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495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495B1
KR101430495B1 KR1020120102924A KR20120102924A KR101430495B1 KR 101430495 B1 KR101430495 B1 KR 101430495B1 KR 1020120102924 A KR1020120102924 A KR 1020120102924A KR 20120102924 A KR20120102924 A KR 20120102924A KR 101430495 B1 KR101430495 B1 KR 101430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abinet
dispenser
wat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613A (ko
Inventor
유선일
주정현
조나정
남보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2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495B1/ko
Priority to CN201310371615.0A priority patent/CN103657224B/zh
Publication of KR20140036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 상기 캐비닛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 디스펜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디스펜서; 그리고 상기 캐비닛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디스펜서를 선택적으로 상기 캐비닛 외부로 노출시키는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정수기는 수도전로부터 급수되는 원수를 별도의 여과수단내로 통과시킨 후 필터링을 해서 원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수기는, 정수하는 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및 역삼투압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중에 역삼투압식 정수기는 원수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인공적인 삼투막인 멤브레인을 통과시켜 정수를 행하는 것으로 중금속, 박테리아, 발암물질등을 분리제거함과 동시에 순수한 물과 용존산소만이 통과되도록 하여 최첨단 과학산업이나 초정밀전자부품의 세척용 또는 의학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식수를 위한 가정 및 업소용의 정수기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정수기를 사용할 때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수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4564호(2010.11.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용기에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일반적인 음용수뿐만 아니라 얼음이나 음료 등을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높이가 다양한 용기에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의 실시예를 통해, 무거운 용기를 사용자가 들지 않고 한 손만으로 코크의 위치를 조절함과 동시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젖은 손으로 조작하더라도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음용수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코크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제조가 간편한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잔수가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트레이 분리 시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여, 트레이 내부의 잔수가 넘치지 않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일반적인 정수기로의 기능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능이나 특수가 기능을 부가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캐비닛 외부로 선택적 노출이 가능한 디스펜서를 구비하여, 캐비닛 전면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디자인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복수 개의 디스펜서들에 대응할 수 있고 취급이 용이한 트레이를 갖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 상기 캐비닛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 디스펜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디스펜서; 그리고 상기 캐비닛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디스펜서를 선택적으로 상기 캐비닛 외부로 노출시키는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외부 디스펜서 사용을 위해서 닫혀있고, 상기 내부 디스펜서 사용을 위해서 열릴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내부 디스펜서 사용시, 잔수를 받고 용기를 받치는 트레이로 전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는 실질적으로 90도 회전하여 열린 후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레이는, 트레이 베이스; 상기 트레이 베이스에 형성된 함몰부; 그리고 상기 함몰부의 저면과 소정 높이를 갖는 평면을 갖도록 구비되는 트레이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캐비닛 내부까지 연장되는 트레이 연장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트레이 연장부를 통해 잔수를 캐비닛 내부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로 갈 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레이 연장부에는 상기 캐비닛 내부로 잔수를 배출하기 위한 트레이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베이스에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 커버에는 상기 연결홈과 착탈 가능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연결홈에 상기 캐비닛 내측을 향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트레이 커버가 상기 트레이 베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커버의 후방 테두리 부분에 상부로 돌출되는 잔수 넘침 방지 가이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디스펜서는 기본 모드를 제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내부 디스펜서는 상기 기본 모드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다른 특수 모드를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본 모드는 수동 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특수 모드는 기설정된 양의 음용수가 공급되는 정량 모드 또는 얼음이나 음료를 공급하는 부가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디스펜서는, 외부 코크부; 그리고 가압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외부 코크부를 통해 음료가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부 코크부는 온수, 냉수 그리고 정수를 모두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단일 코크부일 수 있다.
상기 외부 코크부는 온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1코크부와 정수와 냉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2코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디스펜서는, 출수 버튼; 그리고 상기 출수 버튼의 입력을 통해 기설정된 정량의 음료를 공급하는 내부 코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코크부의 수가 상기 외부 코크부의 수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코크부는, 온수와 정수만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1코크; 정수만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2코크; 그리고 냉수와 정수만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3코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코크부는, 정수만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1코크; 냉수와 정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2코크; 그리고 정수만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3코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코크부의 코크들의 위치는 개별적으로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동시에 높이가 다른 용기에 물을 받기에 매우 편리하게 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 상기 캐비닛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 디스펜서; 상기 캐비닛 외부 그리고 상기 외부 디스펜서 하부에 구비되는 외부 트레이;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디스펜서; 상기 내부 디스펜서와 함께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부 트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디스펜서와 상기 내부 트레이 사용 시, 상기 내부 트레이의 배면과 상기 외부 트레이의 상면이 소정 갭을 갖도록 상기 내부 트레이가 고정되며, 상기 내부 트레이 상부에서 소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내부 트레이의 배면과 상기 서브 트레이의 상면이 접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트레이에 내장되는 유로 고정부; 상기 유로 고정부 일측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로 고정부와 함께 회동되도록 상기 내부 트레이에 내장되는 외부 디스펜서 유로; 상기 유로 고정부의 타측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상기 내부 트레이가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힌지; 그리고 상기 힌지와 연결되는 내부 유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상기 내부 트레이의 양측에 위치되며,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힌지 위치보다 상기 캐비닛 내부로 더욱 연장되는 트레이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연장부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 그리고 상기 캐비닛 내측에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 돌기의 회전을 안내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 디스펜서; 상기 캐비닛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 디스펜서 UI(user interface);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디스펜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디스펜서 UI; 상기 캐비닛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디스펜서와 내부 UI를 선택적으로 상기 캐비닛 외부로 노출시키는 도어;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장치; 그리고 상기 개폐감지장치를 통해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외부 디스펜서 UI와 상기 내부 디스펜서 UI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풀 다운 형태로 열리도록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상부 후방에 구비되는 후크와 상기 후크에 대응되어 상기 캐비닛 내측에 구비되는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디스펜서는, 작동 레버의 가압이 유지되는 동안 음용수가 공급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내부 디스펜서는, 출수 버튼을 누르면 기설정된 양의 음용수가 공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디스펜서는, 음용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내부 디스펜서는 얼음 그리고 음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디스펜서는 복수 개의 코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디스펜서 UI는 상기 코크부 각각에 대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서로 복합적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용기에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일반적인 음용수뿐만 아니라 얼음이나 음료 등을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높이가 다양한 용기에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의 실시예를 통해, 무거운 용기를 사용자가 들지 않고 한 손만으로 코크의 위치를 조절함과 동시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젖은 손으로 조작하더라도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음용수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코크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제조가 간편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잔수가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트레이 분리 시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여, 트레이 내부의 잔수가 넘치지 않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일반적인 정수기로의 기능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능이나 특수가 기능을 부가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캐비닛 외부로 선택적 노출이 가능한 디스펜서를 구비하여, 캐비닛 전면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디자인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복수 개의 디스펜서들에 대응할 수 있고 취급이 용이한 트레이를 갖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정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도어에 대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어 내부의 유로 연결 관계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어의 후크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어의 후크와 캐비닛 사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어의 회동 메커니즘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8은 내부 트레이와 메인 트레이와의 관계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9는 내부 트레이의 트레이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내부 트레이를 통한 메인 트레이로의 잔수 배출 유로 방향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내부 트레이 커버의 장착과 분리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4는 메인 트레이와 서브 트레이가 일체로 형성된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 내지 도 18은 트레이의 장착과 분리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9 내지 도 22는 내부 디스펜서 다양한 사용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내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복수 개의 코크 모듈이 연결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5와 도 26은 다단계 회전 각도 조절을 위한 코크 모듈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코크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28은 코크 모듈과 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9와 도 30은 코크 모듈과 유로와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31과 도 32는 외부 디스펜서의 작동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33 내지 도 35는 외부 디스펜서 UI의 작동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수기, 즉 수돗물과 같은 원수를 정수하여 음용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와 관련된 것이다. 음용수는 온수, 냉수 또는 상온의 정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수기들은 정수를 이용하여 커피 등과 같은 음료를 공급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아울러 정수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의 외부 구조나 형상은 종래의 정수기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정수기(100)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 전방에서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디스펜서(20),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20)의 하부에 위치되는 트레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트레이(30)는 컵이나 물병을 받치는 한편 잔수를 받기 위한 저장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0)는 조작부(22)와 코크(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22)를 가압하면 코크(21)를 통해 음용수가 공급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20)와 트레이(30)는 캐비닛 외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와 트레이를 각각 외부 디스펜서(20)와 외부 트레이(30)이라 칭할 수 있을 것이다.
