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413B1 - 식품저장장치, 식품저장장치의 제어시스템, 및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식품저장장치, 식품저장장치의 제어시스템, 및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413B1
KR102201413B1 KR1020130153657A KR20130153657A KR102201413B1 KR 102201413 B1 KR102201413 B1 KR 102201413B1 KR 1020130153657 A KR1020130153657 A KR 1020130153657A KR 20130153657 A KR20130153657 A KR 20130153657A KR 102201413 B1 KR102201413 B1 KR 102201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ood storage
storage device
control uni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7986A (ko
Inventor
김성은
임정빈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3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413B1/ko
Publication of KR20150067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8Drinking gl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에는, 식품이 수용되고 회전가능한 수용부; 상기 식품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는 냉열부;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회전을 위한 중심축으로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 및 상기 냉열부 중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상기 수용부의 배치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한 감지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동작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아침에 일어나는 때에 바로 자신이 원하는 음료를 마시면서 하루를 시작할 수 있고, 식품저장장치를 개인용으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저장장치, 식품저장장치의 제어시스템, 및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Food storage apparatus, control system for the food storage apparatus, and using method for the food storage apparatus}
본 발명은 식품을 저장하는 장치로서, 식품을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편리하게 저장할 수 있는 식품저장장치, 식품저장장치의 제어시스템, 및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품저장장치는 식품을 저장하는 장치로서 저장과 함께 식품가공의 과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 식품저장장치로는, 믹서, 쿠커, 음료제공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가 있다. 이 중에서 음료를 제공하는 장치로는, 음료를 정화하여 제공하는 정수기, 청량음료를 차게 제공되는 퀵 칠러(quick chiller) 또는 광천수의 온도를 조정하여 공급하는 워터 디스펜서 또는 물을 끓여서 제공하는 전기포트가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저장장치는 음료제공장치를 대표적으로 예로 들 수 있고 이하에서는 식품저장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식품을 저장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되는 식품저장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비교적 큰 용량의 기기가 산업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부엌에 설치되어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어느 한 개인용의 목적으로 사용되기에는 용량 및 사용상태 등과 같은 문제로 인하여 부적합하다.
물론, 정수기의 경우에는 거실이나 부엌에 놓아두고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움직이지 않고 정치된 환경에서 사용하는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식품저장장치에 접근하여 음료를 받아서 마셔야만 한다. 전기포트의 경우에는 물을 끓이는 기능밖에 주어지지 않으므로 차가운 물을 마시는 것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하는 배경하에서, 본 발명에서는 개인이 자신의 분신과 같이 개인 종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가열/냉각/보온/알람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음료를 자신이 원하는 환경 및 상태로 제공할 수 있는 등의 목적을 충족할 수 있는 식품저장장치, 식품저장장치의 제어시스템 및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에는, 식품이 수용되고 회전가능한 수용부; 상기 식품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는 냉열부;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회전을 위한 중심축으로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 및 상기 냉열부 중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상기 수용부의 배치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한 감지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동작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더 편리하게 현재의 동작모드를 인식하여 식품저장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어느 한 개인용으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커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식품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제어부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제공되는 버튼과 홈으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시간을 입력하는 조작부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동작상태에는, 가열모드, 냉각모드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배치상태가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라이팅부가 제공되고, 상기 라이팅부는 발광부로 제공되고, 여기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수용부에 제공되어 면발광하거나, 식품저장용기의 손잡이 부근에 제공되어 손잡이 부분이 발광하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가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보다 감각적이고 간단하게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을 인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고, 더 편리하게 식품저장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 제공되어 차를 투입하는 차투입기기가 더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수용부에 제공되어 상기 식품이 수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기구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수용부에 제공되어 상기 식품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기구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제어부는 각기둥의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제어부의 외면을 이루는 각기둥의 면이 서로 대응되는 배치상태에서, 상기 수용부 및 상기 냉열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식품저장장치를 다양한 사용모드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에는, 식품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제어부에 대하여 상대회전시켜서, 그 회전각도를 기준으로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방법에 따르면, 식품저장장치를 보다 감각적이고 편리하게 조작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그 사용방버은, 타이머를 조정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상기 동작모드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고, 타이머를 조정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알람이 울리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아침에 기상하여 음료가 필요한 시기에 원하는 상태로 마실 수 있고, 사용자의 아침기상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다른 측면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에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식품이 수용되고 상기 제어부에 대하여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한 수용부가 포함되어,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제어부의 배치상태에 따라서 동작모드가 지시될 수 있고, 상기 동작모드를 사용자에게 빛으로 인식시킬 수 있는 라이팅부가 더 포함되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식품저장장치를 동작시키면서 시각적으로 더 편리하게 동작상태를 인식할 수 있고, 실내의 조명의 기능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다른 측면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제어시스템에는, 식품저장장치 및 상기 식품저장장치를 제어하도록 외부에 마련되는 단말기가 포함되고, 상기 식품저장장치에는, 식품이 수용되고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수용부; 상기 식품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는 냉열부;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상기 수용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수용부 및 상기 냉열부 중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대적 배치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포함되고, 상기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통신부가 더 포함된다. 이에 따르면 식품저장장치를 무선으로 조작할 수 있어서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을 위하여 침대에 누워서도 식품저장장치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다른 측면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에는,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대하여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내부에 식품저장용기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포함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식품저장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식품저장용기에 인접하여 상기 식품저장용기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는 냉열부가 포함되고,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제어부의 배치상태에 따라서 상기 냉열부의 동작모드를 지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식품저장장치를 조작할 때 더 감각적 인식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개인만의 사용용도로서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아침에 일어나는 때에 바로 자신이 원하는 음료를 마시면서 하루를 시작할 수 있고, 식품저장장치를 개인용으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에서 식품저장용기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제어부의 연결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Ⅰ-Ⅰ'의 단면도.
