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210B1 -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6210B1 KR101476210B1 KR1020130048841A KR20130048841A KR101476210B1 KR 101476210 B1 KR101476210 B1 KR 101476210B1 KR 1020130048841 A KR1020130048841 A KR 1020130048841A KR 20130048841 A KR20130048841 A KR 20130048841A KR 101476210 B1 KR101476210 B1 KR 1014762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dispenser
- cock
- auxiliary
- rot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편의성이 증진된 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출수 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메인 코크;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레버; 그리고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펜서에 노출되고 출수 높이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보조 코크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출수 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메인 코크;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레버; 그리고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펜서에 노출되고 출수 높이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보조 코크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편의성이 증진된 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용수 공급장치는 사용자가 마시는 음용수를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음용수 공급장치는 독자적인 장치일 수 있으며, 다른 장치의 일부를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정수기는 수도전으로부터 급수되는 원수를 별도의 여과수단 내로 통과시킨 후 필터링을 해서 정수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아울러, 정수된 물을 사용자가 필요 시 냉수나 온수로 공급하는 장치 또한 정수기라 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는 다른 가전제품과는 독립적인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음용수 공급장치는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의 일부를 이룰 수도 있다. 즉, 냉장고 내부에서 정수장치를 통해 정수된 물이 음용수 공급장치를 통해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물론, 냉장고 내부에서 정수된 물이 냉각되거나 냉동되어 냉수나 얼음이 음용수 공급장치를 통해 외부로 공급될 수도 있다.
또한, 음용수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것은 물뿐만 아니라 다양한 음료일 수도 있다. 일례로 커피나 청량 음료 같은 음료수도 음용수 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음용수 공급장치는 자체 정수 기능의 포함 여부와 무관하게 다양한 음용수(예를 들어, 음료, 커피, 온수, 냉수, 정수, 얼음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장치라 할 수 있다. 물론, 정수기와 같은 음용수 공급장치는 자체 정수 기능을 포함하게 될 것이다.
음용수 공급장치는 다른 장치와 독립성 여부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외부에서 음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다시 말하면, 음용수를 공급받는 공간인 디스펜서를 갖는 장치라 할 수 있다.
도 1은 음용수 공급장치의 일례인 정수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시된 정수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를 참조하여, 종래의 정수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청소기(100)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110)과 디스펜서(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디스펜서(120)는 사용자가 음용수를 공급받는 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디스펜서(120)는 캐비닛(110)의 전방에 형성된다. 물론, 캐비닛(110) 전방에서 만입되거나 함몰된 공간 형태로 이러한 디스펜서(120)가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캐비닛(110)의 전방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펜서(120)에는 음용수가 배출되는 코크(150)가 구비되며, 음용수 배출을 위해 조작하는 레버(16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레버(160)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코크(150)에서 음용수가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160)의 조작은 레버를 누르거나 당기는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컵(10) 상부가 코크(150)에 하부에 위치되도록 컵(10)을 들고, 레버(160)에 컵(10)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컵(10)을 밀수 있다. 이러한 레버(160)의 조작에 따라, 코크(150)에서 음용수가 배출되어 컵(10)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컵(10)에 저장된 물을 마시고, 잔수를 트레이(130)에 버릴 수 있다. 물론, 코크(150)에서 떨어지는 소량의 잔수도 상기 트레이(130)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트레이(130)는 코크(150)의 직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디스펜서(12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용수는 정수, 냉수 또는 온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물론, 다양한 형태의 음료일 수도 있다. 따라서, 배출되는 음용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냉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컵(10)을 코크(150) 아래에 위치시킨 후 레버(160)를 밀수 있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서, 코크(150)에서 냉수가 배출되어 컵(10)을 채우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음용수 공급장치는 레버(160) 조작과 같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음용수가 공급되도록 마련된다. 즉, 컵(10)과 같은 용기에 소량의 음용수를 공급받는 목적으로 많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영업용 정수기나 가정용 정수기와 같은 음용수 공급장치에서는 대량의 음용수, 예를 들어 정수가 필요할 수 있다. 왜냐하면, 컵(1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물병과 같은 용기나 냄비 등에 정수를 채울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냄비에 많은 양의 정수를 담아 요리를 하고자 할 때, 처음부터 냄비에 정수를 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컵(10) 등을 통해 정수를 받은 후 냄비에 붓는 것을 수차례 수행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불필요한 수고가 요구되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무게가 무거운 물병이나 냄비 등을 통해서 레버(160)를 조작하여 냄비에 직접 정수를 받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또한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다. 