정수기(100)는 일반적으로 외부 디스펜서(20)로 컵이나 물병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캐비닛 내측으로 만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캐비닛 전방에서 내측으로 만입되는 만입부(40a)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만입부(40a)의 하부에 상기 외부 트레이(30)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코크(21)로부터 상기 외부 트레이(30)에 이르는 공간이 상기 만입부(40a)를 통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만입부(40a)를 통해 잔수가 캐비닛(100)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컵이나 물병을 위치시켜 상기 조작부(22)를 직접 조작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따라서, 캐비닛(100) 전면에 형성되는 만입부(40a)는 일반적인 구조라 할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 조작부(22)의 일례로 작동 레버가 도시되어 있으며, 작동 레버뿐만 아니라 작동 스위치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구비되는 도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40)는 상기 외부 디스펜서(20) 그리고 외부 트레이(30)와 함께 외부 디스펜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40)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는 상기 외부 디스펜서(20)의 적어도 일부분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 도어(40)의 전면에 코크(21)와 조작부(22)가 구비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도어(40)의 전면에 만입부(40a)가 형성되어, 상기 만입부(40a)를 통해 캐비닛(10) 외부에서 외부 디스펜서 공간(40a)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40)는 상기 외부 트레이(3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트레이(30)는 캐비닛(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40)가 자유롭게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40)의 후방에는 내부 디스펜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 내부에는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이 구비된다. 이러한 공간(50a)을 캐비닛(10) 외부와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4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이 캐비닛(10) 외부와 격리되고, 상기 도어(40)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가 캐비닛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캐비닛(10) 외부로 노출된다는 것은, 공간적인 위치로서의 캐비닛(10) 외부가 아닌,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캐비닛 외부에서 상기 공간(50a)으로 컵, 물병 그리고 사용자의 손 등이 용이하게 출입 가능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가 열림에 따라 상기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이 캐비닛(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도어(40)가 완전히 열리면, 상기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이 최대의 면적으로 노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에는 내부 디스펜서(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디스펜서(50)도 상기 외부 디스펜서(20)와 마찬가지로 음용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가 열리면 상기 도어(40)는 상기 외부 트레이(30)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트레이(30)가 더 이상 트레이 기능을 할 수 없다. 즉, 내부 디스펜서(50)를 사용할 때 상기 외부 트레이(30)가 더 이상 트레이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트레이 기능이라 함은 잔수를 받는 것을 의미하고, 이를 통해서 잔수가 캐비닛(1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트레이 기능은 컵이나 물병을 받치는 테이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내부 디스펜서(50)를 사용할 때, 상기 도어(40)가 트레이로서의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회동 가능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을 외부로 노출시킨다는 점에서는 도어(40)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디스펜서(50) 사용시, 잔수를 받고 컵이나 물병을 지지한다는 점에서는 내부 트레이(60)라 할 수 있다.
컵이나 물병을 지지하는 트레이 기능을 전제로 하면, 트레이는 실질적으로 지면과 수평인 상태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어(40) 관점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도어(40)의 위치(도어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할 것이다. 그리고, 내부 트레이(60) 관점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내부 트레이(60)의 위치(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20)가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면 접근이 매우 자유롭기 때문에 편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쉽게 외부 오염물에 노출될 가능성이 클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50)가 도어(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면, 외부 오염물에 노출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왜냐하면, 디스펜서(5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도어(40)를 닫아 상기 디스펜서(50)를 외부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내부 디스펜서(50)를 많이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도어(40)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 큰 제약이 없을 것이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디스펜서(20)나 외부 트레이(30)는 생략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도어(40)의 전면에 디스펜서(20) 구조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40)의 전면은 장식 패널이나 별도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정수기로서의 기능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도어(40)를 열어,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디스펜서(50), 즉 내부 디스펜서(50)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디스펜서의 기능을 살펴볼 때,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내부 디스펜서(50)와 외부 디스펜서(20)를 동시에 갖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아울러, 외부 디스펜서(50)의 구조 또는 출수 메커니즘과 동일한 내부 디스펜서(50)를 중복되도록 제공할 필요성은 낮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디스펜서(50)와 외부 디스펜서(20)가 구비되며, 양자 간에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 구조 그리고 출수 메커니즘이 서로 다르도록 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스펜서(20)는 일반적인 정수기와 마찬가지로 컵으로 음용수를 공급하도록 하고, 내부 디스펜서(50)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음용수가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디스펜서(20)는 수동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내부 디스펜서(20)는 기설정된 양의 음용수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내부 디스펜서(2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스펜서(20)와는 달리, 내부 디스펜서(50)는 얼음이나 커피 등과 같은 음료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외부 디스펜서(20)와는 달리, 내부 디스펜서(50)는 다양한 용량과 높이 그리고 형상을 갖는 물병으로 음용수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외부 디스펜서(20)가 도어(40)에 구비된 일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디스펜서(20)의 코크(21)는 도어(40)에 구비되며, 도어(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릴 수 있다. 따라서, 캐비닛(10) 내부에서 정수된 물이 회동 가능한 도어(40)를 통해 상기 코크(21)로 공급될 수 있어야 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 또는 내부 트레이(60)에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는 도어(60)에 내장되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는 도어(40)의 회동과 무관하게 상기 도어(40) 내부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의 일측은 코크(21)와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은 캐비닛(10)에 구비되는 내부 유로(10a)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유로(10a)에서 상기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로 흐르는 물이 상기 코크(21)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와 내부 유로(10a) 사이에는 힌지(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상기 캐비닛(10)에 대해서 상기 도어(40)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아울러 상기 힌지(41) 내부를 통해 내부 유로(10a)의 음용수가 상기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40) 내부에는 유로 고정부(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 고정부(42)는 상기 도어(40) 내부에 고정됨이 바람직하고, 이를 통해 상기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의 타측이 도어(40) 내부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로 고정부의 일측에서 상기 외부 디스펜서 유로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4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유로 고정부(42)와 상기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는 상기 도어(40)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유로 고정부(42)의 타측에는 상기 힌지(41)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로 고정부(42)는 상기 힌지(4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41)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유로 고정부(42) 그리고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와 함께 도어(40) 전체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 고정부(42)는 힌지 연결 구조를 도어(40) 측면에서 강화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힌지(41)는 캐비닛(10)에 대해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은 고정부재(43)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3)는 내부 유로(10a)와 상기 힌지(41)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를 연결하는 한편, 양자가 캐비닛에 대하여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로 고정부(42), 힌지(41) 그리고 고정부재(43)는 도어(4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40)가 캐비닛(10)에 대하여 견고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양쪽에 구비되는 이러한 구조들을 통해 적어도 두 개의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코크(21)를 통해, 정수, 온수 그리고 냉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를 통해, 선택적으로 정수, 온수 그리고 냉수가 공급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내부 유로(10a)가 선택적으로 미도시된 정수 유로, 냉수 유로 그리고 온수 유로와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반면에, 도 1과는 달리 두 개의 코크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두 개의 코크와 연결되는 두 개의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가 상기 도어(40)에 내장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로 고정부(42), 힌지(41) 그리고 고정부재(43)를 양측에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부 트레이(60)는 상기 힌지(41)를 기준으로 캐비닛(10)의 내측으로 더욱 연장된다. 즉,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까지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내부 트레이(60)에서, 상기 힌지(41)를 기준으로 캐비닛 내측 부분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트레이 연장부(64)라 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연장부(64)는 상기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의 하면을 이루거나, 도어(40)가 닫혔을 때는 캐비닛(10) 내측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항상 캐비닛(10)의 내측에 위치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힌지(41)를 기준으로 캐비닛 외부로 연장되는 부분을 트레이 메인부(63)이라 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메인부(63)는 실질적으로 도어(40)의 배면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즉, 캐비닛 외부로 노출되는 도어 전면(42)에 대응되는 배면 부분을 트레이 메인부(63)라 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메인부(63)는 실질적으로 물병을 받치는 트레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잔수가 상기 트레이 연장부(64)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연장부(64)에는 트레이 배수홀(65)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 배수홀(65)을 통해 잔수가 캐비닛(10)의 내측으로 배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 트레이(60)는 베이스(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도어(40)의 후면 부분과 함께 상기 캐비닛(10) 내측으로 더욱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61)는 상기 트레이 메인부(63)와 트레이 연장부(64)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1)에는 함몰부(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62)는 잔수가 트레이(60)를 통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함몰부(62)는 상기 캐비닛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함몰부(62)에 떨어지는 잔수는 상기 하향 경사로 인해 캐비닛(10)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내부 트레이(60)를 통한 잔수 배출 구조에 대해서는 추후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배수 또는 잔수 저장 구조에 대해서도 추후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도어의 닫힘과 열림 메커니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어(40)의 배면의 상부, 즉 내부 트레이(60)의 전방에는 후크(7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트레이(60)의 베이스(61)에 상기 후크(7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내부 트레이(60)의 베이스(61)는 상기 도어(4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61)의 배면으로부터 나사(71)를 관통시켜 상기 후크(7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후크와 대응하여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는 상기 후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0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크(70)가 상기 삽입홈(10b)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상기 도어(40)가 닫힌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70)가 상기 삽입홈(10b)에서 벗어나면, 상기 도어(40)가 열리게 된다.