도 5는 감지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버튼과 그 구조물의 단면도.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를 다른 측면으로 설명하는 블록도.
도 8은 상기 조작부의 내부 구성도.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감지부를 보이는 사시도.
도 11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수용부를 보이는 사시도.
도 12는 제 3 실시예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수용부를 보이는 사시도.
도 13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의 사시도.
도 1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놓임부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
도 15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6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시도.
도 17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시도.
도 18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9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시도.
도 20은 제 7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1은 제 8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제어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첨부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될 것이다.
이하에서 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사용 편의성 향상, 멀티 기능 제공, 및 향상된 사용자 인지성을 부여하는 다양한 경우를 제시한다. 전체 실시예를 아우르는 주요 사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나, 엄밀한 의미로는 해당되는 실시예에서의 대응되는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동일한 구성요소를 다른 번호로 표시할 수도 있으나, 이는 각 도면 상의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실질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해할 수 있다. 구성요소를 제시하는 데에 있어서 그 길이, 면적, 및 크기 등은 사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실제 제품의 적용에 있어서는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제 1 실시예>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는 하단부의 제어부(200)와, 상기 제어부(200)와 유사한 단면형상으로 제공되어 음료가 담기는 식품저장용기을 수용하는 수용부(100)와, 상기 수용부(100)에 수용될 수 있는 식품저장용기(30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식품저장용기(300)을 덮는 뚜껑(302)이 포함된다.
상기 수용부(100)의 적어도 어느 일부에는 적어도 냉열부(10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냉열부(103)에서는 상기 식품저장용기(300)로 열기를 전달할 수도 있고 냉기를 전달할 수도 있고, 외부로는 반대로 냉기 또는 열기를 방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냉열부(103)로서 펠티에소자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냉매를 이용하는 소형 냉동시스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수용부(100)의 어느 일 면에는 식품저장용기(300)의 손잡이가 놓여 있어, 식품저장용기(300)을 잡고 이동하거나 수용부에 장착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냉열부(103)로는 냉기 또는 열기 중의 어느 하나만을 제공하는 기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식품저장용기(300)은 음료가 수용되는 경우에는 컵을 예로 들 수 있지만, 음료가 아닌 경우에는 다른 종류의 식품수용기기일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00)에는 조작부(20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01)는 다이얼로 예시할 수 있고, 상기 다이얼을 돌리는 회전각을 타이머의 시간으로 대응시켜서, 조작부(201)를 이용하여 상기 냉열부(103)를 동작시키는 타이머의 동작시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00)와 상기 수용부(100)는 각기둥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각기둥, 사각기둥, 또는 오각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공되는 다각기둥의 형상에서 있어서, 각각의 수직모서리 또는 수직면은 식품저장장치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기능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다각형이 아닌 원형 및 타원형등과 같은 다른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별도로 회전의 배치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식별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능은, 가열, 보온, 냉각의 기능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와 상기 수용부(100)의 각이 서로 메칭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기능을 지시하는 것으로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에서는 삼각기둥을 예시한다.
또 다른 경우로서, 어느 수용부의 어느 일 지점(점 또는 면 또는 지시부가 해당될 수 있다)과 제어부의 어느 일 지점(점 또는 면 또는 지시부가 해당될 수 있다) 각각이 서로 대응되는 것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제어부와 수용부가 서로 메칭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각각의 면, 특히, 제어부와 수용부가 서로 근접하는 접촉위치가 서로 대응되는 경우에 더 편리하게 사용자가 메칭상태를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삼각기둥형상으로 제공되는 실시예에서는 수용부 및 제어부의 각 면이 서로 메칭되어 배치되는 상태일 수 있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에서 식품저장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100)의 안에는 식품저장용기(300)가 수용부의 상부를 통하여 그 내부에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부(101)가 제공된다. 상기 식품저장용기(300)은 상기 안착부(101)의 안으로 슬라이드되며 안착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슬라이드되면서 안착부(101)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안착부(101)의 내면과 상기 식품저장용기(300)의 외면은 바람직하게 서로 면접촉될 수 있고, 냉열부(103)의 냉기 또는 열기가 식품저장용기(300)으로 높은 열전달효율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식품저장용기(300)의 바깥에 제공되는 손잡이(301)가 정확한 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100)의 상단부에는 손잡이 놓임부(102)가 더 제공된다. 상기 손잡이(301)와 상기 손잡이 놓임부(102)가 서로 안정되게 대응되도록 자리를 잡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식품저장용기(300)가 올바른 위치에 놓인 것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바람직한 동작 및 작용을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취침시에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에 전원을 연결하고, 가열, 냉각, 보온 등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선택기능은 상기 수용부(100)를 상기 제어부(200)에 대하여 회전을 위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고, 기능이 올바르게 설정된 것은, 상기 수용부(100)의 모서리와 상기 제어부(200)의 모서리가 올바르게 정렬된 상태인 것으로서 확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수용부와 제어부가 올바르게 정렬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후에 사용자는 식품저장용기(300)에 원하는 음료로서, 바람직하게 물을 담고, 식품저장용기(300)를 수용부(100)에 안착시키고 뚜껑(302)을 덮는다. 이후에는 조작부(201)를 조작하여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난 다음에 상기 냉열부(103)를 동작시킬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에는 알람을 위한 시간설정의 기능도 수행될 수 있다.