즉, 원하는 만큼 음용수가 채워질 때까지 무거운 물병이나 냄비를 들고 있어야 하며, 아울러 지속적으로 레버(160)를 가압하여야 하는 불편함도 감수해야 한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트레이(130) 상에 물병이나 냄비를 올려놓고, 사용자가 손으로 레버(160)를 조작하여, 물병이나 냄비에 음용수를 채우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트레이(130) 면적의 한계로 인해 올려 놓을 수 있는 용기에 제한이 많게 된다. 그리고, 트레이(130)와 코크(150) 사이의 높이차가 기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물병의 높이도 제한적이다. 물론, 높이가 낮은 냄비 등에 음용수를 채우는 경우, 코크와의 높이 차이로 인해 음용수가 냄비 외부로 튀는 문제도 많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음용수 공급장치의 경우, 대용량의 음용수를 공급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아울러, 물을 채울 수 있는 용기의 제한이 많게 된다. 즉, 용이하게 사용자가 일반적인 음용수 공급장치를 통해 물을 채울 수 있는 용기의 수, 종류 그리고 사이즈에 제한이 많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소량의 음용수뿐만 아니라 대량의 음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코크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가변된 코크의 높이가 고정될 수 있어, 다양한 높이를 갖는 용기에 음용수를 공급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한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일반적인 사용 형태인 소량의 음용수 공급과 특수한 사용 형태인 대량의 음용수 공급 사이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간단하고 직관적인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소량 급수용 코크와 대량 급수용 코크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사용 빈도가 높은 소량용 코크는 디스펜서 외부로 노출시키고, 사용 빈도가 낮은 대용량 코크는 디스펜서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대용량 코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미련한 외관을 형성하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출수 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메인 코크;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레버; 그리고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펜서에 노출되고 출수 높이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보조 코크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코크는 상기 레버의 배면 또는 상기 레버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보조 코크의 개구부는 상기 레버의 후방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보조 코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로 보조 코크, 특히 보조 코크의 개구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레버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레버 디스펜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에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디스펜서의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레버의 일부분만 디스펜서에 노출되도록 하여, 디스펜서의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메인 코크의 출수를 위하여 가압되는 가압 레버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의 상측에 구비되는 레버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코크는 상기 레버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 회전축은 상기 디스펜서의 가로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레버의 하측이 상기 디스펜서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레버 회전축은 상기 디스펜서의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 회전축의 전후 이동으로 인해 가압 레버의 가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 지지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 지지부는 상기 레버 회전축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홀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홀은 상기 레버 회전축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전후로 장공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 지지부는 상기 레버의 회전 괘적과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비되는 회전 가이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의 회전 시, 일측이 상기 회전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고, 타측이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와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레버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레버 회전축과 함께 일체로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가이드는 아치 형상의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슬롯을 따라 회전 또는 슬라이딩하는 가이드 볼 또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볼 또는 가이드 돌기는 상기 슬롯 내에 스냅 핏(snap fit)되어, 상기 레버를 회전시키는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의 회전 위치가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 회전축의 후방에는, 가압에 의해 상기 레버 회전축의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 지지부는 상기 탄성 지지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탄성 지지부재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안착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의 전면에 구비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를 잡고 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레버의 전면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상측 인근에 상기 보조 코크의 출수를 위한 출수 버튼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 잡은 상태에서 바로 상기 출수 버튼을 누를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예를 들어, 엄지와 중지로 손잡이를 잡고 레버를 회전시키고, 검지로 출수 버튼을 누를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서 출수 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펜서; 출수 위치가 항상 상기 디스펜서 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메인 코크;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펜서에 노출되도록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출수 높이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보조 코크; 그리고 상기 메인 코크를 통한 출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출수 모드는, 상기 메인 코크와 상기 보조 코크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며, 