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789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789B1
KR101623789B1 KR1020130077961A KR20130077961A KR101623789B1 KR 101623789 B1 KR101623789 B1 KR 101623789B1 KR 1020130077961 A KR1020130077961 A KR 1020130077961A KR 20130077961 A KR20130077961 A KR 20130077961A KR 101623789 B1 KR101623789 B1 KR 101623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ater
cabinet
dispense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671A (ko
Inventor
허정익
서정상
김유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7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789B1/ko
Publication of KR20150004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편의성 이 향상되고 제조가 용이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 원수에서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코크; 그리고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형성하여 힌지 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정수가 상기 힌지 유로를 통해 상기 코크로 공급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편의성 이 향상되고 제조가 용이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음용수 공급장치는 사용자가 마시는 음용수를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음용수 공급장치는 독자적인 장치일 수 있으며, 다른 장치의 일부를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정수기는 수도전이나 지하수원과 같은 급수전으로부터 유입되는 원수, 즉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아울러, 정수된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하여 냉수나 온수로 공급하는 장치 또한 정수기라 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는 다른 가전제품과는 독립적인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음용수 공급장치는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의 일부를 이룰 수도 있다. 즉, 냉장고 내부에서 정수장치를 통해 정수된 물이 음용수 공급장치를 통해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물론, 냉장고 내부에서 정수된 물이 냉각되거나 냉동되어 냉수나 얼음이 음용수 공급장치를 통해 외부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음용수 공급장치는 다른 장치와 독립성 여부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외부에서 음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다시 말하면, 음용수를 공급받는 공간인 디스펜서를 갖는 장치라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정수기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정수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청소기(10)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11)과 디스펜서(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디스펜서(12)는 사용자가 음용수를 공급받는 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디스펜서(12)는 캐비닛(11)의 전방에 형성된다. 물론, 캐비닛(11) 전방에서 만입되거나 함몰된 공간 형태로 이러한 디스펜서(12)가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캐비닛(10)의 전방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캐비닛(11)의 일부분이 상기 디스펜서(12)를 형성할 수 있다.
디스펜서(12)에는 음용수가 배출되는 코크(15)가 구비되며, 음용수 배출을 위해 조작하는 레버(1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레버(16)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코크(15)에서 음용수가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16)의 조작은 레버를 누르거나 당기는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컵(1) 상부가 코크(15) 하부에 위치되도록 컵(1)을 들고, 레버(16)에 컵(1)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컵(1)을 밀수 있다. 이러한 레버(16)의 조작에 따라, 코크(15)에서 음용수가 배출되어 컵(1)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컵(1)에 저장된 물을 마시고, 잔수를 트레이(13)에 버릴 수 있다. 물론, 코크(15)에서 떨어지는 소량의 잔수도 상기 트레이(13)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트레이(13)는 코크(15)의 직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디스펜서(12)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트레이(13)의 상부와 상기 코크(15) 사이의 공간을 디스펜서(12)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용수는 정수, 냉수 또는 온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물론, 다양한 형태의 음료일 수도 있다. 따라서, 배출되는 음용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4)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를 통해 냉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컵(1)을 코크(15) 아래에 위치시킨 후 레버(16)를 밀수 있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서, 코크(15)에서 냉수가 배출되어 컵(1)을 채우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음용수 공급장치는 레버(16) 조작과 같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음용수가 공급되도록 마련된다. 즉, 컵(1)과 같은 용기에 소량의 음용수를 공급받는 목적으로 많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음용수 공급장치에서는 물병이나 다양한 모양이나 크기를 갖는 조리기구에 직접 음용수를 공급받는 것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코크(12)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디스펜서(12)의 공간의 확장도 실질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냄비와 같은 조리기구에 많은 양의 정수를 공급받아 조리하는 경우, 사용자는 냄비를 직접 들고 레버(16)를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조리기구의 무게와 많은 양의 정수의 무게를 모두 감수하면 정수를 공급받는 것은 매우 불편한 일임이 자명할 것이다.
물론, 컵(1)과 같은 용기에 정수를 공급받고 조리기구에 비우는 동작을 여러 번 반복하여 많은 양의 정수를 조리기구 등에 채울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 또한 매우 불편한 일임이 자명할 것이다.
또한, 종래의 정수기와 같은 음용수 공급장치는 대량의 음용수, 특히 정수를 공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상업용 또는 업소용으로 정수기가 사용되는 경우 다량의 용기에 정수를 공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용기(예를 들어 물병)에 정수를 가득 채우는 동안 사용자가 출수 레버(16)를 지속적으로 눌러야 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용기에 정수를 채우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자가 모든 용기에 정수가 채워지는 동안 지속적으로 출수 레버(16)를 눌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출수가 진행되는 동안 사용자가 정수기에 집중해야 함을 의미하고, 다른 일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캐비닛에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에 출수를 위한 코크가 구비되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도어의 선택적인 개폐에 의해서 상기 코크를 통한 출수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기능이 부가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회전 가능한 도어에 구비되는 코크를 통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음용수가 공급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도어의 회전 구조와 도어 내부로 음용수를 공급하는 유로를 복합적으로 구현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신뢰성이 증진된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용기 그리고 높이가 다양한 용기에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일반적인 음용수뿐만 아니라 얼음이나 음료 등을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의 실시예를 통해, 무거운 용기를 사용자가 들지 않고 한 손만으로 코크의 위치를 조절함과 동시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음용수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정수를 복수 개의 용기에 동시에 공급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코크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복수 개의 코크 위치를 독립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 원수에서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코크; 그리고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형성하여 힌지 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정수가 상기 힌지 유로를 통해 상기 코크로 공급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유로는 단일 몸체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 유로는 전체가 상기 도어의 회전과 무관하게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 이동과 병진 이동이 제한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힌지 유로는 캐비닛에 고정된 상태이며, 상기 도어가 상기 힌지 유로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힌지 유로 내부에 구비되는 유로는 상기 도어의 회전과 무관하게 항상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유로는 상기 캐비닛 측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상기 도어 측에 형성되는 유출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통해 배관, 튜브 또는 피팅들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유로 내부에는 서로 독립적인 유로가 복수 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유로 각각에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나의 힌지 유로를 통해 서로 다른 종류의 정수가 유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수와 냉수가 독립적으로 상기 힌지 유로를 통해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온수와 냉수의 독립적 유동을 위해 별개의 힌지 유로가 필요하지 않고 단일 힌지 유로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힌지 유로는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캐비닛 측 바디와 상기 유출구가 형성되는 도어 측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닛 측 바디와 상기 도어 측 바디 사이의 각도는 수직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는 상기 캐비닛 측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는 상기 도어 측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돌출 길이를 통해, 피팅의 장착 길이가 확보될 수 있어 유로 연결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상기 도어는, 전방 도어 패널과 후방 도어 패널과 후방 도어 패널이 결합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 내에 상기 힌지 유로와 상기 코크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도어 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도어 유로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정수가 유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온수가 냉수나 상온의 정수와 독립적으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어 측 바디는 상기 내부 공간 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측 바디에는, 상기 도어의 측면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직선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직선부 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유로 사이의 간격이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어의 회전축이 필요 이상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도어의 전후 폭의 두께가 커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도어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 유로의 급격한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어 유로는 상기 유출구와 연결된 후 상기 유출구의 길이 방향과 일직선이 되도록 소정 길이 연장되는 직선 유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어가 90도 회전하는 경우, 상기 직선 유로부에서 90도 회전을 흡수한다. 즉, 직선 유로부에서 90도 비틀림으로써 도어의 회전을 흡수한다. 