그러면, 지정한 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냉열부(103)가 동작하여 원하는 음료상태를 만들 수 있다. 이때에는 가열, 냉각, 또는 보온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고, 이는 냉열부(103)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알람이 울리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기상시간을 알리고,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상기되는 설명에서 상기 수용부(100)는 상기 제어부(20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고, 그 각각의 배치상태가 메칭되는 경우에 소정의 기능이 부여되는 것을 설명한 바가 있다. 또한, 현재의 기능을 나타내는 배치상태는 상기 조작부(201)가 있는 쪽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수용부와 제어부의 연결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제어부의 연결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100)의 바닥에는 걸림부(104)가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200)의 상면에는 레그(202)가 제공된다. 상기 레그(202)가 상기 걸림부(104)에 삽입된 다음에 걸리도록 하면, 상기 수용부(100)는 상기 제어부(20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와 상기 레그(202)의 단면형상은 원형이 아닌 그 외의 형상으로 제안되기 때문에, 수용부(100)가 회전하면 레그(202)도 함께 회전한다. 또한, 레그(202)는 제어부(200)에 분리되는 구조물로 지지되기 때문에, 레그(202)가 회전하더라도 제어부(200)는 회전하지 않고 원래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레그는 두 개의 몸체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분지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구조물이고, 그 몸체의 단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고리모양을 이룬다. 이로써, 수용부(100)를 제어부(200)에 삽입할 때에는 레그(202)가 좁아져서 걸림부(104)의 안으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이 완료되는 위치에서는 레그(202)가 원래 위치로 좁아져서 넓어질 수 있다. 이로써, 수용부와 제어부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고, 조립이 완료된 다음에는 레그(202)가 걸림부(104)에서 빠지지 않고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레그(202)는 회전프레임(203)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프레임(203)은 제어부(200)에 놓이지만 제어부(200)의 다른 구성요소와는 별개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되는 구성에 따르면 상기 레그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제어부가 회전하는 중심축으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물리적인 중심축으로서의 기능은 상기 레그에도 부여될 수 있지만, 별도의 회전기구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가상적인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수용부가 상기 제어부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되는 구성에 따르면 수용부(10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어부(200)는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수용부(100)의 회전중심은 레그(202)의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레그(202)를 이루는 몸체의 사이 간격부를 통해서는 제어선 및 전력선 등의 각종 전선이 통과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Ⅰ-Ⅰ'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프레임(203)과, 상기 회전프레임(203)의 하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는 플레이트(209)가 제공된다. 상기 회전프레임(203)은 대략 원형으로서, 그 중앙에서 상측으로 넓게 융기되는 융기부(205)와, 상기 융기부(205)의 주변에서 융기부(205)보다는 하측에 마련되는 연장부(204)가 제공된다. 상기 연장부(204)는 제어부(200)의 본체 외면에 드러나지 않고, 제어부 본체 외면의 안쪽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회전프레임(203)이 자체적으로 회전하거나 움직이더라도 연장부(204)가 제어부(200)에 걸려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프레임(203)은 수용부(100)의 회전동작에 따라서 함께 회전하는 부품이다. 이에 반하여 상기 플레이트(209)는 제어부(200)에 대하여 위치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장부(204)의 하면에는 세 개의 홈(206)이 제공되고, 상기 플레이트(209)의 상면에는 세 개의 버튼(207)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홈과 버튼은 식품저장장치의 기능의 수와 대응관계를 가지는 것으로서, 실시예에서는 가열, 냉각, 및 보온의 세 개의 기능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세 개의 홈과 버튼이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다. 따라서 그 기능이 늘거나 줄어드는 경우에 그에 맞추어서 홈과 버튼의 개수는 늘거나 줄 수 있다. 또한, 홈과 버튼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또한, 홈을 하나만 설치하고 버튼을 하나만 제공하여 눌러지는 버튼을 달리하고 버튼에 각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다만, 수용부(100)와 제어부(200)의 상호 간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식품저장장치의 기능이 부여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배경하에서 설명한다.
상기 회전프레임(203)의 회전각도는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서 알려질 수 있다. 상기 회전프레임(203)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감지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세 개의 속이 찬 원은 홈(206)을 나타내고, 세 개의 속이 빈 원은 버튼(207)을 나타낸다. 동심원은 회전프레임(203)의 기구적인 가운데를 중심으로 하여 세 개의 원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상기 동심원은 상기 홈(206)이 지나가는 경로를 가상적으로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심원은 상기 회전프레임(203)이 회전할 때 상기 버튼(207)이 지나가는 경로를 가상적으로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홈에 어느 하나의 버튼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버튼은 기구적으로 동작되어 소정의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홈과 상기 버튼 중의 적어도 하나는, 세 개의 중복되는 동일 구조물이 120도의 사이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홈이 120도의 사이각을 가지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홈과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버튼이 서로 위치가 대응되어 버튼의 동작이 개시되는 때에, 다른 두 개의 홈과 버튼은 서로 대응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버튼의 동작에 의해서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어느 하나의 버튼과 어느 하나의 홈이 대응되는 때에는, 상기 수용부(100)와 상기 제어부(200)의 대응상태도 서로 메칭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더욱 편리하게 홈과 버튼의 대응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기기의 동작모드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어느 두 개 이상의 버튼이 각각의 홈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또 다른 기능을 식품저장장치에 할당할 수도 있다.