상기 메인 코크와 상기 보조 코크를 통한 출수는 택일적(alternately)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인 코크에서 정수 또는 냉수의 출수 모드가 선택되며, 마찬가지로 보조 코크에서도 선택된 정수 또는 냉수의 출수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출수 모드는, 상기 메인 코크에만 적용되며, 상기 보조 코크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는 무관하게 항상 정수 출수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코크에서는 냉수의 출수 모드가 선택되더라도, 보조 코크에서는 이와 무관하게 정수 출수 모드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코크는 대량의 정수를 출수하기 위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냉수 또는 온수를 대량 출수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냉수 또는 온수를 준비해야 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즉, 에너지 소모가 많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코크는 메인 코크의 출수 모드와 무관하게 정수 출수 모드만 수행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물론, 정수 출수 모드와 함께 정량 출수 모드가 수행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가 500 밀리리터, 1리터 또는 2리터의 정량 정수가 출수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메인 코크의 출수를 위해 가압되는 가압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레버의 배면에 상기 보조 코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레버의 전면 하측에 상기 가압 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인근에는 상기 보조 코크의 출수를 위한 출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코크는 소량의 출수가 수행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보조 코크는 상기 메인 코크에 비해 대량의 출수가 수행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메인 코크는 레버의 작동이 있는 경우만 출수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코크는 출수 버튼을 누르면 기설정된 정량의 물이 출수되도록 할 수 있다. 정량 출수 모드는, 유량 센서, 솔레노이드 밸브 그리고 유량 센서에 유량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 그리고 상기 레버의 일측에서 구비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레버 회전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코크는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디스펜서에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소량의 음용수뿐만 아니라 대량의 음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코크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가변된 코크의 높이가 고정될 수 있어, 다양한 높이를 갖는 용기에 음용수를 공급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한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일반적인 사용 형태인 소량의 음용수 공급과 특수한 사용 형태인 대량의 음용수 공급 사이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간단하고 직관적인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소량 급수용 코크와 대량 급수용 코크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사용 빈도가 높은 소량용 코크는 디스펜서 외부로 노출시키고, 사용 빈도가 낮은 대용량 코크는 디스펜서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대용량 코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미련한 외관을 형성하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일례로, 정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서, 레버가 회전되어 보조 코크가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레버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레버 지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레버 구조가 도 4에 도시된 레버 지지 구조와 결합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레버 및 레버 지지 구조에서 유로가 포함된 사시도;
도 7은 레버의 가압 해제 상태와 가압 상태를 각각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레버의 회전 위치가 최대일 때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레버의 회전 위치가 소정 각도일 때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서, 레버가 회전되어 보조 코크가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레버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레버 지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레버 구조가 도 4에 도시된 레버 지지 구조와 결합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레버 및 레버 지지 구조에서 유로가 포함된 사시도;
도 7은 레버의 가압 해제 상태와 가압 상태를 각각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레버의 회전 위치가 최대일 때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레버의 회전 위치가 소정 각도일 때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설명의 편의상 정수기를 일례로 하여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음용수 공급장치의 일례로 정수기를 일례로 하여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정수기의 경우, 음용수는 온수, 냉수, 상온의 정수 또는 얼음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는, 정수기뿐만 아니라 정수된 물을 이용하여 커피 등과 같은 음료를 공급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아울러 정수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는, 독립적으로 하나의 가전제품으로 구비되는 정수기뿐만 아니라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의 일부분으로서의 음용수 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정수기의 외형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는 종래의 음용수 공급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레버(160)가 일반적인 정수기의 레버(160)와 동일한 레버 기능만 갖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는 종래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는 종래와 명확히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 예를 들어 정수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수기(100)는 캐비닛(110)에 의해 형성되는 디스펜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캐비닛(110)을 통해 출수 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펜서(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20)에는 메인 코크(15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코크(150) 하부에는 레버(1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코크(150)와 레버(160)의 위치 관계로 인해, 레버(160)를 가압하게 되면 메인 코크(150)를 통해 출수가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10)을 통해 레버(160)를 가압하면, 메인 코크(150)를 통해 출수되는 물이 컵(1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코크(150)는 반드시 정수가 출수되는 코크가 아닐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온수나 냉수뿐만 아니라 다양한 음용수가 출수되는 코크일 수 있다. 