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909Y1 - 차류 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 - Google Patents

차류 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909Y1
KR200271909Y1 KR2020020002255U KR20020002255U KR200271909Y1 KR 200271909 Y1 KR200271909 Y1 KR 200271909Y1 KR 2020020002255 U KR2020020002255 U KR 2020020002255U KR 20020002255 U KR20020002255 U KR 20020002255U KR 200271909 Y1 KR200271909 Y1 KR 200271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hot water
cup
tea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득
Original Assignee
박정환
이종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환, 이종득 filed Critical 박정환
Priority to KR2020020002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9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90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차류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차류가 포장되어 있는 티백이나 포장대 형태의 차류를 낱개씩 인출하여 별도로 준비된 컵에 넣고 냉온수기로부터 물을 취하여 음용이 가능하도록 한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온수기는 정수기를 갖는 형태이거나 식용 광천수 용기를 올려놓고 사용하는 형태의 냉온수기가 주종을 이루고 있었던바, 이들 모두 단순히 냉온수기로서만이 활용되고 있는 정도로서 차를 음용하기 위하여는 별도로 미리 각종 차류를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였다가 필요시에 이를 활용하도록 되어 있는 관계로 사용이 불편하고, 정리가 되어 있지 않아 냉온수기 주변이 지저분하게 되며 관리상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각종 차류를 보관하였다가 필요시 손쉽게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 차류공급부를 마련하되, 냉온수기를 이루는 기기의 내부에 일체로 설치하거나, 아니면 컵공급부를 함께 별도로 제작 외부에 설치하여 사용이나 유지보관 및 관리가 아주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차류 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Potable Hot and Cold Water Supply Device with Tea Bag Type of Teas and/or Coffees Supplier}
본 고안은 차류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차류가 포장되어 있는 티백이나 포장대 형태의 차류를 낱개씩 인출하여 별도로 준비된 컵에 넣고 냉온수기로부터 물을 취하여 음용이 가능하도록 한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온수기는 정수기를 갖는 형태이거나 생수를 이용한 형태가 주종을 이루고 있는데, 그 중 정수기를 갖는 형태는 수도관으로 유입되는 수돗물을 일단 정수기를 거치면서 정수시킨 상태에서 냉수기 또는 온수기를 거쳐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생수를 이용한 형태는 생수인 식용 광천수를 포장한 생수용기를 올려놓고 이 생수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생수를 냉수기 또는 온수기를 거쳐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형태의 기존 냉온수기는 모두 단순히 냉온수기로서만이 활용되고 있는 정도로서 가정, 사무실, 음식점 등에 있어서 각종 차나 커피류를 음용하기 위하여는 별도로 미리 각종 차류를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였다가 필요시에 이를 꺼내어 활용하도록 되어 있는 관계로 사용이 불편하고, 여러 사람이 사용하게 되면 그때 그때마다 정리가 되어 있지 않아 냉온수기 주변이 지저분하게 되며 관리상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자동판매기를 활용하는 것도 고려하여 볼 수 있겠으나, 이는 동전의 투입에 의하여만 작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적용상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관련된 기능상 부수적으로 뒤따르게 되는 유지 관리가 별도로 요하고, 더우기 그 설비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비영리적인 목적으로 활용되는 장소에서는 적합하지 아니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연구 개발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차류를 보관하였다가 필요시 손쉽게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 차류공급부를 마련하되, 냉온수기를 이루는 기기의 내부에 일체로 설치하거나, 별도로 제작하여 외부에 설치하거나, 아니면 필요에 따라 컵공급부를 함께 설치하여 사용이나 유지보관 및 관리가 아주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동시 별도의 외부 전원이 필요없이도 기계적으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고장이 발생할 요인을 사전에 배제시켜 반 영구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인 냉온수기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2는 도1의 요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3은 수납유니트의 내부에 내용물의 보충시 사용되는 적층체 형태의 포장대의 외관을 보여주는 일부 절결 사시도,
도4는 도3에 예시한 포장대를 이용하여 수납유니트의 내부에 보충한 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인 냉온수기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도5의 다른 변형례를 예시한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인 냉온수기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8은 도5에 예시한 컵배출기구의 작동관계를 예시한 확대 종단면도,
도9는 도8의 다른 변형례를 예시한 확대 종단면도,