상기 홈과 상기 버튼의 구성은 일 예에 지나지 않고, 당업자는 다양한 구성, 형상 및 배치로 다양하게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버튼과 그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레이트(209)에 제공되는 홀을 버튼(207)의 상단부가 통과하여 상측으로 돌출한다. 버튼의 하단부와 플레이트(209)의 하면 사이에는 탄성부재(210)가 제공된다. 상기 탄성부재(210)는 상기 버튼(207)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제공하여 버튼(207)이 플레이트(209)를 뚫고 돌출하도록 한다. 상기 버튼(207)의 하단부에는 스위치(211)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되는 구성에 따르면, 버튼(207)과 홈(206)이 정렬되지 않았을 때에는 버튼(207)은 연장부(204)의 하면에 의해서 하방으로 밀리는 힘을 제공받는다. 따라서 버튼(207)은 탄성부재(210)의 힘을 이기고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버튼(207)과 홈(206)이 대응하여 정렬되었을 때에는 버튼(207)은 홈(206)의 안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다. 이어서, 회전프레임(203)이 더 회전하여, 버튼(207)이 홈(206)에서 빠질 때에는 연장부(204)의 하면에 의해서 다시금 하방으로 밀리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버튼(207)의 단부는 부드러운 원형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버튼(207)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때에, 상기 스위치(211)는 온오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온오프의 동작은 식품저장장치의 가열, 냉각, 및 보온의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조작부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조작부(201)로는 다이얼이 예시되어 있고, 상기 다이얼을 회전시키는 것으로써, 알람시간 또는 식품저장장치의 기능이 시작되는 시간 또는 기상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01)의 배면에는 발광부(208)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발광부(208)로는 파란색(냉각에 대응할 수 있다), 빨간색(가열에 대응할 수 있다), 노랑색(보온에 대응할 수 있다)의 발광다이오드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100)와 상기 제어부(200)의 배치상태가 소정의 기능모드로 회전되어 있을 때에는, 소정 기능모드에 맞는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부(201)의 색을 보고서 현재 기능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원하는 모드를 위하여 상기 수용부(100)를 상기 제어부(200)에 대하여 더 회전시켜야 하는지를 알 수 있다.
도 3내지 도 5 및 그와 관련되는 설명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100)와 상기 제어부(200)가 서로 대응하여 정렬되는 경우에는 그 배치상태에 따라서, 식품저장장치는 미리 지정되어 있는 소정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를 다른 측면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컨트롤러(400)가 식품저장장치의 전체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상기 컨르롤러(400)의 제어하에서, 스위치1(107), 스위치2(406), 스위치3(405)이 제공되어, 상기 감지부를 제공하는 상기 버튼(207)으로부터의 신호를 읽어들일 수 있다. 상기 냉열부(404)는 수용부(100)에 마련되어 가열, 냉각, 보온작용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전체적으로 지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입력부(408)는 상기 조작부(201)를 통하여 시간정보가 입력되는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알람부(401)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사용자에게 음료가 완성되었거나, 기상시간이 되었음을 알리는 시그널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상기 타이머(402)는 상기 입력부(408)의 지시에 따른 시간경과를 측정하는 부분이다. 상기 라이팅부(403)는 상기 조작부(201)의 발광을 실시하고 이를 제어하는 일체를 지칭할 수 있다.
상기되는 구성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수용부(100)를 회전하여 상기 감지부를 조작한다. 그러면, 스위치1(407), 스위치2(406), 및 스위치3(405)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대응하는 스위치의 기능은 컨트롤러(400)에 의해서 제어되어 추후에 냉열부(404)를 조작하는 정보로서 사용된다. 상기 스위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었는지의 여부는, 컨트롤러(400)의 제어하에 상기 라이팅부(403)가 동작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려질 수 있다. 빨간색, 파란색, 또는 노란색이 식품저장장치의 각 동작을 지시할 수 있는 것은 이미 설명한 바가 있다. 상기 색깔을 참조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입력부(407)을 이용하여 대기하는 시간을 입력하는데, 입력된 정보는 컨트롤러(400)의 제어하에 타이머(402)를 동작시키게 된다.
사용자의 입력이 끝난 다음에는 식품저장용기(300) 및 뚜껑(302)을 장착하고 식품저장장치를 소정 위치에 둔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침실이나 공부방이 좋을 것이다.
상기 컨트롤러(400)는 상기 타이머(402)의 제어에 의해서 사용자가 지시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다.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냉열부(404)의 동작을 개시하고, 상기 알람부(401)를 동작하여 사용자에게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알리게 된다. 상기 알람부(401)의 동작을 개시하는 시간은, 상기 냉열부(404)에 작동에 의해서 음료가 사용자가 지시한 상태로 충분히 가열 또는 냉각상태에 이른 때인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알람부(401)의 지시에 따라서 일어나서 식품저장용기(300)을 꺼내에서 자신이 원하는 음료를 마실 수 있다.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음용수를 준비한다(S1). 사용자는 음용수가 수용된 수용부(100)를 제어부(200)에 대하여 회전시켜서 원하는 기능을 선택한다(S2). 따라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편리하게 식품저장장치의 현재 기능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수용부(100)가 회전하는 각도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어느 쪽으로도 무제한 회전할 수 있다.
나아가서, 가열, 냉각, 보온 등의 특정 모드가 지시되는 것은 특정 각도의 배치상태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다각형기둥으로 제공되는 수용부와 제어부의 해당하는 면이나 모서리가 메칭되는 때의 그 회전각이, 기능을 선택한 상태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용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인지성이 한층 더 향상되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고, 다양한 기능을 단일 형태의 중복적인 기구의 메칭상태로 구현할 수 있다.
