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372Y1 - 냉·온 정수기 - Google Patents

냉·온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372Y1
KR200443372Y1 KR2020070010306U KR20070010306U KR200443372Y1 KR 200443372 Y1 KR200443372 Y1 KR 200443372Y1 KR 2020070010306 U KR2020070010306 U KR 2020070010306U KR 20070010306 U KR20070010306 U KR 20070010306U KR 200443372 Y1 KR200443372 Y1 KR 2004433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ter
main body
hot water
c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6558U (ko
Inventor
고석배
Original Assignee
고석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석배 filed Critical 고석배
Priority to KR20200700103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372Y1/ko
Publication of KR200800065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5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3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3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온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20); 본체(20)의 전방에 설치되는 개수대(30); 본체(20)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냉·온수콕(40a,40b); 본체(20)에 설치되는 냉·온수버튼(50a,50b); 개수대(30)에 설치되는 상향분출형 보조콕(60); 본체(20)에 설치되는 하향분출형 정수콕(70); 본체(20)에 설치되는 표시램프(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냉·온 정수기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체, 개수대, 냉수콕, 냉수버튼, 보조콕, 표시램프

Description

냉·온 정수기 {COLD AND WARMTH WATER PURIFI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를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표시램프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물통살균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취수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본체 22 : 배수구
24 : 급수구 26 : 공기배출구
30 : 개수대 40a : 냉수콕
40b : 온수콕 50a : 냉수버튼
50b : 온수버튼 60 : 보조콕
70 : 정수콕 80 : 표시램프
90 : 물통살균기
본 고안은 냉·온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과정을 거친 냉수 및 온수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냉·온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 정수기는 물리적·화학적 과정을 거쳐 물을 깨끗하게 거르는 기구로서, 그 형태로 분류하면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하는 직결형 및 물을 용기에 담아서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는 저장형이 있다. 그리고 정수원리나 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자연여과식·직결여과식·이온교환수지식·증류식·역삼투압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냉·온 정수기는 학교나 회사, 공공시설이나 단체급수시설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냉·온 정수기는 본체; 본체에 설치되어, 정수과정을 거친 냉수를 제공하는 냉수콕; 본체에 설치되어, 정수과정을 거친 온수를 제공하는 온수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의 내부에는 정수된 냉수 및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유닛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냉·온 정수기는 냉수콕 및 온수콕이 하향분출형 구조를 가짐은 물론이고 그 설치위치적 한계로 항상 컵을 이용하여 물을 마시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컵이 비치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작업으로 인해 사용자의 손이 지저분하여 컵을 직접적으로 잡기가 어려운 상황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물을 마시는 데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냉수 및 온수 상태가 아닌 일반적인 정수만을 공급하기 위한 콕이 별도로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작업자가 현장에 가져갈 물통에는 물의 보관상태를 장기적으로 차갑게 유지하기 위하여 얼음을 넣으므로 구태여 냉각수단을 가동하여 제공되는 냉수를 저장할 필요가 없으며, 냉수 및 온수가 아닌 일반적인 정수를 마시기 위해서는 냉수 및 온수를 섞어 물의 온도를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위생적 측면을 고려하여 냉·온 정수기에 인접하여 컵 살균기가 비치되어 있으나, 물통 등과 같은 저장용기를 순간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장치는 구비되어 있지 않다.
한편, 냉·온 정수기가 외부에 설치될 경우에는 외부환경에 의해 동파될 가능성이 있으며, 외부에서 냉·온 정수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컵 없이도 물의 음용이 용이할 뿐 아니라 냉·온수 외 정수만을 별도로 제공할 수 있는 냉·온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는 개수대; 상기 본체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냉수 및 온수를 개별적으로 제공하는 냉·온수콕;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냉·온수콕을 통해 제공되는 냉·온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냉·온수버튼; 상기 개수대에 설치되는 상향분출형 보조콕;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정수과정만 거친 물을 별도로 제공하는 하향분출형 정수콕;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냉·온수 및 살균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물통살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후방에는 급수구 및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측방 및 후방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는 본체(20); 본체(20)에 설치되는 개수대(30); 본체(20)에 설치되는 냉·온수콕(40a,40b); 본체(20)에 설치되는 냉·온수버튼(50a,50b); 개수대(30)에 설치되는 보조콕(60); 본체(20)에 설치되는 정수콕(70); 본체(20)에 설치되는 표시램프(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20)의 후방에는 일정의 크기 및 형상을 지닌 급수구(22) 및 배수구(24)가 형성되어 있다. 급수구(22)는 수돗물과 같은 원수를 본체(20)의 내부로 급수하기 위한 것이고, 배수구(24)는 개수대(3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것이다.
본체(20)의 내부에는 원수를 정수시켜 냉수 및 온수로 변환시키기 위한 각종 유닛(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예컨대, 본체(20)의 내부에는 압축기, 응축기, 정수필터, 냉수통, 온수통, 동파방지히터, 온도조절기, 밸브 등 정수에 필요한 각종 유닛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20) 내부의 각종 유닛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기술적 핵심과 다소 거리가 있는 공지된 기술의 일부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체(20)의 일측에 컵 살균기를 연결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개수대(30)는 본체(20)의 전방 하부에 위치하며, 개수대(30)에는 물통받침부(32)가 마련되어 있다. 물통받침부(32)는 정수콕(7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 어 있다.
