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8579A -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8579A
KR20180118579A KR1020180126972A KR20180126972A KR20180118579A KR 20180118579 A KR20180118579 A KR 20180118579A KR 1020180126972 A KR1020180126972 A KR 1020180126972A KR 20180126972 A KR20180126972 A KR 20180126972A KR 20180118579 A KR20180118579 A KR 20180118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cabinet
cock
water
c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8264B1 (ko
Inventor
남보현
유선일
김남희
조나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6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264B1/ko
Publication of KR20180118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편의성이 증진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고정부와 상기 회전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고정부; 및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에서 돌출된 형태로 연장되고,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와 일체로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연장 코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 또는 상기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특정 회전 위치에서 상기 회전부재 또는 상기 고정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기구물에 걸림되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water purifie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편의성이 증진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음용수 공급장치는 사용자가 마시는 음용수를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음용수 공급장치는 독자적인 장치일 수 있으며, 다른 장치의 일부를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정수기는 수도전이나 지하수원과 같은 급수전으로부터 유입되는 원수, 즉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아울러, 정수된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하여 냉수나 온수로 공급하는 장치 또한 정수기라 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는 다른 가전제품과는 독립적인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음용수 공급장치는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의 일부를 이룰 수도 있다. 즉, 냉장고 내부에서 정수장치를 통해 정수된 물이 음용수 공급장치를 통해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물론, 냉장고 내부에서 정수된 물이 냉각되거나 냉동되어 냉수나 얼음이 음용수 공급장치를 통해 외부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음용수 공급장치는 다른 장치와 독립성 여부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외부에서 음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다시 말하면, 음용수를 공급받는 공간인 디스펜서를 갖는 장치라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정수기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정수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수기(10)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11)과 디스펜서(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디스펜서(12)는 사용자가 음용수를 공급받는 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디스펜서(12)는 캐비닛(11)의 전방에 형성된다. 물론, 캐비닛(11) 전방에서 만입되거나 함몰된 공간 형태로 이러한 디스펜서(12)가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캐비닛(110)의 전방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캐비닛(11)의 일부분이 상기 디스펜서(12)를 형성할 수 있다.
디스펜서(12)에는 음용수가 배출되는 코크(15)가 구비되며, 음용수 배출을 위해 조작하는 레버(1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레버(16)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코크(15)에서 음용수가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16)의 조작은 레버를 누르거나 당기는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컵(1) 상부가 코크(15) 하부에 위치되도록 컵(1)을 들고, 레버(16)에 컵(1)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컵(1)을 밀수 있다. 이러한 레버(16)의 조작에 따라, 코크(15)에서 음용수가 배출되어 컵(1)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컵(1)에 저장된 물을 마시고, 잔수를 트레이(13)에 버릴 수 있다. 물론, 코크(15)에서 떨어지는 소량의 잔수도 상기 트레이(13)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트레이(13)는 코크(15)의 직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디스펜서(12)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트레이(13)의 상부와 상기 코크(15) 사이의 공간을 디스펜서(12)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용수는 정수, 냉수 또는 온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물론, 다양한 형태의 음료일 수도 있다. 따라서, 배출되는 음용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4)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를 통해 냉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컵(1)을 코크(15) 아래에 위치시킨 후 레버(16)를 밀수 있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서, 코크(15)에서 냉수가 배출되어 컵(1)을 채우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음용수 공급장치는 레버(16) 조작과 같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음용수가 공급되도록 마련된다. 즉, 컵(1)과 같은 용기에 소량의 음용수를 공급받는 목적으로 많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음용수 공급장치에서는 물병이나 다양한 모양이나 크기를 갖는 조리기구에 직접 음용수를 공급받는 것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코크(15)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디스펜서(12)의 공간의 확장도 실질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냄비와 같은 조리기구에 많은 양의 정수를 공급받아 조리하는 경우, 사용자는 냄비를 직접 들고 레버(16)를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조리기구의 무게와 많은 양의 정수의 무게를 모두 감수하면 정수를 공급받는 것은 매우 불편한 일임이 자명할 것이다.
물론, 컵(1)과 같은 용기에 정수를 공급받고 조리기구에 비우는 동작을 여러 번 반복하여 많은 양의 정수를 조리기구 등에 채울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 또한 매우 불편한 일임이 자명할 것이다.