아울러, 상기 직선 유로부는 플렉시블 유로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로의 재질과 충분한 직선 거리가 확보되기 때문에, 도어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정수가 도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힌지 유로는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타측에는 댐핑 힌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핑 힌지를 통해 도어의 개폐가 급격히 수행되어 도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힌지 유로를 통해 복수 개의 유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댐핑 힌지의 추가가 매우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코크는 도어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전면에 외부 디스펜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개폐에 의해 상기 내부 디스펜서가 선택적으로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디스펜서는 상기 외부 디스펜서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디스펜서일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디스펜서를 통해서도 정수 등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내부 디스펜서는 출수가 아닌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 디스펜서에는 필터 구성들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를 개방함으로써 필터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도어는, 상기 외부 디스펜서 사용을 위해서 닫혀있고, 상기 내부 디스펜서 사용을 위해서 열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코크는 정수, 온수 그리고 냉수 중 적어도 2가지 이상이 출수되는 단일 코크임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원수를 정수하는 필터;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전방에 출수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디스펜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캐비닛 외부로 노출되는 출수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디스펜서; 그리고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형성하여 힌지 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정수가 상기 힌지 유로를 통해 상기 외부 디스펜서를 통해 출수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유로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타측에는 댐핑 힌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는 복수 개 형성되며, 외부 디스펜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정수를 출수하는 단일 코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는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 유로 그리고 상기 온수 유로와는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정수와 냉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냉/정수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유로는 단일 몸체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 유로의 전체가 상기 도어의 회전과 무관하게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 이동과 병진 이동이 제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캐비닛에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에 출수를 위한 코크가 구비되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도어의 선택적인 개폐에 의해서 상기 코크를 통한 출수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기능이 부가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회전 가능한 도어에 구비되는 코크를 통해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음용수가 공급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도어의 회전 구조와 도어 내부로 음용수를 공급하는 유로를 복합적으로 구현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신뢰성이 증진된 정수기를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용기 그리고 높이가 다양한 용기에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일반적인 음용수뿐만 아니라 얼음이나 음료 등을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의 실시예를 통해, 무거운 용기를 사용자가 들지 않고 한 손만으로 코크의 위치를 조절함과 동시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한 정수기를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음용수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정수를 복수 개의 용기에 동시에 공급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정수기를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코크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복수 개의 코크 위치를 독립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수기의 내부 디스펜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내부 디스펜서를 이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내부 디스펜서에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용기에 동시에 출수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도어와 캐비닛 사이의 연결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분행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힌지 유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힌지 유로에서 캐비닛 측 바디의 길이 방향 횡단면도;
도 9은 도 3에 도시된 코크부 또는 코크 모듈 일부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코크부의 지지구조의 배면 사시도;
도 11은 스토퍼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12는 코크부 내부와 유로 연결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와 캐비닛 사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수기, 즉 수돗물과 같은 원수를 정수하여 음용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와 관련된 것이다. 음용수는 온수, 냉수 또는 상온의 정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수기들은 정수를 이용하여 커피 등과 같은 음료를 공급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아울러 정수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의 외부 구조나 형상은 종래의 정수기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정수기(100)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 전방에서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디스펜서(20),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20)의 하부에 위치되는 트레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트레이(30)는 컵이나 물병을 받치는 한편 잔수를 받기 위한 저장 공간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펜서(20)는 출수가 수행되는 공간 또는 출수되는 음용수를 공급받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0)는 조작부(22)와 코크(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디스펜서(20)에 조작부(22)와 코크(21)가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22)를 가압하면 코크(21)를 통해 음용수가 공급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디스펜서(20)와 트레이(30)는 캐비닛 외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와 트레이를 각각 외부 디스펜서(20)와 외부 트레이(30)이라 칭할 수 있을 것이다.
정수기(100)는 일반적으로 외부 디스펜서(20)로 컵이나 물병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캐비닛 내측으로 만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캐비닛 전방에서 내측으로 만입되는 만입부(40a)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만입부(40a)의 하부에 상기 외부 트레이(30)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코크(21)로부터 상기 외부 트레이(30)에 이르는 공간이 상기 만입부(40a)를 통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만입부(40a)를 통해 잔수가 캐비닛(100)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컵이나 물병을 위치시켜 상기 조작부(22)를 직접 조작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따라서, 캐비닛(100) 전면에 형성되는 만입부(40a)는 일반적인 구조라 할 수 있고, 만입부(40a)를 통해 디스펜서(20)가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조작부(22)의 일례로 작동 레버가 도시되어 있으며, 작동 레버뿐만 아니라 작동 스위치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작동 레버를 작동시키면 출수가 수행된다. 따라서, 작동 레버를 출수 레버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구비되는 도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40)는 상기 외부 디스펜서(20) 그리고 외부 트레이(30)와 함께 외부 디스펜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40)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외부 디스펜서(20)의 적어도 일부분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도어(40)의 전면에 코크(21)와 조작부(22)가 구비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도어(40)의 전면에 만입부(40a)가 형성되어, 상기 만입부(40a)를 통해 캐비닛(10) 외부에서 외부 디스펜서(2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40)는 상기 외부 트레이(3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트레이(30)는 캐비닛(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40)가 자유롭게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40)의 후방에는 내부 디스펜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 내부에는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이 구비된다. 이러한 공간(50a)을 캐비닛(10) 외부와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4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내부 디스펜서(50) 또는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이 캐비닛(10) 외부로부터 격리되고, 상기 도어(40)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가 캐비닛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캐비닛(10) 외부로 노출된다는 것은, 공간적인 위치로서의 캐비닛(10) 외부가 아닌,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캐비닛 외부에서 상기 공간(50a)으로 컵, 물병 그리고 사용자의 손 등이 용이하게 출입 가능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내부 디스펜서(50)가 캐비닛(10)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내부 디스펜서(5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가 열림에 따라 상기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이 캐비닛(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도어(40)가 완전히 열리면, 상기 내부 디스펜서(50) 또는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이 최대의 면적으로 노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에는 내부 디스펜서(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디스펜서(50)도 상기 외부 디스펜서(20)와 마찬가지로 음용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가 열리면 상기 도어(40)는 상기 외부 트레이(30)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트레이(30)가 더 이상 트레이 기능을 할 수 없다. 즉, 내부 디스펜서(50)를 사용할 때 상기 외부 트레이(30)가 더 이상 트레이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트레이 기능이라 함은 잔수를 받는 것을 의미하고, 이를 통해서 잔수가 캐비닛(1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트레이 기능은 컵이나 물병을 받치는 테이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내부 디스펜서(50)를 사용할 때, 상기 도어(40)가 트레이로서의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회동 가능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을 외부로 노출시킨다는 점에서는 도어(40)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디스펜서(50) 사용시, 잔수를 받고 컵이나 물병을 지지한다는 점에서는 내부 트레이(60)라 할 수 있다.
