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231Y1 - 높이조절 가능한 컵받침대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높이조절 가능한 컵받침대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1231Y1 KR200481231Y1 KR2020150002646U KR20150002646U KR200481231Y1 KR 200481231 Y1 KR200481231 Y1 KR 200481231Y1 KR 2020150002646 U KR2020150002646 U KR 2020150002646U KR 20150002646 U KR20150002646 U KR 20150002646U KR 200481231 Y1 KR200481231 Y1 KR 20048123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ight
- cup
- fixing
- button
- bever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9—Suppo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9—Supports
- B67D1/0894—Supports for the vessel to be fill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8—Suppo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8—Supports
- B67D3/009—Supports for the vessel to be fi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 공급 장치의 컵받침대의 높이 조절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는, 상부에 음료가 배출되는 음료 배출구가 배치되고, 음료 배출구의 하부에 컵을 놓는 컵받침대가 배치되며, 장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움푹 들어간 취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취수 공간의 양측벽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높이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컵받침대의 양측면에는 높이 고정홈에 끼워지는 크기와 형상의 고정 돌기가 돌출되어 있고, 컵받침대의 정면에는, 고정 돌기를 높이 고정홈으로 삽입하거나 이탈시키도록 구성된 푸시버튼 타입의 높이조절 버튼이 형성되어 있어, 컵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높이조절 버튼을 눌렀을 때 높이조절 버튼의 표면이 컵받침대의 정면 표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간 상태에서 고정 돌기가 높이 고정홈으로부터 이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예컨대 정수기나 생수기, 커피 머신, 음료 자동 판매기와 같은 음료를 제공하는 장치에서 컵받침대의 높이조절 기구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나 생수기, 커피 머신, 음료 자동 판매기와 같은 음료를 제공하는 장치(이하, 간단히 장치라고도 한다)에서는 다양한 크기(높이)의 컵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음료 배출구와 컵 간의 거리를 컵의 높이에 따라 조절할 수 없다면, 음료 배출구 컵받침대 사이의 취수 공간에 컵을 넣거나 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또는 음료 배출구에서 낙하하는 음료가 컵 바닥에서 되튀어 주변 또는 사용자를 오염시키고 뜨거운 음료의 경우 화상의 염려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음료 배출구와 컵 간의 거리를 컵의 높이에 따라 조절하는 기능을 구비할 필요가 있는데, 이 조절 기능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첫째는, 음료 배출구 자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음료 저장 탱크에서 음료 배출구에 이르는 음료 배출관은 플렉서블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고, 음료 배출관은 음료 배출구의 높이에 따라 구부러지게 된다. 그런데, 구부러진 음료 배출관 안에 배출되지 않고 남은 음료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오염되는 문제가 있고, 다음 사용자의 음료 배출시 원하지 않게 혼합되는 문제가 있다.
둘째는, 음료 배출구 아래에 배치된 컵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냉온수 공급 가능한 자판기에서는 양측벽에 높이 조절용 선반홈을 형성하고, 선반 형태의 컵받침을 원하는 높이의 선반홈에 끼움으로써 높이를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잠금 장치가 없어 원하지 않은 상태에서 컵받침이 미끌어져 나올 수 있고, 컵받침을 분실할 염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콜드컵 자동판매기의 컵받침장치에서는 컵받침의 좌우 측판에 계단진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컵받침을 끼우고 나사못으로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컵받침장치는 기본적으로 자동판매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컵받침의 높이조절은 일반 사용자가 아닌 유지보수 요원이 행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한편, 커피 머신이나 온수를 제공하는 정수기 또는 생수기와 같이 뜨거운 음료를 제공하는 장치에서는, 일반 사용자의 부주의나 실수로 컵받침대 위에 뜨거운 음료가 든 컵이 놓여진 상태에서 컵받침대의 높이조절 버튼(잠금 해제 버튼)이 눌려져 음료가 든 컵의 하중에 의해 컵받침대가 아래로 낙하하면서 뜨거운 음료가 엎질러져 화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가정이나 직장 등의 일반 수요자 상대로 커피 머신이나 정수기 등이 널리 보급되고 있는데, 이러한 음료 공급 장치는 기능이나 품질뿐만 아니라 제품 외관 디자인도 제품개발시 고려해야 할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일반 사용자가 손쉽게 컵받침대의 높이조절을 할 수 있고, 높이조절 버튼을 잘못 눌렀을 때에도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고, 컵받침대의 분실 염려도 없으며, 제품 외관 디자인도 미려한 높이조절 가능한 컵받침대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가 컵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자연스럽게(또는 반드시) 두 손가락으로 컵받침대를 잡게 하는 구조의 높이조절 기구를 제공한다.