이러한 불편함은 특히 가정용 정수기의 경우에 더욱 빈번하게 발생될 가능성이 많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종래의 정수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용기에 탄력적이고 용이하게 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디스펜서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출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종래의 코크 구조와 출수 레버와 함께 출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연장 코크와 출수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많은 양의 정수를 출수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출수 위치를 상하로 가변시킬 수 있는 연장 코크부를 통해 많은 양의 정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평상 시 또는 미사용시 외부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출수 위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연장 코크부를 갖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사용시에는 최대한 캐비닛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연장 코크부를 갖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 원수로부터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 상기 캐비닛 전방에 구비되어 출수가 수행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펜서; 상기 캐비닛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와 일체로 좌우 회전 가능한 연장 코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 코크부의 좌우 회전에 따라 상기 연장 코크부를 통해 상기 정수가 출수되는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디스펜서가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확장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장 코크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연장 코크부를 통해 상기 정수가 출수되는 상하 위치가 가변됨이 바람직하다. 즉, 회전부재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 코크부가 상기 회전부재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상하 회전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장 코크부의 좌우 회전, 상하 회전 그리고 좌우 및 상하 회전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재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서 상기 연장 코크부가 상기 회전부재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연장 코크부의 좌우 회전을 통해, 상기 연장 코크부의 길이 방향이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나란한 위치 그리고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수직인 위치가 되도록 변경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재의 좌우 회전은 실질적으로 지면에 대해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는 좌우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연장 코크부도 좌우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연장 코크부를 특정 좌우 회전 위치로 이동시킨 후, 위치 고정을 위해 연장 코크부에 힘을 가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 정수가 출수되는 위치가 고정되는 메인 코크를 더 포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급받고자 하는 정수의 양이나 용기에 따라 메인 코크와 연장 코크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메인 코크 상부에서 상기 메인 코크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좌우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코크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메인 코크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메인 코크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상기 회전부재 그리고 연장 코크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메인 코크 고정부 그리고 메인 코크를 중심으로 좌우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코크와 회전부재를 실질적으로 캐비닛의 좌우 중심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연장 코크부의 기능 및 사용방법을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연장 코크부는, 코크 핸들; 상기 코크 핸들 일측에 구비되어 출수가 수행되는 연장 코크; 그리고 상기 코크 핸들 타측에서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 코크부는 상기 연장 코크를 통해 출수가 수행되도록 조작하는 출수 버튼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상기 연장 코크부를 통해 출수되는 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출수 위치가 고정되는 메인 코크와 상기 출수 버튼과는 별개로 상기 메인 코크를 통해 출수가 수행되도록 조작하는 출수 레버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메인 코크 출수와 연장 코크부 출수 방법에 대해 혼동하지 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연장 코크부의 좌우 회전 상태와 무관하게, 상기 코크 핸들이 항상 상기 캐비닛 전면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코크 핸들을 항상 용이하게 잡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연장 코크부의 좌우 회전 및/또는 상하 회전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원수로부터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 출수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메인 코크; 상기 메인 코크로부터 출수가 수행되도록 조작하는 출수 레버; 좌우 그리고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출수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연장 코크부; 그리고 상기 출수 레버와 개별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연장 코크부를 통해 출수가 수행되도록 조작하는 출수 버튼을 포함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 원수로부터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 상기 캐비닛에 출수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메인 코크; 상기 메인 코크로부터 출수가 수행되도록 조작하는 출수 레버; 상기 캐비닛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와 일체로 좌우 회전 가능한 연장 코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 코크부는, 사용자가 상기 연장 코크부의 좌우 회전을 위해 조작하도록 구비되는 코크 핸들; 상기 코크 핸들 일측에 구비되어 출수가 수행되는 연장 코크; 상기 코크 핸들 타측에서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코크 핸들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 코크를 통해 출수가 수행되도록 조작하는 출수 버튼을 포함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장 코크부는 상기 회전부재와 독립적으로 상하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즉, 회전부재에 대해서 상기 연장 코크부가 상대적으로 상하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연장 코크부는. 상기 회전부재와 일체로 좌우 회전하는 반면, 상기 회전부재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 회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은 한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용기에 탄력적이고 용이하게 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디스펜서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출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종래의 코크 구조와 출수 레버와 함께 출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연장 코크와 출수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많은 양의 정수를 출수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출수 위치를 상하로 가변시킬 수 있는 연장 코크부를 통해 많은 양의 정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평상 시 또는 미사용시 외부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출수 위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연장 코크부를 갖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사용시에는 최대한 캐비닛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연장 코크부를 갖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수기의 배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배관 구성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코크와 연장 코크부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회전부재와 연장 코크부의 연결 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연장 코크부의 좌우 회전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회전부재와 연장 코크부에 대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연장 코크부의 좌우 회전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회전부재와 연장 코크부에 대한 사시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회전부재와 연장 코크부의 연결 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 그리고
도 12는 회전부재와 연장 코크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 특히 정수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는 필터를 통해 원수로부터 정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수를 코크를 통해 외부로 출수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음용수 공급장치를 정수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배관 구성에 대한 설명에서, 후단과 전단은 각각 유체의 순방향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과 하류측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10)이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10)의 전방에 출수가 수행되는 디스펜서(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20)는 캐비닛(110)의 전면(111)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111) 일부가 상기 디스펜서(12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20) 하부에는 트레이(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30) 상부 공간, 즉 상기 트레이(130)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투영되는 공간을 디스펜서(120)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130)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111)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00)는 마찬가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구성 및 조작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조작함으로써 출수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출수 