컵이나 물병을 지지하는 트레이 기능을 전제로 하면, 트레이는 실질적으로 지면과 수평인 상태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어(40) 관점에서, 도 2에 도시된 도어(40)의 위치(도어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할 것이다. 그리고, 내부 트레이(60) 관점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내부 트레이(60)의 위치(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20)가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면 접근이 매우 자유롭기 때문에 편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로 인해 디스펜서(20)가 쉽게 외부 오염물에 노출될 가능성이 클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50)가 도어(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면, 디스펜서(50)가 외부 오염물에 노출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왜냐하면, 디스펜서(5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도어(40)를 닫아 상기 디스펜서(50)를 외부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내부 디스펜서(50)를 많이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도어(40)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 큰 제약이 없을 것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외부 디스펜서(20)나 외부 트레이(30)는 생략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도어(40)의 전면에 디스펜서(20) 구조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40)의 전면은 장식 패널이나 별도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정수기로서의 기능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도어(40)를 열어,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디스펜서(50), 즉 내부 디스펜서(50)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디스펜서의 기능을 살펴볼 때,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내부 디스펜서(50)와 외부 디스펜서(20)를 동시에 갖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아울러, 외부 디스펜서(50)의 구조 또는 출수 메커니즘과 동일한 내부 디스펜서(50)를 중복되도록 제공할 필요성은 낮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디스펜서(50)와 외부 디스펜서(20)가 구비되며, 양자 간에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 구조 그리고 출수 메커니즘이 서로 다르도록 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스펜서(20)는 일반적인 정수기와 마찬가지로 컵으로 음용수를 공급하도록 하고, 내부 디스펜서(50)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음용수가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디스펜서(20)는 수동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내부 디스펜서(20)는 기설정된 양의 음용수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내부 디스펜서(2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스펜서(20)와는 달리, 내부 디스펜서(50)는 얼음이나 커피 등과 같은 음료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외부 디스펜서(20)와는 달리, 내부 디스펜서(50)는 다양한 용량과 높이 그리고 형상을 갖는 물병으로 음용수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디스펜서(50)는 복수 개의 코크가 구비되어 복수 개의 용기에 동시에 출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정수가 동시에 복수 개의 코크에서 출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디스펜서 특히 내부 디스펜서(5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물론, 이러한 디스펜서(50)는 항상 캐비닛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펜서일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40)가 열리면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이 캐비닛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에는 음용수나 음료, 또는 얼음을 공급하기 위한 디스펜서(50)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도어(40)의 후면은 상기 디스펜서(50) 사용 시 트레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40)가 열리면 내부 디스펜서(50)와 내부 디스펜서 트레이(60)가 함께 캐비닛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도어(40)의 면적은 상기 내부 디스펜서 트레이(60) 면적과 비례한다. 따라서, 상기 내부 디스펜서 트레이(60)는 전술한 외부 트레이(30)에 비해 큰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내부 디스펜서 트레이(60)를 다시 닫아, 캐비닛(10)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도어(40)가 완전히 열리면 내부 디스펜서 트레이(60)가 캐비닛(10) 전방으로 더욱 돌출되어 면적이 트레이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내부 디스펜서 트레이(60)에서 큰 물병들을 받친 상태에서 용이하게 물을 채울 수 있다. 그러므로, 내부 디스펜서(50)는 상대적으로 큰 물병이나 조리 용기에 많은 양의 물을 공급받기 위해 매우 적합한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디스펜서(50)는 코크부(100, 200, 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크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코크부는 복수 개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두 개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에는 코크부가 세 개인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코크부는 내부 디스펜서뿐만 아니라 전술한 외부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외부 디스펜서에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복수 개의 코크부는 그 구조와 형상이 모두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코크부의 세부 구성들은 모두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코크부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코크부(100)는 코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코크(140)를 통해서 음용수나 음료가 공급된다. 코크가 세 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코크를 제1코크(140), 제2코크(240) 그리고 제3코크(340)라 할 수 있다.