상기, 삽입홈(10b)에는 상기 후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레치(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크(70)가 상기 삽입홈(10b)에 삽입된 후 상기 레치(72)와 걸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40)가 닫혀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도어(4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삽입홈(10b)과 레치(72) 사이에 결합은 해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10b)에 구비되는 탄성부재(74)로 인해 후크(70)를 순간적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상기 후크(70)는 상기 삽입홈(10b)을 벗어나 도어(40)가 열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40)의 열림과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부(7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 개폐 감지부(73)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40)와 캐비닛(20) 사이의 거리 여부에 따라 감지될 수 있고, 상기 후크(70)의 위치에 따라 감지될 수도 있다.
도 6에는 상기 후크(70)의 위치에 따라 도어 개폐가 감지되는 도어 개폐 감지부(73)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어가 닫히면 후크(70)는 삽입홈(10b)에 삽입된 후 고정된다. 이때, 상기 후크(70)는 삽입되면서 도어 개폐 감지부(73)을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크(70)를 통해 도어 개폐 감지부(73)가 후퇴되면 도어가 닫힌 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 반대로, 후크가 삽입홈(10b)를 벗어나면,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73)는 탄성부재(74)로 인해 전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73)가 전진한 상태를 도어가 열린 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도어 개폐 감지부(73)의 위치 변화는, 전후, 좌우, 상하, 회전 위치 등 다양한 위치 변화를 통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0)는 상기 도어(40)의 하부에 위치되는 힌지(41)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도어(40)의 하부를 기준으로 상부가 회전하여 개폐된다. 따라서, 이러한 도어의 개폐 형태를 풀 다운(pull down) 형태라 할 수 있다.
상기 도어(40)는 상부를 누르면 상기 후크(70)가 상기 삽입홈(10b)을 벗어나도록 하여 열리도록 이루어진다. 즉, 닫힌 상태에서 닫히는 방향으로 누르면 도어가 열리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도어(40)는 실질적으로 90도 회전하여 완전히 열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가 완전히 열리면 내부 트레이(60)가 실질적으로 지면에 대해서 수평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어(40)는 초기에는 빠르게 열리고 후기에는 서서히 열리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어(40)가 빠르게 열리도록 하는 한편, 도어(40)가 완전히 열릴 때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어(40)에는 댐퍼 구조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도어(40)의 양측,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트레이 연장부(64)의 양측에는 가이드 돌기(65)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65)에 대응하는 가이드 슬롯(10c)이 상기 캐비닛(10)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 돌기(65)와 가이드 슬롯(10c)은 어느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댐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돌기(65)에 대응되는 가이드 슬롯(10c)의 폭은 상기 도어(40)가 열림에 따라 좁아질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돌기(65)와 가이드 슬롯(10c) 사이에 마찰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어(40)가 열리는 초기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65)와 가이드 슬롯(10c) 사이의 마찰이 없도록 하고, 도어(40)가 열리는 후기에 상기 가이드 돌기(65)와 가이드 슬롯(10c)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으로 도어(40)가 열릴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40)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40)의 배면을 내부 트레이(60)라 할 수 있다. 내부 트레이(60) 상부에는 물병 등이 놓일 수 있다. 이러한 하중은 상기 도어(40)를 더욱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트레이(60)가 캐비닛(1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단턱(10d)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도어(40)가 완전히 열렸을 때, 상기 내부 트레이(60)의 일부가 상기 단턱(10d)에 맞닿게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어(40)가 완전히 열려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하중이 있더라도 더 이상 도어(4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 트레이(60)에서는 상기 단턱(10d) 부분, 상기 가이드 돌기(65) 부분 그리고 상기 힌지(41) 부분에 걸쳐 하중이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으로 내부 트레이(60)가 캐비닛(6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0)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도어(40)의 전면(42)은 외부 트레이(30)의 상면과 소정 갭을 이룸을 알 수 있다. 상기 소정 갭은 소정 하중 이상으로 상기 내부 트레이(60)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 메워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소정 이상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내부 트레이(60)의 배면, 즉 도어의 전면(43)이 상기 외부 트레이(30)의 상면과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하중과 상기 도어(40)의 허용 굽힘 변위를 고려하여 상기 갭의 크기를 결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의 전면(43)과 상기 외부 트레이(30)의 상면이 접하게 되면, 큰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점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는 점이나 선 지지가 아닌 면 지지일 수 있다. 따라서, 하중으로 인한 도어의 소성 변형 및 파괴를 일정 부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내부 트레이 구조 및 이를 통한 잔수 배출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내부 트레이(60), 특히 트레이 연장부(63)가 캐비닛(10) 내측에 구비되는 메인 트레이(80)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내부 트레이(60)의 베이스(6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61)의 상부에 도 9에 도시된 내부 트레이 커버(69)가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 후의 단면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메인 트레이(80)는 상기 내부 트레이(60)를 통해 배출되는 잔수를 받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트레이(80)는 상기 내부 디스펜서(50)의 하부 및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구비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트레이(60)는 베이스(6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61)에는 함몰부(6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상기 함몰부(62)의 함몰 깊이에 대응되는 만큼 잔수가 저수될 수 있다.
아울러, 함몰부(62) 테두리 부분에 소정 부분 돌출되어 상기 함몰부(62)를 감싸도록 지지부(62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62a)의 높이만큼 잔수가 더 저수될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함몰부(62)는 저수 기능보다는 많은 양의 잔수가 발생되더라도 신속하게 잔수를 배수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함몰부(62)는 캐비닛(10) 내측으로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1)는 캐비닛 외측의 트레이 메인부(63)와 캐비닛 내측의 트레이 연장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캐비닛 외부에서 발생되는 잔수가 상기 트레이 연장부(64)로 안내되고, 캐비닛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잔수 배출을 위해, 상기 트레이 연장부(64)에는 트레이 배수홀(6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배수홀(64)은 많은 양의 잔수를 신속하게 배출하기 위해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잔수의 흐름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신속한 잔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에는 트레이의 길이 방향, 즉, 캐비닛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수 가이드(6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 가이드(66)는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잔수의 흐름이 상기 트레이 배수홀(64)을 따라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배수 가이드(66)의 말단 양측에는 유로 전환 가이드(67)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 전환 가이드(67)는 잔수가 함몰부(63)의 외곽으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 전환 가이드(67)는 함몰부(63) 외곽으로 흐르는 잔수를 상기 트레이 배수홀(64)로 모아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배수 가이드(66)와 유로 전환 가이드(67)를 통해 잔수가 발생되면 신속하게 트레이 배수홀(64)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부 트레이(60)에서 잔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로 전환 가이드(67)는 전술한 유로 고정부(42)를 상기 함몰부(63)와 격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유로 전환 가이드(67) 내측에 상기 유로 고정부(42)가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 전환 가이드(67)의 양측으로는 힌지 슬롯(68)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술한 힌지(41)가 상기 힌지 슬롯(68) 감싸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회동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려한 디자인 및 회동부에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2) 상에는 내부 트레이 커버(69)가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베이스(62)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는 물병 등과 같은 용기를 받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잔수가 상기 함몰부(62)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의 상면은 상기 함몰부(62)와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먼저,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를 통해 잔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의 상면(69a)에는 관통홀(69c)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 커버(69)의 상면(69a)은 용기를 받치는 기능을 하는 한편, 상기 관통홀(69c)을통해 잔수가 하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관통홀(69c)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트레이 커버(69)의 가로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슬릿 형태의 관통홀(69c)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69a)과 상기 함몰부(62) 사이에 소정 높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상면(69a)의 테두리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69b)들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면(69a)과 측벽(69b)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공간은 비어 있게 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관통홀(69c)과 이러한 빈 공간을 통해 잔수가 상기 함몰부(62)로 배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에는 물병 등이 놓이게 된다. 물병에 물이 찰수록 하중은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의 상면(69a)이 하부로 눌려져 변형되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62)와 상기 상면(69a) 사이의 갭을 메워 지지하는 구조가 필요할 수 있다. 