즉,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는, 상부에 음료가 배출되는 음료 배출구가 배치되고, 상기 음료 배출구의 하부에 컵을 놓는 컵받침대가 배치되며, 상기 음료 배출구와 컵받침대 사이에 컵을 넣을 수 있도록 장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움푹 들어간 취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수 공간의 양측벽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높이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받침대의 양측면에는 상기 높이 고정홈에 끼워지는 크기와 형상의 고정 돌기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컵받침대의 정면에는, 상기 고정 돌기를 상기 높이 고정홈으로 삽입하거나 상기 높이 고정홈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구성된 푸시버튼 타입의 높이조절 버튼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컵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높이조절 버튼을 눌렀을 때 상기 높이조절 버튼의 표면이 상기 컵받침대의 정면 표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높이 고정홈으로부터 이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컵받침대는, 상면이 편평하고, 정면에 상기 높이조절 버튼이 노출되는 버튼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전후방으로 진퇴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컵받침대의 상방에서 보았을 때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간부에는 전방을 향해 상기 높이조절 버튼이 마련되고, 양단부에는 각각 외측을 향해 상기 고정 돌기가 마련되는 잠금/해제 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잠금/해제 부재를 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는, 상부에 음료가 배출되는 음료 배출구가 배치되고, 상기 음료 배출구의 하부에 컵을 놓는 컵받침대가 배치되며, 상기 음료 배출구와 컵받침대 사이에 컵을 넣을 수 있도록 장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움푹 들어간 취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수 공간의 양측벽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높이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받침대의 양측면에는 상기 높이 고정홈에 끼워지는 크기와 형상의 고정 돌기가 출몰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컵받침대의 정면에는, 상기 고정 돌기를 상기 높이 고정홈으로 삽입하거나 상기 높이 고정홈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구성된 집게 타입의 높이조절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컵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높이조절 손잡이를 두 손가락으로 집었을 때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높이 고정홈으로부터 이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컵받침대는, 상면이 편평하고, 정면에 상기 높이조절 손잡이가 노출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좌우로 벌려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게 배치되고, 상기 컵받침대의 상방에서 보았을 때 'ㅅ'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장치의 정면쪽 단부가 두 손가락으로 집는 부분이 되고, 좌우측 중간부에는 각각 외측을 향해 상기 고정 돌기가 마련되는 잠금/해제 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잠금/해제 부재를 좌우측으로 벌려지도록 탄성 바이어스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수 공간의 양측벽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돌출된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높이 고정홈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표면에서 움푹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컵받침대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이 끼워지는 가이드 홈이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컵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자연스럽게(또는 반드시) 두 손가락으로 컵받침대를 잡아야 한다. 따라서, 뜨거운 음료가 들어 있는 컵을 컵받침대에 놓은 상태에서 실수로 높이조절 버튼을 누르거나 높이조절 손잡이를 집더라도(잠금상태를 해제하더라도) 음료와 컵의 하중에 의해 컵받침대가 하방으로 낙하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홈을 적용하여 컵받침대를 잡아당기더라도 컵받침대가 취수 공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아 컵받침대의 분실 등의 염려가 없으면서도, 컵받침대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의 컵받침대 높이조절 기구로서 컵받침대 정면에 마련되는 높이조절 버튼 또는 높이조절 손잡이는 컵받침대의 정면 표면과 일치하는 형상과 디자인을 적용함으로써, 의도하지 않게 높이조절 버튼 또는 높이조절 손잡이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 공급 장치의 컵받침대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료 공급 장치의 컵받침대가 소정 