물론, 얼음과 같은 음용수가 출수되는 코크일 수 있다. 즉, 출수되는 음용수에 따라 코크의 형태나 사이즈는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레버(160)의 가압이나 조작 또는 출수 버튼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메인 코크(150)를 통해 출수가 수행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메인 코크(150)는 출수 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펜서(120)에 노출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정수기 사용을 위해 정수기(100)에 접근하는 경우, 가장 먼저 상기 메인 코크(150)를 접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코크(150)가 디스펜서(120)에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코크(150)를 통한 출수를 위해 레버(160)가 디스펜서에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레버(160)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디스펜서(120)에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노출된 부분을 통해서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디스펜서(120)에 노출되는 보조 코크(161)를 갖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디스펜서(120)에 노출되지 않고, 사용을 위해서 상기 디스펜서(120)에 노출되는 보조 코크(161)를 갖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코크(161)는 상기 레버(16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레버(160)의 회전을 통해, 상기 보조 코크(161)가 상기 디스펜서(120)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레버(160)의 회전을 통해, 출수 높이가 가변되는 보조 코크(161)를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출수가 수행되는 보조 코크(161)의 높이(예를 들어, 고정된 트레이(130)와 보조 코크(161) 사이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60)는 캐비닛(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레버(160)를 회전시켜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레버(160)의 회전에 의해 레버 디스펜서(170)에 수용되어 있는 보조 코크(161)가 디스펜서(120)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 디스펜서(170)는 디스펜서(170)에서 후방으로 함몰된 일정한 공간일 수 있으며, 상기 레버 디스펜서(170)에 상기 레버(16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레버(160)의 일정부분은 레버 디스펜서(170)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일정부분은 레버 디스펜서(170) 내에 구비되어 디스펜서(120)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60)의 전방 부분은 레버 디스펜서(170) 외부로 노출되고, 레버(160)의 후방 부분은 레버 디스펜서(17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레버(160)의 전면은 레버 디스펜서(170)의 외부로 노출되고, 레버(160)의 배면은 레버 디스펜서(170)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레버(160)와 레버 디스펜서(170) 사이의 위치 관계로 인해, 상기 보조 코크(161)는 상기 레버(160)의 배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보조 코크(161)의 출수 방향은 실질적으로 상기 레버(160)에 대해서 수직 방향임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60)가 지면 또는 트레이(130)에 대해서 수직으로 위치될 때, 보조 코크(161)의 출수 방향이 지면 또는 트레이(130)에 대해서 수직임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레버(160)의 회전 각도가 변함에 따라, 지면 또는 트레이(130)에 위치되는 용기를 향해 출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보조 코크(161)는 레버 디스펜서(170)에 완전히 숨겨지지 않을 수 있다. 즉, 보조 코크(161)의 일부는 디스펜서(120)에 노출될 수 있으며, 일부는 레버 디스펜서(170) 내에 숨겨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출수되는 보조 코크(161)의 개구부가 레버 디스펜서(17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레버(161)의 말단에 보조 코크(161)를 형성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보조 코크(161)의 개구부는 숨김 위치(레버가 회전하지 않은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지면과 나란한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레버(160)는 디스펜서(1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160)는 레버 디스펜서(17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레버(160)의 구조와 레버(160)의 지지 구조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레버 구조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레버 구조가 생략된 레버(160) 지지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레버가 레버 지지 구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레버(16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은 중앙부분이 후방으로 함몰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원통형의 컵이나 용기를 통해 상기 레버(160)를 가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레버(160)의 하부에는 손잡이(16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잡고 레버(160)를 들어올려 상기 레버(16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6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레버(16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손잡이의 후방 그리고 레버(160)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홈(16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162)를 잡기 쉬워 레버(160)의 회전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레버(160)의 전면은 레버 디스펜서(170) 외부에 위치되고, 레버(160)의 배면은 레버 디스펜서(170) 내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히다.
상기 레버(160)의 상부에는 레버 회전축(163)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 회전축(163)은 디스펜서(120) 또는 레버 디스펜서(170) 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 회전축(163)은 상기 레버(160)의 회전 중심을 이룬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162)를 통해 레버(160)를 들어올림에 따라, 레버(160)는 상기 레버 회전축(163)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레버(160)가 회전함에 따라, 보조 코크(161)는 점차 디스펜서(120) 외부로 노출되고, 높이도 점차 높아지게 된다.