전술한 배수 가이드(66)와 유로 전환 가이드(67)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러한 지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배수 가이드(66)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69c)은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 가이드(66)로 인한 관통홀(69c) 막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수 가이드(66)를 코크(21)와의 위치 관계에서 실질적으로 물통이 놓이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62a)를 통해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62a)의 상면은 소정 폭을 갖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62a)의 상면을 통해서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a)가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내부 트레이 커버(69a)를 보다 견고히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62a)의 상면 높이와 상기 배수 가이드(66)의 높이는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위치에서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a)의 상면(69a)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배수 구조들을 통해서도 상기 함몰부(62)에는 어느 정도의 잔수가 잔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40)를 닫는 경우, 갑자기 잔수가 캐비닛 내측을 향해 몰릴 수 있다. 이러한 잔수의 흐름은 상기 함몰부(62)를 넘어 내부 트레이(60)의 좌우로 오버플로우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캐비닛 내측으로 오버플로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내부 트레이 커버(69) 상부로 잔수로 빠져나와 캐비닛(10)의 전방에서 좌우로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캐비닛(10) 내측으로 오버플로우가 되어 메인 트레이(80)와 캐비닛(10) 내벽 사이로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에는 잔수 넘침 방지 가이드(69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잔수 넘침 방지 가이드(69d)는 상기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의 후방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방 테두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내부 디스펜스 공간(50a)와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40)를 닫을 때, 잔수가 내부 트레이 커버(69)로 빠져나와 후방과 양측으로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잔수 넘침 방지 가이드(69d)는 도어(40)가 닫힐 때, 상기 내부 트레이(60)에 잔수 저장 공간을 일시적으로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시적으로 잔수 저장 공간이 늘어나는 만큼 상기 트레이 배수홀(65)을 통해 잔수가 배수되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어(40)를 급하게 닫는 경우에도, 상기 내부 트레이(60)의 잔수가 상기 트레이 배수홀(65)을 통해서만 배수되도록 하여, 잔수가 캐비닛 외부나 내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는 상기 베이스(61)의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용이하게 분리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커버(69)의 측벽(69b)은 지지부(62a)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베이스(61)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측벽(69b) 내면과 상기 지지부(62a)의 외면이 서로 맞닿도록 상기 커버(69)가 상기 베이스(61)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69)는 청소 등을 위해 상기 베이스(61)에 장착과 분리가 용이해야 한다. 아울러, 상기 도어(40)의 위치와 무관하게 상기 커버(69)는 상기 베이스(61)에 견고히 고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커버(69)와 베이스(61)의 결합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트레이 베이스(61)와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와의 결합 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트레이 베이스(61)에 연결홈(62b, 62c)이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 커버(69)에는 걸림돌기(69e, 69f)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홈(62b, 62c)에 상기 걸림돌기(69e, 69f)가 삽입되어 양자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돌기(69e, 69f)가 상기 연결홈(62b, 62c)으로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을 향해 슬라이딩 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12에 도시된 위치에서 상기 커버(69)가 좌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캐비닛(10)의 내측 또는 좌측으로의 슬라이딩 되어 고정되는 것은, 도어(4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고정 결합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1에 도시된 도어(40)가 닫히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의 위치가 변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40)가 닫혀있는 경우, 상기 커버(69)는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려 한다. 여기서, 하부로 이동하는 것은 상기 커버(69)가 상기 베이스(61)에 고정되는 방향이다.
따라서, 이러한 걸림돌기(69e, 69f)와 상기 연결홈(69b, 69c)의 결합 구조로 인하여, 도어(40)의 위치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결합이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돌기(69e, 69f)는 커버(69)의 양쪽 측벽(69b)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한쪽 측벽에는 전후로 두 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홈(62b, 62c)은 외측홈(62b)와 내측홈(62c)를 포함할 수 있고, 사기 걸림 돌기(69e, 69f)는 수직 돌기(69e)와 가로 돌기(69f)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로 돌기는 수직 돌기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내측홈은 상기 외측홈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홈의 폭은 상기 걸림 돌기가 여유있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 돌기가 상부에서 하부로 여유있게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걸림 돌기가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 돌기(69f)가 상기 내측홈(69c)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구조로 인해, 상기 커버(69)가 지지부(62a)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용이하게 장착과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트레이(69) 또는 도어(40)는, 닫혀있는 상태에서 도 13에 도시된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커버(69)의 하중 방향은 상기 커버(69)의 결합 방향과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40)의 개폐 여부와 관계없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트레이 구조, 트레이 장착 및 분리 구조 그리고 트레이를 통한 배수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메인 트레이(80)은 내부 트레이(60)를 통해 배출되는 잔수를 받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내부 디스펜서(50) 하부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트레이(60)의 트레이 배수홀(68) 상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트레이 배수홀(68)을 통해 배수되는 잔수가 상기 메인 트레이(80)에 저장되거나, 상기 메인 트레이(80)를 통해 캐비닛 외부로 배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 트레이(80)는 청소 또는 물 비움을 위해서 캐비닛(10)에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마련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트레이(80)에는 잔수가 많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트레이(80)를 캐비닛에서 분리할 때, 잔수가 출렁거려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물론, 잔수로 인한 무게로 인해 메인 트레이(80)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트레이(80)는 상기 캐비닛 전방에서 서랍 형태로 장착과 분리가 됨이 바람직하다. 즉, 서랍 형태로 탈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 트레이(80) 전방에는 상기 메인 트레이를 캐비닛 외부로 인출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외부 트레이(3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트레이(30)는 상기 메인 트레이(80)를 인출하기 위한 메인 트레이 손잡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외부 트레이(30)는 서브 트레이(30)라고 명칭될 수 있는바, 이하 상기 외부 트레이와 서브 트레이는 같은 구성을 지칭함을 명확히 한다.
상기 서브 트레이(30)는 상기 캐비닛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외부 디스펜서(2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디스펜서(20)에 의해 발생되는 잔수를 상기 서브 트레이(30)에서 받을 수 있다.
상기 서브 트레이(30)는 상기 정수기의 전면과 측면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즉, 캐비닛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 트레이(30)는 하우징(31), 서브 트레이 용기(33) 그리고 서브 트레이 커버(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은 상기 정수기의 전면과 측면의 일부를 이루고, 상부에 개구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32)를 통해서 상기 서브 트레이 용기(33)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개구부(32)를 통해 장착된 서브 트레이 용기(33)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에 상기 서브 트레이 커버(34)가 장착된다.
도 14에는 서브 트레이 용기(33)가 하우징(31)에 장착되고, 상기 개구부(32)에 서브 트레이 커버(34)가 장착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전면과 양측면이 막혀있고, 후면은 개구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개구된 후면을 통해서 잔수가 누수되더라도, 이러한 잔수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트레이(80)로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캐비닛과 서브 트레이(30) 사이의 간격을 통해서 잔수가 누출되더라도, 이러한 잔수를 메인 트레이(80)에서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서브 트레이(30)는 상기 하우징(31)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 트레이와 일체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어셈블리로서, 서브 트레이(30)와 메인 트레이가 일체로 캐비닛에 장착되고, 다시 캐비닛에서 분리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서브 트레이 용기(33)의 하면은 상기 메인 트레이(80) 보다 높게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메인 트레이(80)에 잔수가 차 있는 경우, 상기 서브 트레이 용기(33)의 장착 시, 서브 트레이 용기(33)가 상기 잔수 표면을 누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메인 트레이(80)로부터 잔수가 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서브 트레이 용기(33)의 하면은 막혀있을 수도 있고, 개구되어 있을 수도 있다. 개구되는 경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동 배수가 가능한 환경에서 바람직하고, 막혀있는 경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동 배수가 가능하지 않은 환경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서브 트레이 용기(33)의 두 가지 형태 모두 제공될 수 있으며, 설치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트레이는 상기 내부 트레이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트레이 용기(33)의 하부를 통해 양자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트레이로 배수되는 잔수가 상기 서브 트레이를 통해 상기 내부 트레이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트레이(80)는 메인 트레이 용기(8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 트레이 용기(81)는 상기 하우징(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트레이 용기(81)는 상기 하우징(30) 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을 더욱 키울 수 있다.
상기 메인 트레이(80)의 후방에는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배수홀(82)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홀(82)은 메인 트레이 용기(81)의 후방 하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트레이(8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 내부에 형성되는 트레이 공간(11)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 공간(11)으로 서랍 형태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공간(11) 내측에는 상기 배수홀(82)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삽입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수홀(82)과 삽입부(14)의 형합에 의해 트레이 공간(11)으로 메인 트레이(80)가 정확한 위치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정수기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상기 배수홀(82)을 막거나 열어 놓을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삽입부(14)에는 배수유로가 형성되어 캐비닛(10) 내측에서 캐비닛 외부로 잔수를 배수할 수 있다. 즉, 배수 시설이 마련되는 환경에서는 상기 배수홀(82)을 열어 놓을 수 있고, 반대인 경우에는 배수홀(82)을 막을 수 있다. 전자는 자동 배수라 할 수 있고, 후자는 수동 배수라 할 수 있다. 물론, 자동 배수인 경우에도 트레이 청소를 위해 트레이는 캐비닛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필요가 있다.