냉수콕(40a)은 하향분출형 구조를 가지고 본체(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정수과정을 거친 냉수를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온수콕(40b)은 하향분출형 구조를 가지고 본체(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정수과정을 거친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냉수콕(40a) 및 온수콕(40b)은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설치위치 및 개수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냉수버튼(50a) 및 온수버튼(50b)은 냉·온수콕(40a,40b)의 상부영역에 위치하여, 냉·온수콕(40a,40b)을 통해 제공되는 냉·온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냉수버튼(50a)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는 냉수콕(40a)을 통해 냉수가 제공되고, 온수버튼(50b)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는 온수콕(40b)을 통해 온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냉·온 정수기는 냉·온수버튼(50a,50b)의 누름/누름해제 동작에 의해 냉수 및 온수가 구분 제공되어, 회전동작에 의해 개폐되는 종래의 회전식 밸브에 비해 조작이 간편함은 물론이고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냉수버튼(50a) 및 온수버튼(50b)의 형성위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보조콕(60)은 물이 상향으로 솟구치는 상향분출식 구조를 가진다. 이는, 컵 이 비치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작업으로 인해 사용자의 손에 지저분하여 컵을 직접적으로 잡기 어려운 상황일 경우 사용자가 입으로 물을 직접 취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콕(60)을 통해서는 통상적으로 냉수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조콕(60)의 배출구(61) 상에는 커버부재(65)가 마련된다. 커버부재(65)는 커버지지대(63); 커버지지대(63)에 힌지 결합되어, 보조콕(60)의 배출구(61)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커버(64)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보조콕(60)의 사용시에는 배출구(61)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커버(64)가 순간적으로 개방되고, 보조콕(60)의 미사용시에는 커버(64)가 자중에 의해 배출구(61)를 폐쇄하여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지지대(63)는 보조콕(60)에 지지되며, 커버(64)의 후방에는 회전제한돌기(64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회전제한돌기(64a)는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한 커버(64)의 개방시 커버지지대(63)에 접촉되어 커버(64)가 후방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하여 물의 압력이 제거되면 커버(64)가 자중에 의해 보조콕(60)의 배출구(61)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정수콕(70)은 냉각 또는 가열과정을 거치지 않고 정수과정만 거친 물만 별도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냉수 및 온수를 사용할 필요가 없거나 또는 적절한 온도 의 물을 마시고 싶을 때 사용된다.
정수콕(70)은 회전식 밸브 구조를 지니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버튼식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표시램프(80)는 물의 상태를 표시하여 외부에서 즉시 확인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램프(80)는 냉수표시램프(82)와 온수표시램프(84) 및 살균표시램프(86)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그 각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즉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냉수가 제공될 때에는 냉수표시램프(82)가 발광하고, 온수가 제공될 때에는 온수표시램프(84)가 발광하고, 살균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을 때에는 살균표시램프(86)가 발광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의 외측에는 물통살균기(90)가 구비되어, 정수콕(70)을 통해 정수를 공급받기 전에 물통을 일차적으로 순간 살균하여 위생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물통살균기(90)는 착탈식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통살균기(90)는 물통(96)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케이싱(92); 케이싱(92)의 내부에 마련되어, 물통(96)을 순각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장형의 살균램프(94)를 포함한다.
물통살균기(90)로는 물통(96)과 같은 형태의 저장용기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살균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물통살균기(90)는 물통(96) 내부의 물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개구부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미설명 도면부호 26은 공기의 원활한 배출을 위한 공기배출구를 지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취수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먼저, 본체(20)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급수구(22)를 통해 본체(20)의 내부로 유입된 원수는 정수필터(27)를 통해 정수과정을 거친 후, 냉수통(28) 및 온수통(29)으로 공급된다.
이 때, 정수필터(27)를 거친 원수 중 일부는 하향분출형 정수콕(70)으로 직접 공급된다.
냉수통(28) 및 온수통(29)으로 공급된 정수는 냉각유닛 및 가열유닛에 의해 냉수 및 온수로 변환되어, 냉수는 냉수콕(40a) 및 보조콕(60)으로 제공됨과 아울러 온수는 온수콕(40b)으로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보조콕을 통해 별도의 컵 없이도 정수된 냉수를 간편하게 마실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정수콕을 이용하여 가열 또는 냉각과정을 거치지 않고 정수과정만 거친 정수를 마시거나 물통에 저장할 수 있 다.
그로 인해, 냉·온 정수기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물통살균기를 통해 물통을 살균 처리 가능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는 개수대;
    상기 본체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냉수 및 온수를 개별적으로 제공하는 냉·온수콕;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냉·온수콕을 통해 제공되는 냉·온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냉·온수버튼;
    상기 개수대에 설치되는 상향분출형 보조콕;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정수과정만 거친 물을 별도로 제공하는 하향분출형 정수콕;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냉·온수 및 살균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램프;
    상기 본체의 외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물통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어 물통을 순간적으로 살균하는 장형의 살균램프를 갖는 물통살균기;
    상기 보조콕 상에 마련되며, 상기 보조콕에 지지되는 커버지지대 및 상기 커버지지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보조콕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커버를 갖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후방에는 상기 보조콕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한 상기 커버의 개방시 상기 커버지지대에 접촉되어 상기 커버가 후방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하는 회전제한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
  2. 삭제
  3. 삭제
KR2020070010306U 2007-06-22 2007-06-22 냉·온 정수기 KR2004433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306U KR200443372Y1 (ko) 2007-06-22 2007-06-22 냉·온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306U KR200443372Y1 (ko) 2007-06-22 2007-06-22 냉·온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558U KR20080006558U (ko) 2008-12-26
KR200443372Y1 true KR200443372Y1 (ko) 2009-02-06

