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831Y1 - 1회용 커피사용기 - Google Patents

1회용 커피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831Y1
KR200417831Y1 KR2020060003916U KR20060003916U KR200417831Y1 KR 200417831 Y1 KR200417831 Y1 KR 200417831Y1 KR 2020060003916 U KR2020060003916 U KR 2020060003916U KR 20060003916 U KR20060003916 U KR 20060003916U KR 200417831 Y1 KR200417831 Y1 KR 2004178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able
disposable coffee
case
outlet
mix st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석
김용근
Original Assignee
정상석
김용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석, 김용근 filed Critical 정상석
Priority to KR2020060003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8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8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8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0Break-in flaps, or members adapted to be torn-off, to provide pouring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rod-shaped articles, e.g. nee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스(30)의 내부에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21)의 포장박스(11) 또는 다수개의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21)이 내장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하부에 인출구(32)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30)의 측면에 1회용 컵배출기(50)가 부착되어 있어 기존의 일반적인 냉온수기나 정수기에 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벽면이나 테이블 위에 놓아두고 인출구를 통해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21)을 하나씩 꺼내서 1회용 커피를 간편하게 준비하여 먹을 수 있는 1회용 커피사용기에 관한 것이다.
1회용 커피사용기, 케이스, 커피믹스 스틱상품, 포장박스, 인출구