도10은 도6에 에시한 컵배출기구의 작동관계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냉온수코크, 2:본체, 3:수납유니트, 30:수납공간, 32:배출구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수기를 내부에 갖추거나 외부에 생수통을 올려놓고, 외측엔 냉온수 코크를 각각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의 냉온수기에 있어서, 본체의 일측에 복수개의 수납유니트를 설치하되, 이들 복수개의 수납유니트는 내측에 수납공간을 갖추고 수납공간의 하부 일측엔 배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개의 수납유니트는 커버에 의하여 개폐가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냉온수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인 냉온수기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별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이들 모두 공통적으로, 정수기를 내부에 갖추거나 외부에 생수통을 올려놓고 사용하되 내부에서 냉,온수 상태로 보관한 후에 필요시 외측의 냉온수 코크(1,1)를 통하여 냉 온수를 배출시킬 수 있게 이루어지는 통상의 냉온수기에 있어서, 본체(2)의 일측에 복수개의 수납유니트(3)를 설치하되, 이들 복수개의 수납유니트(3)는 내측에 수납공간(30)을 갖추고 수납공간(30)의 하부 일측엔 배출구(32)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복수개의 수납유니트(3)는 커버(34)에 의하여 개폐가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전술한 복수개의 수납유니트(3)는 도1 및 도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2a)의 내측에 마련한 설치공간(20)에 각각 끼워 결합하되 전면부나 측면부에 각각 설치하거나, 도5 및 도6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케이싱(4)을 마련하고 그 케이싱(4)의 내측 설치공간(40)에 각각 끼워 결합하고, 이 케이싱(4)을 본체(2)의 일측에 부착하여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이때, 배출구(22)는 배출구(22)와 대응된 위치로서 상기 설치공간(20)(40)에도 각각 형성하되, 전방 부위에 위치한 모서리부를 개방된 상태로 구성하고 손가락중 엄지와 검지가 손쉽게 드나들 수 있도록 상,하부에 각각 위치한 요부(26,28)(36,38)를 각각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납유니트(3)에 채워지게 되는 내용물로서 홍차, 녹차, 커피 등의 차류나 설탕, 또는 프림, 스터러(Stirrer) 등은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체 형태로 포장대(5)를 미리 형성하고 그 일측 또는 양측에 절취 개봉부(50,50)를 각각 마련하여 준비하였다가 보충시엔 포장대(5)의 개봉부(50,50)를 뜯어내고 상기 수납유니트(3)의 내부 수납공간(30)에 적층된 상태로 그대로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2)의 다른 일측에는 컵배출기구(6)를 별도로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컵배출기구(6)의 경우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로 세워서 적층된 상태로 수용공간(62)의 내측에 보관하였다가 별도의 배출기구(60)에 의하여 낱개씩 배출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배출기구(60)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프레임(611)의 끝단부 내측으로서 가이드 케이스(612) 내측에 스프링(613)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노브(614)와, 상기 조절노브(614)의 선단 설치공(615)의 내측에 가동돌기부(616)의 일측이 끼워지고 다른 일측의 받침돌기부(617)는 가장 하부에 위치한 컵(7)의 외주연 돌출단부(7a)의 하부 일측을 받쳐주도록 구성되어 힌지부(618)를 중심으로 상기 조절노브(614)의 가압 작동에 따라 하향 각도 회전이 이루어지고 복귀스프링(619)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가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프레임(621)의 일측에 개공(622)을 형성하고 이 개공(622)의 내측에 조절노브(623)를 설치하되, 상기 조절노브(623)는 힌지부(624)가 브라켓(625)에 마련되고 별도로 마련된 브라켓(626)과의 사이에 복귀 스프링(627)이 설치되며, 상기 조절노브(623)의 선단엔 제1 및 제2걸림요부(628,629)를 각각 형성하여 조절노브(623)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평상시엔 가장 하부에 위치한 컵(7)의 외주연 돌출단부(7a)와 상기 제1걸림요부(628)가 서로 걸려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조절노브(623)가 올려지면 컵(7)은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꺼낼수 있게 되고 그와 동시에 제2걸림요부(629)에 걸려 있던 아래에서 두번째 컵(8)은 조절노브(623)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다시 제1걸림요부(629)의 내측으로 이동 낙하하고 다음의 조절노브(623)의 동작에 따라 배출될 수 있게 준비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6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을 내측 수용공간(62)에 거꾸로 적층한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게 구성하는 형태의 경우에는 하부로부터 스프링(633)에 의하여 들어올려지도록 가압체(632)를 하부에 설치하고, 개폐뚜껑(631)에 마련되는 상부의 배출구(634)에 인접되게 조절노브(635)를 설치하되, 상기 조절노브(635)는 힌지부(636)가 브라켓(637)에 마련되고 별도로 마련된 브라켓(638)과의 사이에 복귀 스프링(639)이 설치되며, 상기 조절노브(635)의 선단엔 제1 및 제2걸림요부(641,642)를 각각 형성하여 조절노브(635)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평상시엔 가장 상부에 위치한 컵(7)의 외주연 돌출단부(7a)와 상기 제1걸림요부(641)가 서로 걸려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조절노브(635)가 올려지면 컵(7)은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꺼낼수 있게 되고 그와 동시에 제2걸림요부(642)에 걸려 있던 위에서 두번째 컵(8)은 조절노브(614)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다시 제1걸림요부(641)의 내측으로 상승하고 다음에 조절노브(635)의 동작에 따라 배출 될 수 있게 준비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미설명 부호로서 9는 다용도 수납공간을 나타내고, 644는 컵의 일측 상부에서 위치를 균형있게 안정적으로 자리잡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우선, 냉온수기에 있어서 본체(2)의 내측이나 외측에 별도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납유니트(3)에 각각 위치한 내측 수납공간(30)엔 커버(34)를 열고 예를 들면, 녹차, 홍차, 둥글레차 등의 티백의 낱개 포장대, 커피, 설탕 등의 낱개 포장대, 스터러 등을 각각 구분하여 적층된 상태로 넣고 보관한다.