높이로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컵받침대의 횡단면 사시도(a) 및 사시도(b)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료 공급 장치의 컵받침대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높이조절 버튼을 누른 상태를 도시한 컵받침대의 횡단면 사시도(a) 및 사시도(b)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컵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컵받침대의 A-A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 공급 장치의 컵받침대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료 공급 장치의 컵받침대가 소정 높이로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컵받침대의 횡단면 사시도(a) 및 사시도(b)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료 공급 장치의 컵받침대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높이조절 버튼을 누른 상태를 도시한 컵받침대의 횡단면 사시도(a) 및 사시도(b)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컵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컵받침대의 A-A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 후, 좌, 우, 상, 하, 정면, 측면과 같은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서술하는 기준 방향이 달라지면 이러한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도 당연히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음료 공급 장치(1)는 커피 머신이지만, 본 고안은 커피 머신에 제한되지 않고, 정수기나 생수기, 음료 자동 판매기 등 다양한 음료 공급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음료 공급 장치(1)에는, 장치의 정면에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움푹 들어간 취수 공간(10)이 형성되어 있다. 취수 공간(10)의 상부에는 음료(커피나 물)가 배출되는 음료 배출구(11)가 배치되고, 음료 배출구(11)의 하부에는 컵을 놓는 컵받침대(30)가 배치된다. 또한, 음료 공급 장치(1)의 정면에는 원하는 음료(커피)의 종류나 각 기능을 선택하는 조작 버튼(12)과 선택가능한 음료의 종류나, 온수의 온도, 저장량, 각종 경고 램프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3)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료 배출구(11)와 컵받침대(30) 사이의 취수 공간(10)에 컵을 넣어 컵받침대(30)에 놓고, 디스플레이(13)를 보면서 조작 버튼(12)을 눌러 원하는 음료(커피)를 취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1)는 컵의 크기(높이)에 따라 컵받침대(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컵받침대(30)의 정면에는 푸시버튼 타입의 높이조절 버튼(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취수 공간(10)의 양측벽에는 상하방향으로 컵받침대(30)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20)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 레일(20)의 표면에서 움푹 들어간 형태로 복수개의 높이 고정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상세히는 후술하지만, 높이 고정홈(21)에는 컵받침대(30)의 양측면에 형성된 고정 돌기가 삽입되어 컵받침대(30)의 높이가 고정(잠금)되고, 높이조절 버튼(34)을 누르면 이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컵받침대(30)의 높이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컵받침대(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검지 손가락으로 높이조절 버튼(34)을 눌러 높이조절 버튼(34)의 표면이 컵받침대(30)의 정면 표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가게 한 후, 엄지 손가락으로 컵받침대(30)의 상면을 잡고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컵받침대(30)를 상하로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컵받침대(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자연스럽게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컵받침대(30)를 붙잡게 되어, 뜨거운 음료가 들어 있는 컵을 컵받침대(30)에 놓은 상태에서 실수로 높이조절 버튼(34)을 누르더라도(잠금상태를 해제하더라도) 음료와 컵의 하중에 의해 컵받침대(30)가 하방으로 낙하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따라서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요령으로 컵받침대(30)의 높이를 조절하지 않고, 예컨대 엄지 손가락으로 높이조절 버튼(34)을 누를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높이조절 버튼(34)이 눌려져서 움푹 들어간 공간에 엄지 손가락이 삽입된 상태이므로, 이 엄지 손가락에 의해 컵받침대(30)가 하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실시예의 음료 공급 장치(1)에서 컵받침대(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높이조절 버튼(34)을 눌러 높이조절 버튼(34)의 표면이 컵받침대(30)의 정면 표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가게 할 수밖에 없도록 구성함으로써,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컵받침대(30)의 