모드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출수 모드는 출수되는 정수의 형태, 예를 들어 온수, 냉수 그리고 상온의 정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수와 냉수도 모두 상온의 정수를 가열하거나 냉각하여 생성되기 때문에, 이들 또한 정수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펜서(120) 공간을 정수기(100)의 전방으로 더욱 확장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디스펜서(120) 공간을 정수기(100)의 상부로 더욱 확장하거나 하부로 축소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출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캐비닛(110)의 전면(111)으로부터 출수 위치를 더욱 전방으로 가변할 수 있고, 상기 출수 위치를 상하로 가변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출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펜서(120) 공간을 정수기(100)의 전방으로 더욱 확장시키기 위한 연장 코크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 코크부(160)는 출수가 수행되는 연장 코크(16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110)에 대한 상기 연장 코크(161)의 상대적인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출수 위치를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연장 코크(161)의 상대적인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상기 캐비닛(110)에 대한 상기 연장 코크부(160)의 상대적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연장 코크부(160)의 위치 가변은 좌우 회전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좌우 회전이라 함은 실질적으로 지면에서 수직한 축(이하 편의상 'z'축이라 한다)을 기준으로 상기 연장 코크부(160)가 회전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연장 코크부(160)의 좌우 회전, 즉 z축 기준 회전을 위해, 회전부재(1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70)는 좌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부재(170)는 직접 또는 다른 구성들을 통해 상기 캐비닛(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부재(170)는 상기 캐비닛(110)에 대해서 좌우 회전 가능하되, 다른 방향으로의 이동이나 회전은 제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 코크부(160)는 상기 회전부재(170)와 일체로 좌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연장 코크부(160)의 좌우 회전이 상기 회전부재(170)의 좌우 회전으로 전환되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장 코크부(160)는 상기 회전부재(170)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 코크부(16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말단 위치에 연장 코크(161)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 코크부(160)의 연장 길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연장 코크(161)의 회전 반경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 코크(161)는 상기 회전부재(170)에 대해서 동일한 회전 반경을 갖도록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연장 코크부(160)의 연장 길이 또는 상기 연장 코크(161)의 좌우 회전 반경은 확장될 수 있는 디스펜서(120)의 전방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 코크부(160)의 연장 길이는 디스펜서(120)의 좌우 폭 또는 캐비닛(110)의 좌우 폭과 관련되어, 사용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장 코크부(160)의 연장 길이 또는 좌우 회전 반경이 클 수록, 디스펜서(120)의 영역은 전방으로 더욱 확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캐비닛(110)의 전면(111)으로부터 더욱 멀리 위치되는 용기로 출수가 가능하게 된다. 설명의 편의상 이러한 상태의 연장 코크부(160) 위치를 확장 상태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디스펜서 공간이 전방으로 최대한 확장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확장 상태에서는 상기 연장 코크부(160)가 캐비닛의 전방 방향(이하 설명의 편의상 'y'축 방향이라 한다)으로 연장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연장 길이 또는 좌우 회전 반경이 커짐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120) 좌우 폭 또는 캐비닛(110)의 좌우 폭을 벗어날 수 있다. 즉, 출수 위치가 캐비닛(110)의 전면(111)과 가장 가까운 상태에서, 상기 연장 코크부(160)의 말단이 디스펜서(120) 또는 캐비닛(110)의 좌우 폭을 벗어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러한 상태의 연장 코크부(160)의 위치를 초기 상태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연장 코크부(160)가 캐비닛의 좌우 방향(이하 설명의 편의상 'x'축 방향이라 한다)으로 연장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 코크부(160)의 연장 길이는, 상기 트레이(130)의 전후 폭보다는 길게 형성되되, 상기 디스펜서(120) 또는 캐비닛(110) 전면의 좌측 또는 우측 말단을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일정 길이 좌측 또는 우측 말단을 벗어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적어도 연장 코크부(160)의 초기 상태에서 상기 연장 코크(161)가 트레이(130)의 좌우 폭을 벗어나지 않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따른 정수기는 메인 코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코크(150)는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코크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즉, 기본적인 사용 형태인 컵을 통한 출수를 위해 마련된 코크일 수 있다.
상기 메인 코크(150)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즉, 메인 코크(150)를 통한 출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130)는 상기 메인 코크(150)의 직하부를 둘러싸는 영역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상기 메인 코크(150)로부터 발생되는 소량의 잔수는 항상 상기 트레이(130)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 코크(161)의 위치가 캐비닛(110)에 대해서 최전방이나 그 인근에 위치된 상태에서 출수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출수 후 상기 연장 코크(161)에서도 소량의 잔수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출수가 종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연장 코크부(160)를 회전시켜 초기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연장 코크부(160)가 초기 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상기 연장 코크(161)는 상기 트레이(130)의 직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상기 연장 코크(161)에서 발생되는 잔수가 최대한 상기 트레이(130)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확장 상태에서 출수가 끝나면 사용자는 연장 코크부(160)를 초기 상태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연장 코크부(16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연장 코크부(160)가 상향 회전된 상태에서 연장 코크부(160)를 초기 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장 코크(161)를 통해 발생되는 잔수가 트레이(130)를 벗어나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잔수로 인해 정수기(100)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장 코크(161)와 메인 코크(150)가 모두 구비되는 경우, 출수를 위해 조작하는 구성은 개별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코크(150)를 통해 출수하기 위한 출수 레버(155)와 별도로 상기 연장 코크(161)를 통해 출수하기 위한 출수 버튼(162)은 별도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코크(150)와 레버(155)는 도 1에 설명된 구성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연장 코크(161)의 출수를 위한 출수 버튼(162)은 상기 연장 코크부(160)에 별도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연장 코크부(160)는 상기 출수 버튼(162)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메인 코크(150)의 위치와 레버(155)의 위치는 캐비닛(110)에 대해서 고정된다고 할 수 있지만, 상기 연장 코크(161)와 출수 버튼(162)의 위치는 캐비닛(110)에 대해서 가변된다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관 구성 일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급수전(20)을 통해 정수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는 필터(30)를 거쳐 정수로 변환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30)는 원수를 정수한다. 상기 필터(30)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단일 필터들을 통해 필터(30)가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3개의 단일 필터가 직렬로 연결되어 필터(30)를 이루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30)는 프리 카본 필터(31), UF 필터(32) 그리고 포스트 카본 필터(3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세디멘트 필터와 같은 다른 형태의 필터가 추가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외부 급수전(20)과 상기 필터(30)의 전단 사이에는 정유량 밸브(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유량 밸브(21)를 통해 상기 외부 급수전(20)의 수압이 변동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원수의 양(유량)이 필터(30)로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
원수가 필터링되어 생성되는 정수는 정수배관(40), 정수공급밸브(42) 그리고 메인 코크(150)를 통해 외부로 출수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출수를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레버(155)의 조작이 필요하게 되며, 레버(155)의 조작으로 인해 정수공급밸브(42)가 개방되어 출수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수배관(40)은 정수공급밸브(42)의 오작동이 발생될 때, 항상 개방될 수 있다. 즉, 외부 급수전(20)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정수공급밸브(42)의 오작동이 발생되면, 정수가 지속적으로 코크(150)를 통해 출수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상기 필터(30)의 후단과 상기 정수공급밸브(42)의 전단 사이에는 정수밸브(4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수밸브(41)는 기본적으로 상기 메인 코크(150)를 통해 출수하기 위해서는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인 코크(150)를 통한 출수를 위해 항상 상기 정수밸브(41)가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인 코크(150)를 통해서 상온의 정수뿐만 아니라 냉수 또는 온수가 출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기는 기본적으로 정수를 생성하여 공급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만족을 위해 정수뿐만 아니라 냉수 또는 온수를 더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냉수 또는 온수는 기본적으로 상기 정수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즉, 냉수 또는 온수도 정수라고 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이 수행된 정수일 수 있다.