메인 트레이(80)의 장착과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레일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트레이(80)와 서브 트레이(30)을 하나의 어셈블리, 즉 트레이 어셈블리로 제작함으로써 트레이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메인 트레이(80)의 양측에는 레일(83)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레일(83)에 대응되는 레일 슬롯이 캐비닛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 공간(11)의 양 측벽에 상기 레일 슬롯(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83)은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 슬롯은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레일 슬롯과 레일이 구비된 위치는 반대가 될 수 있다. 즉, 레일 슬롯이 메인 트레이(80)에 형성되고, 레일(83)이 캐비닛(10)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레일(83)의 후방, 즉 캐비닛의 더욱 내측에 위치되는 부분에 롤러(8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84)로 인해 트레이가 장착되는 초기 원활하게 상기 레일 슬롯(12)로 삽입될 수 있다. 물론, 분리될 때에도 캐비닛과 메인 트레이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84)는 상기 레일(83)이 메인 트레이(80) 후방으로 더욱 연장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롤러(84)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레일 슬롯(12)의 최후단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양자가 형합되도록 상기 레일 슬롯(12)의 최후단에는 곡면부(1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도 메인 트레이(80)가 정확한 위치까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 트레이(80)의 용기(81) 상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메인 트레이 용기(81)의 후면 면적이 상기 트레이 공간(12)의 면적, 즉, 트레이가 투입되는 면적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큰 구멍에 작은 돌기를 삽입하는 것과 같이 트레이(80)가 원활히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트레이(80)에 잔수가 많이 남아있는 경우, 메인 트레이(80)를 캐비닛에서 분리할 때 상기 잔수가 누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격히 메인 트레이(80)를 분리할 때, 잔수에 출렁거림이 발생될 여지가 많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를 고려하여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메인 트레이를 분리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레일(83)의 중간 부분에 스토퍼 홈(85)이 형성될 수 있고, 사기 레일 슬롯(12)의 전방에 스토퍼(1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인 트레이(80)가 어느 정도 캐비닛(10)에서 분리될 때, 상기 스토퍼(13)가 상기 스토퍼 홈(85)에 걸린다. 따라서, 메인 트레이(8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방향으로 반력이 발생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메인 트레이(80)에 걸리는 힘이 발생됨을 느끼고, 메인 트레이(80)을 들어 올리면서 부드럽게 메인 트레이(80)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스토퍼(13)와 상기 스토퍼(85)가 서로 형합될 때, 사용자는 메인 트레이(80) 내부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잔수가 얼마만큼 저수되어 있는지와 잔수의 출렁거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잔수의 출렁거림을 확인하면서 조심스럽게 메인 트레이(80)를 캐비닛에서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 트레이(80)에서 잔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내부 디스펜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40)가 열리면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이 캐비닛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에는 음용수나 음료, 또는 얼음을 공급하기 위한 디스펜서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도어(40)의 후면은 상기 디스펜서(50) 사용 시 트레이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40)가 열리면 내부 디스펜서(50)와 내부 디스펜서 트레이(60)가 함께 노출된다.
상기 도어(40)의 크기는 상기 내부 디스펜서 트레이(60) 크기와 비례한다. 따라서, 상기 내부 디스펜서 트레이(60)는 전술한 외부 트레이(30)에 비해 큰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내부 디스펜서 트레이(60)를 다시 닫아, 캐비닛(10)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내부 디스펜서 트레이(60)에서 큰 물병들을 받친 상태에서 용이하게 물을 채울 수 있다. 그러므로, 내부 디스펜서(50)는 물병에 많은 양의 물을 공급받기 위해 매우 적합한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디스펜서(50)는 코크부(100, 200, 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크부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2에는 코크부가 세 개인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코크부는 그 구조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코크부의 세부 구성들은 모두 같을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코크부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코크부(100)는 코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코크(140)를 통해서 음용수나 음료가 공급된다. 코크가 세 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코크를 제1코크, 제2코크 그리고 제3코크라 할 수 있다.
여기서, 다양한 크기의 물병에 원활히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코크(140)의 위치는 가변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함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코크의 상하 이동으로 인해 상기 코크(140)와 내부 트레이(6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는 높이가 낮은 물병이나 높이가 높은 물병에도 원활히 물이 공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크(140)는 중심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코크(140)의 회전 중심을 코크 헤더(110)라 할 수 있다. 상기 코크 헤더(110)와 상기 코크(140) 사이에는 코크 바디(12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코크 헤더(110)에서 연장된 파이프 형태를 코크 바디(120)라 할 수 있고, 상기 코크 바디(120)의 말단 부분에 코크(140)가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코크 헤더(110)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코크 바디(120)는 상기 코크 헤더(110)에서 분지된 형태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코크 헤더(1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코크 바디(120)가 코크 헤더(11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코크 헤더(110) 회전 도는 코크 바디(12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코크(140)의 상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코크(140)의 위치를 용이하게 가변시키기 위해 손잡이(13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130)를 잡고 상기 코크 헤더(110)를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130)는 상기 코크 바디(1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30)를 잡고 코크 바디(120)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면서, 결과적으로 상기 코크(140)의 상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위치 변경에도 불구하고, 상기 코크 헤더(110)는 회전 가능하지만 병진 이동은 불가능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130)는 상기 코크 바디(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손잡이(130)와 상기 코크 바디(120) 사이에는 손잡이 형상에 대응되는 원호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130)는 상기 코크 바디(12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원호 형태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그립(grip)감을 좋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는 일단이 상기 코크 바디를 감싸면서 상기 코크 헤더(11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코크 바디(120)를 코팅한 형태로 상기 코크 헤더(11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130)에는 출수 버튼(135)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전면(130)에 노출되는 손잡이(130) 상에 출수 버튼(1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수 버튼(135)의 전면은 멤브레인(membrane) 시트(sheet)로 방수처리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젖은 손으로 상기 출수 버튼(135)을 누르더라도, 수분이 상기 출수 버튼(135)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1에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130)를 통해 용이하게 코크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잡이를 통해 코크의 위치를 조절함과 동시에 출수 버튼(135)을 눌러 출수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한 손만을 사용하여 코크의 조절과 출수 버튼 조작을 동시에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코크부(100, 200, 300)은 서로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원위치(코크 바디(120)가 수직으로 놓인 위치)에서 어느 하나의 코크부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코크부를 동일하게 회전시킬 수 있고, 도 21과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각도가 각각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도 22에는 구체적으로, 높이가 다른 두 개의 물병에 각각 코크부의 위치를 달리하여 편리하게 물이 공급될 수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크(140)의 위치는 상기 디스펜서 공간(50a)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코크(140)의 위치는 항상 상기 내부 디스펜서(60) 상에 위치된다. 아울러, 상기 디스펜서 공간(50a)는 전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그러므로, 코크(140)의 상하 위치 가변으로 인한 코크(140)의 전후 위치 가변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을 마치면, 상기 코크부들은 전술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고, 상기 도어(40)를 닫으면 캐비닛(10)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크부들(100, 200, 300) 각각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코크 헤더(110), 코크 바디(120) 그리고 코크(140)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은 코크부들의 수를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게 한다. 즉, 두 개의 코크부, 세 개의 코크부 그리고 그 이상의 코크부들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코크부가 구비된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코크부 또는 코크 모듈(100)에 대해서 추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23을 참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3에는 상기 내부 디스펜서(50)에 대응되는 UI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UI(54)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디스펜서(5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내부 디스펜서(50) 그리고 내부 디스펜서 트레이(60) 함께 선택적으로 캐비닛 내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디스펜서(50)가 사용될 경우에, 상기 내부 UI(54)가 캐비닛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디스펜서(50)는 물병과 같은 용기에 많은 양의 물을 공급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아울러, 복수 개의 코크부(100, 200, 300)를 통해 동시에 복수 개의 물병에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정수뿐만 아니라 온수나 냉수도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복수 개의 물병에 서로 다른 음용수를 동시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내부 디스펜서 UI(53)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내부 디스펜서 UI는 상기 내부 디스펜서(50)를 사용하기 위한 UI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는 각각의 코크부에 대해 개별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코크부(100)에 대해서 제1UI, 제2코크부(200)에 대해서는 제2UI 그리고 제3코크부(300)에 대해서는 제3UI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물론, UI의 위치는 대응되는 코크부의 상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부 디스펜서(50)는 공급되는 음용수의 양이 기설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각의 UI에는 용량 선택부(55b, 56b, 57b)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공급되는 음용수의 양을 기설정할 수 있다. 상기 용량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용량은 용량 표시부(55c, 56c, 57c)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3에는 선택 가능한 용량의 일례로 2.0, 1.5, 1.0 그리고 0.5리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용량 표시부(55c)를 누름에 따라 선택되는 용량이 순차적으로 변경되면, 이는 점등 밝기에 의해 사용자에게 명확히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업소용 정수기의 경우 한 번에 많은 물병에 물을 받아 놓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세 개의 코크부는 기본적으로 정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양의 온수를 받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왜냐하면 자동으로 많은 양의 온수가 공급되는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로 온수가 넘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2리터 용량의 물병에 1리터의 물이 차 있는데, 사용자가 부주의로 2리터의 온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 온수가 넘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양의 음용수를 공급하는 경우 온수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업소용 정수기의 경우 적당한 양의 냉수가 급히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코크부는 냉수와 정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에 위치하는 코크부(200)에 대응되는 UI(56)을 통해 정수와 냉수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수 버튼(56a)과 냉수 버튼(56d)을 누름으로써 정수 또는 냉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정수기의 경우, 정수는 연속 공급이 가능하다. 그러나, 냉수의 경우 소정 온도를 갖는 냉수를 연속 공급하는 것이 어렵다. 왜냐하면 정수기의 기본 기능이 정수이지 냉각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현재의 냉수 용량이 어느 정도인지 사용자에게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UI(56)는 냉수용량 표시부(56e)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부 디스펜서를 통해서 얼음이나 커피 등과 같은 음료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를 이용하여 커피를 제조하는 장치가 캐비닛(10)에 구비될 수 있다. 기본적인 음용수 공급 기능은 외부 디스펜서를 이용할 수 있고, 얼음이나 음료 공급과 같은 특수한 기능은 상기 내부 디스펜서에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디스펜서(50)는 기설정된 양의 음용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정량 모드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얼음이나 음료를 공급하는 부가 모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정수기의 기본 기능이 아닌 얼음이나 음료 공급 기능이 부가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수동으로 조작되어 물이 공급되는 모드를 기본 모드라 할 때, 상기 정량 모드 또는 부가 모드는 특수 모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UI(54)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을 결정하고, 상기 코크부(100)에 구비된 출수 버튼(135)을 누르면 누르는 시간과는 무관하게 기설정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즉, 일단 가압이 발생되면 기설정된 양만큼의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병을 들고 물이 다 공급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다. 즉, 물이 공급되는 동안 다른 일을 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 개의 물병에 물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편리하다.