상기 레버 회전축(163)은 상기 디스펜서(120)의 가로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 회전축(163)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레버의 하측이 디스펜서(120)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레버 회전축(163) 지지를 통해 레버(160)가 지지될 수 있다. 즉, 레버 회전축(163)이 레버 디스펜서(170) 또는 디스펜서(1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에 따라, 상기 레버(150)도 마찬가지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레버 디스펜서(170)의 상부 양측에 각각 관통홀(17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홀에 상기 레버 회전축(163)의 양단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통홀(172)만을 통해 레버 회전축(163) 지지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12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 회전축(16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 지지부(18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레버 지지부(180)는 레버 회전축(16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후로 병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레버 지지부(180)는 상기 레버(16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레버 지지부(180)에는 상기 레버 회전축(163)이 삽입되는 지지홀(18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 회전축(163)의 양단은 각각 지지홀(181)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홀(181)은 전후 길이가 길게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홀(181)에서 상기 레버 회전축(163)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홀(181)의 형상과 함께 상기 관통홀(181)도 마찬가지로 장공 형태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레버 지지부(180)를 통해 레버 회전축(163)의 지지점이 적어도 4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레버 회전축(163)을 보다 신뢰성 있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 지지부(180)는 디스펜서(120) 내에 고정된 부재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이동과 병진 이동이 제한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레버 지지부(180)를 통해, 상기 레버 회전축(163)의 회전과 병진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레버 회전축(163)의 회전과 병진 이동을 통해, 상기 레버(160)의 회전과 전후 이동(가압을 위한)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 회전축(163)은 상기 레버(16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레버(160)가 회전할 때, 상기 레버 회전축(163)도 함께 회전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레버 회전축(163)은 상기 디스펜서(120)의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레버 회전축(163)의 전방에 위치되는 레버(160)를 가압하면 상기 레버 회전축(163)이 후방으로 이동하고, 가압이 해제되면 다시 전방 즉 원위치로 복귀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레버(160)의 가압이 상기 레버 회전축(163)의 가압으로 전환됨을 의미하고, 레버 회전축(163)의 가압으로 인해 메인 코크(150)에서 출수가 수행될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 회전축(163) 후방에는 돌기(16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167)는 상기 레버 회전축(163)의 후방 이동에 따라 후방(167)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167)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출수 스위치(미도시)를 눌러, 메인 코크(150)에서 출수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레버 회전축(163)의 가압이 해제되면 레버 회전축(163)과 돌기(167)는 정위치, 즉 제자리로 복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레버 회전축(163)과 돌기(167)의 복귀를 위해서 탄성 지지부재(163)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레버 회전축(163)의 후방에, 가압에 의해 상기 레버 회전축(163)의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16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부재(166)에는 상기 레버 회전축(163)이 수용되는 홈(16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홈(163)을 통해 탄성 지지부재(166)와 레버 회전축(163) 사이의 힘 또는 변위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지지부재(166) 내부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 지지부재(166)에는 가이드 돌기(166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 지지부(180)에는 상기 탄성 지지부재(166)가 안착되는 안착부(18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84)에는 가이드 레일(184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184a)에 상기 가이드 돌기(166b)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 회전축(163)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 지지부재(166)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돌기(166b)가 가이드 레일(184a)을 따라 전후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부재(166)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돌기(167)는 전술한 출수 스위치를 누르게 되며, 이를 통해 출수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84)에는 관통홀(184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167)가 상기 관통홀(184b)을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관통홀(184b)은 상기 돌기(167)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돌기(167)가 상기 관통홀(184b)에서 전후 이동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출수 스위치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레버(160)의 회전을 위해 사용자가 힘을 가할 때, 편심이 발생될 수 있다. 즉, 레버 회전축(163)에 대해서 레버(160)의 회전뿐만 아니라 레버 회전축(163)에 좌우 또는 상하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레버(160)를 잡아당겨 들어올리는 힘뿐만 아니라, 상기 레버(160)에 좌측이나 우측으로 밀거나 당기는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편심들로 인해 레버(160)가 좌우로 흔들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레버(160)나 레버 지지부(180)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으로 레버(16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레버(160)가 일정한 괘적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레버(16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레버(160)의 안정적인 회전을 위하여, 가이드 부재(16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163)는 상기 레버(160) 그리고 레버 회전축(163)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164)는 상기 레버 회전축(163)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레버(160)의 후방 그리고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160), 레버 회전축(163) 그리고 가이드 부재(164)는 다음과 같은 위치 관계와 결합 