nádoby, najmä skleného pohára
KR20140055449A (ko) 접이식 컵캐리어용 컵 설치 장치
US20060112832A1 (en) Coffee maker with mechanical coffee level indicator
JP2022126912A (ja) 飲料供給ユニット
JP2016210480A (ja) 飲料注出装置
KR20100081138A (ko) 높이 조절 가능한 받침대를 갖는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