한편, 정수기는 정수를 이용하여 냉수 또는 온수만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정수배관(40) 중에서 분지점 C 후단의 배관 구성들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정수공급밸브(42)를 포함하는 분지점 C 후단의 배관 구성들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이 경우, 후술하는 냉수배관(50)과 온수배관(60)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수를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하고, 상기 냉수를 출수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정수를 통해 냉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냉수배관(5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수배관(50)은 상기 정수배관(4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수배관(50)은 상기 정수배관(40)으로부터 분지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냉수배관(50)은 정수배관(40)의 분지점 B로부터 분지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정수배관(40)으로부터 바이패스된 정수가 냉수배관(50)을 통해 흐르면서 냉수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냉수배관(50)은 냉수를 배출하는 코크 밸브에 이르기까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크 밸브는 냉수공급밸브(52)일 수 있으며, 상기 냉수공급밸브(52)의 후단에 별도로 구비되는 코크밸브(151)일 수 있다.
정수배관(40)으로부터 바이패스된 정수는 구체적으로 냉각유로(51)를 통과하면서 냉수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수배관(50)은 상기 냉각유로(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각유로(51)는 냉수조(55)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수조(55)에는 미도시된 칠러가 구비되어 냉수조 내부를 냉각하게 되며, 냉각된 냉수조 내부의 냉각유로(51)는 상기 칠러로 인해 냉각되게 된다. 따라서, 냉각유로(51) 내부의 정수는 냉수로 전환되게 된다.
한편, 급격한 냉각으로 인해 냉각유로(51)가 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냉수조 내부에는 냉각수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수가 채워진 냉수조 내부에 냉각유로(51)의 많은 부분이 잠겨 있게 된다.
상기 냉수조 내부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배관(8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수배관(80)을 통해 냉수 또는 정수가 냉각수로써 상기 냉수조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배관(80)에는 냉각수밸브(81)가 구비될 수 있으며, 냉각수가 필요한 경우 냉각수밸브(81)가 개방되어 냉각수가 냉수조(55)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정수를 냉각수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수배관(40)으로부터 냉각수배관(80)이 분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배관(40)의 분지점 C에서 상기 냉각수배관(80)이 분지될 수 있다. 상기 분지점 C는 상기 분지점 B의 전단 또는 후단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수조(55)는 냉각수의 과다 공급을 제한하기 위한 배수 유로(87)와 냉각수의 교체를 위한 배수유로(8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는 주기적으로 배수되고 주기적으로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유로(85)에는 배수밸브(86)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냉수를 출수하기 위해 레버를 누르면, 메인 코크(150)에서 냉수가 출수된다. 이러한 냉수 출수를 위해서, 정수밸브(41)와 냉수공급밸브(52)가 개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냉수가 출수된다. 따라서, 상기 냉수공급밸브(52)는 냉수배관(5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3에는 냉수와 정수가 단일 코크인 메인 코크(150)를 통해 배출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정수공급밸브(42)와 냉수공급밸브(52)의 후단에 메인 코크밸브(1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코크밸브(151)는 단일 코크밸브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일 코크밸브는 정수코크밸브 그리고 냉수코크밸브 두 개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코크밸브(151)는 분배배관(9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배관(90)은 정수배관(40) 그리고 냉수배관(50)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배배관(90)의 전단에 각각 냉수공급밸브(52)와 정수공급밸브(4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분배배관(90)의 후단에 메인 코크밸브(151)가 구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분배배관(90)은, 정수배관(40), 냉수배관(50) 그리고 온수배관(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배관들을 통해 출수되는 물이 분배배관(9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배배관(90)은 복수 개의 유입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출구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유입구와 유출구 각각이 밸브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분배배관(90)은 복수 개의 유입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출구를 갖는 단일 몸체의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분배배관(90)에 냉수 또는 정수가 공급될 수 있고, 단일 메인 코크밸브(151)를 통해 메인 코크(150)가 개방되면 냉수 또는 정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공급밸브(42)가 개방되고 단일 메인 코크밸브(151)가 개방되면, 단일 코크인 메인 코크(150)를 통해 정수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냉수공급밸브(52)가 개방되고 단일 메인 코크밸브(151)가 개방되면, 단일 메인 코크(150)를 통해 냉수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정수를 이용하여 온수를 생성하고,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온수 생성을 위한 가열장치(65)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배관(60)은 정수배관(40)의 분지점 A에서 분지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장치(65)의 전단에는 온수밸브(6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수밸브(61)는 정수배관(40)으로부터 온수 생성을 위한 정수를 상기 가열장치(65)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정수배관(40)으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는 가열장치(65)의 유입구를 통해 가열장치(65)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장치(65)에 구비되는 히터(67)를 통해 온수로 전환된다. 상기 온수는 가열장치(65)의 유출구(69)를 통해 온수공급밸브(62)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온수공급밸브(62)가 개방됨에 따라 온수가 외부로 출수될 수 있다. 물론, 단일 메인 코크(150)가 구비되는 경우, 온수 출수를 위해 상기 단일 메인 코크(150)도 개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 메인 코크(150)를 통해서, 정수, 온수 그리고 냉수가 선택적으로 출수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분배배관(9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분배배관(90)은 온수배관(60)과도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분배배관(90)으로 유입되는 정수, 온수 그리고 냉수 중 어느 하나가 단일 메인 코크밸브(151)를 통한 단일 메인 코크(150)의 개방으로 인해 외부로 출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통해서, 정수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냉수와 온수만 공급되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냉수와 정수만 공급되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통해서, 냉수, 온수 그리고 정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바람직할 수 있다. 왜냐하면, 다양한 사용자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단일 메인 코크(150)를 통해서 다양한 형태의 출수가 수행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코크를 통해서 온수, 냉수 그리고 상온의 정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출수될 수 있다. 아울러, 출수되는 정수의 온도에 따라 더욱 다양한 종류의 정수가 출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온의 정수 등도 출수될 수 있다. 이러한 출수 형태 즉 출수 모드는 전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의 조작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냉수 모드를 선택하고 레버(155)를 누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코크(150)를 통해서 냉수가 출수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메인 코크(150)를 통해 선택된 형태의 정수가 출수될 수 있다.