Description

1회용 커피사용기{Apparatus for supplying coffee with drawing slot installation of the packing box for stick goods}
도 1은 종래의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 포장박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1회용 커피사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1회용 커피사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1회용 커피사용기에서 1회용컵배출구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1회용 커피사용기를 냉온수기 본체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 주요부호의 설명>
11: 1회용 커피믹스 스틱포장박스 13: 도어
14: 1회용 커피믹스 스틱포장박스의 인출구
15: 이탈방지부
21: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
30: 케이스 32: 케이스 인출구
40: 뚜껑 42: 컵장착홈
50: 1회용 컵배출기 52, 52’: 1회용 컵
54: 뚜껑 100: 냉온수기 본체
본 고안은 1회용 커피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30)의 내부에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21)의 포장박스(11) 또는 다수개의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21)이 내장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하부에 인출구(32)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30)의 측면에 1회용 컵배출기(50)가 부착되어 있어 기존의 일반적인 냉온수기나 정수기에 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벽면이나 테이블 위에 놓아두고 인출구를 통해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21)을 하나씩 꺼내서 1회용 커피를 간편하게 준비하여 먹을 수 있는 1회용 커피사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과자포장박스, 분말팩 포장박스, 스틱 커피믹스 포장박스와 같은 판지 포장박스류에 절단 점선으로 상품 인출구를 설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포장박스에 설치된 상품 인출구는 포장박스의 상부 전면과 양 측면을 덮개 상태로 절단하여 내용물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포장박스를 개폐덮개로 이용하는 것이 있으며 포장박스 상면에 인출 창구형태로 절단 점선을 설치하고 절단 점선 부분을 뜯어내어 상판 인출구로 개방하도록 한 것이 있고 포장박스의 상면과 전면에 걸친 인출구를 절단 점선으로 설치하고 이를 뜯어내어 전면과 상면을 개폐하는 덮개가 되게 한 것과 같은 다양한 상품 인출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 포장박스는 포장박스의 전면 하부에 인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절단 점선으로 판지 포장상자에 설치되는 인출장치들은 절단 점선으로 설치되는 도어 부분이 박스에 붙어있게 설치되고 사용과정에서 개폐 도어로 사용하므로 사용상태의 외양이 단정하지 못하고 상품 인출구에 상품을 디스플레 하는 기능과 상품의 잔량을 보여주는 기능이 포함되지 않아 불편하고 단순한 상품 인출구에 머물렀던 것이다. 종래 포장박스의 하나로 캔의 옆 둘레가 박스의 내부 양면에 밀착되어 손가락을 넣을 공간이 없어 캔의 인출 과정이 불편하므로 이 불편을 개선하기 위하여 박스의 일 측면에 손가락 관통 개구를 만들고 캔의 인출 할 때 개구에 손가락을 넣어 캔을 인출하게 하는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거의 대부분의 관공서 및 일반 사무실 등은 물론이고 많은 가정에도 냉온수기가 널리 보급 및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고객 접대업무를 주로 수행하는 회사에서는 상기 냉온수기와는 별도로 커피 등의 음료를 인출할 수 있는 자동 음료취출기가 설치되어 있다. 기존의 환경에서는 냉온수기와 자동 음료취출기가 각각 별도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점유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제한된 실내공간에 대한 활용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각각의 장치에 대한 개별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자동 음료취출기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한 대부분의 사무실에 있어서 티 테이블과 냉온수기의 위치가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냉온수기와 티 테이블 간을 오가며 차를 만들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스(30)의 내부에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21)의 포장박스(11) 또는 다수개의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 (21)이 내장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하부에 인출구(32)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30)의 측면에 1회용 컵배출기(50)가 부착되어 있어 기존의 일반적인 냉온수기나 정수기에 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벽면이나 테이블 위에 놓아두고 인출구를 통해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21)을 하나씩 꺼내서 1회용 커피를 용이하게 준비하여 먹을 수 있는 1회용 커피사용기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의 냉온수기와 1회용 커피사용기를 일체로 결합하여 실내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냉온수기에 의한 급수 구조만을 이루므로 관리가 용이하며 사용자의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기존의 일반적인 냉온수기나 정수기에 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1회용 커피사용기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21)의 포장박스(11)를 집어넣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21)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부에 인출구(32)가 형성된 케이스(30); 상기 케이스(30)의 상부에 1회용 컵(52)을 고정하도록 1개 또는 다수개의 컵장착홈(42)이 형성된 케이스 뚜껑(40); 상기 케이스(30)의 측면에 부착된 1회용 컵배출기(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커피사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1회용 커피사용기에 에 있어서 케이스(30)는 내부에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21)의 포장박스(11) 또는 다수개의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21)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1회용 커피사용기에 있어서 케이스(30)는 착탈수단이 마련된 냉온수기(100) 또는 정수기 본체의 외벽면에 부착되거나 냉온수기(100) 또는 정수기 본체의 근처 벽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1회용 커피사용기는 하부에 인출구(32)가 형성된 케이스(30)의 내부에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21)의 포장박스(11) 또는 다수개의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21)이 내장되어 있어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21)을 사용하여 1회용 커피를 용이하게 준비하여 먹을 수 있는 장치이다. 본 고안의 1회용 커피사용기는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의 포장박스(11)를 집어넣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21)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부에 인출구(32)가 형성되어 있어 케이스의 내부에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의 포장박스(11)를 바로 집어넣을 수 있다. 본 고안의 1회용 커피사용기는 케이스(30)의 상단에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케이스 뚜껑(40)이 장착되어 있고 케이스 뚜껑(40)의 상부 표면에 1개 또는 다수개의 컵장착홈(42)이 형성되어 있어 1회용 커피를 먹는 경우 케이스(30)의 측면에 부착된 1회용 컵배출기(50)에서 컵(52)을 빼서 컵장착홈(42)에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1회용 커피사용기는 케이스(30)의 측면에 1회용 컵배출기(50)가 부착되어 있어 편리하게 컵을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1회용 커피사용기는 케이스의 내부에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의 포장박스(11)를 바로 집어넣고 포장박스(11)의 인출구(14)를 뜯어낸 상태에서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을 하나씩 빼내 사용할 수 있으며 케이스의 내부에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의 포장박스 자체를 바로 집어넣지 않고 다수개의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21)을 바로 집어넣고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을 하나씩 빼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1회용 커피사용기에 있어서 케이스(30)는 착탈수단이 마련된 냉온수기(100) 본체의 외벽면에 부착하거나 냉온수기(100) 또는 정수기 본체의 근처 벽면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본 고안의 1회용 커피사용기를 사용하여 1회용 커피를 먹는 경우 케이스(30)의 측면에 부착된 1회용 컵배출기(50)에서 컵(52)을 빼서 컵장착홈(42)에 고정한 상태에서 케이스 하부의 인출구(32)에서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21)을 꺼내 컵안에 1회용 커피믹스를 넣고 컵안에 물을 붓는다.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21)의 포장박스(11)는 포장박스의 전면 하부에 스틱상품을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14)가 형성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인출구 장치는 포장박스에 절단 점선으로 조성된 닫힌 인출구와 인출구 도어가 형성되어 있고 인출구 개방시 절단 점선을 절단하도록 인출구에 탭이 설치되어 있다.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21)의 포장박스(11)는 스틱 타입의 상품(21)을 박스 전폭에 맞추어 포장하도록 포장용 캐비닛타입 포장박스로 제작되어 있으며 캐비닛 타입 포장박스(11)의 전면 하부에 절단점선으로 설치하여 뜯어낼 수 있게 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도어를 절단점선을 따라 뜯어내어 포장된 상품을 박스 외부에서 볼 수 있게 하고 동시에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상품을 손으로 집어 박스 밖으로 꺼낼 수 있게 하는 디스플레이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1회용 커피사용기는 인출구(32)를 통해 상품을 손가락으로 잡고 밖으로 꺼낸다. 스틱상품(21)을 꺼낼 때 상품 양단은 이탈방지부에 걸려 구부러지지만 이탈 상태에서 본래 상태로 복원된다. 하나의 상품이 이탈되면 포장박스(11) 내부에서 인출구(32) 상부에서 상품의 침하가 이루어져 상품을 꺼내기 전의 상태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인출구(32)에 스틱상품(21)이 가득 채워진 상태로 디스플레이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품을 계속 꺼내면 상품 상부의 공간은 차츰 커지고 마침내 포장 상자의 바닥에 인출구에 보이게 된다. 사 용자는 포장상자를 보는 것만으로 새 상품 구입 시기를 생각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1회용 커피사용기는 기존의 일반적인 냉온수기나 정수기에 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벽면이나 테이블 위에 놓아두고 디스플레이 인출구를 통해 스틱상품을 하나씩 꺼낼 수 있으며 포장상품이 소진되도록 단정한 품위와 외관을 유지하고 상품 인출구를 상품 디스플레이 창으로 겸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1회용 커피사용기는 기존의 냉온수기와 1회용 커피사용기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실내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냉온수기에 의한 급수 구조만을 이루므로 관리가 용이하며 사용자의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기존의 일반적인 냉온수기나 정수기에 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활용가치가 매우 크다 할 것이다.