높이가 고정된 상태(잠금상태)에서는 높이조절 버튼(34)의 표면이 컵받침대(30)의 정면 표면과 일치하도록, 즉 높이조절 버튼(34)이 컵받침대(30)의 정면 표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의 신체나 물건 등이 높이조절 버튼(34)에 접촉하여 의도하지 않게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하면, 잠금상태가 아닌 상태(높이 고정홈(21)에 고정 돌기가 제대로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높이조절 버튼(34)이 컵받침대(30)의 정면 표면에서 후방으로 들어간 상태가 되어, 잠금상태가 아니라는 것을 쉽게 시인(視認)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컵받침대(30)의 구체적인 구성과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료 공급 장치의 컵받침대가 소정 높이로 고정된 상태(잠금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컵받침대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버튼을 누른 상태(해제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 도면의 (a)는 횡단면 사시도이고 (b)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컵받침대(30)는, 하우징(31), 잠금/해제 부재(33) 및 스프링(36)을 포함한다.
하우징(31)은 컵을 놓을 수 있도록 편평한 상면을 구비하는데, 이 상면은 낙수가 통과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그릴(32)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1)의 정면에는 높이조절 버튼(34)이 노출되는 버튼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그릴(32)을 통해 낙수가 모이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해제 부재(33)는 컵받침대(30)의 상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우징(31)의 내부에 전후방으로 진퇴가능하게 배치된다. 잠금/해제 부재(33)의 중간부에는 전방을 향해 높이조절 버튼(34)이 마련되고, 양단부에는 각각 외측을 향해 고정 돌기(35)가 돌출되어 마련된다. 고정 돌기(35)는 전술한 취수 공간(10)의 양측벽에 형성된 복수개의 높이 고정홈(21)에 끼워지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다.
하우징(31)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프링(36)은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잠금/해제 부재(33)를 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하여, 높이조절 버튼(34)을 누르지 않은 상태, 즉 잠금상태에서는 잠금/해제 부재(33)가 최대한 전방으로 전진하여 위치하게 된다(도 3 참조)
한편, 하우징(31)의 양측면에는 잠금/해제 부재(33)의 양단부가 전후방으로 진퇴할 때 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37)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높이조절 버튼(34)을 눌러 잠금/해제 부재(33)를 후방으로 밀어넣었을 때 잠금/해제 부재(33)의 양단부에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35)가 가이드 홈(37)을 따라 후퇴하여 높이 고정홈(21)으로부터 이탈하고(도 4 참조), 높이조절 버튼(34)의 누름을 해제하면 고정 돌기(35)가 가이드 홈(37)을 따라 전방으로 전진하여 높이 고정홈(21)에 삽입되게 된다.
또한, 하우징(31)의 양측면에는 전술한 취수 공간(10)의 양측벽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20)이 끼워져 컵받침대(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그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38)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 컵받침대(30)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더라도 가이드 레일(20)과 가이드 홈(38)에 의해 컵받침대(30)가 취수 공간(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어 컵받침대(30)의 분실 등의 염려가 없다. 한편, 청소나 유지보수를 위해 컵받침대(30)를 음료 공급 장치(1)에서 분해할 때에는 높이조절 버튼(34)을 누른 상태에서 컵받침대(30)를 가이드 레일(20)의 상단보다 높게 상승시켜 꺼내면 된다. 컵받침대(30)를 음료 공급 장치(1)에 조립할 때에는 위 분해의 역순으로 하면 된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컵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음료 공급 장치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술한 실시예의 음료 공급 장치(1)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서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부호를 부여한 구성요소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로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예의 음료 공급 장치가 전술한 실시예의 음료 공급 장치와 다른 점은 컵받침대(30')의 구체적인 구성이다. 즉, 본 실시예의 음료 공급 장치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의 음료 공급 장치(1)와 마찬가지의 취수 공간(10), 가이드 레일(20), 높이 고정홈(21) 등을 구비하고, 이 높이 고정홈(21)에 고정 돌기(35')가 삽입되거나 이탈됨으로써 컵받침대(30')의 높이를 고정하거나 조절하는 원리는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컵받침대(30')는 하우징(31'), 잠금/해제 부재(33') 및 스프링(36')을 포함한다.
