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4078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078B1
KR100824078B1 KR1020070039657A KR20070039657A KR100824078B1 KR 100824078 B1 KR100824078 B1 KR 100824078B1 KR 1020070039657 A KR1020070039657 A KR 1020070039657A KR 20070039657 A KR20070039657 A KR 20070039657A KR 100824078 B1 KR100824078 B1 KR 100824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purified water
hol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창
서규섭
Original Assignee
김영창
서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창, 서규섭 filed Critical 김영창
Priority to KR1020070039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수관을 통해 하우징 내부로 공급된 물이 직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필터로 정수되면, 정수된 물을 온수통에서 가열하여 온수콕크로 배출하거나 냉각장치로 냉각하여 냉수콕크로 배출시키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필터 중 최종 정수된 물을 배출하는 필터의 배출관에 연결되며, 정수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서로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되어 온수통과 냉수콕크와 연결된 다수 개의 정수통과; 상기 필터와 정수통을 수용하며, 냉각장치에 의해 필터와 정수통에 저장되는 물이 냉각될 수 있게 하는 냉각통을 포함한다.
따라서,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냉수통을 배제함과 동시에 다수 개의 필터와 연결된 다수 개의 정수통으로 냉수통을 대체하여 이들 필터와 정수통을 냉각시키며, 정수통에는 항균처리된 교체용 위생팩이 설치되어 교체주기마다 정수통이나 위생팩이 교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세균의 번식의 온상인 냉수통의 사용을 배제시킴으로써, 좀 더 위생적으로 정수된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purifier}
도 1은 종래 정수기의 전체 구조를 개략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전체 구조를 개략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통에 필터와 정수통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통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통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통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정수기 102 : 원수관
103 : 하우징 104 : 필터
105 : 온수통 106 : 온수콕크
107 : 냉각장치 108 : 냉수콕크
109 : 정수통 110 : 냉각통
111 : 제1나사부 112 : 제1몸체
113 : 제1통공 114, 115 : 제1상, 하부 캡
116 : 제1몸부 117 : 제1입출수관
118 : 제1위생팩 119 : 제1통기공
120 : 제1체결부 121 : 제1걸림턱
122 : 제1누수방지관 123 : 제1누수방지구
130 : 제2위생팩 133 : 통기관
134 : 제3체결부 135 : 제2걸림턱
136 : 제2누수방지관 137 : 제2누수방지구
140 : 제3몸체 141 : 제3상부 캡
142 : 제3통공 143 : 제3하부 캡
144 : 제3몸부 145 : 제3입출수관
146 : 제3위생팩 147 : 제3통기공
148 : 제4체결부 149 : 제3걸림턱
150 : 제3누수방지관 151 : 제3누수방지구
152 : 호스연결구 153 : 호스
154 : 통기보조관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냉수통을 배제함과 동시에 다수 개의 필터와 연결된 다수 개의 정수통으로 냉수통을 대체하여 이들 필터와 정수통을 냉각시키며, 정수통에는 항균처리된 교체용 위생팩이 설치되 어 교체주기 마다 교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세균의 번식의 온상인 냉수통의 사용을 배제시킴으로써, 좀 더 위생적으로 정수된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도전에서 원수를 공급받으면, 직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필터를 통해 찌꺼기 등의 각종 부유 물질과 활성탄의 흡착방식을 이용하여 발암물질(THM), 합성세제, 살충제 등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과 염소성분 등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납, 비소와 같은 중금속, 나트륨, 박테리아, 바이러스, 방사성 물질 등을 걸러주며 불쾌한 맛과 냄새, 색소 등도 제거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깨끗한 물 또는 각종 유해환경에 노출된 물을 안전한 상태에서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정수기의 정수과정을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수관(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직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필터(2)를 경유하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각종 유해물이 걸러진 상태로 정수된 물만 냉수통(3)으로 공급되어 저수된다.