Claims (3)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21)의 포장박스(11)를 집어넣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21)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부에 인출구(32)가 형성된 케이스(30); 상기 케이스(30)의 상부에 1회용 컵(52)을 고정하도록 1개 또는 다수개의 컵장착홈(42)이 형성된 케이스 뚜껑(40); 상기 케이스(30)의 측면에 부착된 1회용 컵배출기(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커피사용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0)는 내부에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21)의 포장박스(11) 또는 다수개의 1회용 커피믹스 스틱상품(21)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커피사용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0)는 착탈수단이 마련된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 본체의 외벽면에 부착되거나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 본체의 근처 벽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커피사용기.
KR2020060003916U 2006-02-13 2006-02-13 1회용 커피사용기 KR2004178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916U KR200417831Y1 (ko) 2006-02-13 2006-02-13 1회용 커피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916U KR200417831Y1 (ko) 2006-02-13 2006-02-13 1회용 커피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831Y1 true KR200417831Y1 (ko) 2006-06-02

Family

ID=41767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916U KR200417831Y1 (ko) 2006-02-13 2006-02-13 1회용 커피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83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72851B (zh) 用于清理卫生用品的装置
US20080164260A1 (en) Container for holding food and drinks
WO2008115274A3 (en) Food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0821874B1 (ko) 내용물 분할형 컵
KR100877329B1 (ko) 포장 박스의 스틱상품 디스플레이 인출구 장치
US20090108010A1 (en) Hinged-lid feminine hygiene product dispenser
US1872771A (en) Container
KR200417831Y1 (ko) 1회용 커피사용기
CN206813571U (zh) 新型外卖箱
WO2010115362A1 (zh) 组合式调味品盒
KR200434078Y1 (ko) 내용물 분할형 컵
CN204660245U (zh) 具有多个腔室的包装盒
KR20140001322U (ko) 아이스크림 전용 용기
CN202262933U (zh) 抽纸盒
CN217524168U (zh) 一种具有隔热防烫功能的可降解餐盒
ITMI20140215U1 (it) Macchina per la vendita e la distribuzione di alimenti freschi e cotti.
KR200464230Y1 (ko) 컵 홀더가 구비된 스틱제품 포장용상자
CN211722551U (zh) 一种用于放置散装食品的货柜
KR200271909Y1 (ko) 차류 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
JP3153168U (ja) ボトル型米容器
CN205548402U (zh) 一种厨房用调味箱
CN209403847U (zh) 一种多功能环保餐盒
EP3870524B1 (en) Packet for containing food articles
CN209436486U (zh) 一种可叠加饭盒
CN106327692A (zh) 方便面冲泡售货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