관계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즉, 레버 회전축(163)을 기준으로 상부의 가이드 부재(164)와 레버(160)가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양단에서 레버 회전축(163) 기준으로 일정한 모멘트 거리를 갖고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레버 회전축(163)를 기준으로 일측, 즉 상기 가이드 부재(164)의 말단은 일정한 궤적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가이드 부재(164)의 말단은 일정한 궤적을 따라서만 이동하되, 상기 궤적을 벗어나는 이동은 구조적으로 구속된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레버 회전축(163)을 기준으로 타측, 즉 레버(160)의 말단(보조 코크(161)에는 이러한 구조적 구속 수단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가이드 부재(164)와 레버(160)는 강성체(rigid body)라 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부재(164)의 이동 구속을 통해 상기 레버(160)의 말단의 이동 구속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160)가 보다 안정적으로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보다 안정적인 가이드 부재(164) 기능을 위해, 상기 가이드 부재(164)는 상기 레버(16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 지지부(180)에는 회전 가이드(18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가이드(183)는, 원호 형상(아치 형상)으로 형성된 슬롯을 포함하거나, 상기 레버 지지부(180)에 형성된 슬롯(183)일 수 있다. 이러한 회전 가이드(183)를 통해, 상기 레버(160)의 회전 괘적과 회전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부재(163)가 상기 회전 가이드(183)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즉, 회전 가이드(183)를 통해, 상기 가이드 부재(163)의 회전 괘적과 회전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부재(163)는 상기 레버(160)와 일체로 회전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부재(163)의 회전 괘적과 회전 범위의 제한을 통해, 상기 레버(160)의 회전 괘적과 회전 범위의 제한이 가능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163)에는 가이드 볼(165) 또는 가이드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볼(165) 또는 가이드 돌기가 상기 슬롯(183)에 삽입되어 회전하거나 슬라이딩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부재(163)가 상기 레버 회전축(163)에 대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볼(165) 또는 가이드 돌기가 상기 슬롯(183)에서 자체 회전을 통해 구르거나(롤링)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볼(165) 또는 가이드 돌기는 상기 슬롯(183) 내에서만 이동되도록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160)가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레버 회전축(163)에서 일정한 모멘트 거리를 갖는 위치에서 상기 레버 회전축(163)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버(160)의 회전 각도가 커진다는 것은 상기 보조 코크(161)의 위치가 점차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정위치에서 180도 회전하는 경우 보조 코크(161)의 위치가 가장 높을 수 있다. 그러나, 용기와 보조 코크(161)의 개구부(161a)의 위치 그리고 디스펜서(183)에 의한 공간 제약으로 인해, 레버(160)의 회전 각도는 제한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각도는 적어도 90도 이상임이 바람직하고 110도 내지 120도 각도까지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레버(160)의 회전 각도 제한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가이드(163)와 가이드 부재(163) 사이의 위치 관계와 결합 관계를 통해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레버(160)의 회전 각도 제한뿐만 아니라 레버(160)의 회전 각도 조절이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레버(160)가 90도 회전한 상태에서 회전이 구속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용기의 높이에 맞춰 레버(160)를 적정한 각도로 회전시킨 후, 회전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가이드 볼(165) 또는 가이드 돌기는 상기 슬롯(165)에 스냅 핏(snap fit)됨이 바람직하다. 즉, 가이드 볼(165) 또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슬롯(165) 사이에는 일정 이상의 마찰력이 존재하여, 상기 마찰력을 이길 수 있을 정도의 외력이 가해져야만 상기 가이드 볼(165) 또는 가이들 돌기가 상기 슬롯(165)에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160)를 회전시키려는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가이드 볼(165) 또는 가이드 돌기가 상기 슬롯(165) 사이와의 마찰력을 이기고 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레버(160)가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외력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 볼(165) 또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슬롯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상기 레버(160)는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레버 지지부(180)에는 고정부(18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캐비닛(110) 내부에는 상기 고정부(185)와 결합되는 결합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고정부(185)와 결합부(121)는 캐비닛(110) 내부에서 서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부(185)와 결합부(121)를 통해, 레버 지지부(180)가 캐비닛(110) 내부에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레버 지지부(180)는 상기 레버(160)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보조 코크(161)를 위한 유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보조 코크(161)를 통해 출수가 수행되기 위해서는, 유로가 상기 보조 코크(161)에 연결되어야 한다. 즉, 캐비닛(110) 내부에서 연장되는 유로(190)가 상기 보조 코크(161)와 연통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코크(161)는 회전 가능한 레버(160)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로(190)는 상기 레버(160)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캐비닛(110)은 고정되는 구성이고, 상기 레버(160)는 회전 가능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유로(190)의 적어도 일부분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레버(160) 내부에 구비되는 유로(192)는 회전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유로(190)는 레버 회전축(160)을 관통하여 레버(160) 내부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 회전축(160)은 유로(190)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60)가 회전하면, 레버 회전축(160)을 기준으로 오른쪽의 유로(192)는 레버와 일체로 회전하고, 왼쪽의 유로(191)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레버 회전축(160)을 기준으로, 캐비닛 측 유로(191)는 고정되고 레버 측 유로(192)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레버(160)의 전후 이동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에는 가압 해제 상태(가압 이전 상태) 그리고 도 7b에는 가압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상태는 보조 코크(161)가 숨겨진 상태이므로, 메인 코크(150)를 통한 출수 모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를 정수기의 기본 상태라 할 수 있다.