상기한 냉수통(3)에 저수되는 정수된 물은 일정 온도 이하에서 저수되는 바, 도 1에 도시된 냉수통(3) 외경면에 설치된 에바포레터(4)는 콤프레셔(5)를 통해 순환되는 냉매가 냉수통(3)에 저수된 물과 열교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냉각장치는 정수기(10)에서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냉각장치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냉수를 마시고자 한다면, 냉수통(3)에 결합된 냉수관(6) 및 냉수관(6) 끝단에 결합되며 정수기(10)의 하우징(7)에서 노출되도록 설치된 냉수코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음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온수는 냉수통(3)에서 온수관(8)을 통하여 온수통(9)으로 공급된 물이 온수통(9)에서 히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열되고, 온수통(9)에서 하우징(7)에서 노출되도록 설치된 온수콕크(도시하지 않음)와 온수인출관(11)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온수콕크를 사용하여 온수통(9)의 온수를 사용 또는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정수기(10)의 정수과정은 각 정수기에 따라 각각 채택한 정수방법에 의하여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냉수통(3)에 저장되는 물을 저온상태로 유지시키는 방법도 각 정수기에 따라 각각 채택한 냉각장치에 의하여 다를 수 있지만,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정수된 물과 저온보관되는 물은 냉수통(3)이라는 공통적인 구성요소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종래의 정수기(10)는 냉수통(3)이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금속재로 성형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냉수통(3)을 뚜껑(12)으로 폐쇄한다 하더라도 틈새나 통기공(13)으로 공기 중에 직접 노출될 수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공기 중의 세균이 냉수통(3)에 저수된 정수된 물에 스며들어 급속도로 세균번식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정수기(10)의 냉수통(3)의 세균을 살균소독시켜야 함은 물론 청결한 상태를 유지시켜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정수기를 청소하거나 살균소독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 고 자칫 청소를 잘못할 경우 오히려 세균이 더욱 번식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한 청소와 살균소독은 정수기 제조회사 또는 전문적으로 정수기를 청소 또는 살균소독하는 업체에 의뢰하여야만 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정수기는 냉수통(3)이 온갖 세균이 번식하는 장소이며, 이를 해결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세균이 번식된 물을 마실 수밖에 없으므로 결국, 정수기(10)가 국민건강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닌 국민건강을 해하는 장비로 전락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라는 것이 전문 청소업체에 정수기(10)의 청소 및 살균소독을 의뢰하는 것인데, 이러한 정수기(10)의 청소는 전문가에 의해 시행되는 것이 대부분이고, 대부분이 일정 금액을 그 대가로 지불하고 있기 때문에 유지관리비용이 지속적으로 지출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은 일반 서민의 정수기 사용을 억제하게 한다는 또 다른 문제점으로 파생되고 있어 국민의 건강위생에 심각한 위협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냉수통의 사용을 배제시키고, 필터에서 정수된 물이 유해물질이 방출되지 않고, 항균처리된 NON-PVC 계열의 비닐수지로 이루어진 위생적인 용기에 저수될 수 있도록 하고, 교체주기마다 정수통이나 용기가 교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세균번식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필터와 용기의 물이 모두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되게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원수관(102)을 통해 하우징(103) 내부로 공급된 물이 직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필터(104)로 정수되면, 정수된 물을 온수통(105)에서 가열하여 온수콕크(106)로 배출하거나 냉각장치(107)로 냉각하여 냉수콕크(108)로 배출시키는 정수기(101)에 있어서, 상기 필터(104) 중 최종 정수된 물을 배출하는 필터(104)의 배출관(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며, 정수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서로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되어 온수통(105)과 냉수콕크(108)와 연결된 다수 개의 정수통(109)과; 상기 필터(104)와 