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0635A - 음료분배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분배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0635A
KR20100090635A KR1020100007655A KR20100007655A KR20100090635A KR 20100090635 A KR20100090635 A KR 20100090635A KR 1020100007655 A KR1020100007655 A KR 1020100007655A KR 20100007655 A KR20100007655 A KR 20100007655A KR 20100090635 A KR20100090635 A KR 20100090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using
outlet
beverag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우스 데어 퓐덴 잔드라
엥엔하이스터 게랄트
크루테마이어 닐스
Original Assignee
멜리타 하우샬트스프로덕테 게엠베하 앤드 캄파니 콤만디트게셀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멜리타 하우샬트스프로덕테 게엠베하 앤드 캄파니 콤만디트게셀샤프트 filed Critical 멜리타 하우샬트스프로덕테 게엠베하 앤드 캄파니 콤만디트게셀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00090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2Details allowing to adapt the beverage-making apparatus to the size of the brewing vessel or the beverage container, e.g. with adjustable support for the beverage container or adjustable hot water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을 가지고, 공급된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유출구가 상기 하우징에서 한쪽 측부에 제공되며, 상기 유출구의 하부에서 제 1 지지대를 가지고, 상기 제 1 지지대에서 채워지는 용기가 조정될 수 있는 특히 커피 자동제조기, 음료분배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한 개의 제 2 지지대가 상기 제 1 지지대위에 제공된다.

Description

음료분배를 위한 장치{Applilance for a beverage dispenser}
본 발명은, 하우징을 가지고, 공급된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유출구가 상기 하우징에서 한쪽 측부에 제공되며, 상기 유출구의 하부에서 제 1 지지대를 가지고, 상기 제 1 지지대에서 채워지는 용기가 조정될 수 있는 특히 커피 자동제조기, 음료분배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높이조절이 가능한 유출구 유니트를 가진 커피 자동제조기가 문헌 제 EP 1 745 726 호에 도시되고, 상기 유출구 유니트는 하우징위에서 수직안내기능을 통해 작동할 수 있다. 용기의 크기와 독립적으로 상기 유출구 유니트의 하부에서 컵 지지대가 상기 하우징위에 고정상태로 배열되는 동안 수직방향의 위치설정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유출구 유니트의 높이조정이 수행될 수 있으나 상기 유출구 유니트의 유입구에 대해 구부러질 수 있는 호스가 요구되는 것이 틀림없다. 상기 유출구 유니트에 다수의 다양한 도관들을 배열할 때, 복수 개의 호스들을 구성하기 위한 비용은 상대적으로 크다. 또한, 수직안내기능이 쉽게 빡빡해지고 조작시 힘들다.
또한, 수용부재가 높이조절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공개되어 있다( EP 1 639 926). 이를 위해, 수직으로 운동하는 기어 레일을 가진 제어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기어레일에 수용부재가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수용부재를 수직으로 제어함에 따라, 수용부재가 쉽게 빡빡해 지고 사용자는 제어과정을 힘들게 느끼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다수의 세부구성부분들을 가진 제어장치는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고비용을 요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기술이 가지는 공지의 문제점이 방지되고 다양한 크기의 용기에 대해 간단하게 적용될 수 있는 음료분배용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가 제 1 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장치가 음료분배를 위한 유출구를 가지고 상기 유출구아래에 제 1 지지대가 배열된다. 제 1 지지대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한 개의 제 2 지지대가 제공되어, 채워지는 용기의 크기와 독립적으로 용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또는 제 2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지지대가 하우징위에 고정될 수 있고 고비용을 요구하는 유출구 및/또는 제 1 컵 지지대의 제어기능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제 2 지지대를 조립하기 위해 고비용이 요구되는 구조가 제 1 지지대에 제공되는 것이 불필요하다.
제 2 지지대가 상기 하우징상의 개구부내부로 가압되거나 끼워질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제 2 지지대가 끼워질 수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대가 개구부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에 대해 조립이 매우 용이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대는 하우징내부로 밀어 넣어질 수 있어서,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지지대는 하우징내에 덮인 상태로 배열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제 2 지지대를 보존하기 위해 주의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상기 제 2 지지대가 수평의 안내부상에서 밀어서 움직일 수 있게 고정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수평안내기능은 U자 형태의 안내부로서 구성되고 상기 안내부내에서 상기 지지대가 마주보는 측부들상에서 밀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된다. 따라서, 고비용의 구름베어링이 불필요하다. 수평의 선형 안내기능 대신에 상기 제 2 지지대가 하우징내에서 방향전환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어서, 상기 하우징상에 단지 해당 방향전환 또는 회전가능한 지지기능이 제공된다.