이하에서는 도 24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전술한 코크부 또는 코크 모듈의 구조, 코크 모듈 사이의 연결 관계, 그리고 코크 모듈의 지지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부(100)는 프레임(40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00)은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 개의 코크부들이 하나의 프레임(400)을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이러한 프레임(400)을 통해서 복수 개의 코크부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부분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40)은 캐비닛(10)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유로가 상기 코크부(100)와 연결되도록 하는 매개체일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40)을 통해서 캐비닛(10) 내측의 유로(10f)가 상기 코크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복수 개의 코크부들이 하나의 프레임(400)을 통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코크부의 구조로 인하여 필요에 따라 코크부의 수를 더욱 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코크부 또는 코크 모듈(10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크부(100)는 코크 헤더(110), 코크 바디(120) 그리고 코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크 헤더(110)는 상기 프레임(400)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코크 바디(120)를 통해 음용수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캐비닛(10) 내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음용수를 상기 코크 바디(120)로 제공하기 위한 매개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코크 바디(120)는 상기 코크 헤더(110)를 통해서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에 지지된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코크 헤더(1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기 배선이 연결되는 매개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코크 바디(120) 특히 손잡이(130)에 출수 버튼(135)가 구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출수 버튼(135)의 조작에 의한 전기적 신호가 상기 코크 헤더(110)를 통해 캐비닛 내측에 구비되는 제어부로 전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코크 헤더(110)는 다음과 같은 구성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코크 헤더(110)는 코크 헤더 바디(1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공간을 통해 유로나 전기 배선 등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의 양측에 각각 제1코크 헤더 커버(112)와 제2코크 헤더 커버(1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들(112, 113)은 상기 바디(111)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들(112, 113)은 상기 코크 모듈(10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들(112, 113)은 상기 바디(111)의 회전 중심을 이룰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커버들 각각은 중심에 회전축 홀(112a, 114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홀(112a, 114a)에는 회전축(115)이 삽입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회전축 홀(112a, 114a)를 대신하여 회전축(115) 자체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구조로 인하여, 코크 헤더 바디(111), 제1코크 헤더 커버(112) 그리고 제2코크 헤더 커버(114)는 양측에 구비되는 회전축(115)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는 회전되는 구성이므로, 그 회전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의 원주면에는, 상기 코크 바디(120)가 연결되기 위한 바디 홀(111c)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 홀(111c)을 통해 상기 코크 바디(120)가 상기 바디(111)의 중심을 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111)의 좌우 길이 방향의 중심에 상기 바디홀(111c)이 형성되어 좌우 균형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11)의 원주면에는, 외부 유로(10f)가 상기 바디(111) 내부로 연장되기 위한 개구부(111d)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유로(10f)는, 상기 바디(111)의 허용 회전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캐비닛 전면에서 볼 수 없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111d)의 위치는 상기 바디 홀(111c)의 반대편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부 유로(10f)는 캐비닛 내측으로부터 상기 코크(140)로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 내부로 연장되는 유로라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유로뿐만 아니라 전기 배선이 상기 개구부(111d)를 통해 바디(111) 내부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11d)는 바디(111)의 원주면이 절단된 형태로 인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원주면이 360도를 갖지 않고, 예를 들어 250도에 이르는 원주면만 갖고 110도에 해당되는 원주면은 절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주면이 절개된 각도, 예를 들어 110도는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의 회전 각도, 즉 허용되는 회전 각도와 관련이 있다. 왜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11d)는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서는 원주면이 360각도에 따라 모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절개된 110도에 대응되는 원주면이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정 부분에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는 제1코크 헤더 바디(111a)와 제2코크 헤더 바디(11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구부(111d)는 상기 제1코크 헤더 바디(111a)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코크 헤더 바디(111b)는 상기 개구부(111d)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분을 완전히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코크 헤더 바디(111)의 구조에 의해,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쪽에는 개구부(111d)가 유지되고, 중앙 부분의 개구부(111d)는 상기 제2코크 헤더 바디(111b)에 의해 막히게 된다. 이러한 제2코크 헤더 바디(111b)는 상기 프레임(400)에 대해서 회전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가 상기 프레임(400)에 대해서 원활히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는 양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제1코크 헤더 커버(112)와 제2코크 헤더 커버(114)는 각각 개구된 부분을 막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양측면에 개구된 부분을 막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크 헤더(110)는 허용되는 회전 각도가 제한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회전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코크 헤더(110)를 9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코크 헤더(110)가 고정될 필요가 있다. 즉, 자중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코크 헤더(110)가 회전되는 것이 다단계로 이루어지고, 각 단계에서는 회전이 고정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코크 헤더(110)의 다단계 회전 및 고정을 위한 스토퍼 장치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도 25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장치는, 상기 코크 헤더(110)의 원주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돌기(112b)와 상기 돌기와 형합되도록 이루어진 스토퍼(113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크 헤더(110)가 회전되다가 상기 돌기(112b)와 상기 스토퍼(113a)가 형합되면, 상기 코크 헤더(110)의 회전에 대한 양방향으로 저항력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저항력은 자중에 의한 상기 코크 헤더(110)의 원위치로의 복귀력보다 큼이 바람직하다. 한편, 소정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저항력을 이기고 상기 코크 헤더(110)를 더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돌기(112b)의 수에 따라서 상기 회전 단계가 결정될 수 있다. 즉, 특정 회전 위치에서 힘을 가하지 않으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어느 하나의 회전 단계에서 다음 회전 단계로까지 더욱 회전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토퍼(113a)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후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113a)를 지지하는 스토퍼 지지부(113)에는 탄성부재(11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112b)와 스토퍼(113a)가 형합되는 위치는 상기 스토퍼(113a)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후퇴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코크 헤더(110)가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113a)는 탄성력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전진한다. 회전이 계속되어 다음 스토퍼(113a)를 만나면, 상기 스토퍼(113a)는 순간적으로 후퇴 후 전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112b)가 상기 스토퍼(113a)의 중앙부분으로 위치되어 양자가 형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회전 단계에서 상기 코크 헤더(110)는 회전을 멈춘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기(112b)는 구체적으로 제1코크 헤더 바디(112)에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개구부(111d)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113a)와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의 직접적인 접촉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코크 헤더 바디의 두께 부분, 즉 개구부(111d) 부분에서의 두께, 상기 돌기(111b)의 위치 그리고 상기 스토퍼(113a)의 위치와의 관계로 인해, 상기 코크 헤더(110)의 회전 제한 범위가 용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범위를 넘어가는 회전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26과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13a)는 프레임(400)의 내면에서 돌출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스토퍼 지지부(113)는 상기 프레임(400)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다단계로 회전이 가능하고,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할 때마다 일일이 코크 헤더(110)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아울러, 하나의 회전 단계와 다음의 회전 단계 사이에도 연속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고정이 되지는 않지만 필요에 따라 허용되는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연속적인 회전 