정수통(109)을 수용하며, 냉각장치(107)에 의해 필터(104)와 정수통(109)에 저장되는 물이 냉각될 수 있게 하는 냉각통(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101)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정수통(109)은, 상, 하부 외경에 제1나사부(111)가 형성된 원통형 제1몸체(112)와; 상기 제1몸체(112)의 제1나사부(111)에 체결되어 제1몸체(112)의 상, 하단을 각각 폐쇄하며, 각각 제1통공(113)이 형성된 제1하부 캡(115)과; 상기 제1몸체(112)에 삽입되며, 정수된 물을 저장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1몸부(116)의 상, 하단에 형성된 제1입출수관(117)이 제1하부 캡(115)의 제1통공(113)으로 관통되는 제1위생팩(118)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상부 캡(114)에 관통형성되어 제1몸체(112) 내부로 외기가 소통되게 하는 제1통기공(119)과; 상기 제1통기공(119)이 형성된 제1상부 캡(114) 저면에 돌출성형된 제1체결부(120)에 체결되며, 하단에 다수 개의 제1걸림턱(121)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1누수방지관(122)과; 상기 제1누수방지관(122)에 삽입되 며 부력에 의해 승강하여 제1통기공(119) 하단을 폐쇄하도록 된 제1누수방지구(123)와; 상기 제1누수방지관(122) 외경의 소정위치에서 내측으로 관통형성되어 제1누수방지구(123)의 승강을 보조하도록 된 제1승강보조공(122a)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정수통(109)은, 하부 외경에 제2나사부(124)가 형성되며, 상단이 폐쇄되고, 하단이 개방된 원통형 제2몸체(125)와; 상기 제2몸체(125)의 제2나사부(124)에 체결되어 제2몸체(125)의 하단을 폐쇄하며, 제2통공(126)이 형성된 제2하부 캡(127)과; 상기 제2몸체(125)에 삽입되며, 정수된 물을 저장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2몸부(128)의 하단에 형성된 제2입출수관(129)이 제2하부 캡(127)의 제2통공(126)으로 관통되는 NON-PVC 비닐수지로 성형된 제2위생팩(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하부 캡(127)에 관통형성되어 제2몸체(125)의 내부로 외기가 소통되게 하는 제2통기공(131)과; 상기 제2통기공(131)이 형성된 제2하부 캡(127) 내측면에 돌출성형된 제2체결부(132)에 체결되며, 제2몸부(128)의 내측 상단까지 연장되며, 상단이 '∩'자 형으로 성형된 통기관(133)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통기관(133)은, 통기관(133)의 상단에 형성된 제3체결부(134)에 체결되며, 하단에 다수 개의 제2걸림턱(135)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2누수방지관(136)과; 상기 제2누수방지관(136)에 삽입되며 부력에 의해 승강하여 통기관(133)을 폐쇄하도록 된 제2누수방지구(137)와; 상기 제2누수방지관(136) 외경의 소정위치에서 내측으로 관통형성되어 제2누수방지구(137) 승강을 보조하도록 된 제2승강보조공(136a)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정수통(109)은, 상, 하부 외경에 제3나사부(139)가 형성된 원통형 제3몸체(140)와; 상기 제3몸체(140)의 상부 제3나사부(139)에 체결되어 제3몸체(140)의 상단을 폐쇄하는 제3상부 캡(141)과; 상기 제3몸체(140)의 하부 제3나사부(139)에 체결되어 제3몸체(140)의 하단을 폐쇄하며, 제3통공(142)이 형성된 제3하부 캡(143)과; 상기 제3몸체(140)에 삽입되며, 정수된 물을 저장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3몸부(144)의 하단에 형성된 제3입출수관(145)이 제3하부 캡(143)의 제3통공(142)으로 관통되는 NON-PVC 비닐수지로 성형된 제3위생팩(14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상부 캡(141)에 관통형성되어 제3몸체(140) 내부로 외기가 소통되게 하는 제3통기공(147)과; 상기 제3통기공(147)이 형성된 제3상부 캡(141) 내측 저면에 돌출성형된 제4체결부(148)에 체결되며, 하단에 다수 개의 제3걸림턱(149)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3누수방지관(150)과; 상기 제3누수방지관(150)에 삽입되며 부력에 의해 승강하여 제3통기공(147) 하단을 폐쇄하도록 된 제3누수방지구(151)와; 상기 제3누수방지관(150) 외경의 소정위치에서 내측으로 관통형성되어 제3누수방지구(151)의 승강을 보조하도록 된 제3승강보조공(150a)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1)는, 원수관(102)을 통해 하우징(103) 내부로 물이 공급되며, 공급된 물이 직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필터(104)를 경유하면서 정수되고, 냉각장치(107)에 의해 냉각된 정수된 물 중 일부는 냉수콕크(108)로 배출되고, 일부는 온수통(105)에서 가열되어 온수콕크(106)로 배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04)에서 정수된 물이 병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정수통(109)에 저수되는 바, 상기 정수통(109)은 필터(104) 케이스와 유사한 형태로 된 것으로, 하나의 정수통(109)에는 각각 하나의 위생팩(118)(130)(146)이 내장된다.