여기서, 다양한 크기의 물병에 원활히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코크(140)의 위치는 가변됨이 바람직하다. 즉, 코크(140)의 위치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코크(140)의 위치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크의 상하 이동으로 인해 상기 코크(140)와 내부 트레이(60) 사이의 상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는 높이가 낮은 물병이나 높이가 높은 물병에도 원활히 물이 공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코크의 전후 이동으로 인해 코크(140)와 디스펜서(50) 사이의 전후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외경을 갖는 용기에도 원활히 물이 공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코크(140)는 중심에서 회전함에 따라 전후 위치나 상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코크(140)는 중심에서 회전함에 따라 전후 위치와 상하 위치가 동시에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코크(140)의 회전 중심을 코크 헤더(110)라 할 수 있다. 상기 코크 헤더(110)와 상기 코크(140) 사이에는 코크 바디(12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코크 헤더(110)에서 연장된 파이프 형태를 코크 바디(120)라 할 수 있고, 상기 코크 바디(120)의 말단 부분에 코크(140)가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코크 헤더(110)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코크 바디(120)는 상기 코크 헤더(110)에서 분지된 형태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코크 헤더(1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코크 바디(120)가 코크 헤더(11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코크 헤더(110) 회전 또는 코크 바디(12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코크(140)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코크(140)의 위치를 용이하게 가변시키기 위해 손잡이(13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130)를 잡고 상기 코크 헤더(110)를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130)는 상기 코크 바디(1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30)를 잡고 코크 바디(120)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면서, 결과적으로 상기 코크(14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위치 변경에도 불구하고, 상기 코크 헤더(110)는 회전 가능하지만 병진 이동은 불가능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130)는 상기 코크 바디(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손잡이(130)와 상기 코크 바디(120) 사이에는 손잡이 형상에 대응되는 원호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130)는 상기 코크 바디(12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원호 형태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그립(grip)감을 좋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는 일단이 상기 코크 바디(120)를 감싸면서 상기 코크 헤더(11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코크 바디(120)를 코팅한 형태로 상기 코크 헤더(11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코크 바디(120) 또는 상기 손잡이(130)에 출수 버튼(135)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전면(130)에 노출되는 손잡이(130) 상에 출수 버튼(1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수 버튼(135)의 전면은 멤브레인(membrane) 시트(sheet)로 방수처리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젖은 손으로 상기 출수 버튼(135)을 누르더라도, 수분이 상기 출수 버튼(135)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코크부는 상기 코크 헤더, 코크 바디 그리고 코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크부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코크 헤더 지지부를 통해서 복수 개의 코크부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각각의 코크부에 각각각 출수 버튼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130)를 통해 용이하게 코크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잡이를 통해 코크의 위치를 조절함과 동시에 출수 버튼(135)을 눌러 출수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한 손만을 사용하여 코크의 조절과 출수 버튼 조작을 동시에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복수 개의 코크부(100, 200, 300)는 서로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코크부 사이의 회전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원위치(코크 바디(120)가 수직으로 놓인 위치)에서 어느 하나의 코크부만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코크부를 동일하게 회전시킬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각도가 각각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는 구체적으로, 높이가 다른 두 개의 물병에 각각 코크부의 위치를 달리하여 편리하게 물이 공급될 수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크(140)의 위치는 상기 디스펜서 공간(50a)에서 전방으로 더욱 돌출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코크(140)의 위치는 항상 상기 내부 디스펜서(60) 상에 위치된다. 아울러, 상기 디스펜서 공간(50a)은 전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그러므로, 코크(140)의 상하 위치 가변으로 인한 코크(140)의 전후 위치 가변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을 마치면, 상기 코크부들은 전술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고, 상기 도어(40)를 닫으면 캐비닛(10)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크부들(100, 200, 300) 각각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코크 헤더(110), 코크 바디(120) 그리고 코크(140)가 동일한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은 코크부들의 수를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게 한다. 즉, 두 개의 코크부, 세 개의 코크부 그리고 그 이상의 코크부들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코크부가 구비된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에는 코크(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메인 코크 또는 외부 코크라 할 수 있다. 상기 코크(21)를 통해 정수, 온수 그리고 냉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이 출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0)는 개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회전 가능한 도어(40)에 구비되는 코크(21)에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정수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코크(21)를 통해 정수뿐만 아니라 온수나 냉수도 출수될 수 있으므로, 복수 개의 유로를 통해 안정적인 다양한 종류의 음용수가 공급할 필요가 있다. 물론, 도어(40)의 안정적인 개폐 구조도 더불어 수행될 수 있음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가능한 도어의 회전축을 형성하고 동시에 음용수를 공급하는 유로 기능을 수행하는 힌지 유로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힌지 유로(15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도어(40)는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방 도어 패널(도 2에 만입부(40a)로 지칭된 패널)이 생략되고 후방 도어 패널(40b)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 내부에는 도어 유로(180)가 구비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 도어 패널과 후방 도어 패널(40b)가 서로 결합하여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도어(40)는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0)을 이루는 프레임(400)에 도어(4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40)와 캐비닛(10) 사이에는 힌지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회전축이 필요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와 캐비닛(10) 사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 유로(15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40)는 상기 힌지 유로(15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유로(150)는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유로(195)와 도어(40) 내부에 구비되는 도어 유로(180) 사이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캐비닛(10) 내부의 정수가 유로(195), 힌지 유로(150) 그리고 도어 유로(180)를 통해 코크(21)로 출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힌지 유로(15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힌지 유로(150)의 내부에 유로(151, 152)가 형성된다. 이러한 유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두 개의 내부 유로가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힌지 유로(150)는 단일 몸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전체가 하나의 강성을 갖는 구성임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힌지 유로(150)는 회전축 기능뿐만 아니라 유로 기능을 수행하므로, 힌지 유로(150) 전체가 항상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어의 회전과 무관하게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 이동과 병진 이동이 제한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힌지 유로(150)를 단일 몸체로 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 유로(150)는 캐비닛 측 바디(170)와 도어 측 바디(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양자가 서로 분리 가능한 구조임을 전제로 하는 것은 아니며, 설명의 편의상 구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측 바디(170)는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되는 부분이며, 캐비닛(10)에 고정되기 위하여 고정 브라켓(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153)에는 볼트 또는 나사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15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측 바디(170)에는 길이 방향으로 유입구(171, 17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힌지 유로(150)는 캐비닛 측에 구비되는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71, 172)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음용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 유로(150) 내부에도 복수 개의 유입구(171)에 대응되는 유로(151, 152)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측 바디(160)는 도어(40)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이며, 이를 통해 도어의 회전축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측 바디(160)에는 길이 방향으로 유출구(161, 16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힌지 유로(150)는 도어 측에 구비되는 유출구를 포하할 수 있다. 상기 유출구는 전술한 유입구와 대응되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171)를 통해 유입되는 음용수는 힌지 유로(150) 내의 유로(151)를 따라 유출구(161)로 흐르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힌지 유로(150) 내부에는 서로 독립적인 유로(151, 152)가 복수 개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복수 개의 유로에는 서로 독립적인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유로(150)의 안정적인 힌지 기능 수행을 위하여, 상기 캐비닛 측 바디(170)와 도어 측 바디(160) 사이의 각도는 실질적으로 수직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출구(161, 162)는 상기 도어 측 바디(16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고, 유입구(171, 172) 또한 상기 캐비닛 측 바디(17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도어 유로(180)과 캐비닛 내부 유로(195)가 각각 용이하게 상기 힌지 유로(150)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 유로(150)는 단일 몸체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출로 형성되는 두 개의 몸체를 서로 결합하여 단일 몸체를 이룰 수 있다. 도 7에는 힌지 유로(150)의 전방 일부 몸체가 힌지 유로(150)의 후방 몸체에 결합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결합부(155)를 통해 단일 몸체를 갖는 힌지 유로(1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55)는 열융착 또는 진동융착에 의해 형성되어, 두 개의 몸체를 하나의 몸체로 형성하게 된다.