위치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7과 도 28을 참조하여 코크 모듈(100)과 코크 모듈(200) 사이의 연결 및 지지 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400)의 내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프레임 지지부(4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지지부(420)의 중앙 부분에는 회전축 홀(421)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회전축 홀(421)는 회전축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지지부(420)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코크 모듈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 지지부(420)의 일측에는 제2코크 바디 커버(114) 그리고 타측에는 제1코크 바디 커버(11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물론, 각각의 회전축 홀들에는 회전축(115)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420)는 상기 프레임(400)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400)도 캐비닛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지지부(420)의 양측에서 제1코크 바디 커버(112)와 제2코크 바디 커버(113)가 개별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프레임 지지부(420) 양쪽에서 각각의 코크 모듈이 개별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코크 모듈에 개별적으로 스토퍼 장치가 구비되기 때문에, 회전에 의한 고정도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400)에는 연결구(41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관통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410)는 상기 프레임(400)을 통해 고정되는 코크 모듈(100, 200, 300)의 수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9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410)을 통해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 내부로 유로(10f)가 연장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연결구(410)는 코크 헤더 바디(111)의 개구부(111d)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유로(10f)가, 프레임(400)의 연결구(410)와 코크 헤더 바디(111)의 개구부(111d)를 통해, 코크 헤더 바디(1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유로(10f)와 코크 바디(120) 사이에는 연결부(121, 1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코크 바디(120)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121)와 상기 유로(10f)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는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122)는 상기 회전축(115)와 동일 축 상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2연결부(122)를 통해 코크 바디(120)와 제1연결부(121)가 회전할 수 있다. 물론, 이 때, 상기 유로(10f)는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코크 헤더(11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111d)가 허용 회전 각도 범위에 대응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개구부(111d)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상기 유로(10f)와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연결부(121)과 코크 바디(120) 사이에는 고정부(123)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3)는 바디홀(111c)의 내측과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123)은 상기 바디홀(111c) 관경에 대응되는 중앙부(123a)와 양측에 확장된 확장부(12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부(123)를 통해 상기 코크 바디(120)에 길이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도, 상기 코크 바디(120)와 코크 헤더(110) 사이의 결합이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1과 도 32를 참조하여 외부 디스펜서(2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부 디스펜서(20)는 변형될 수 있고,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1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22)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코크(21)를 통해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22)의 측면에 컵이나 병 등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22)를 가압할 수 있다. 물론, 컵이나 병의 개구부를 상기 코크(21)에 맞춘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22)를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코크(21)에서 음용수가 배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수동 모드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는 도 3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조작부(22)를 도 31에서 도시된 상태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코크(21)를 통해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도 3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조작부(22)가 회동되면, 상기 코크(21)의 하부에는 상기 조작부(22)가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코크(21)의 하부에 컵이나 병 등을 위치시키는 공간이 증가될 수 있다. 특히, 병을 위치시켜 트레이에 올려 놓기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도 32에 도시된 조작부(22)의 위치에서 가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조작부(22)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2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31에 도시된 위치로 조작부(22)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으면,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 또한 수동 모드라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 32에 도시된 위치로 조작부(22)를 위치시키면, 가압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물이 계속해서 공급될 수 있다. 이 후 물병에 물이 다 차면 사용자는 조작부(22)의 위치를 도 31에 도시된 위치로 변경하여, 물 공급을 멈출 수 있다.
도 31과 도 32에는 하나의 코크(21)를 통해, 다양한 음용수를 제공할 수 있는 단일 코크(2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단일 코크(21)를 통해 냉수나 정수가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온수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음용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다이얼(23)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다이얼(23)을 돌려, 정수, 온수 또는 냉수 중 어느 하나가 출수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3 내지 도 35를 통하여 외부 디스펜서(20)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3 내지 도 35는 본 실시예에서의 다이얼(23) 회전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즉 외부 디스펜서 UI(25)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는 상기 코크(21)를 통해서 상온의 필터링된 물인 정수가 공급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34는 상기 코크(21)를 통해서 냉수가 공급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35는 상기 코크(21)를 통해서 온수가 공급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크(21)를 통해서 공급되는 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UI(25)의 정수, 냉수 그리고 온수에 해당하는 창은 활성화, 즉 점등되어서 사용자에게 선택된 물의 정보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3에서와 같이 상기 다이얼(23)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코크(21)를 통해서 정수가 공급될 수 있는 상태에서는, 온수와 냉수에 관한 창은 비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UI(25)의 점등을 통해 현재 상기 단일 코크(21)에서 어떠한 물이 공급될 수 있는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이러한, 단일 코크(21)와 다이얼(23) 그리고 유저 인터페이스(90)를 통해 외관이 매우 단순하면서도 미려하며, 사용이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정수를 중심으로 양측에 냉수와 온수에 관한 창이 배치될 수 있다. 정수는 상온이기 때문에, 냉수의 저온과 온수의 고온의 중간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순차적으로 냉수, 정수, 온수라고 창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3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냉수를 공급받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이얼(23)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코크(21)를 통해서 온수를 공급받고자 하면, 상기 다이얼(23)을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사용자는 도 33의 좌측에 도시된 절전 버튼을 눌러서 온/냉수 꺼짐, 냉수 꺼짐, 온수 꺼짐에 관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절전 버튼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온/냉수 꺼짐, 냉수 꺼짐, 온수 꺼짐에 관한 메뉴가 순차적으로 변경될 수 있고, 세 개의 메뉴가 모두 선택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온/냉수 꺼짐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케이스(10) 내에 구비된 온수 탱크를 가열하는 히터 등의 가열 장치와 냉수 탱크를 냉각하는 압축기 등의 냉각 장치의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온수의 남은 용량을 도시하는 표시창과 냉수의 남은 용량을 도시하는 표시창이 모두 꺼질 수 있다.
온/냉수 꺼짐이 선택되면,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23)을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코크(21)를 통해서 냉수와 온수를 제공받지 못할 수 있다. 온수와 냉수의 제조가 중단되기 때문에 기존에 온수 탱크와 냉수 탱크에 보관된 온수와 냉수만이 공급될 수 있을 뿐 추가적으로 온수와 냉수가 공급될 수 없다. 반면에 온수 탱크와 냉수 탱크에 온수와 냉수가 보관되어 있더라도 사용자에게는 정수만이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냉수 꺼짐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케이스(10) 내에 구비된 냉수 탱크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의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냉수의 남은 용량을 도시하는 표시창이 꺼질 수 있다.
냉수 꺼짐이 선택되면,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23)을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코크(21)를 통해서 냉수를 공급받지 못할 수 있다. 냉수의 제조가 중단되기 때문에 기존에 냉수 탱크에 보관된 냉수만이 공급될 수 있을 뿐, 추가적인 냉수는 공급될 수 없다. 반면에 냉수 탱크에 냉수가 보관되어 있더라도 사용자에게는 냉수가 아닌 정수가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온수 꺼짐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케이스(10) 내에 구비된 온수 탱크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의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온수의 남은 용량을 도시하는 표시창이 꺼질 수 있다.