이러한 출수 모드의 선택은 메인 코크(150)뿐만 아니라 연장 코크(161)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서 출수 모드가 선택되고, 출수 버튼(162)을 누르면, 선택된 정수가 출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온수 모드를 선택하고 출수 버튼(162)을 누를 수 있다. 이 경우, 연장 코크(161)를 통해서 온수가 출수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선택된 출수 모드에 따라 연장 코크(161)를 통해 선택된 종류의 정수가 출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선택된 출수 모드는 메인 코크(150)와 연장 코크(161)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다양한 종류의 정수를 다양한 형태의 용기에 쉽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미도시되었지만, 전술한 정수공급밸브(42), 냉수공급밸브(52) 그리고 온수공급밸브(62) 각각은 적어도 두 개씩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정수공급밸브(42)가 두 개 구비되고, 하나는 메인 코크(150)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연장 코크(161)에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메인 코크(150)를 통해 출수 구조들과 동일한 구조들이 연장 코크(161)에도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 정수기 내부 구조가 매우 복잡해질 우려가 있다. 그리고, 정수기 제어가 매우 복잡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많은 양의 정수를 출수하는 경우 대부분 상온의 정수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연장 코크(161)를 통해서는 상온의 정수만 출수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도 3에는 연장 코크(161)를 통해서 상온의 정수만 공급될 수 있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온의 정수는 원수로부터 생성된 정수이며 별도의 장치를 통한 가열이나 냉각이 수행되지 않은 정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정수배관(40)으로부터 분지된 분지 정수배관(40b)을 통해 정수가 연장 코크(161)로 출수될 수 있다. 물론, 메인 코크(150)를 통한 정수 출수가 가능하기 위해, 또 다른 분지 정수배관(40a)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수배관(40)을 통해 유입되는 정수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연장 코크(161)로 출수되거나 메인 코크(150)로 출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코크(150)로 출수하기 위한 레버(155)와 연장 코크(161)로 출수하기 위한 출수 버튼(162)은 개별적으로 다른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아울러, 출수되는 메커니즘이나 출수량이 서로 상이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메인 코크(150)를 통해서는 레버(155)가 눌러지는 동안만 출수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정수 모드에서 사용자가 레버(155)를 누르는 동안만 메인 코크(150)를 통해 정수가 출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미도시된 제어부가 레버(155)의 작동이 유지되는 동안 정수공급밸브(42)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연장 코크(161)를 통해서는 출수 버튼(162)의 작동이 발생되면 정량의 정수가 연장 코크(161)를 통해 출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지 정수배관(40b)에는 유량계나 유량센서(43) 그리고 정수공급밸브(4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공급밸브(44) 후단이 연장 코크(161)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는 출수 버튼(162)의 조작이 발생되면 정수공급밸브(44)를 개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방은 유량센서(43)를 통해 기설정된 유량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유량 신호는 1리터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1리터의 정수가 공급되었음을 유량센서(43)를 통해 파악하고 상기 정수공급밸브(44)를 폐쇄할 수 있다.
한편, 유량계(43)를 생략하고 연장 코크(161) 출수 메커니즘과 메인 코크(150) 출수 매커니즘을 달리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메인 코크(150)를 통한 출수는 소량 출수를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155)가 작동하는 동안만 출수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연장 코크(161)를 통한 출수는 조리 용기나 큰 물병으로 출수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비교적 대용량의 출수를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출수 버튼(162)을 누르면 출수가 계속 진행되고 다시 출수 버튼(162)을 누르면 출수가 멈추도록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수 버튼(162)을 누르면 제어부는 정수공급밸브(44)를 개방할 수 있다. 정수공급밸브(44)가 개방된 상태에서 출수 버튼(162)을 누르면 제어부는 정수공급밸브(44)를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155)나 출수 버튼(162)을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작동시키는 수고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공급받고자 하는 양이 다양하게 가변되는 것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메인 코크(150)와 연장 코크(161)를 기본적으로 갖는 정수기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물론, 메인 코크(150)를 생략하고, 복수 개의 정수 종류를 공급하도록 연장 코크(161)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복수 개의 정수 종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배관 설명에서 분지는 배관이나 유로 자체의 분지일 수 있으며, 피팅(fitting)을 통한 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연장 코크부(160) 및 이의 회전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 전면(111) 또는 디스펜서(120)의 내부에 회전부재(17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회전부재(170)는 좌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캐비닛 전면(111) 또는 디스펜서(120)에 좌우 회전 가능한 연장 코크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 코크부(16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좌우 회전시킬 수 있는 코크 핸들(16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 코크부(160)는, 상기 회전부재(170)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통해 좌우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즉, 연장 코크부(160)와 회전부재(170)가 일체로 좌우 회전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재(170)를 캐비닛(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52, 17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70)는 상기 고정부(152, 175)를 통해 상기 캐비닛(110)에 대해서 좌우로 회전함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상기 회전부재(170)의 상하에 각각 고정부가 구비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170)는 고정부(175)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고정부(175)의 z축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회전부재(170)의 상부에는 회전 가이드(17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175)를 상기 회전 가이드(171)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그 반대인 것도 가능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170)를 고정하는 고정부는 상기 회전부재(170)의 상부에 구비된 고정부(175)와 하부에 구비된 고정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각각 상부 고정부(175)와 하부 고정부(152)라 할 수 있다. 이들과 상기 회전부재(170)의 연결 구조는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170)는 상기 상부 고정부(175)와 하부 고정부(152)의 z축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코크부(160)는 메인 코크(150) 상측에서 좌우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연장 코크부(160)는 상기 회전부재(170)에서 실질적으로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향은 x-y 축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극단적으로 연장 코크부(160)가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는 연장 코크부(160)의 좌우 회전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연장 코크부(160)의 위치는 상기 회전부재(170)의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부(152)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152) 예를 들어 하부 고정부(152)는 상기 회전부재(170)보다 수직 방향(z 축 방향)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고정부(152)는 메인 코크(150)를 고정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고정부(152)를 메인 코크 고정부(152)라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코크 고정부(152)는 내부에 코크 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코크 유로(153)가 메인 코크(150)와 연통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코크 고정부(152)는 상기 메인 코크(150)와 상기 코크 유로(153)를 캐비닛(11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코크 고정부(152)는 상기 회전부재(170)를 캐비닛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 또한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70) 내부에도 코크 유로(16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코크 유로(165)는 연장 코크부(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더욱 연장될 수 있다. 