도 8에는 상기 결합부(155) 형성 전 힌지 유로에 대해서 상기 캐비닛 측 바디(170)의 종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즉, 캐비닛 측 바디(170)의 길이 방향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두 개의 단일 몸체를 사출로 형성한 후, 상기 결합부(155)를 통해 단일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복잡한 형상의 힌지 유로(150)를 용이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유출구들 사이의 간격과 유입구들 사이의 간격은 이러한 유로 연결을 위해 충분히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힌지 유로(150) 내에서의 유로들 사이의 간격도 이에 대응될 수 있다. 그러나, 힌지 유로 내부의 유로들 사이의 간격이 크다는 것은 힌지 유로의 외형이 커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힌지 유로의 외형은 회전축의 외형이 지나치게 커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측 바디(160)에는 도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직선부(16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직선부(163) 내에서는 복수 개의 유로 사이의 간격이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른 부분에서의 간격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힌지 유로(150)가 안정적인 도어 회전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왜냐하면, 단면이 원형인 소정 길이를 갖는 직선부(163)가 도어(40) 내부로 관통되어 회전축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유로(150)의 고정 브라켓(153)은 캐비닛(10)에 고정되며, 직선부(163)는 도어 내부로 관통된다. 따라서, 상기 직선부(163)는 상기 고정 브라켓(153)으로 인해 도어의 회전과 무관하게 항상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직선부(163)에 대해서 상기 도어가 안정적으로 상대적인 회전을 하도록 회전 가이드(15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가이드(158)는 도어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직선부(163)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뒤틀리면서 회전하더라도, 상기 도어(40)가 상기 직선부(163)를 회전축으로 하여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후방 도어 패널(40b)에는 도어의 회전으로 인해 도어(40)와 힌지 유로(150)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피홀(4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가 닫혀있는 경우에는 힌지 유로(150) 특히 캐비닛 측 바디(170)가 상기 회피홀(4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도어(40)가 열리는 경우, 캐비닛 측 바디(170)는 상기 회피홀(41)에서 벗어나게 된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방 도어 패널은 상기 회피홀(41)을 덮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힌지 유로(150) 특히 캐비닛 측 바디(170)가 도어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국, 도어가 닫혀 있을 때, 상기 캐비닛 측 바디(170)의 일부분은 상기 도어(40)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어가 열릴 때, 상기 캐비닛 측 바디(170)는 상기 회피홀(41)을 통해 도어 내부로 빠져 나오게 된다. 따라서, 도어의 회전과 힌지 유로(150) 사이의 간섭이 회피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의 회전과 무관하게 힌지 유로(150)의 회전이나 병진 이동이 제한된다. 그러나, 도어의 회전은 필연적으로 도어 내부의 유로 또는 도어 유로(180)가 상기 힌지 유로(150)에 대한 회전을 유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회전이 상기 내부 유로(180) 자체에서 수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 유로(180)는 상기 유출구(161, 162)와 연결된 후 상기 유출구의 길이 방향과 일직선이 되도록 소정 길이 연장되는 직선 유로부(182, 186)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직선 유로부는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직선 유로부를 통해 상기 도어 유로(180)가 급격히 비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직선 유로부는 전체적으로 비틀리게 된다. 물론, 실질적으로 도어가 90도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직선 유로부는 전체적으로 90도 비틀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 직선 유로부가 충분한 길이를 갖기 때문에 특정 부분이 급격히 비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힌지 유로(150)와 코크(21) 사이의 도어 유로(180)가 도어의 회전으로 인해 꺽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음용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코크(21)는 하나의 단일 코크일 수 있다. 아울러,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음용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복수 개의 코크가 서로 다른 음용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음용수가 출수되기 위해서 상기 도어 유로(180)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유로(180)는 온수 유로(18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온수 유로(185)는 힌지 유로의 특정 유로(151)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유로(180)는 냉/정수 유로(18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냉/정수 유로(181)는 힌지 유로의 특정 유로(152)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온수는 냉수 또는 정수와 독립적으로 코크(21)를 통해 출수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코크(21)는 온수코크밸브(192)와 냉/정수코크밸브(191)과 연결될 수 있다. 온수코크밸브(192)가 작동하면 코크(21)에서 온수가 출수되며, 냉/정수코크밸브(191)가 작동하면 코크(21)에서 냉수 또는 정수가 출수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3)을 통해 사용자가 출수되는 음용수의 종류를 선택하여 출수 레버(22)를 누르면, 선택된 음용수가 코크(21)를 통해 출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힌지 유로(150)와는 별개로 댐핑 힌지(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유로(150)는 도어(4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댐핑 힌지(190)는 도어(4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댐핑 힌지(190) 또한 상기 도어(40)의 회전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도어는 상기 댐핑 힌지(190)와 힌지 유로(15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댐핑 힌지(190)는 내부에 유압 수단 등이 구비되어 급격한 회전에 대한 댐핑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도어(40)가 급격히 열리거나 급격히 닫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유로(150)는 내부에 복수 개의 유로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복수 개의 도어 유로(180)와 연통되기 위해서 하나의 힌지 유로(150)만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힌지 유로(150)와 별개로 댐핑 힌지(190)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도어의 개폐, 안정적이고 간편한 유로 연결 그리고 조립 용이성이 확보될 수 있다. 특히, 도어의 회전축 부분에서 유로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누수 가능성을 현저히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전술한 코크부 또는 코크 모듈의 구조, 코크 모듈 사이의 연결 관계, 그리고 코크 모듈의 지지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부(100)는 프레임(40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00)은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00)은 캐비닛(110)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코크부들은 하나의 프레임(400)을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이러한 프레임(400)을 통해서 복수 개의 코크부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부분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400)은 캐비닛(110)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유로가 상기 코크부(100)와 연결되도록 하는 매개체일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40)을 통해서 캐비닛(10) 내측의 유로(10f)가 상기 코크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복수 개의 코크부들이 하나의 프레임(400)을 통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코크부의 구조로 인하여 필요에 따라 코크부의 수를 더욱 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코크부 또는 코크 모듈(10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크부(100)는 코크 헤더(110), 코크 바디(120) 그리고 코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크 헤더(110)는 상기 프레임(400)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코크 바디(120)를 통해 음용수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캐비닛(10) 내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음용수를 상기 코크 바디(120)로 제공하기 위한 매개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코크 바디(120)는 상기 코크 헤더(110)를 통해서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에 지지된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코크 헤더(1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기 배선이 연결되는 매개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코크 바디(120) 특히 손잡이(130)에 출수 버튼(135)가 구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출수 버튼(135)의 조작에 의한 전기적 신호가 상기 코크 헤더(110)를 통해 캐비닛 내측에 구비되는 제어부로 전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코크 헤더(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코크 헤더 지지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크 헤더(110)는 상기 코크 헤더 지지부(112)를 통해 상기 프레임(4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크 헤더(110)는 일부가 상기 코크 헤더 지지부(112)를 통해 상기 프레임(4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코크 헤더(110)의 다른 일부는 상기 프레임(400)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코크 헤더(1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크 헤더(11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공간을 통해 유로나 전기 배선 등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코크 헤더(110)를 지지하는 코크 헤더 지지부(112)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크 헤더 지지부(112)는 상기 코크 헤더(110) 사이에 구비되어, 양측의 코크 헤더(110)가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코크 헤더 지지부(112)는 상기 프레임(4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크 헤더(110)와 코크 헤더 지지부(112)의 수는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즉, 