콤팩트하게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지지대는 삽입된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대가 스프링을 통해 돌출된 위치로 예비인장될 수 있어서, 간단한 조작을 통해 상기 제 2 지지대는 스프링의 하중에 의해 자동으로 돌출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대의 운동은 또한 스프링에 의해 기계적으로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장치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특히, 기계적 구속해제기능이 적합하게 이용되어, 스위치를 작동하거나 상기 제 2 지지대를 내부로 가압하여 구속기구가 구속해제되고 상기 제 2 지지대는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상기 제 2 지지대를 내부로 밀어넣어 상기 스프링이 다시 인장되고, 상기 제 2 지지대는 삽입된 위치에 다시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지지대는 제 1 지지대보다 작게 구성되고 약 50% 작게 구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 제 2 지지대위에서 체적이 감소되고 크기가 작은 용기가 채워져야 하는 것을 사용자가 알게 된다.
상기 제 2 지지대위에 유체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지지대상에 적어도 두 개의 유출 개구부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유출구로부터 유동하는 유체가, 제 1 지지대로 직접 방출되고 제 1 지지대아래에 위치한 수집통으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구아래와 제 1 지지대위에 제 2 지지대가 제공되어 제어높이를 미세하게 세분화되는 것이 유리하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고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따르는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제 2 지지대의 영역에 관한 도 1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돌출한 위치에 있는 제 2 지지대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삽입된 위치에 있는 제 2 지지대를 도시한 측면도.
특히 커피 자동제조기와 같은 음료분배용 장치(1)가 하우징(2)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서 전방측부에 유출구(3)가 배열된다. 상기 유출구(3)에는 두 개의 유출관(4)들이 배열되고, 또한 다수의 유출관들이 상기 유추구(3)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치(1)는 물탱크(5) 및 상기 하우징(2)내에 배열된 커피 브루(brew) 유니트를 포함한다. 브루 과정은 자동으로 수행되고, 사용자는 스위치(6)와 표시장치(7)를 통해 음료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선택할 수 있고 특히, 분량조절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장치내에서 공급되는 음료를 용기에 채우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2)의 기저부에 수용부재(9)가 제공되고,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전방측부를 통해 전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수용부재위에 용기를 위한 제 1 지지대(8)가 배열된다. 상기 제 1 지지대(8)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수용부재내부의 유체가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대(8)는 상기 유출구(3)로부터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이격되고, 따라서 큰 용기를 임시로 놓아 둘 수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용기를 상기 제 1 지지대(8)에 놓고 공급된 음료를 채울 때, 음료 방울이 튀겨져 오염되는 것을 고려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지지대(8)의 상부와 상기 유출구(3)의 하부사이에 배열된 제 2 지지대(10)가 제공된다. 상기 제 2 지지대(10)는 상기 하우징(2)의 전방측부에서 하우징부분(20)에 조립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부분(20)은 중앙의 절단부(22)를 가진 틈새 형태의 수평 개구부(21)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지지대(20)는 평평한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부분(20)내에서 상기 개구부(21)내부로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대(10)는 깊게 형성된 오목부(12)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12)위에 두 개의 개구부(11)들이 제공된다. 돌출된 위치에서 상기 개구부(11)들은 튜브형태의 양쪽 유출관(4)들아래에 배열되어, 제 2 지지대(10)위에서 용기없이 음료가 실수로 분배될 때 유체는 상기 제 2 지지대(10)와 제 1 지지대(8)를 통해 수집통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대(10)를 안내하기 위하여 U자 형태의 안내부(18)가 상기 하우징부분(20)내에서 마주보는 측면들에 배열되고, 내측을 향하는 측부에서 상기 안내부(18)가 요홈(19)을 가진다. 상기 요홈(19)내에 제 2 지지대(10)의 가장자리 단면(17)이 고정된다.
제 2 지지대(10)의 운동을 위해 구동부(16)가 제공되고, 상기 구동부는 구동휠(15)을 통해 기어부분(14)을 가진 막대(13)를 구동한다. 상기 막대(13)는 상기 제 2 지지대(10)의 하측부에 고정된다.
도 3에서 돌출된 위치에 있는 제 2 지지대(10)가 도시되고, 도 3에서 상기 제 2 지지대(10)는 하우징부분(2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단지 상기 제 2 지지대(10)의 일부분이 수평의 안내부(18)내에 고정될 뿐이다.