가압 해제 상태에서는 레버(160), 레버 회전축(163), 탄성 지지부재(166), 돌기 그리고 가이드 부재(164)는 모두 초기 상태 또는 정위치에 있게 된다. 그러나, 레버(160)에 가압이 발생되면, 상기 구성들의 위치는 가변된다.
구체적으로, 레버(160), 레버 회전축(163), 탄성 지지부재(166), 돌기(167) 그리고 가이드 부재(164)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후방 이동, 특히 돌기(167)의 후방 이동을 통해 메인 코크(150)에서 출수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 지지부재(166)를 통한 탄성으로 인해, 상기 구성들이 다시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 회전축(163)은 관통홀(172)과 지지홀(181)의 전후 길이 방향의 장공 형상으로 인해 전후 이동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탄성 지지부재(166)는 안착부(184)를 통해 전후 이동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167) 또한 관통홀(184a)를 통해 전후 이동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가이드(164)는 레버(160) 그리고 레버 회전축(163)과 함께 실질적으로 강성체를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구성들이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160)와 레버 회전축(163)의 전후 이동과 마찬가지로 상기 회전 가이드(164)도 전후 이동이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슬롯(183)의 말단부에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보조 슬롯(18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는 가이드 볼(165) 또는 가이드 돌기가 상기 보조 슬롯(183)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이 이루어지면, 상기 가이드 볼(165) 또는 가이드 돌기가 상기 보조 슬롯(183)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슬롯(183)을 따라 상기 가이드 볼 (165) 또는 가이드 돌기가 전후 이동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 가이드(164)가 안정적으로 전후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레버(160)의 배면보다 더욱 후방에 위치하는 보조 코크(161)의 위치(정수기의 기본 상태에서)로 인해, 상기 레버 디스펜서(170)은 하부로 갈수록 전후 폭이 길어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보조 코크(161)가 형성되는 레버(160)의 전후 이동이 레버 디스펜서(170)와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버 디스펜서(170)의 하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17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를 통해서 보조 코크(161)에서 떨어지는 잔수가 일정 부분 수용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각각 회전 각도를 달리한 레버(160)를 도시하고 있다. 회전 각도가 커질수록 보조 코크(161)의 위치가 달라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90도 회전을 통해, 보조 코크(161)의 위치가 디스펜서(120)에서 가장 멀리 이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코크(161)의 높이와 이격 거리의 가변을 통해, 다양한 높이와 다양한 반경을 갖는 용기에 출수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레버(160)가 회전된 상태, 즉 임의의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출수 도중 지속적으로 레버(160)를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코크(150)는 상대적으로 소량의 출수를 위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코크(150)는 상대적으로 대량의 출수를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정수기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00 : 음용수 공급장치(정수기) 110 : 캐비닛
120 : 디스펜서 130 : 트레이
14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50 : 메인 코크
160 : 레버 161 : 보조 코크
162 : 손잡이
120 : 디스펜서 130 : 트레이
14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50 : 메인 코크
160 : 레버 161 : 보조 코크
162 : 손잡이
Claims (26)
- 출수 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메인 코크;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레버; 그리고
상기 메인코크와는 별도로 상기 레버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펜서에 노출되고 출수 높이가 가변되는 보조 코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메인 코크의 출수를 위하여 가압되는 가압 레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코크는 상기 레버의 배면 또는 상기 레버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보조 코크의 개구부는 상기 레버의 후방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레버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레버 디스펜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상측에 구비되는 레버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코크는 상기 레버의 하측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회전축은 상기 디스펜서의 가로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레버의 하측이 상기 디스펜서의 전방으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회전축은 상기 디스펜서의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 지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지지부는 상기 레버 회전축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홀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홀은 상기 레버 회전축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전후로 장공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지지부는 상기 레버의 회전 괘적과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비되는 회전 가이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전 시, 일측이 상기 회전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고, 타측이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와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레버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레버 회전축과 함께 일체로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는 아치 형상의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슬롯을 따라 회전 또는 슬라이딩하는 가이드 볼 또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볼 또는 가이드 돌기는 상기 슬롯 내에 스냅 핏(snap fit)되어, 상기 레버를 회전시키는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의 회전 위치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회전축의 후방에는, 가압에 의해 상기 레버 회전축의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지지부는 상기 탄성 지지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탄성 지지부재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안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 그리고 제 5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전면에 구비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전면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상측 인근에 상기 보조 코크의 출수를 위한 출수 버튼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서 출수 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펜서;