원하는 기능이 선택된 다음에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다음에 식품저장장치가 동작할 수 있다(S3). 동작되는 상태로는 냉열부동작, 알람부동작을 예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의 제공을 원하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다양한 기능이 편리한 사용자 인지수단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는 식품저장장치를 간단히 조작함으로써 동작상태를 지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편리하게 기기의 동작상태를 인지하고 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는 많은 부분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감지부 및 그와 관련되는 구성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특별히 언급한 것과, 제 2 실시예의 적용에서 본질적으로 달라지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의 설명은 제 2 실시예의 설명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감지부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수용부(100)와 제어부(200)가 제공된다. 상기 수용부(100)의 하면에는 걸림부(111)가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200)의 상면에는 레그(220)가 제공된다. 상기 레그(220)가 상기 걸림부(111)에 삽입되어 수용부와 제어부는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한계로 하여 서로 구속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100)의 하면에는 한 쌍으로 제공되는 버튼(110)이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200)의 상면에는 레그(220)를 중심으로 그루브(221)가 제공되고, 상기 그루브를 따라서 세 쌍의 홈(222)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버튼(110)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스위치(211)가 사용됨이 없이 버튼으로부터 냉열부로 연결되는 전원선만이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100)가 회전하면, 특정의 회전각에서는 상기 한쌍의 버튼(110)이 상기 한쌍의 홈(222)과 대응되는 위치에 놓여서 각각의 버튼(110)이 각각의 홈(222)의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홈의 내부에는 전극이 마련될 수 있고, 버튼은 도전성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한쌍의 홈(222)을 통하여 제어부(200)로부터 상기 한쌍의 버튼(110)을 통하여 상기 수용부(100)로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특정 위치에 수용부가 위치하고 있는 것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현재 수용부(100)가 회전하여 있는 각도가 식품저장장치가 어느 모드가 지시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수도 있고,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이 개시된 다음에는 컨트롤러의 제어하에서 홈과 버튼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력공급을 설명하면, 가열의 경우와 냉각의 경우에 인가전원의 방향을 절환함으로써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되는 제 2 실시예는 감지부의 구성을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전원선이 구비됨이 없이도 수용부로 전원을 인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와 수용부를 연결하는 전선이, 일방향으로 연속되는 수용부의 회전에 의해서 단락하는 일이 없고, 식품저장장치의 수명이 연장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루부(221)는 상기 버튼(110)을 안내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버튼의 회전동작이 안정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경우에는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3 실시예>
제 3 실시예는 많은 부분은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수용부의 각 외면부의 구성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특별히 언급한 것과, 제 3 실시예의 적용에서 본질적으로 달라지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이전의 실시예의 설명은 제 3 실시예의 설명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11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수용부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수용부(100)의 적어도 어느 일 면에는 도광판(130)이 설치된다. 상기 도광판(130)의 어느 일측 모서리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적어도 두개 이상의 발광모듈(131)이 설치된다. 상기 발광모듈(131)에는 빨간색(가열에 해당한다), 파란색(냉각에 해당한다), 및 노란색(보온에 해당한다)의 발광다이오드가 제공된다. 이 때에는 도 8에 제시되는 발광부(208)는 제공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되는 구성에 따르면, 발광모듈(131)에서 발광된 빛은 도광판(130)으로 조사되고, 도광판(130)의 내부 매질에서 빛이 퍼지는 과정을 거치고, 도광판(130)의 외면으로 조사되어 나온다. 이러한 동작에 따르면 사용자는 수용부의 어느 일면의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현재 상태에서 수용부(100)와 제어부(200)의 상대적인 회전상태, 및 그에 따라서 지시된 동작모드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인지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발광모듈(131)은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발광모듈의 발광상태는, 사용자가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을 지시할 때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품저장장치의 동작 지시가 끝난 다음에 알람을 기다리는 시간에도 발광할 수 있고. 이 때에는 수면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경우로서 알람의 동작시에 경광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1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어느 한면을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수용부(100)가 회전하면서 사용자가 향하지 않는 다른 방향에 상기 도광판(130)이 놓이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인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2는 제 3 실시예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수용부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수용부의 각 외면에 도광판(132)(어느 하나만 지시하였으나 삼면에 모두 제공될 수 있다)이 제공되고, 각각의 도광판으로 빛을 제공하는 발광모듈(133)(134)(135)가 마련된다. 각각의 상기 발광모듈(133)(134)(135)에는 어느 하나의 색상을 구현하는 발광다이오드가 적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컨트롤러(400)가, 수용부의 회전상태에 대응하여 세 개의 스위치(405)(406)(407) 중에서 어느 스위치를 통하여 신호가 입력되는 가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여 항상 전방을 향하고 있는 면에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발광모듈(133)(134)(135)의 색상과 스위치의 배치상태는 미리 조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식품저장장치의 현재 지시모드를 더욱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는 향상되는 인지가능성를 얻을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130)은 빛을 전파시켜서 소정의 면적을 통하여 빛이 제공될 수 있는 일 구성품을 예시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사상은 그것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소정의 면적에서 발광이 가능하도록 하는 어떠한 부품도 제 3 실시예의 구현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고, 따라서, 상기 도광판 및 이를 대신할 수 있는 구성부품은 면발광부로 이름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제 4 실시예는 많은 부분은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수용부의 상단부 구성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특별히 언급하는 것과, 제 4 실시예의 적용에서 본질적으로 달라지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이전의 실시예의 설명은 제 4 실시예의 설명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13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수용부(100)의 상면의 각 모서리에는 손잡이 놓임부(141)(142)(143)가 제공된다. 상기 손잡이 놓임부는 상단에서 하방으로 파여지는 홈의 형상으로 제공되어 식품저장용기(300)의 손잡이(301)가 놓이게 된다.