코크 헤더(110)가 세 개인 경우 상기 코크 헤더 지지부(112)도 세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코크 헤더(110)와 코크 헤더 지지부(112)는 각각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부품 종류를 최소화하고 간단하고 용이한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별도의 회전축 구성들과 같은 복잡한 구조 없이도 용이하게 코크 헤더(110)가 프레임(4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 헤더(110)의 양측은 코크 헤더 지지부(112)를 통해 프레임(4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러나, 어느 하나의 코크 헤더(110)의 일측(최우측단)은 직접 프레임(4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코크 헤더 지지부(112)는 양측으로 각각 코크 헤더(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하나의 코크 헤더 지지부(112) 일측(최좌측단)은 코크 헤더(110)를 지지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코크 헤더 지지부(11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코크 헤더(1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크 헤더(110)의 내경은 상기 코크 헤더 지지부(112)의 외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코크 헤더(110)의 일측에는 상기 코크 헤더 지지부(112)가 삽입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코크 헤더(110)가 상기 코크 헤더 지지부(112)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회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코크 헤더 지지부(112)가 프레임(400)에 고정되므로, 상기 코크 헤더(110)가 상기 프레임(4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크 헤더(110)의 일측에 코크 헤더 샤프트(110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크 헤더 지지부(112)의 일측에는 상기 코크 헤더 샤프트(110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부(11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크 헤더 샤프트(110a)는 상기 코크 헤더(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샤프트 지지부(112a)는 상기 코크 헤더 지지부(1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크 헤더(110)가 상기 코크 헤더 지지부(1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코크 헤더 샤프트(110a)는 상기 샤프트 지지부(112a)의 반경 방향 외측 또는 내측에서 회전될 수 있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코크 헤더 지지부(112)에 대하여 양측의 코크 헤더(112)는 다른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일례로 코크 헤더 지지부(112)의 일측에서는 코크 헤더 지지부(112)의 원주면이 코크 헤더(112)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코크 헤더 지지부(112)의 타측에서는 코크 헤더 지지부(112a)의 샤프트 지지부(112a)를 통해 코크 헤더(112)가 지지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코크 헤더 샤프트(110a)는 코크 헤더(110)의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지지부(112a)는 코크 헤더 지지부(112)의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지지구조로 인해 별도의 구성이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크 헤더(110)의 좌우는 프레임(400) 또는 코크 헤더 지지부(112)로 인해 막혀있다. 그리고, 상기 코크 헤더(110)은 회전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코크 헤더(110) 내부로 유로를 연장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왜냐하면 회전 중심부를 통해 유로를 연장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게 되며, 아울러 정수기의 좌우 폭이 증가될 우려가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코크 헤더(110)에는 원주면의 일부가 절개된 유로 절개부(110c)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 절개부(110c)는 상기 코크 헤더(110)의 길이에 대해서 일부 길이만큼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절개 각도는 상기 코크 헤더(110)의 최대 허용 회전 각도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 절개부(110c)는 프레임(400)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코크 헤더(110)가 회전되더라도 프레임(400)의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유로 절개부(110c)를 통해 유로(10f)가 상기 코크 헤더(110) 내부로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코크 헤더(110)에는 상기 코크 바디(120)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홀(110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10f)는 상기 코크 바디(12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유로(10f)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연결홀(110b)을 통해 코크(140)로 출수될 수 있다. 상기 유로(10f)와 상기 코크 바디(120)의 연결을 위해 엘보와 같은 피팅이 개재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코크 헤더 지지부(112)는 회전과 병진이동이 제한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400)에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코크 헤더 지지부(112)에는 고정 브라켓(11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112b)은 상기 코크 헤더 지지부(112)의 원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브라켓(112b)은 상기 프레임(4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브라켓(112b)의 위치로 인해, 상기 코크 헤더(110)가 회전이 상기 고정 브라켓(112b)에 간섭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크 헤더(110)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112b)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브라켓 절개부(110d)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크 헤더의 원주면 일부가 절개된 형태로 상기 브라켓 절개부(110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절개부(110d)의 폭은 상기 브라켓(112b)의 폭에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 절개부(110d)의 절개 각도는 상기 코크 헤더(110)의 최대 허용 각도와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 절개부(110d)와 유로 절개부(110c)의 절개 각도는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양자의 절개 폭 또는 절개 길이는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유로 절개부(110c)의 절개 길이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유로 절개부(110c)를 통해 상기 코크 헤더(110) 내부에서 전술한 유로(10f)와 코크 바디(120) 사이의 연결이나 배선과 같은 작업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출수가 진행되는 동안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35)를 항상 잡고 상기 코크 헤더(110)의 회전 각도를 유지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35)를 놓았을 때, 상기 코크 헤더(110)가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토퍼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코크 헤더(110) 그리고 코크 헤더 지지부(112)와는 다른 구성을 추가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크 헤더(110)와 코크 헤더 지지부(112)를 통해 스토퍼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크 헤더 지지부(112)의 원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를 갖고 복수 개 형성되는 홈 또는 슬롯(112c)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 또는 슬롯에 대응되어 코크 헤더의 내주면에 돌기(110e)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크 헤더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돌기(110e)가 상기 슬롯(112c)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돌기(110e)는 탄성 변형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코크 헤더(11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돌기(110e)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홈 또는 슬롯(112c)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110e)가 상기 슬롯(112c)에 삽입되면 보다 큰 외력이 발생되어야만 상기 코크 헤더(110)가 회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돌기(110e)가 상기 슬롯(112c)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코크 헤더(11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110e)의 위치 그리고 상기 슬롯(112c)의 위치, 간격 및 개수를 통해 상기 코크 헤더(110)의 복수 개의 회전 멈춤 각도 및 회전 멈춤 위치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위치에서 코크의 위치가 가변된 후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돌기(110e)의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을 위해 상기 코크 헤더(110)의 원주면에는 탄성 절개부(110f)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절개부(110f)는 상기 홈 또는 슬롯(110e)의 주위 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절개부(110f)로 인해 상기 코크 헤더(110)의 원주면 중 일부(상기 돌기가 형성된 부분)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용이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에는 상기 디스펜서(50)에 대응되는 UI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UI(5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디스펜서(5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내부 디스펜서(50) 그리고 내부 디스펜서 트레이(60) 함께 선택적으로 캐비닛 내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디스펜서(50)가 사용될 경우에, 상기 내부 UI(54)가 캐비닛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디스펜서(50)는 물병과 같은 용기에 많은 양의 물을 공급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아울러, 복수 개의 코크부(100, 200, 300)를 통해 동시에 복수 개의 물병에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정수뿐만 아니라 온수나 냉수도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복수 개의 물병에 서로 다른 음용수를 동시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내부 디스펜서 UI(53)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내부 디스펜서 UI는 상기 내부 디스펜서(50)를 사용하기 위한 UI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는 각각의 코크부에 대해 개별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코크부(100)에 대해서 제1UI, 제2코크부(200)에 대해서는 제2UI 그리고 제3코크부(300)에 대해서는 제3UI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물론, UI의 위치는 대응되는 코크부의 상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부 디스펜서(50)는 공급되는 음용수의 양이 기설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각의 UI에는 용량 선택부(55b, 56b, 57b)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공급되는 음용수의 양을 기설정할 수 있다. 