하우징(31')은 컵을 놓을 수 있도록 편평한 상면을 구비하고, 이 상면은 그릴(32)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1)의 정면에는 높이조절 손잡이(34')가 노출되는 손잡이 홀이 형성되어 있고, 좌우 양측면에는 고정 돌기(35')가 출몰하는 돌기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그릴(32)을 통해 낙수가 모이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해제 부재(33')는 컵받침대(30)의 상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 'ㅅ'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고정축(39)을 중심으로 하우징(31')의 내부에서 좌우로 벌려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게 배치된다. 잠금/해제 부재(33')의 정면쪽 단부는 두 갈래로 갈라져 상기 손잡이 홀에 노출되어 두 손가락(전형적으로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집는 집게 타입의 높이조절 손잡이(34')를 이룬다. 또한, 두 갈래로 갈라진 잠금/해제 부재(33')의 좌우측 중간부에는 각각 외측을 향해 고정 돌기(35')가 상기 돌기 홀을 통해 출몰가능하게 연장되어 마련된다. 고정 돌기(35')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취수 공간(10)의 양측벽에 형성된 복수개의 높이 고정홈(21)에 끼워지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다.
하우징(31')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프링(36')은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잠금/해제 부재(33')를 좌우측으로 벌려지도록 탄성 바이어스하여, 높이조절 손잡이(34')을 집지 않은 상태, 즉 잠금상태에서는 잠금/해제 부재(33')가 최대한 좌우측으로 벌려져 고정 돌기(35')가 돌출된 상태가 된다(도 6 참조).
한편, 하우징(31')의 내부에는 잠금/해제 부재(33')가 좌우측으로 벌려지거나 오므려질 때 봉상의 고정 돌기(35')의 출몰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측벽(37')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높이조절 손잡이(34')를 두 손가락으로 집어 잠금/해제 부재(33')를 오므렸을 때 고정 돌기(35')가 가이드 측벽(37')을 따라 하우징(31') 안쪽으로 후퇴하여 높이 고정홈(21)으로부터 이탈하고, 높이조절 손잡이(34')를 집었던 손가락을 떼면 고정 돌기(35')가 가이드 측벽(37')을 좌우측으로 돌출하여 높이 고정홈(21)에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컵받침대(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높이조절 손잡이(34'), 즉 컵받침대(30')를 붙잡게 되어, 뜨거운 음료가 들어 있는 컵을 컵받침대(3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높이조절 손잡이(34')를 집더라도(잠금상태를 해제하더라도) 음료와 컵의 하중에 의해 컵받침대(30')가 하방으로 낙하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음료 공급 장치
10: 취수 공간
11: 음료 배출구
12: 조작 버튼
13: 디스플레이
20: 가이드 레일
21: 높이 고정홈
30, 30': 컵받침대
31, 31': 하우징
32: 그릴
33, 33': 잠금/해제 부재
34: 높이조절 버튼
34': 높이조절 손잡이
35, 35': 고정 돌기
36, 36': 스프링
37, 38: 가이드 홈
39: 고정축
10: 취수 공간
11: 음료 배출구
12: 조작 버튼
13: 디스플레이
20: 가이드 레일
21: 높이 고정홈
30, 30': 컵받침대
31, 31': 하우징
32: 그릴
33, 33': 잠금/해제 부재
34: 높이조절 버튼
34': 높이조절 손잡이
35, 35': 고정 돌기
36, 36': 스프링
37, 38: 가이드 홈
39: 고정축
Claims (6)
- 상부에 음료가 배출되는 음료 배출구(11)가 배치되고, 상기 음료 배출구의 하부에 컵을 놓는 컵받침대(30)가 배치되며, 상기 음료 배출구와 컵받침대 사이에 컵을 넣을 수 있도록 장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움푹 들어간 취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수 공간의 양측벽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높이 고정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받침대(30)의 양측면에는 상기 높이 고정홈(21)에 끼워지는 크기와 형상의 고정 돌기(35)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컵받침대의 정면에는, 상기 고정 돌기를 상기 높이 고정홈으로 삽입하거나 상기 높이 고정홈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구성된 푸시버튼 타입의 높이조절 버튼(3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컵받침대(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높이조절 버튼(34)을 눌렀을 때 상기 높이조절 버튼의 표면이 상기 컵받침대의 정면 표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고정 돌기(35)가 상기 높이 고정홈(21)으로부터 이탈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취수 공간의 양측벽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돌출된 