물론, 이때, 미리 적층된 상태로 포장대(5)를 구성한 경우에는 이들 포장대(5)의 절취부(50)를 뜯어내고 적층된 상태에서 그대로 수납공간(30)의 내측에 끼워 결합하면 되므로 보다 손쉽게 준비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수납공간(30)의 내부에 적층 상태로 위치한 각종 차류, 커피, 설탕, 스터러(Stirrer) 등은 그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것은 배출구(22,32)에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므로, 필요시엔 언제나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요부(26,28)(36,38)의 내측으로 일부가 노출되게 되어 이 노출된 부분을 잡고 하나씩 낱개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우기, 컵배출기구(6)를 마련한 경우에는 조절노브(614,623,635)를 사용하여 컵(7,8)을 배출시켜 사용하고, 배출된 컵(7,8)의 내측에 낱개로 포장된 각종 찰류 등의 외측 포장대를 절취하여 내용물인 각종 차류나 커피, 설탕 등을 넣고 온수코크(1)로부터 온수를 받아 필요시 스터러를 인출, 이용하여 저어 골고루 섞은 다음, 음용을 하면 된다.
즉, 홍차, 녹차, 둥글레차 등 별도의 첨가물이 필요하지 아니한 차류는 그자체 내용물만 인출한 컵(7,8)속에 넣고 온수코크(1)로부터 온수를 받아 일정시간 경과하여 온수에 차류가 우러난 후에 음용하면 되고, 커피 같은 경우에는 기호에 따라 커피 자체 내용물만 컵(7,8) 속에 넣거나 설탕 또는 프림등을 함께 내용물을 넣고 온수코크(1)로부터 온수를 받아 스터러을 이용하여 저어 골고루 섞은 다음에 음용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냉온수기에 의하면, 각종 차류를 보관하였다가 필요시 손쉽게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 차류 등의 공급부로서 각종 수납유니트(3)를 마련하되, 냉온수기를 이루는 기기의 내부에 설치하거나, 외부에 별도로 제작하여 설치하거나, 아니면 컵배출기구(6)를 함께 설치하여 미리 보관하고 필요시엔 누구나 손쉽게 인출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되며, 다 사용한 다음엔 손쉽게 보충이 가능하도록 하여 각종 차류의 사용이나 유지보관 및 관리가 아주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들 수납유니트(3)나 컵배출기구(6)의 경우에 별도의 외부 전원이 필요없이도 기계적으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그 구조적으로 고장이 발생할 요인을 사전에 배제시켜 반 영구적으로 활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7)

  1. 정수기를 내부에 갖추거나 외부에 생수통을 올려놓고 사용하되 내부에서 냉,온수 상태로 보관한 후에 필요시 외측의 냉온수 코크(1,1)를 통하여 냉 온수를 배출시킬 수 있게 이루어지는 통상의 냉온수기에 있어서,
    본체(2)의 일측에 복수개의 수납유니트(3)를 설치하되, 이들 복수개의 수납유니트(3)는 내측에 수납공간(30)을 갖추고 수납공간(30)의 하부 일측엔 배출구(32)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복수개의 수납유니트(3)는 커버(34)에 의하여 개폐가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류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유니트(3)는 상기 배출구(32)와 대응된 위치로서 배출구(22)를 상기 설치공간(20)(40)에도 각각 형성하되, 전방 부위에 위치한 모서리부를 개방된 상태로 구성하고 상,하부에 요부(26,28)(36,38)를 각각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류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유니트(3)에 채워지게 되는 내용물을 적층체 형태로 포장대(5)를 미리 형성하고 그 일측 또는 양측에 절취 개봉부(50,50)를 각각 마련하며 보충시엔 포장대(5)의 개봉부(50,50)를 뜯어내고 상기 수납유니트(3)의 내부 수납공간(30)에적층된 상태로 그대로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류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다른 일측에는 수용공간(62)을 가지며 배출기구(60)에 의하여 낱개씩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컵배출기구(6)를 별도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류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기구(60)가 외측 프레임(611)의 끝단부 내측으로서 가이드 케이스(612) 내측에 스프링(613)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노브(614)와, 상기 조절노브(614)의 선단 설치공(615)의 내측에 가동돌기부(616)의 일측이 끼워지고 다른 일측의 받침돌기부(617)는 가장 하부에 위치한 컵(7)의 외주연 돌출단부(7a)의 하부 일측을 받쳐주도록 구성되어 힌지부(618)를 중심으로 상기 조절노브(614)의 가압 작동에 따라 하향 각도 회전이 이루어지고 복귀스프링(619)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가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류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기구(60)가 외측프레임(621)의 일측에 개공(622)을 형성하고 이 개공(622)의 내측에 조절노브(623)를 설치하되, 상기 조절노브(623)는 힌지부(624)가 브라켓(625)에 마련되고 별도로 마련된 브라켓(626)과의 사이에 복귀 스프링(627)이 설치되며, 상기 조절노브(623)의 선단엔 제1 및 제2걸림요부(628,629)를 각각 형성하여 조절노브(623)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컵이 배출될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류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