온수 꺼짐이 선택되면,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23)을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코크(21)를 통해서 온수를 공급받지 못할 수 있다. 온수의 제조가 중단되기 때문에 기존에 온수 탱크에 보관된 온수만이 공급될 수 있을 뿐, 추가적인 온수가 공급될 수는 없다. 반면에 온수 탱크에 온수가 보관되어 있더라도 사용자에게는 온수가 아닌 정수가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3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유닛(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수유닛(2)을 통해 원수로부터 정수가 생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정수로부터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온수유닛(3)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정수로부터 냉수를 생성하기 위한 냉수유닛(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수유닛(3)에는 온수 통이나 히터 등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냉수유닛(4)에는 냉수 통이나 칠러 등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는 각종 밸브(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종 밸브(5)는 각종 유로 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 개폐 여부에 따라 공급되는 음용수의 종류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각종 밸브(5)의 개폐 여부에 따라 냉수 생성이나 온수 생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종 밸브(5)는 유량계나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이러한 각종 밸브(5)들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제어부(1)가 구비되어야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는 이러한 각종 밸브(5)들의 작동과 함께 상기 정수유닛(2), 온수유닛(3) 그리고 냉수유닛(4)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정수기는 UI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UI를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음용수의 종류나 공급량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는 이러한 UI를 통한 입력에 대응하여 전술한 각종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UI는 메인 UI(25)와 서브 UI(54)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서로 별개로 구비되는 디스펜서들 각각에 대해서 별도로 UI가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외부 디스펜서와 내부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메인 UI(25)는 외부 디스펜서 UI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UI(54) 내부 디스펜서 UI라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내부 디스펜서(50)는 도어(40)의 개폐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된다. 즉, 내부 디스펜서(5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외부 디스펜서(20)의 사용은 배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에 대응되어, 내부 디스펜서 UI를 사용하는 경우 외부 디스펜서 UI의 사용이 배제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는 도어개폐감지부(74)를 통해 감지된 도어 개폐 여부에 따라서, 상기 메인 UI(25)와 서브 UI(54)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도어(40)가 닫힌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는 상기 서브 UI(54)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상기 서브 UI(54)를 불활성화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어(40)가 열린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는 상기 메인 UI(25)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상기 메인 UI(25)를 불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는 상기 도어개폐감지부(74)를 통해 감지된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정수 유닛(2), 온수 유닛(3), 냉수 유닛(4) 그리고 각종 밸브(5)의 제어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메인 UI(25)를 통해서 냉수가 공급될 수 있는 상태 그리고 서브 UI(54)를 통해서는 냉수가 공급될 수 없는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냉수유닛(2)을 구동하고, 도어가 닫히면 냉수유닛(2)의 구동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외부 디스펜서(20)로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밸브를 모두 폐쇄하여, 외부 디스펜서(20)의 조작 여부와 무관하게 음용수가 외부 디스펜서(20)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는 도어개폐감지부(74)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전술한 각종 구성들을 달리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1)는 현재 전원이 인가된 UI 또는 활성화된 UI에 따라 전술한 각종 구성들을 달리 제어한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필요없는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예기치 못한 상태에서 음용수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는 알람장치(6)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설정된 용량의 음용수 공급이 종료되면, 이를 소리를 통해 알릴 수 있는 알람장치(6)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수버튼(135)를 누르고 자리를 비워도, 상기 알람장치(6)를 통해 음용수 공급이 완료됨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10 : 캐비닛 20 : 외부 디스펜서
30 : 외부 트레이 40 : 도어
50 : 내부 디스펜서 60 : 내부 트레이
70 : 도어 후크 80 : 메인 트레이

Claims (30)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 디스펜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디스펜서; 그리고
    상기 캐비닛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디스펜서를 선택적으로 상기 캐비닛 외부로 노출시키는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외부 디스펜서 사용을 위해서 닫혀있고, 상기 내부 디스펜서 사용을 위해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내부 디스펜서 사용시, 잔수를 받고 용기를 받치는 트레이로 전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회전하여 열린 후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트레이 베이스;
    상기 트레이 베이스에 형성된 함몰부; 그리고
    상기 함몰부의 저면과 소정 높이를 갖는 평면을 갖도록 구비되는 트레이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캐비닛 내부까지 연장되는 트레이 연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로 갈 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연장부에는 상기 캐비닛 내부로 잔수를 배출하기 위한 트레이 배수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베이스에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 커버에는 상기 연결홈과 착탈 가능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연결홈에 상기 캐비닛 내측을 향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트레이 커버가 상기 트레이 베이스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커버의 후방 테두리 부분에 상부로 돌출되는 잔수 넘침 방지 가이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펜서는 기본 모드를 제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내부 디스펜서는 상기 기본 모드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다른 특수 모드를 제공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모드는 수동 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특수 모드는 기설정된 양의 음용수가 공급되는 정량 모드 또는 얼음이나 음료를 공급하는 부가 모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펜서는,
    외부 코크부; 그리고
    가압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외부 코크부를 통해 음료가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조작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코크부는 온수, 냉수 그리고 정수를 모두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단일 코크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코크부는 온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1코크부와 정수와 냉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2코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디스펜서는,
    출수 버튼; 그리고
    상기 출수 버튼의 입력을 통해 기설정된 정량의 음료를 공급하는 내부 코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코크부의 수가 상기 외부 코크부의 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코크부는,
    온수와 정수만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1코크;
    정수만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2코크; 그리고
    냉수와 정수만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3코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코크부는,
    정수만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1코크;
    냉수와 정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2코크; 그리고
    정수만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3코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코크부의 코크들의 위치는 개별적으로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1. 캐비닛;
    상기 캐비닛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 디스펜서;
    상기 캐비닛 외부 그리고 상기 외부 디스펜서 하부에 구비되는 외부 트레이;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디스펜서;
    상기 내부 디스펜서와 함께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부 트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수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디스펜서와 상기 내부 트레이 사용 시, 상기 내부 트레이의 배면과 상기 외부 트레이의 상면이 소정 갭을 갖도록 상기 내부 트레이가 고정되며, 상기 내부 트레이 상부에서 소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내부 트레이의 배면과 상기 외부 트레이의 상면이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에 내장되는 유로 고정부;
    상기 유로 고정부 일측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로 고정부와 함께 회동되도록 상기 내부 트레이에 내장되는 외부 디스펜서 유로;
    상기 유로 고정부의 타측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상기 내부 트레이가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힌지; 그리고
    상기 힌지와 연결되는 내부 유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내부 트레이의 양측에 위치되며,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힌지 위치보다 상기 캐비닛 내부로 더욱 연장되는 트레이 연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연장부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 그리고
    상기 캐비닛 내측에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 돌기의 회전을 안내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6. 캐비닛;
    상기 캐비닛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 디스펜서;
    상기 캐비닛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 디스펜서 UI(user interface);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디스펜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디스펜서 UI;
    상기 캐비닛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디스펜서와 내부 UI를 선택적으로 상기 캐비닛 외부로 노출시키는 도어;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장치; 그리고
    상기 개폐감지장치를 통해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외부 디스펜서 UI와 상기 내부 디스펜서 UI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수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풀 다운 형태로 열리도록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상부 후방에 구비되는 후크와 상기 후크에 대응되어 상기 캐비닛 내측에 구비되는 삽입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펜서는, 작동 레버의 가압이 유지되는 동안 음용수가 공급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내부 디스펜서는, 출수 버튼을 누르면 기설정된 양의 음용수가 공급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펜서는, 음용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내부 디스펜서는 얼음 그리고 음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디스펜서는 복수 개의 코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디스펜서 UI는 상기 코크부 각각에 대하여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120102924A 2012-09-17 2012-09-17 정수기 KR101430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924A KR101430495B1 (ko) 2012-09-17 2012-09-17 정수기
CN201310371615.0A CN103657224B (zh) 2012-09-17 2013-08-23 净水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924A KR101430495B1 (ko) 2012-09-17 2012-09-17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613A KR20140036613A (ko) 2014-03-26
KR101430495B1 true KR101430495B1 (ko) 2014-08-14

Family

ID=50296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924A KR101430495B1 (ko) 2012-09-17 2012-09-17 정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30495B1 (ko)
CN (1) CN1036572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862B1 (ko) 2014-09-12 2021-08-25 코웨이 주식회사 음료 추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160149857A (ko) * 2015-06-19 201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539477B1 (ko) * 2016-05-04 202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222432B1 (ko) 2016-05-13 202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18383B1 (ko) 2017-01-18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71284B1 (ko) * 2017-08-24 2019-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266573B1 (ko) * 2018-07-17 2021-06-18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545Y1 (ko) 2005-02-22 2005-05-16 주식회사 제이앤스테크 정수기
KR200443372Y1 (ko) 2007-06-22 2009-02-06 고석배 냉·온 정수기
KR20110001735A (ko) * 2009-06-30 2011-01-0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처리 기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6738B2 (ja) * 2004-08-11 2007-01-10 株式会社トヨダプロダクツ 携行用浄水器
KR100805199B1 (ko) * 2007-03-30 2008-02-21 이귀순 세라믹 필터를 이용한 옥외용 정수기
CN201328703Y (zh) * 2009-01-01 2009-10-21 杨政委 多功能保温双孔单排茶水饮用机
KR20110055877A (ko) * 2009-11-20 2011-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545Y1 (ko) 2005-02-22 2005-05-16 주식회사 제이앤스테크 정수기
KR200443372Y1 (ko) 2007-06-22 2009-02-06 고석배 냉·온 정수기
KR20110001735A (ko) * 2009-06-30 2011-01-0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처리 기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613A (ko) 2014-03-26
CN103657224B (zh) 2015-12-02
CN103657224A (zh)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0495B1 (ko) 정수기
KR101692732B1 (ko) 정수기
EP3054242B1 (en) Refrigerator
WO2008147199A3 (en) Control system for a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JP5116461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101430496B1 (ko) 정수기
AU2020252476B2 (en) Refrigerator and brew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KR20180118579A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00133298A1 (en) Apparatus comprising a cooling device for at least one bag-in-box package
KR101623789B1 (ko) 정수기
KR101430494B1 (ko) 정수기
KR20150134158A (ko) 음용수 공급장치
CN203555590U (zh) 咖啡饮水机
KR101476210B1 (ko)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KR101498084B1 (ko) 정수기
KR101654065B1 (ko) 정수기
KR101781881B1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625190B1 (ko) 냉온수기
US20230240470A1 (en) Beverage dispensing machine
KR100625195B1 (ko) 냉온수기
JP5511198B2 (ja) 飲料注出装置
JP2010189057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200271909Y1 (ko) 차류 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
JP2023173344A (ja) 飲料ディスペンサの自動化機構及び飲料ディスペンサ
KR100437943B1 (ko) 차류 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