즉, 상기 직렬로 연결된 필터(104) 중 마지막 필터(104)의 배출관(도시하지 않음)에는 어느 하나의 정수통(109)이 직렬로 연결되고, 필터(104)와 직렬로 연결된 정수통(109)은 다른 정수통(109)들과 병렬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 개의 정수통(109)의 병렬구성은, 정수통(109)에 내장된 위생팩의 입출수관(117)(129)(145)이 정수통(109)의 상, 하단으로 관통되면, 이 입출수관(117)(129)(145)이 다수 개의 필터(104)를 직렬로 연결할 때 사용되던 통상의 'ㄱ' 또는 'T'자형 원터치식 호스연결구(152)에 연결되고, 이 원터치식 호스연결구(152)에 의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정수통(109)가 병렬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한 원터치식 호스연결구(152)는, 호스(153)를 끼우면 내측에서 고정조(도시하지 않음)가 호스(153)의 외경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역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통상의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원터치식 호스연결구(152)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필터(104)와 정수통(109)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통(110)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냉각통(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장치(107)에 의하여 냉각통(110) 내부를 일정온도 이하로 강하시켜 필터(104)와 정수통(109)의 물이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냉각장치(107)는 콤프레셔와 에바포레터, 콘덴서 및 냉열반도체 등을 이용한 냉각장치(107)일 수도 있는 것으로 냉각방법에 따라 그 구성요소가 다양하게 채택변경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상기한 냉각장치(107)의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냉각통(110)에 수용되며, 필터(104)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호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는 정수통(109)의 구조를 제1, 제2, 제3실시예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정수통(109)의 제1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제1몸체(112)의 상, 하부 외경에 제1나사부(111)가 형성되고, 이 제1나사부(111)에는 제1상, 하부 캡(1140(115)을 체결시켜 제1몸체(112)의 상, 하단이 폐쇄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하부 캡(115)에는 각각 제1통공(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통형 제1몸체(112)의 내부에는 NON-PVC 계열 비닐수지로 성형되어 항균처리된 제1위생팩(118)이 수용되는 바, 상기 제1위생팩(118)의 상, 하단에는 각각 제1입출수 관(117)이 일체로 성형되어 상단 제1입출수관(117)은 제1상부 캡(114)의 제1통공(113)으로 관통되고, 하단 제1입출수관(117)은 제1하부 캡(115)의 제1통공(113)으로 관통된다.
따라서, 상기 제1하부 캡(115)으로 관통된 제1위생팩(118)의 제1입출수관(117)은 필터(104)의 배출관으로부터 연결되는 호스(153)와 원터치식 호스연결구(152)(이하, 연결구라 함)에 서로 연결되어 직렬구성되거나, 또는 다른 정수통(109)의 제1하부 캡(115)으로 관통된 제1위생팩(118)의 제1입출수관(117)과 병렬연결된다.
이때, 상기 어느 하나의 정수통(109) 제1입출수관(117)과 다른 하나의 정수통(109) 제1입출수관(117)의 연결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153) 및 연결구(150)에 의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수통(109)의 제1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부 캡(114)에 제1통기공(119)을 관통형성하여 제1몸체(112) 내부가 외기와 소통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제1위생팩(118)에 저장된 물의 입출수가 용이하게 하는 바, 상기 제1통기공(119)이 형성된 제1상부 캡(114) 저면에는 제1체결부(120)를 돌출성형하고, 하단에 다수 개의 제1걸림턱(121)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1누수방지관(122)의 상부가 제1체결부(12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되, 제1누수방지관(122)에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성형된 제1누수방지구(123)를 삽입한다.
따라서, 상기 제1누수방지관(122)에 삽입된 제1누수방지구(123)가 하단 제1걸림턱(121)에 내려와있을 경우에는 제1걸림턱(121)들 사이에 형성된 홈사이로 외 부의 공기가 제1몸체(1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위생팩(118)에서 누수가 발생하여 제1몸체(112) 내부에 물이 차올라 수면이 높아짐에 따라 제1누수방지구(123)가 부력에 의하여 떠오르면 제1누수방지구(123)가 제1체결부(120)를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위생팩(118)에서 누수되는 물이 제1몸체(112)를 완전히 충진하게 되면 누수되는 물이 제1몸체(112)의 밖으로 더 이상 누출되지 않기 때문에 제1위생팩(118)에서의 누수현상도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누수방지관(122)의 외경의 소정위치,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누수방지구(123)가 제1걸림턱(121)까지 하강하여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누수방지구(123)보다 높은 위치(도면상에서는 제1누수방지관(122)의 상하길이의 가운데로부터 그 상부로 편중된 위치)에 제1승강보조공(122a)을 내측으로 관통되게 성형한다.