물론, 연장 코크부(160) 내부에도 유로가 형성되어, 이러한 유로가 상기 회전부재(170) 내부에서 상기 코크 유로(165)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 코크부(160)의 일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정수는 상기 연장 코크부(160)의 내부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된 후, 상기 연장 코크부(160)의 타측에 구비되는 연장 코크(161)를 통해 출수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부재(170)와 연장 코크부(160)는 좌우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연장 코크부(160)는 상하로 회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회전이 발생되면, 상기 회전부재(170) 내부에 구비되는 코크 유로(165)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치 변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코크 유로(165)는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코크 유로(165)의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의 위치가 가변되더라도, 이러한 플렉시블 성질로 인해 코크 유로(165)가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장 코크부(160)는, 구체적으로, 코크 핸들(163)과 연결부(1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164)는 상기 회전부재(170)와 상기 코크 핸들(163)을 연결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코크 핸들(163)은 상기 연결부(164)에서 더욱 연장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마련된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64)를 통해서, 상기 연장 코크부(160)는 캐비닛(110)이나 디스펜서(120)의 전방으로 노출되거나 돌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코크 핸들(163)이 캐비닛(110)이나 디스펜서(120)의 전방으로 노출되거나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코크 핸들(163)을 잡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용이하게 상기 연장 코크부(160)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크 핸들(163)에는 출수 버튼 (162)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코크 핸들(163)의 상면에 출수 버튼(162)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코크 핸들(163)의 회전 위치와 무관하게, 상기 출수 버튼(162)이 항상 사용자의 시야에 가시적으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사용자가 상기 코크 핸들(163)에 대한 회전 조작과 상기 출수 버튼(162) 조작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코크부(160)는 다양한 각도를 갖도록 좌우 회전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연장 코크부(160)는 A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 코크부의 초기 상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초기 상태에서는 연장 코크부가 최대한 캐비닛(110)이나 캐비닛 전면(111)에 최대한 밀착된 상태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코크 핸들이 상기 캐비닛 전면과 나란한 상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연장 코크부를 사용하지 않거나 메인 코크만을 사용하는 경우 외부와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초기 상태에서도 상기 연장 코크부(160)의 적어도 코크 핸들(163)은 캐비닛(110)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코크 핸들(163)을 용이하게 조작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연장 코크부(160)의 A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90도 회전하여 연장 코크부(160)를 B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B 위치는 연장 코크(161)가 최대한 캐비닛(110)의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코크 핸들(163)이 상기 캐비닛 전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위치라 할 수 있다. 이를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 코크부의 확장 상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반경이 큰 용기에 용이하게 출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A 위치와 B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연장 코크부(160)를 통한 출수도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B 위치가 상기 연장 코크부(160)의 최대 회전 위치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B 위치에서 더욱 회전될 수 있다. 즉, A 위치와 실질적으로 180도 각도 차이를 갖는 C 위치까지 연장 코크부(160)가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B 위치까지만 회전되는 경우, B 위치에서 C 위치 방향으로 상기 연장 코크부를 회전시키려는 외력이 발생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외력에 의해 연장 코크부(160)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 코크부(160)는 확장 상태에서도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C 위치도 연장 코크(161)가 최대한 캐비닛(110)이나 캐비닛 전면(111)에 밀착된 상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C 위치도 상기 연장 코크부(160)의 초기 상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연장 코크부(160)의 상하 회전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회전부재(170)의 상부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 코크부(160)는 좌우 회전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아울러, 상기 연장 코크부(160)는 상하 회전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장 코크부(160)의 상하 회전을 통해 연장 코크(161)를 통한 출수 위치가 상하로 가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용기의 높이에 용이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회전부재(170)에는 관통홀(17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72)을 통해서 상기 연장 코크부(160)가 상기 회전부재(170)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 코크부(160)의 연결부(164)를 통해서 상기 연장 코크부가 상기 관통홀(172)을 통해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164)의 일측은 상기 회전부재(170) 내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코크 핸들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164)는 상기 회전부재(170) 내부에서 상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홀(172)에서 상기 연결부(164)는 상하로 이동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64)의 상하 이동과 상기 관통홀(172) 사이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홀(172)은 상하로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통홀(172)의 상하 폭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164)는 상기 코크 핸들(163)에 비하여 외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왜냐하면, 상기 관통홀(172)의 상하 폭의 증가는 불필요하게 상기 회전부재(170) 높이를 키우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64)에는 상하 회전축(16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 회전축(166)은 상기 회전부재(17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66)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164)가 상하 회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연장 코크부(160) 전체가 상기 상하 회전축(166)을 기준으로 상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지면에 대해서 상기 연장 코크부(160)가 수평인 상태인 D에서 하방으로 최대한 회전시켜 F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D 상태에서 상방으로 최대한 회전시켜 E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연장 코크부(160)의 상하 회전 가능 각도는 상기 관통홀(172)의 상하 폭을 통해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상기 D상태에서 상기 연결부(164)와 관통홀(172) 상부와의 이격 거리와 관통홀 하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통해서 상기 연장 코크부(160)의 상하 회전 가능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이격 거리가 클 수록 상기 이격 거리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더욱 큰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관통홀(172)의 상하 폭의 크기에 한계가 있으므로, 상향 회전 제한 각도가 커지면 반대로 하향 회전 제한 각도가 작아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조리 용기의 일반적인 형상을 고려하여 하향 회전 제한 각도가 더욱 커지도록 상기 관통홀(172)의 위치와 상하 폭이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미도시된 토션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을 통해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연장 코크부(160)가 D 상태로 복귀되거나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수단은 상기 상하 회전축(166)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코크 핸들(163)을 조작하여 연장 코크(161)의 상하 위치를 변경하더라도, 사용자가 코크 핸들(163)을 놓게 되면, 상기 연장 코크(161)는 D 상태로 복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210)의 전면(211)에서 후방으로 만입되어 디스펜서(2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 전면(211)은 평면일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좌우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는 곡면일 수도 있다.