도 4에서 상기 제 2 지지대(10)가 상기 하우징부분(20)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16)는 구동휠(15)과 기어부분(14)을 가진 막대(13)를 통해 상기 제 2 지지대(10)를 하우징부분(20)내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 2 지지대(10)의 전방변부(25)는 하우징부분(20)의 상기 전방측부(26)와 구속된 상태로 결합되어, 외관상 구속된 형상이 제공된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지지대(10)는 모터를 통해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는 상기 장치(1)의 제어를 통해 제어되고 센서들이 제공되어, 상기 제 2 지지대(10)의 운동시 장애물이 감지되고 상기 제 2 지지대(10)의 운동시 용기가 쓰러지거나 다른 사고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모터 구동장치를 대신해서, 상기 제 2 지지대(10)가 기계적으로 지지되고 특히 스프링이 제공되며 상기 스프링이 상기 제 2 지지대(10)를 돌출위치에 예비인장한다. 또한, 하우징부분(20)에서 상기 제 2 지지대(10)를 삽입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제 2 지지대(10)의 내부가압에 따른 구속해제기능에 의해, 구속해제 스위치 또는 자동 구속해제장치가 스프링의 하중에 의해 상기 제 2 지지대(10)를 돌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에, 사용자가 상기 제 2 지지대(10)를 내부로 가압할 때, 상기 스프링은 다시 인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2 지지대(10)가 상기 유출구(3)와 제 1 지지대(8)사이에 제공된다. 당연히 제 3 및 추가의 지지대가 상기 하우징부분(20)상에 제공될 수 있어서, 높이를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다.
2....하우징
3....유출구
4....유출관
5....물탱크
6.....스위치
8....제 1 지지대
9......수용부재
10....제 2 지지대
16....구동부
18.....안내부
20.....하우징부분
25.....전방변부

Claims (10)

  1. 하우징(2)을 가지고, 공급된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유출구(3)가 상기 하우징에서 한쪽 측부에 제공되며, 상기 유출구(3)의 하부에서 제 1 지지대(8)를 가지고, 상기 제 1 지지대에서 채워지는 용기가 조정될 수 있는 특히 커피 자동제조기, 음료분배를 위한 장치(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한 개의 제 2 지지대(10)가 상기 제 1 지지대(8)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분배를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대(10)가 상기 하우징(2)상의 개구부(21)내부로 가압되거나 끼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분배를 위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대(10)가 수평의 안내부(18)상에서 밀어서 움직일 수 있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분배를 위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대(10)가 상기 하우징(2)내에서 방향전환할 수 있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분배를 위한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대(10)가 상기 하우징(2)내에서 삽입된 위치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분배를 위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대(10)가 스프링에 의해 돌출된 위치로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분배를 위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대(10)가 상기 하우징(2)내에 배열된 구동부(16)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분배를 위한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대(10)가 상기 제 1 지지대(8)보다 약 50% 작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분배를 위한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대(10)내에 적어도 한 개의 개구부(11)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분배를 위한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3 지지대가 상기 유출구(3)의 하부와 상기 제 1 지지대(8)의 상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분배를 위한 장치.
KR1020100007655A 2009-02-06 2010-01-28 음료분배를 위한 장치 KR201000906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9001492U DE202009001492U1 (de) 2009-02-06 2009-02-06 Gerät für eine Getränkeausgabe
DE202009001492.4 2009-0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635A true KR20100090635A (ko) 2010-08-16

Family

ID=42236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655A KR20100090635A (ko) 2009-02-06 2010-01-28 음료분배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99845A1 (ko)
EP (1) EP2215943B1 (ko)
JP (1) JP2010179107A (ko)
KR (1) KR20100090635A (ko)
CN (1) CN101797121A (ko)
DE (1) DE202009001492U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3216B2 (en) 2009-10-16 2012-11-20 Foxsemicon Integrated Technology, Inc. Illumination device with overlapping illumination are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0000024U1 (de) * 2010-01-12 2011-05-19 Wik Far East Ltd.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EP2570059A1 (en) * 2011-09-16 2013-03-20 Nestec S.A.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DE102012200751A1 (de) * 2012-01-19 2013-07-2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affeevollautomat mit vergrößerbarer Abstellfläche
ES2556527T3 (es) * 2012-04-03 2016-01-18 Nestec S.A. Distribuidor con sistema de sujeción para recipientes de diferentes tamaños
DE102014014801A1 (de) * 2014-10-12 2016-04-14 Johann-Heinrich Krüger Vorrichtung zur Zubereitung eines Getränks, insbesondere Kaffeemaschine