즉, 상기 제1위생팩(118)에 수용된 물이 배출될 때, 대기압이 제1위생팩(188)에 원활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승강보조공(122a)를 제1누수방지구(123)의 상부에 성형함으로써, 상기 제1누수방지구(123)의 크기가 제1누수방지관(122)의 내경면에 비교적 근접될 수 있는 크기로 성형되기 때문에 자칫 제1누수방지관(122)의 내경면에 밀착되면, 대기압이 제1몸체(112)로 원활하게 작용되지 않을 때에도 제1몸체(112)의 외부의 대기압이 제1통기공(119)과 제1승강보조공(122a)를 통하여 제1몸체(112)의 내부 수용공간에 작용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수통(109)의 제2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폐쇄된 하부 개방형으로 성형된 원통형 제2몸체(125)의 하부 외경에 제2나사부(124)를 형성하고, 제2몸체(125)의 제2나사부(124)에 제2통공(126)이 형성된 제2하부 캡(127)을 체결하여 제2몸체(125)의 하단이 폐쇄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125)에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NON-PVC 비닐수지로 성형되고 항균처리되며, 정수된 물을 저장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위생팩(130)을 내장시키는 바, 상기 제2위생팩(130)은 제2몸부(128)의 하단에 제2입출수관(129)만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제2입출수관(129)을 통하여 제2몸부(128) 내부로 정수된 물을 저장시킴과 더불어 배출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위생팩(130)의 제2입출수관(129)은 제2하부 캡(127)에 형성된 제2통공(126)으로 관통되어 제1실시예와 같이 필터(104) 또는 다른 정수통(109)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하부 캡(127)에는 제2통기공(131)을 관통형성하여 제2몸체(125)의 내부로 외기가 소통될 수 있게 하되, 상기 제2통기공(131)이 형성된 제2하부 캡(127) 내측면에는 제2체결부(132)를 돌출성형하여 제2몸부(128)의 내측 상단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통기관(133)이 체결되도록 하고, 제2몸체(125)의 외측 공기가 제2위생팩(130)이 수용된 제2몸체(125)의 상단으로 소통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제2입출수관(129)을 통하여 보다 용이하게 입출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통기관(133)의 상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형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그 끝단(하단)에는 제3체결부(134)가 형성되어 제2누수방지관(136)이 체결되게 한다.
상기 제2누수방지관(136)은 하단에 다수 개의 제2걸림턱(135)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성형된 제2누수방지구(137)를 삽입하여 제1실시예의 제1누수방지관(122)와 동일한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물의 역류와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2누수방지관(136)에도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승강보조공(136a)를 성형하여 대기압의 제2몸체(125)의 내측으로 작용되게 하며, 제2누수방지관(136)과 제2승강보조공(136a)의 작용효과는 제1실시예의 제1누수방지관(122)과 제1승강보조공(122a)와 동일하므로 이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수통(109)의 제3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 외경에 제3나사부(139)가 형성된 원통형 제3몸체(140)에는 제3상, 하부 캡(141)(143)을 체결시켜 제3몸체(140)의 상, 하단을 폐쇄하는 바, 상기 제3하부 캡에는 제3통공(1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몸체(140)에도 제1,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제3몸부(144)를 가지는 제3위생팩(146)이 수용되는 바, 상기 제3위생팩(146)의 제3몸부(144) 하단에는 제3입출수관(145)을 일체로 형성하여 도 6과 같이 제3하부 캡(143)의 제3통공(142)으로 관통되게 한다.
한편, 상기 제3상부 캡(141)에는 제3몸체(140)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소통되게 할 수 있도록 제3통기공(147)을 형성하고, 상기 제3통기공(147)이 형성된 제3상 부 캡(141) 내측 저면에는 제4체결부(148)를 돌출성형하여 하단에 다수 개의 제3걸림턱(149)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3누수방지관(150)의 상단이 체결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3누수방지관(150)에는 부력에 의해 승강하는 제3누수방지구(151)가 삽입되게 하여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제3누수방지구(151)가 제3걸림턱(149)에 내려와 있을 때는, 제3걸림턱(149)사이의 홈으로 외부의 공기가 소통될 수 있게 하고, 제3위생팩(146)에서 누수가 발생하여 제3몸체(140) 내부의 수위가 높아지면서 제3누수방지구(151)가 떠오르면, 제3누수방지구(151)가 제4체결부(148)의 하단에 밀착되어 제3통기공(147)을 폐쇄하게 함으로써, 제3위생팩(146)에서 누수된 물이 제3몸체(140) 내부를 완전히 충진하면 더 이상 제3위생팩(146)으로부터 물이 누수되지 않게 한다.