상기 손잡이 놓임부(141)(142)(143)가 각각의 상면 모서리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더 편리하게 식품저장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식품저장용기(300)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수용부(100)를 제어부(200)에 대하여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한 손으로는 제어부(20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수용부(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00)는 바닥에 지지되지 않고 사용자가 들고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편리하게 수용부(100)를 제어부(200)에 대하여 자신이 원하는 동작모드로 회전시킨다. 이때, 어느 수용부(100)의 회전상태가 어느 모드인지는 이미 제시된 다른 실시예에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질 수 있다. 상기 수용부(100)가 적절한 위치로 회전된 다음에는 식품저장용기(300)를 수용부(100)에 놓는다. 이때에 상기 손잡이(301)는 식품저장장치의 전면 또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쪽의 손잡이 놓임부에 놓여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상태에 따르면, 사용자는 더 편리하게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놓임부의 구성을 더 상세하게 보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손잡이 놓임부(141)(142)(143)는 빛이 소정량 통과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고, 상기 손잡이 놓임부의 어느 일측에는 발광모듈(144)이 놓인다. 상기 발광모듈(144)에서 발광된 빛은 상기 손잡이 놓임부(141)(142)(143)를 통하여 외부로 발광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수용부(100)의 회전시에 전면에 위치하는 손잡이 놓임부(144)가 발광하도록 할 수 있고, 그것은 현재 시점에서 식품저장장치의 운전모드로 메칭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사용자는 더 편리하게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5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수용부를 제어부에 대하여 회전시켜서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S1). 사용자가 식품저장장치의 기능을 선택하면서 식품저장장치의 현재 기능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수용부가 회전하는 각도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어느 쪽으로도 무제한 회전할 수 있고, 발광상태가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더 편리하게 현재 식품저장장치의 기능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식품저장장치가 가열, 냉각, 보온 등의 특정 모드가 지시되는 것은 특정의 각도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각형으로 제공되는 수용부와 제어부가 서로 각도의 정렬상태가 메칭되는 때의 그 회전각이, 기능을 선택한 상태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용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인지성이 한층 더 향상되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고, 다양한 기능을 단일의 상태로 구현할 수 있다.
기능이 선택된 다음에는 음용수를 준비한다(S2). 상기 과정 중의 어느 때라도 타이머를 준비하여 소정의 대기 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원하는 기능선택 및 대기시간의 입력이 수행된 다음에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식품저장장치가 동작할 수 있다. 동작되는 상태로는 냉열부동작, 알람부동작을 예시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식품저장용기의 손잡이가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항상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서, 더 편리하게 식품저장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 5 실시예>
제 5 실시예는 많은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식품저장장치의 상부 구성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특별히 언급하는 것과, 제 5 실시예의 적용에서 본질적으로 달라지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이전의 실시예의 설명은 제 5 실시예의 설명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16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다른 부분은 동일하고 수용부(100)의 일측에 차투입기기(500)가 더 제공되는 것이 특징적으로 다르다. 상기 차투입기(500)로 식품저장용기에 투입될 수 있는 녹차, 허브차, 커피 등 어떠한 차도 무방하다.
상기 차투입기기(5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바람직하게 수용부(100)와 동일한 단면 외양을 가지는 기기로서 실시예에서는 삼각기둥의 형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차투입기기(500)의 내부에는 상기 안착부(도 2의 101참조)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제공될 수 있고, 차가 놓일 수 있는 차수용부(503)가 제공되고, 상기 차수용부(503)의 하면에는 마개(501)와 상기 마개(501)를 움직이는 솔레노이드(502)가 제공된다. 상기 차수용부(503)는 뚜껑(302)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502)는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됨으로써, 식품저장장치의 다른 구성부분과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502)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음료가 충분히 가열 또는 냉각된 다음에 투입될 수도 있고, 음료가 가열 또는 냉각되기 전에 투입될 수도 있고, 음료가 가열 또는 냉각되는 중에 투입될 수도 있다. 이는 투입되는 차의 종류에 따라서 결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될 수도 있다. 상기 차투입기기의 동작은 컨트롤러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5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식품저장용기장착, 음료투입 등 다른 작업을 수행한다. 이후에는 차투입기기(500)를 수용부(100)의 위에 장착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시간설정, 알람설정, 및 차투입시기설정 등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에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설정된 내용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이 수행되고, 사용자는 일어난 후에 편리하게 음료를 취식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차를 취식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502)는 마개(501)를 밀고 당기는 것에 의해서 차를 투입하는 것으로만 설명하였다. 그러나, 솔레노이드 및 마개는 제시되는 바와 같은 구조로 제한되지 아니하고, 마개(501)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마개(501)가 열려서 차가 투입되는 것은 어느 경우라도 마찬가지이다. 물론, 다른 방식의 차투입기기가 적용될 수 있는 것도 배제하지 아니한다.
<제 6 실시예>
제 6 실시예는 많은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수용부의 구성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특별히 언급하는 것과, 제 6 실시예의 적용에서 본질적으로 달라지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이전의 실시예의 설명은 제 6 실시예의 설명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17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수용부(100), 제어부(200), 및 식품저장용기(300)가 제공되고, 상기 수용부(100)에는 식품저장용기감지기구가 더 마련되어 식품저장용기의 안착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식품저장용기감지기구로서 상기 수용부(100)의 내측, 더 상세하게는 안착부(161)의 내측면에는 스위치(160)가 마련된다. 상기 스위치(160)는 도면에 제시되는 형태로 제안되지 않고 광센서, 접근센서 등 다양한 형태의 스위치가 다양한 장소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스위치(160)는, 식품저장용기(300)이 수용부(100)에 안착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160)는, 상기 식품저장용기(300)가 안착부(161)에 삽입되는 상태에서는 온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식품저장용기(300)가 안착부(161)에서 빠진 상태에서는 오프상태로 바뀔 수 있다.