상기 용량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용량은 용량 표시부(55c, 56c, 57c)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3에는 선택 가능한 용량의 일례로 2.0, 1.5, 1.0 그리고 0.5리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용량 표시부(55c)를 누름에 따라 선택되는 용량이 순차적으로 변경되면, 이는 점등 밝기에 의해 사용자에게 명확히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업소용 정수기의 경우 한 번에 많은 물병에 물을 받아 놓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세 개의 코크부는 기본적으로 정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양의 온수를 받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왜냐하면 자동으로 많은 양의 온수가 공급되는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로 온수가 넘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2리터 용량의 물병에 1리터의 물이 차 있는데, 사용자가 부주의로 2리터의 온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 온수가 넘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양의 음용수를 공급하는 경우 온수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업소용 정수기의 경우 적당한 양의 냉수가 급히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코크부는 냉수와 정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에 위치하는 코크부(200)에 대응되는 UI(56)을 통해, 정수와 냉수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수 버튼(56a)과 냉수 버튼(56d)을 누름으로써 정수 또는 냉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정수기의 경우, 정수는 연속 공급이 가능하다. 그러나, 냉수의 경우 소정 온도를 갖는 냉수를 연속 공급하는 것이 어렵다. 왜냐하면 정수기의 기본 기능이 정수이지 냉각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현재의 냉수 용량이 어느 정도인지 사용자에게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UI(56)는 냉수용량 표시부(56e)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부 디스펜서를 통해서 얼음이나 커피 등과 같은 음료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를 이용하여 커피를 제조하는 장치가 캐비닛(10)에 구비될 수 있다. 기본적인 음용수 공급 기능은 외부 디스펜서를 이용할 수 있고, 얼음이나 음료 공급과 같은 특수한 기능은 상기 내부 디스펜서에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디스펜서(50)는 기설정된 양의 음용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정량 모드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얼음이나 음료를 공급하는 부가 모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정수기의 기본 기능이 아닌 얼음이나 음료 공급 기능이 부가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수동으로 조작되어 물이 공급되는 모드를 기본 모드라 할 때, 상기 정량 모드 또는 부가 모드는 특수 모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UI(54)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을 결정하고, 상기 코크부(100)에 구비된 출수 버튼(135)을 누르면 누르는 시간과는 무관하게 기설정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즉, 일단 가압이 발생되면 기설정된 양만큼의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병을 들고 물이 다 공급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다. 즉, 물이 공급되는 동안 다른 일을 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 개의 물병에 물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편리하다.
이하에서는, 도 14을 참조하여 도어의 닫힘과 열림 메커니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어(40)의 배면의 상부, 즉 내부 트레이(60)의 전방에는 후크(7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트레이(60)의 베이스(61)에 상기 후크(7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내부 트레이(60)의 베이스(61)는 상기 도어(4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61)의 배면으로부터 나사(71)를 관통시켜 상기 후크(7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후크와 대응하여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는 상기 후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0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크(70)가 상기 삽입홈(10b)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상기 도어(40)가 닫힌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70)가 상기 삽입홈(10b)에서 벗어나면, 상기 도어(40)가 열리게 된다.
상기, 삽입홈(10b)에는 상기 후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레치(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크(70)가 상기 삽입홈(10b)에 삽입된 후 상기 레치(72)와 걸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40)가 닫혀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도어(4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삽입홈(10b)과 레치(72) 사이에 결합은 해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10b)에 구비되는 탄성부재(74)로 인해 후크(70)를 순간적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상기 후크(70)는 상기 삽입홈(10b)을 벗어나 도어(40)가 열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40)의 열림과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부(7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 개폐 감지부(73)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40)와 캐비닛(20) 사이의 거리 여부에 따라 감지될 수 있고, 상기 후크(70)의 위치에 따라 감지될 수도 있다.
도 14에는 상기 후크(70)의 위치에 따라 도어 개폐가 감지되는 도어 개폐 감지부(73)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어가 닫히면 후크(70)는 삽입홈(10b)에 삽입된 후 고정된다. 이때, 상기 후크(70)는 삽입되면서 도어 개폐 감지부(73)를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크(70)를 통해 도어 개폐 감지부(73)가 후퇴되면 도어가 닫힌 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 반대로, 후크가 삽입홈(10b)를 벗어나면,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73)는 탄성부재(74)로 인해 전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73)가 전진한 상태를 도어가 열린 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도어 개폐 감지부(73)의 위치 변화는, 전후, 좌우, 상하, 회전 위치 등 다양한 위치 변화를 통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73)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가 닫히면 후크(70)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밀거나 누르게 되어 내부 디스펜서 기능을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가 열리면 후크(70)와 마이크로 스위치의 연결이 해제되어 외부 디스펜서 기능을 정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디스펜서 기능의 정지는 내부 디스펜서 UI(54)의 불활성화 그리고 출수 버튼(135)의 불활성화를 의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외부 디스펜서 기능의 정지는 외부 디스펜서 US(23)의 불활성화 그리고 레버(22)의 불활성화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열리면 레버(22)의 조작이 발생되더라도 출수가 수행되지 않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0)는 상기 도어(40)의 하부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되어 열릴 수 있다. 이러한 도어의 개폐 형태를 풀 다운(pull down) 형태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40)는 실질적으로 90도 회전하여 완전히 열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어(40)가 완전히 열리면 내부 트레이(60)가 실질적으로 지면에 대해서 수평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유닛(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수유닛(2)을 통해 원수로부터 정수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수유닛을 원수를 정수하는 필터 또는 필터 유닛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정수로부터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온수유닛(3)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정수로부터 냉수를 생성하기 위한 냉수유닛(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수유닛(3)에는 온수 통이나 히터 등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냉수유닛(4)에는 냉수 통이나 칠러 등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는 각종 밸브(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종 밸브(5)는 각종 유로 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 개폐 여부에 따라 공급되는 음용수의 종류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각종 밸브(5)의 개폐 여부에 따라 냉수 생성이나 온수 생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종 밸브(5)는 유량계나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이러한 각종 밸브(5)들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제어부(1)가 구비되어야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는 이러한 각종 밸브(5)들의 작동과 함께 상기 정수유닛(2), 온수유닛(3) 그리고 냉수유닛(4)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정수기는 UI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UI를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음용수의 종류나 공급량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는 이러한 UI를 통한 입력에 대응하여 전술한 각종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UI는 메인 UI(25)와 서브 UI(54)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서로 별개로 구비되는 디스펜서들 각각에 대해서 별도로 UI가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외부 디스펜서와 내부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메인 UI(25)는 외부 디스펜서 UI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UI(54) 내부 디스펜서 UI라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내부 디스펜서(50)는 도어(40)의 개폐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된다. 