상기 디스펜서(220)의 하부에는 트레이(230)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정수기에서는 트레이(230)가 캐비닛(210)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도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240), 메인 코크(250), 출수 레버(255) 그리고 연장 코크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코크(250)와 출수 레버(255) 캐비닛(210)의 전면(211) 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연장 코크부(260)의 좌우 회전을 위한 회전부재(270)도 상기 캐비닛(210)의 전면(211)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후방으로 만입된 디스펜서 내에 상기 회전부재(2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재(270)의 위치와 연장 코크부(260)에 대한 사용자 접근성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연장 코크부(260)의 형상이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는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코크부(260) 보다 구체적으로는 코크 핸들(263)이 항상 캐비닛 전면(211) 전방으로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즉, 디스펜서(220) 전방 외측으로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디스펜서(220) 내측에 구비되는 회전부재(270)와 상기 코크 핸들(263) 사이에는 연결부(26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264)를 통해서 상기 코크 핸들(263)이 좌우 회전 위치와 무관하게 디스펜서(220) 전방 외측에 항상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회전부재(270)와 일체로 연장 코크부(260)가 좌우로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전부재(270), 코크 핸들(263), 출수 버튼(262), 연결부(264)의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64)는 상기 회전부재(270)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결부(164)와 상기 코크 핸들(263)은 일직선 상이 아닌 소정 각도를 갖게 된다.
상기 회전부재(270)의 내측에는 메인 코크 고정부(25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270)는 상기 메인 코크 고정부(252)의 z 축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을 통해 상기 연장 코크부(160)가 좌우로 회전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초기 상태인 A 위치에서 상기 코크 핸들(263)은 캐비닛 전면(211)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비닛 전면(211)과 나란하게 위치되거나 x 축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코크 핸들(263)을 잡고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코크 핸들(263)을 확장 상태인 B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B 위치에서 연장 코크(261)가 최대한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방으로 디스펜서 공간 확장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A 위치와 B 위치가 실질적으로 90도임이 바람직하다. 즉, 최대 회전 각도가 90도임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도 제한을 위한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재(270)는 고정부(275)를 통해 캐비닛(2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275)와 상기 회전부재(270) 사이에 회전 각도 제한을 위한 구조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회전부재 또는 상기 고정부(275)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회전부재(270)의 좌우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276)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276)에 대응되는 슬롯(27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76)는 상기 회전부재가 좌우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롯(273)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상기 슬롯(273) 양단에 이르러서 상기 스토퍼(276)는 더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도 9에는 회전부재(270)에 슬롯(273)이 형성되고 고정부(275)에 스토퍼(276)가 구비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270)는 메인 코크 고정부(252)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좌우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메인 코크 고정부(252)를 상기 디스펜서(220) 내에서 최대한 상측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연장 코크부(260) 또한 상하 회전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연장 코크부(260)의 연결부(264)는 관통홀(272)을 통해 상기 회전부재(270) 내부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264)는 상기 회전부재(270) 내부에서 상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재(270) 내부에서는 힌지 고정부(267)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 고정부(267)와 상기 연결부(264) 사이에는 힌지(266)가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힌지(266)는 상기 연결부(264)의 상하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회전부재(270) 내부에는 플렉시블한 내부 유로(265)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 유로(265)는 연결부(264)와 코크 핸들(263)을 거쳐 연장 코크(261)로 이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272)의 상하 폭은 상기 연장 코크부(260)의 상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장 상태에서 연장 코크부(260)는 출수 레버(2550)와 메인 코크(250)의 일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반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확장 상태에서 연장 코크부(160)는 출수 레버(155)와 메인 코크(150) 정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 상태에서도 연장 코크부(260)로부터 간섭을 받지않고 메인 코크를 통한 출수가 용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연장 코크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할 수 있다. 즉, 연장 코크부의 형상이나 구조 그리고 회전부재의 형상이나 구조가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 코크부(360)의 상하 회전을 위한 구조가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재(370)와 코크 핸들(363) 사이의 연결부(364)를 유니버셜 조인트 구조로 구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중공의 조인트(364a)는 볼 형상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볼 또는 원통의 중심을 기준으로 조인트(364a)가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조인트의 회전을 통해 연장 코크부(360)가 상하 회전할 수 있다. 물론, 볼 형상의 조인트는 회전축이 다양하게 형성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하나의 회전축을 갖도록 원통 형상의 조인트(364a)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조인트 수용부(364c)가 상기 회전부재(37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364a)는 조인트 연장부(364b)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연장부를 수용하는 연장부 수용부(364d)가 상기 코크 핸들(363)과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인트 수용부(364c), 조인트(364a), 조인트 연장부(364b), 연장부 수용부(364d) 그리고 코크 핸들(363)은 중공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플렉시블 유로(36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유로는 연장 코크(361)까지 연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회전부재(370))에 형성되는 관통홀(372)과 연결부(364) 사이의 상하 거리를 통해서 연장 코크부(360)의 상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각각의 실시예들에서 연장 코크부(160, 260, 360)는 좌우 회전이 가능하며, 출수 버튼(162, 262, 362)가 상기 연장 코크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연장 코크부를 통한 출수 위치 변경과 출수 버튼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회전부재의 회전 중심은 메인 코크를 고정하는 코크 고정부의 중심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시 말하면, 연장 코크부의 좌우 회전 중심은 코크 고정부의 중심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코크 고정부에 메인 코크가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코크 고정부는 실질적으로 캐비닛의 좌우 중심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 코크부의 좌우 회전 중심이 캐비닛의 좌우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재의 회전 중심과 코크 고정부 사이의 위치 관계로 인하여, 상기 연장 코크부와 메인 코크 사이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장 코크부는, 좌우 회전 각도와 무관하게, 실질적으로 캐비닛의 좌우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 코크부가 정수기 위부와 간섭되는 것이 현저히 방지될 수 있다.