출수 위치가 항상 상기 디스펜서 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메인 코크;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레버;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펜서에 노출되도록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출수 높이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보조 코크; 그리고
상기 메인 코크를 통한 출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의 일측에 구비되는 레버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디스펜서의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출수 모드는, 상기 메인 코크와 상기 보조 코크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며, 상기 메인 코크와 상기 보조 코크를 통한 출수는 택일적(alternately)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출수 모드는, 상기 메인 코크에만 적용되며, 상기 보조 코크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는 무관하게 항상 정수 출수 모드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코크의 출수를 위해 가압되는 가압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레버의 배면에 상기 보조 코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레버의 전면 하측에 상기 가압 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인근에는 상기 보조 코크의 출수를 위한 출수 버튼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 제 19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코크는 소량의 출수가 수행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보조 코크는 상기 메인 코크에 비해 대량의 출수가 수행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8841A KR101476210B1 (ko) | 2013-04-30 | 2013-04-30 |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8841A KR101476210B1 (ko) | 2013-04-30 | 2013-04-30 |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0347A KR20140130347A (ko) | 2014-11-10 |
KR101476210B1 true KR101476210B1 (ko) | 2014-12-24 |
Family
ID=52452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48841A KR101476210B1 (ko) | 2013-04-30 | 2013-04-30 |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621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58114A (ko) * | 2018-11-19 | 2020-05-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정수기 |
KR20200077494A (ko) * | 2020-06-22 | 2020-06-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정수기 |
KR20220105180A (ko) | 2021-01-18 | 2022-07-27 |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 테이블용 미니 정수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1808B1 (ko) * | 1999-10-26 | 2002-02-28 | 이종민 |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 |
KR200373904Y1 (ko) * | 2004-10-22 | 2005-01-26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정수기의 각도조절형 취수밸브 |
US20080190132A1 (en) * | 2004-06-04 | 2008-08-14 | Whirlpool Corporation |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freezers |
KR20130037301A (ko) * | 2011-10-06 | 2013-04-16 |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
-
2013
- 2013-04-30 KR KR1020130048841A patent/KR1014762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1808B1 (ko) * | 1999-10-26 | 2002-02-28 | 이종민 |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 |
US20080190132A1 (en) * | 2004-06-04 | 2008-08-14 | Whirlpool Corporation |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freezers |
KR200373904Y1 (ko) * | 2004-10-22 | 2005-01-26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정수기의 각도조절형 취수밸브 |
KR20130037301A (ko) * | 2011-10-06 | 2013-04-16 |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 급수전이 수납되는 정수기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58114A (ko) * | 2018-11-19 | 2020-05-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정수기 |
KR102128988B1 (ko) | 2018-11-19 | 2020-07-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정수기 |
KR20200077494A (ko) * | 2020-06-22 | 2020-06-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정수기 |
KR102201040B1 (ko) | 2020-06-22 | 2021-01-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정수기 |
KR20220105180A (ko) | 2021-01-18 | 2022-07-27 |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 테이블용 미니 정수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0347A (ko) | 2014-1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2732B1 (ko) | 정수기 | |
US20200397178A1 (en) | Advanced Drip Filter Coffee Maker | |
US20210235920A1 (en) |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brewing a beverage | |
RU2578990C2 (ru) | Эргономичный интерфейс раздаточ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 |
CN102859085B (zh) | 带有可调节高度的喷口的龙头 | |
CA2546767C (en) | Beverage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 |
KR101476210B1 (ko) |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 |
KR101430495B1 (ko) | 정수기 | |
US20050268638A1 (en) |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freezers | |
KR102040609B1 (ko) | 냉장고용 디스펜서 | |
JP2007501749A (ja) | 炭酸飲料用のディスペンサと容器の組合せ体 | |
ES2195817T3 (es) | Dispositivo de fijacion para rcipiente de bebidas. | |
CA2568760A1 (en) | Keg tap adapter with flow restriction | |
CA2998453A1 (en) | Drinks preparation machine | |
KR101988264B1 (ko) |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KR20100090635A (ko) | 음료분배를 위한 장치 | |
CN107007143B (zh) | 多功能电热水壶 | |
RU2443383C1 (ru) | Машин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для розлива напитка, состоящего из кофе и/или молока, и/или молочной пены | |
KR101634192B1 (ko) | 음용수 공급장치 | |
WO2003048027A2 (en) |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 |
KR101623789B1 (ko) | 정수기 | |
KR102186845B1 (ko) |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KR101430496B1 (ko) | 정수기 | |
KR101430494B1 (ko) | 정수기 | |
KR101498084B1 (ko) | 정수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