Family

ID=41346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306U KR200443372Y1 (ko) 2007-06-22 2007-06-22 냉·온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37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071B1 (ko) * 2009-03-09 2009-08-21 문수진 자동담힘도어를 구비한 정수기용 부스
KR20110026106A (ko) * 2009-09-07 2011-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122671B1 (ko) 2009-12-28 2012-03-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이온 정수기의 출수장치
CN103657224A (zh) * 2012-09-17 2014-03-26 Lg电子株式会社 净水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071B1 (ko) * 2009-03-09 2009-08-21 문수진 자동담힘도어를 구비한 정수기용 부스
KR20110026106A (ko) * 2009-09-07 2011-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633929B1 (ko) 2009-09-07 2016-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122671B1 (ko) 2009-12-28 2012-03-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이온 정수기의 출수장치
CN103657224A (zh) * 2012-09-17 2014-03-26 Lg电子株式会社 净水器
KR101430495B1 (ko) 2012-09-17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N103657224B (zh) * 2012-09-17 2015-12-02 Lg电子株式会社 净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558U (ko) 200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860B1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443372Y1 (ko) 냉·온 정수기
KR20040057887A (ko) 냉온수기의 살균장치
KR10162761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KR100993891B1 (ko) 정수기
KR101556176B1 (ko)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17922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 취수 및 정수통의 살균장치
KR101378848B1 (ko) 대용량 정수기
KR200420880Y1 (ko) 세척수관을 가지는 정수기
JP2741346B2 (ja) 公営水道オンライン式ミネラル水自動販売装置及びそのミネラル水の出水方法
KR100666555B1 (ko)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순환작동방법
JP5359359B2 (ja) 給湯装置
JP2677211B2 (ja) 浄水器付き電気貯湯容器
KR20070030153A (ko) 제습기를 구비한 정수기
KR200230320Y1 (ko) 냉온수기
KR20120047139A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KR100804772B1 (ko) 미온수 유출부를 포함하는 음수공급장치
JPH10235337A (ja) 水分配機
KR950001016Y1 (ko) 온냉수 겸용 정수기
KR100824078B1 (ko) 정수기
JP3531617B2 (ja) 浄水給湯装置
JP3578031B2 (ja) 電気貯湯容器
JP2001336825A (ja) 給湯装置
KR20090011523U (ko) 초음파 가습기와 공기정화기가 일체로 된 정수기
JPH09290252A (ja) 逆滲透冷・温浄水器の浄水及び循環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