상기 스위치(160)의 온과 오프상태에 따라서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160)가 오프되면 가열, 냉각, 또는 보온의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지시 기능만을 제외하고 모든 기능을 오프시킬 수도 있다. 다른 경우로는, 식품저장용기(300)가 안착부(161)에 놓여 있는 동안에는, 가열 또는 냉각이 종료되더라도 보온을 유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음료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식품저장용기(300)가 안착부(161)에서 빠진 때에 보온의 기능을 유지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도 18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식품저장장치에 식품저장용기가 놓여지고 식품저장장치의 세팅이 종료되고서 타이머가 동작이 시작한다(S31). 이후에 초기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S32), 동작이 시작하고 일정이 시간이 경과하면 원하는 음료가 원하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S33). 여기서 상기 동작은 가열 또는 냉각이 될 수 있다. 음료가 완성되면, 알람을 울려 사용자에게 음료가 완성되었음을 알린다(S34). 이때, 음료가 완성된 것 다음에는 가열 또는 냉각의 동작은 정지하고 보온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후에 취식을 위하여 사용자가 식품저장용기를 안착부에서 제거하면 알람이 정지할 수 있다(S35). 알람이 정지하는 것과 함께 보온기능이 정지될 수도 있고, 사용자 지시를 제외하는 식품저장장치의 기능이 정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식품저장장치에서 식품저장용기가 꺼내지는 것을 신호로 하여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이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더 편리하게 식품저장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 7 실시예>
제 7 실시예는 많은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안착부의 구성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특별히 언급하는 것과, 제 7 실시예의 적용에서 본질적으로 달라지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이전의 실시예의 설명은 제 7 실시예의 설명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19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수용부(100), 안착부(171), 제어부(200), 식품저장용기(300)가 제공되고, 상기 안착부(171)에는 상기 식품저장용기(300)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식품저장용기승강기구가 더 마련된다. 상기 식품저장용기승강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안착부(171)의 바닥에는 받침대(170)가 더 마련된다. 상기 받침대(170)는 플레이트구조 또는 그물망 구조로 제공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받침대(170)의 하측으로는 지주(173)가 제공되어 지주(173)의 상하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받침대(170) 및 상기 받침대에 지지되는 식품저장용기이 승강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지주(173)에는 랙(171)이 제공되고, 상기 랙(171)과 적어도 피니언부분이 치합되는 모터(172)가 더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172)의 동작에 따라서 랙(171)과 지주(173)와 받침대(170)가 움직이게 되고, 상기 받침대(170)의 상하 승강작용에 의해서 식품저장용기(300)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식품저장용기(300)는 많이 움직일 수도 있으나, 그와 같이 많이 움직일 필요가 없이 약간만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식품저장용기를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실시예에 제시되는 상기 승강기구는 일 예시에 지나지 않고 다양한 다른 형태의 기구가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더 편리하게 식품저장용기을 잡을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음료가 제공되어 있음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20은 제 7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음료가 제공된 상태로 식품저장용기가 안착부(171)에 놓이고 사용자가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을 지시한다(S41). 이후에 동작을 시작하여 설정시간에 도달하면(S42), 가열 또는 냉각의 동작이 시작하고(S43), 음료가 원하는 상태에 도달하면 알람이 동작한다(S44). 동작이 종료하면, 승강기구에 의해서 식품저장용기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45).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편리하게 식품저장용기를 취출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다.
<제 8 실시예>
제 8 실시예는 많은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식품저장장치의 제어구조가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특별히 언급하는 것과, 제 8 실시예의 적용에서 본질적으로 달라지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이전의 실시예의 설명은 제 8 실시예의 설명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21은 제 8 실시예에 따른 식품저장장치의 제어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식품저장장치의 외부에 제공되는 단말기(600)는 식품저장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식품저장장치에는 통신부(506)가 제공된다. 상기 식품저장장치에는 컨트롤러(501), 스위칭부(507), 알람부(502), 타이머(503), 라이팅부(504), 및 냉열부(505)가 제공되고,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원용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600)는 휴대폰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600)는 식품저장장치의 동작시간설정, 동작모드설정, 및 위의 실시예에서 보이는 다양한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식품저장장치는 통신부(506)를 통하여 단말기(600)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고, 해당되는 신호에 따라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말기를 제어함으로써 식품저장장치를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는 더 편리하게 자신이 원하는 음료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이 원하는 어떠한 상태로도 음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의 취향을 적극적으로 만족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큰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고, 식품저장장치 산업에 새로운 시장을 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00: 수용부
200: 제어부
300: 식품저장용기

Claims (16)

  1. 식품이 수용되고 회전가능한 수용부;
    상기 식품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는 냉열부;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회전을 위한 중심축으로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고, 상기 냉열부에 대한 동작시간을 입력하는 조작부가 구비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대해 회전하는 상기 수용부의 배치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한 감지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냉열부에 대한 다수의 동작상태 중 어느 하나의 동작상태를 인식하고, 상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되는 동작시간으로 인식된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제어부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제공되는 버튼과 홈으로 제공되는 식품저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과 홈은,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특정 사이각을 가지도록 이격 배치되는 식품저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에는, 가열모드, 냉각모드가 포함되는 식품저장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상태가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라이팅부가 제공되고, 상기 라이팅부는 발광부로 제공되는 식품저장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수용부에 제공되어 면발광하거나, 식품저장용기의 손잡이 부근에 제공되어 손잡이 부분이 발광하도록 하거나, 상기 조작부가 발광하도록 하는 식품저장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 제공되며, 차의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수용부에 투입하는 차투입기기가 더 마련되는 식품저장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제공되어 상기 식품이 수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기구가 더 포함되는 식품저장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제공되어 상기 식품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기구가 더 포함되는 식품저장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제어부는 각기둥의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제어부의 외면을 이루는 각기둥의 면이 서로 대응되는 배치상태에서, 상기 냉열부의 동작상태를 인식하는 식품저장장치.