가이드 레일(20)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높이 고정홈(21)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표면에서 움푹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컵받침대(30)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20)이 끼워지는 가이드 홈(38)이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35)가 상기 높이 고정홈(21)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높이조절 버튼(34)의 표면이 상기 컵받침대(30)의 정면 표면과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받침대(30)는,
상면이 편평하고, 정면에 상기 높이조절 버튼(34)이 노출되는 버튼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31);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전후방으로 진퇴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컵받침대의 상방에서 보았을 때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간부에는 전방을 향해 상기 높이조절 버튼(34)이 마련되고, 양단부에는 각각 외측을 향해 상기 고정 돌기(35)가 마련되는 잠금/해제 부재(33); 및
상기 하우징(3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잠금/해제 부재를 전방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는 스프링(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 상부에 음료가 배출되는 음료 배출구(11)가 배치되고, 상기 음료 배출구의 하부에 컵을 놓는 컵받침대(30')가 배치되며, 상기 음료 배출구와 컵받침대 사이에 컵을 넣을 수 있도록 장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움푹 들어간 취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수 공간의 양측벽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높이 고정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받침대(30')의 양측면에는 상기 높이 고정홈에 끼워지는 크기와 형상의 고정 돌기(35')가 출몰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컵받침대의 정면에는, 상기 고정 돌기를 상기 높이 고정홈으로 삽입하거나 상기 높이 고정홈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구성된 집게 타입의 높이조절 손잡이(3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컵받침대(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높이조절 손잡이(34')를 두 손가락으로 집었을 때 상기 고정 돌기(35')가 상기 높이 고정홈(21)으로부터 이탈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컵받침대(30')는,
상면이 편평하고, 정면에 상기 높이조절 손잡이(34')가 노출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31');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좌우로 벌려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게 배치되고, 상기 컵받침대의 상방에서 보았을 때 'ㅅ'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장치의 정면쪽 단부가 두 손가락으로 집는 부분이 되고, 좌우측 중간부에는 각각 외측을 향해 상기 고정 돌기(35')가 마련되는 잠금/해제 부재(33'); 및
상기 하우징(3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잠금/해제 부재를 좌우측으로 벌려지도록 탄성 바이어스하는 스프링(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 공간의 양측벽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돌출된 가이드 레일(20)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높이 고정홈(21)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표면에서 움푹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컵받침대(30')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20)이 끼워지는 가이드 홈(38)이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2646U KR200481231Y1 (ko) | 2015-04-23 | 2015-04-23 | 높이조절 가능한 컵받침대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2646U KR200481231Y1 (ko) | 2015-04-23 | 2015-04-23 | 높이조절 가능한 컵받침대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1231Y1 true KR200481231Y1 (ko) | 2016-09-01 |
Family