BE1022934B1 (nl) * 2014-11-19 2016-10-20 Schuilenburg Nv Inrichting voor het bewerken van vloeistoffen door stoom
US9844293B2 (en) 2015-03-06 2017-12-19 Spectrum Brands, Inc. Apparatus for dispensing beverages
EP3277139B1 (en) * 2015-04-02 2020-07-01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Slidable cup support
US20170095108A1 (en) * 2015-10-05 2017-04-06 Grindmaster Corporation Beverage brewer with adjustable shelf
CN106889895A (zh) * 2017-04-12 2017-06-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储存装置及具有其的饮水设备
EP3885309A1 (en) * 2020-03-26 2021-09-29 Gate Gourmet Switzerland GmbH Liquid dispenser for a trolley or a galley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87636A (de) * 1969-03-20 1970-03-31 Eveco Trust Reg Kaffeemaschinen-Gehäuse
DE7915161U1 (de) * 1979-05-25 1979-08-23 Gruetzmacher, Bernd, 2000 Hamburg Kaffee- und/oder Espressomaschine
DE3436984A1 (de) * 1984-10-09 1986-04-17 Erich H. Dipl.-Ing. 4950 Minden Woltermann Maschine zum zubereiten heisser getraenke mit dosierter fluessigkeitsentnahme
USD309843S (en) * 1986-08-28 1990-08-14 Douwe Egberts Koninklijke Tabaksfabriek-Koffiebranderijen-Theehandel N.V. Beverage dispenser
DE3903003A1 (de) 1989-02-02 1990-08-09 Rita Neumann Neuartige kaffeemaschine mit nach oben und unten verstellbarer auflageplatte fuer kaffeekannen
US5161455A (en) * 1991-05-15 1992-11-10 Bunn-O-Matic Corporation Combination coffee and tea brewer
US5353692A (en) 1993-09-29 1994-10-11 Unidynamics Corporation Hot beverage brewing apparatus
CA2102060A1 (en) * 1993-10-29 1995-04-30 Michael Shub Liquid dispensing apparatus
US5860630A (en) * 1996-05-14 1999-01-19 Freightliner Corporation Beverage container holder for a vehicle
US5782380A (en) * 1996-09-27 1998-07-21 Pure Fill Corporation Water dispensing system
GB2334017A (en) * 1998-02-05 1999-08-11 Premark International Inc Beverage dispenser
GB0016313D0 (en) * 2000-07-03 2000-08-23 Dass Manufacturing Ltd Beverage dispenser
US6908012B1 (en) * 2001-12-04 2005-06-21 Grindmaster Corporation Beverage dispenser with an adjustable drain tray assembly
IL209881A0 (en) * 2004-04-02 2011-02-28 Strauss Water Ltd Water dispenser and filter cartridge for use therein
DE502005006517D1 (de) 2004-09-24 2009-03-12 Saeco Ipr Ltd Kaffeemaschine mit einer höhenverstellbaren Auffangschale
DE102005021552A1 (de) * 2005-05-10 2006-11-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Automat zur Ausgabe von gekühlter Flüssigkeit bzw. von Eisstücken in verschieden große Behälter
PT1738676E (pt) * 2005-06-30 2009-03-25 Rancilio Macchine Caffe Máquina e dispositivo para distribuir bebidas em recipientes com dimensões diferentes e seu processo
DE202005011476U1 (de) 2005-07-21 2005-10-27 Eugster/Frismag Ag Kaffeeautomat mit einer höhenverstellbaren und arretierbaren Auslaufeinheit
DE202006017049U1 (de) * 2005-11-30 2007-02-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Ausgabegerät für fließ- oder schüttfähige Güter
US7287555B2 (en) * 2005-11-30 2007-10-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ete Gmbh Dispenser assembly for a refrigerator do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3216B2 (en) 2009-10-16 2012-11-20 Foxsemicon Integrated Technology, Inc. Illumination device with overlapping illumination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15943B1 (de) 2012-07-18
EP2215943A1 (de) 2010-08-11
CN101797121A (zh) 2010-08-11
JP2010179107A (ja) 2010-08-19
DE202009001492U1 (de) 2010-06-24
US20100199845A1 (en)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0635A (ko) 음료분배를 위한 장치
JP4884393B2 (ja) 飲料受容器と出口との間の距離を制御するための高さ調節可能な装置を有する飲料装置
JP6157510B2 (ja) 液滴管理を伴う飲料調製マシン
EP2645913B1 (en) Ergonomic user-interface for motorised ingredient chamber
JP7104693B2 (ja) 液滴停止付き液体注出マシン
CN101657131B (zh) 固定杯子的支架和包括所述支架的咖啡机等
CN210300689U (zh) 饮料制备机
DK2614032T3 (en) Drain device for at least one "bag-in-box" packaging
KR101430495B1 (ko) 정수기
JP5591656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AU2017261765B2 (en) Coffee machine suitable for dispensing into cups of different heights
CN110074670B (zh) 配备有分配头的饮料制备机
KR101430496B1 (ko) 정수기
KR200497532Y1 (ko) 핫 워터 디스펜서
JP5511198B2 (ja) 飲料注出装置
EP0934903A2 (en) Beverage dispenser
KR20100081138A (ko) 높이 조절 가능한 받침대를 갖는 정수기
NL1001798C2 (nl) Vloeistofstroomtrajectselectie-inrichting.
CN220571989U (zh) 一种饮品机
KR101430494B1 (ko) 정수기
JP6532288B2 (ja) 飲料自動注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