즉, 내부 디스펜서(5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외부 디스펜서(20)의 사용은 배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에 대응되어, 내부 디스펜서 UI를 사용하는 경우 외부 디스펜서 UI의 사용이 배제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는 도어개폐감지부(74)를 통해 감지된 도어 개폐 여부에 따라서, 상기 메인 UI(25)와 서브 UI(54)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도어(40)가 닫힌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는 상기 서브 UI(54)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상기 서브 UI(54)를 불활성화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어(40)가 열린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는 상기 메인 UI(25)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상기 메인 UI(25)를 불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는 상기 도어개폐감지부(74)를 통해 감지된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정수 유닛(2), 온수 유닛(3), 냉수 유닛(4) 그리고 각종 밸브(5)의 제어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메인 UI(25)를 통해서 냉수가 공급될 수 있는 상태 그리고 서브 UI(54)를 통해서는 냉수가 공급될 수 없는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냉수유닛(2)을 구동하고, 도어가 닫히면 냉수유닛(2)의 구동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외부 디스펜서(20)로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밸브를 모두 폐쇄하여, 외부 디스펜서(20)의 조작 여부와 무관하게 음용수가 외부 디스펜서(20)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는 도어개폐감지부(74)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전술한 각종 구성들을 달리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1)는 현재 전원이 인가된 UI 또는 활성화된 UI에 따라 전술한 각종 구성들을 달리 제어한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필요없는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예기치 못한 상태에서 음용수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개폐감지부(74)는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1)는 상기 도어개폐감지부(74)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도어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가 직접적으로 선택적인 전원 인가 및 차단 또는 제어신호 인가 및 차단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1)는 도어 개방 시 외부 디스펜서 기능 정지 및/또는 외부 디스펜서 UI의 불활성화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는 도어 폐쇄 시 내부 디스펜서 기능 정지 및/또는 내부 디스펜서 UI의 불활성화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는 알람장치(6)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설정된 용량의 음용수 공급이 종료되면, 이를 소리를 통해 알릴 수 있는 알람장치(6)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수버튼(135)를 누르고 자리를 비워도, 상기 알람장치(6)를 통해 음용수 공급이 완료됨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10 : 캐비닛 20 : 외부 디스펜서
21 : 코크(외부 코크) 22 : 출수 레버
30 : 외부 트레이 40 : 도어
50 : 내부 디스펜서 60 : 내부 트레이
70 : 도어 후크 80 : 메인 트레이
100 : 코크부(코크 모듈) 110 : 코크 헤더
112 : 코크 헤더 지지부 120 : 코크 바디
130 : 손잡이 135 : 출수 버튼
140 : 코크(내부 코크) 150 : 힌지 유로
180 : 도어 유로

Claims (22)

  1.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
    원수를 정수하는 필터;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코크; 그리고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힌지 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정수가 상기 힌지 유로를 통해 상기 코크로 공급되며,
    상기 힌지 유로는 상기 캐비닛 측에 형성되며 유입구가 형성되는 캐비닛 측 바디와 상기 도어 측에 형성되며 유출구가 형성되는 도어 측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유로는 단일 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 유로 전체가 상기 도어의 회전과 무관하게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 이동과 병진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며,
    상기 코크는 상기 도어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전면에 외부 디스펜서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개폐에 의해 상기 내부 디스펜서가 선택적으로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유로 내부에는 서로 독립적인 유로가 복수 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유로 각각에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측 바디와 상기 도어 측 바디 사이의 각도는 수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캐비닛 측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는 상기 도어 측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전방 도어 패널과 후방 도어 패널과 후방 도어 패널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기 내부 공간 내에 상기 힌지 유로와 상기 코크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도어 유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측 바디는 상기 내부 공간 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측 바디에는, 상기 도어의 측면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직선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 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유로 사이의 간격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 유로의 급격한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어 유로는 상기 유출구와 연결된 후 상기 유출구의 길이 방향과 일직선이 되도록 소정 길이 연장되는 직선 유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유로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타측에는 댐핑 힌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4. 삭제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외부 디스펜서 사용을 위해서 닫혀있고, 상기 내부 디스펜서 사용을 위해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크는 정수, 온수 그리고 냉수 중 적어도 2가지 이상이 출수되는 단일 코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8.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원수를 정수하는 필터;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전방에 출수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디스펜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캐비닛 외부로 노출되는 출수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디스펜서; 그리고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형성하여 힌지 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정수가 상기 힌지 유로를 통해 상기 외부 디스펜서를 통해 출수되는 정수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유로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타측에는 댐핑 힌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복수 개 형성되며, 외부 디스펜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정수를 출수하는 단일 코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 유로 그리고 상기 온수 유로와는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정수와 냉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냉/정수 유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2. 제 18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유로는 단일 몸체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 유로의 전체가 상기 도어의 회전과 무관하게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 이동과 병진 이동이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130077961A 2013-07-03 2013-07-03 정수기 KR101623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961A KR101623789B1 (ko) 2013-07-03 2013-07-03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961A KR101623789B1 (ko) 2013-07-03 2013-07-03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671A KR20150004671A (ko) 2015-01-13
KR101623789B1 true KR101623789B1 (ko) 2016-05-24

Family

ID=52476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961A KR101623789B1 (ko) 2013-07-03 2013-07-03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7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180A (ko) 2021-01-18 2022-07-27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테이블용 미니 정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594B1 (ko) * 2015-06-01 2022-11-07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사용자 의도를 인지하여 자동 원수 차단 기능을 가지는 직수형 정수기
KR102204490B1 (ko) * 2018-12-31 2021-01-18 김관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180A (ko) 2021-01-18 2022-07-27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테이블용 미니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671A (ko) 201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0495B1 (ko) 정수기
US6857541B1 (en) Drink supply canister for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US6896159B2 (en)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having fluid director
US7032779B2 (en) Refrigerator having a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with a drink supply canister holder
US7918368B2 (en) Refrigerator having a valve engagement mechanism operable to engage multiple valves of one end of a liquid container
KR101692732B1 (ko) 정수기
EP3695760B1 (en) Refrigerator
KR101623789B1 (ko) 정수기
KR20150134158A (ko) 음용수 공급장치
TWI646039B (zh) 飲料分配裝置
WO2003048027A2 (en)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KR101430496B1 (ko) 정수기
KR101654065B1 (ko) 정수기
KR101430494B1 (ko) 정수기
KR20190067141A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140566A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