ID=56958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2646U KR200481231Y1 (ko) | 2015-04-23 | 2015-04-23 | 높이조절 가능한 컵받침대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1231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82670A (ko) * | 2017-01-09 | 2018-07-19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정용 티백 제조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57393U (ko) * | 1997-01-31 | 1998-10-15 | 이영서 | 정수기의 받침대 높낮이 조절장치 |
KR200162573Y1 (ko) | 1997-09-13 | 1999-12-15 | 배길성 | 콜드컵 자동판매기의 컵받침장치 |
KR20000005836U (ko) * | 1998-09-03 | 2000-04-06 | 윤종용 | 냉장고의 선반 지지장치 |
KR100517874B1 (ko) | 2002-07-12 | 2005-09-30 | 주식회사 태멘시스템 | 냉온수 공급 가능한 자판기 |
JP2012066122A (ja) * | 2005-06-07 | 2012-04-05 | Nestec Sa | 色々な高さの容器のためのドリップトレイ装置を備えた飲料機械 |
-
2015
- 2015-04-23 KR KR2020150002646U patent/KR200481231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57393U (ko) * | 1997-01-31 | 1998-10-15 | 이영서 | 정수기의 받침대 높낮이 조절장치 |
KR200162573Y1 (ko) | 1997-09-13 | 1999-12-15 | 배길성 | 콜드컵 자동판매기의 컵받침장치 |
KR20000005836U (ko) * | 1998-09-03 | 2000-04-06 | 윤종용 | 냉장고의 선반 지지장치 |
KR200313614Y1 (ko) * | 1998-09-03 | 2003-08-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의선반지지장치 |
KR100517874B1 (ko) | 2002-07-12 | 2005-09-30 | 주식회사 태멘시스템 | 냉온수 공급 가능한 자판기 |
JP2012066122A (ja) * | 2005-06-07 | 2012-04-05 | Nestec Sa | 色々な高さの容器のためのドリップトレイ装置を備えた飲料機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82670A (ko) * | 2017-01-09 | 2018-07-19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정용 티백 제조장치 |
KR101936489B1 (ko) * | 2017-01-09 | 2019-01-09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정용 티백 제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39324B2 (en) | Tea making appliance with filter assembly | |
EP2670284B1 (en) | Beverage production machine comprising features to facilitate capsule loading and unloading | |
JP2021129999A (ja) | 摺動して接続可能なカップ支持体を有する飲料マシン | |
US7789014B2 (en) | Device for producing a hot drink | |
TW200944166A (en) | One hand carriable liquid food or beverage machine | |
AU2002313993B2 (en) | Table Seat with Easy and Secure Positioning | |
US9706870B2 (en) | Cooking appliance | |
US9375113B2 (en) | Coffee machine | |
US10178926B2 (en) | Device to produce milk-based drinks with safety mechanisms and coffee maker containing such a device | |
US9844293B2 (en) | Apparatus for dispensing beverages | |
CN101700175A (zh) | 用于烹调容器的可拆卸手柄 | |
ES2195817T3 (es) | Dispositivo de fijacion para rcipiente de bebidas. | |
CA2998453A1 (en) | Drinks preparation machine | |
KR101704520B1 (ko) | 접이식 컵받침대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 |
KR20110045446A (ko) |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 |
GB2449307A (en) | Adjustable cup stand assembly for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 |
KR200481231Y1 (ko) | 높이조절 가능한 컵받침대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 | |
KR20120107343A (ko) | 조리용기용 손잡이 착탈장치 | |
CN205214985U (zh) | 一种持杯装置及供水设备 | |
JP2018015570A (ja) | 飲料調製装置用の貯蔵タンクシステム | |
KR101476210B1 (ko) |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 |
US20180020866A1 (en) | Portable coffee maker assembly | |
US20120267462A1 (en) | Grater For Single-Handed Operation | |
JP3112113U (ja) | ジャーポット用の注湯容器載置台 | |
CN220735145U (zh) | 一种出水柱组件及茶饮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