  7. 제4항에 있어서,
    컵을 내측 수용공간(62)에 거꾸로 적층한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배출기구(60)가 하부로부터 스프링(633)에 의하여 들어올려지도록 가압체(632)를 하부에 설치하고, 상부의 배출구(634)에 인접되게 조절노브(635)를 설치하되, 개폐뚜껑(631)에 마련되는 상기 조절노브(635)는 힌지부(636)가 브라켓(637)에 마련되고 별도로 마련된 브라켓(638)과의 사이에 복귀 스프링(639)이 설치되며, 상기 조절노브(635)의 선단엔 제1 및 제2걸림요부(641,642)를 각각 형성하여 조절노브(635)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컵이 배출 될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류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
KR2020020002255U 2002-01-24 2002-01-24 차류 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 KR200271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255U KR200271909Y1 (ko) 2002-01-24 2002-01-24 차류 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255U KR200271909Y1 (ko) 2002-01-24 2002-01-24 차류 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052A Division KR100437943B1 (ko) 2002-01-24 2002-01-24 차류 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909Y1 true KR200271909Y1 (ko) 2002-04-12

Family

ID=73072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255U KR200271909Y1 (ko) 2002-01-24 2002-01-24 차류 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9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7986A (ko) * 2013-12-11 2015-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품저장장치, 식품저장장치의 제어시스템, 및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7986A (ko) * 2013-12-11 2015-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품저장장치, 식품저장장치의 제어시스템, 및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
KR102201413B1 (ko) * 2013-12-11 2021-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품저장장치, 식품저장장치의 제어시스템, 및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3214C2 (ru) Эргономичное серви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шины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KR100294512B1 (ko) 자동판매기
WO2011029747A1 (en) Machine for multiple beverage dispensing, particularly for coffee and/or still water and/or hot and/or chilled beverages
US10455975B2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US3247940A (en) Machine for vending cups containing powdered food
KR20140036613A (ko) 정수기
CN108697281B (zh) 分配系统
KR200271909Y1 (ko) 차류 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
KR100437943B1 (ko) 차류 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
KR200271910Y1 (ko) 차류 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
KR20030063768A (ko) 차류 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
ITVI980223A1 (it) Macchina distributrice di caffe&#39;, the ed altri prodotti simili ottenuti per infusione.
JP4477788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200457013Y1 (ko) 커피자동판매기
EP3853542B1 (en)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 beverage dispenser
CA2370912C (en) Refrigerator door mounted water dispensing assembly
JP3113485U (ja) コーヒー粉末等の供給装置
KR200163003Y1 (ko) 자동판매기의 누설원료 집진구조
KR200417831Y1 (ko) 1회용 커피사용기
KR200234080Y1 (ko) 음료용 차의 자동판매기
RU40993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упаковка
KR200333578Y1 (ko) 자동판매기
KR200353362Y1 (ko) 냉온수기의 착탈식 디스펜서
ITMI20030507U1 (it) Apparecchiatura per la distribuzione di bevande in genere
KR20050118606A (ko) 자동판매기용 컵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