100 : 정수기 110 : 캐비닛
120 : 디스펜서 130 : 트레이
14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50 : 메인 코크
155 : 출수 레버 160 : 연장 코크부
161 : 연장 코크 162 : 출수 버튼
170 : 회전부재

Claims (15)

  1. 캐비닛;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캐비닛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부; 및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에서 돌출된 형태로 연장되고,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의 중심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회전부재와 일체로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연장 코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 또는 상기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하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는 상기 회전부재의 일면 또는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서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 또는 상기 고정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스토퍼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중심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태의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연장 코크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되되, 상기 슬롯의 양단에서 걸림되어 상기 연장 코크부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코크부에는 정수가 출수되는 연장 코크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캐비닛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연장 코크까지의 거리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슬롯의 일단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 코크부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슬롯의 타단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 코크부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덮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슬롯의 일단에 걸림된 상태와,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슬롯의 타단에 걸림된 상태에서의 상기 연장 코크부가 이루는 각도는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내부에는 힌지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 고정부와 상기 연장 코크부 사이에는 상기 연장 코크부의 상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상기 연장 코크부의 회전 조작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 또는 상기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 또는 상기 고정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회전 가이드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으로부터 소정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는 출수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고, 선택된 출수 모드가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캐비닛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에서 돌출된 형태로 연장되고,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와 일체로 상기 캐비닛에 대하여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연장 코크부; 및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연장 코크부의 내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출수가 수행되는 상기 연장 코크부의 연장 코크까지 연장되는 내부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유로는 회전부재의 중심에서 수직하게 벤딩되고,
    상기 연장 코크부는,
    볼 형상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인트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재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서 연장되고, 정수가 출수되는 연장 코크를 구비하는 코크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로는,
    상기 회전부재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에서 수직하게 벤딩되어, 상기 연장 코크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코크부의 회전 조작시, 상기 제2부분은 상기 회전부재의 중심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로는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180126972A 2018-10-23 2018-10-23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88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972A KR101988264B1 (ko) 2018-10-23 2018-10-23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972A KR101988264B1 (ko) 2018-10-23 2018-10-23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756A Division KR102073271B1 (ko) 2017-09-12 2017-09-12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092A Division KR102077679B1 (ko) 2019-06-04 2019-06-04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579A true KR20180118579A (ko) 2018-10-31
KR101988264B1 KR101988264B1 (ko) 2019-06-12

Family

ID=64099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972A KR101988264B1 (ko) 2018-10-23 2018-10-23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2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805A (ko) * 2019-02-22 2020-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US11279610B2 (en) 2019-02-22 2022-03-22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US11549243B2 (en) 2019-02-22 2023-01-10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US11827540B2 (en) 2019-02-22 2023-11-28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450A (ja) * 1995-06-28 1997-01-14 Inax Corp 水栓における吐水管の回転規制構造
KR19980086014A (ko) * 1997-05-30 1998-12-05 윤종용 물분배기용 취수 구조
KR20090012892A (ko) * 2007-07-31 2009-02-04 주식회사 알카메디 음용수기의 취수코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450A (ja) * 1995-06-28 1997-01-14 Inax Corp 水栓における吐水管の回転規制構造
KR19980086014A (ko) * 1997-05-30 1998-12-05 윤종용 물분배기용 취수 구조
KR20090012892A (ko) * 2007-07-31 2009-02-04 주식회사 알카메디 음용수기의 취수코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805A (ko) * 2019-02-22 2020-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US11279610B2 (en) 2019-02-22 2022-03-22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US11549243B2 (en) 2019-02-22 2023-01-10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US11827540B2 (en) 2019-02-22 2023-11-28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US11866317B2 (en) 2019-02-22 2024-01-09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264B1 (ko)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732B1 (ko) 정수기
KR101988264B1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422005B1 (ko)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9200714B2 (en) Valve
TWI629961B (zh) 用以沖泡飲料的多種組件
US20210338526A1 (en) Combination emergency wash and faucet unit
EP3649298B1 (en) Integrated mixed tap water and conditioned water faucet assembly with pull out sprayer head
KR101634192B1 (ko) 음용수 공급장치
EP3246475B1 (en) Water outlet device for dispensing filtered water and tap water
KR20030092871A (ko) 냉장고
KR101430495B1 (ko) 정수기
US20170363216A1 (en) Fluid Valve With Multiple Inlets And Outlet
KR20180045755A (ko)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US20220221212A1 (en) Free-standing ice or beverage dispensing appliance
JP2011510871A (ja) リザーバシステムおよび多岐水栓を有する水ディスペンサ
KR102186845B1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WO2000029769A2 (en) Water tap construction
KR101781881B1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90067141A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70106279A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23789B1 (ko) 정수기
US20070176023A1 (en) Spray device
KR20140130347A (ko)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KR101430496B1 (ko) 정수기
WO2022057577A1 (zh) 电器的单次饮料分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