  11. 식품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제어부에 대하여 상대회전시켜서, 그 회전각도를 기준으로 다수의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것;
    상기 제어부에 구비되는 타이머를 통해 결정된 동작모드에 대한 동작시간을 입력하는 것; 및
    상기 동작모드와 상기 동작시간에 따라서 상기 식품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열부를 동작하는 것이 포함되는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를 조정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상기 동작모드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는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를 조정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알람이 울리는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
  14.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식품이 수용되고 상기 제어부에 대하여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한 수용부; 및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라이팅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에 대해 회전하는 수용부의 배치상태에 따라서 다수의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를 지시할 수 있고,
    상기 라이팅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지시되는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가 사용자에게 인식되도록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수용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으로 빛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장치.
  15. 식품저장장치 및 상기 식품저장장치를 제어하도록 외부에 마련되는 단말기가 포함되고,
    상기 식품저장장치에는,
    식품이 수용되고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수용부;
    상기 식품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는 냉열부;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상기 수용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냉열부에 대한 동작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냉열부에 대한 동작시간을 입력하는 조작부가 구비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대해 회전하는 수용부의 상대적 배치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냉열부에 대한 동작상태 및 상기 냉열부에 대한 동작시간 중 하나 이상의 동작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통신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정보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동작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냉열부에 대한 다수의 동작상태 중 어느 하나의 동작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동작상태를 입력된 동작시간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장치의 제어시스템.
  16.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대하여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내부에 식품저장용기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포함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식품저장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식품저장용기에 인접하여 상기 식품저장용기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는 냉열부; 및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식품저장용기의 안착상태를 감지하는 스위치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에서 감지되는 안착상태와 상기 제어부에 대해 회전하는 수용부의 배치상태에 따라서 상기 냉열부에 대한 다수의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를 지시할 수 있는 식품저장장치.
KR1020130153657A 2013-12-11 2013-12-11 식품저장장치, 식품저장장치의 제어시스템, 및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 KR102201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657A KR102201413B1 (ko) 2013-12-11 2013-12-11 식품저장장치, 식품저장장치의 제어시스템, 및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657A KR102201413B1 (ko) 2013-12-11 2013-12-11 식품저장장치, 식품저장장치의 제어시스템, 및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986A KR20150067986A (ko) 2015-06-19
KR102201413B1 true KR102201413B1 (ko) 2021-01-12

Family

ID=5351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657A KR102201413B1 (ko) 2013-12-11 2013-12-11 식품저장장치, 식품저장장치의 제어시스템, 및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4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909Y1 (ko) * 2002-01-24 2002-04-12 박정환 차류 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
JP2002134053A (ja) * 2000-10-25 2002-05-10 Jeol Ltd 極低温試料装着部材傾斜装置、試料ホルダ、および試料ホルダ装着部材
JP2003304977A (ja) * 2002-02-15 2003-10-28 Pfu Ltd 液体収容容器保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864B1 (ko) * 2003-01-22 2006-04-07 한영태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휴대용 가열 장치
KR20050078356A (ko) * 2004-01-29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0772213B1 (ko) * 2005-05-13 2007-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 및 김치냉장고의 열교환수단 구조
KR101314295B1 (ko) * 2011-08-16 2013-10-02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휴대용 냉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4053A (ja) * 2000-10-25 2002-05-10 Jeol Ltd 極低温試料装着部材傾斜装置、試料ホルダ、および試料ホルダ装着部材
KR200271909Y1 (ko) * 2002-01-24 2002-04-12 박정환 차류 공급부를 갖는 냉온수기
JP2003304977A (ja) * 2002-02-15 2003-10-28 Pfu Ltd 液体収容容器保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986A (ko) 201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55603B (zh) 杯架
AU2017220032B2 (en) User interface for a cooking system
CN101909494B (zh) 半自动沏茶器
US20170238751A1 (en) Wirelessly controlled cooking system
US20130200064A1 (en) Heated or cooled dishwasher safe dishware and drinkware
JP2012504439A (ja) 飲料装置のためのユーザフレンドリなインタフェース
US20130220136A1 (en) Tea maker with luminous brewing progress indicator
JP2010507411A (ja) ティーメーカー
ES2763570T3 (es) Estaciones retermalizadoras de inducción tridimensional y sistemas de control
ES2338427T3 (es) Maquina de cafe y procedimiento de preparacion de cafe.
KR20110136293A (ko) 음료 온도 표시형 텀블러
ES2527148B1 (es) Dispositivo de campo de cocción
US10364989B2 (en) Range hood, stove and cooker integrated control system
KR102201413B1 (ko) 식품저장장치, 식품저장장치의 제어시스템, 및 식품저장장치의 사용방법
EP2854610B1 (en) Automatic food preparation device
KR101685880B1 (ko) 물 배출 장치
KR101808183B1 (ko) 전기레인지
KR101516363B1 (ko) 조리기기
US20050035109A1 (en) Keep&#39;N&#34;heat
KR100966294B1 (ko) 음료수 정량 공급용 회전 테이블장치
KR102123679B1 (ko) 전기밥솥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399424B1 (ko) 조리기기
JP2018067413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753719B1 (ko) 라면조리포트
CN210055617U (zh) 一种温感识别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