한편, 상기 제3실시예의 제3누수방지관(150)의 외경에도 제1실시예의 제1누수방지관(122)에 형성된 제1승강보조공(122a)와 같은 제3승강보조공(150a)를 성형하여 제3몸체(140) 외부의 대기압이 제3몸체(140)내부로 작용될 수 있게 하는 바, 그 작용효과는 제1,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체 가능한 정수통(109)은 다양한 실시예들로 제시될 수 있는 바, 각 정수통(109)에는 교체가능한 위생팩(118)(130)(146)을 내장시키고, 이 위생팩(또는 정수통(109)을)을 서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냉수콕크(108) 또는 온수콕크(106)에서 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 수압이 보강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물이 배출될 수 있게 한 것이다.
한편, 도 4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통기공(119), 제3통기 공(147)에는 공기필터(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된 통기보조관(154)을 삽입하여 제1통기공(119), 제3통기공(147)으로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인 정수통(109)의 제1통기공(119)와 제3실시예인 정수통(109)의 제3통기공(147)은 도 4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개방형으로 형성되므로, 이 제1통기공(119), 제3통기공(147)을 통하여 이물질이 제1몸체(112) 또는 제3몸체(140)으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가 내장된 통기보조관(154)를 제1통기공(119), 제3통기공(147)에 끼움결합시킴으로써 정수통(109)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종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장소인 냉수통을 교체 가능한 다수 개의 정수통으로 대치시키고, 이 정수통에는 교체가 용이하며, 항균처리된 위생팩이 내장되도록 함으로써, 세균번식을 억제함은 물론 일정 기간 동안 한번 사용된 위생팩은 새로운 위생팩으로 사용자가 직접 교체할 수 있으므로 세균번식방지 및 청결을 위하여 냉수통을 청소하는 번거로움의 해소와 위생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교체주기마다 항균처리된 위생팩이 내장된 정수통 자체를 새것으로 교환함으로써, 더욱 위생적이고 편리한 사용을 이루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8)

  1. 원수관을 통해 하우징 내부로 공급된 물이 직렬로 연결된 다수 개의 필터로 정수되면, 정수된 물을 온수통에서 가열하여 온수콕크로 배출하거나 냉각장치로 냉각하여 냉수콕크로 배출시키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 중 최종 정수된 물을 배출하는 필터의 배출관에 연결되며, 정수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서로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되어 온수통과 냉수콕크와 연결된 다수 개의 정수통과;
    상기 필터와 정수통을 수용하며, 냉각장치에 의해 필터와 정수통에 저장되는 물이 냉각될 수 있게 하는 냉각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통은,
    상, 하부 외경에 제1나사부가 형성된 원통형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제1나사부에 체결되어 제1몸체의 상, 하단을 각각 폐쇄하며, 각각 제1통공이 형성된 제1상, 하부 캡과;
    상기 제1몸체에 삽입되며, 정수된 물을 저장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1몸부의 상, 하단에 형성된 제1입출수관이 제1상, 하부 캡의 제1통공으로 관통되는 제1위생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 캡에 관통형성되어 제1몸체 내부로 외기가 소통되게 하는 제1통기공과;
    상기 제1통기공이 형성된 제1상부 캡 저면에 돌출성형된 제1체결부에 체결되며, 하단에 다수 개의 제1걸림턱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1누수방지관과;
    상기 제1누수방지관에 삽입되며 부력에 의해 승강하여 제1통기공 하단을 폐쇄하도록 된 제1누수방지구와;
    상기 제1누수방지관 외경의 소정위치에서 내측으로 관통형성되어 제1누수방지구 승강을 보조하도록 된 제1승강보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통은,
    하부 외경에 제2나사부가 형성되며, 상단이 폐쇄되고, 하단이 개방된 원통형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제2나사부에 체결되어 제2몸체의 하단을 폐쇄하며, 제2통공이 형성된 제2하부 캡과;
    상기 제2몸체에 삽입되며, 정수된 물을 저장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2몸부의 하단에 형성된 제2입출수관이 제2하부 캡의 제2통공으로 관통되는 제2위생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부 캡에 관통형성되어 제2몸체의 내부로 외기가 소통되게 하는 제2통기공과;
    상기 제2통기공이 형성된 제2하부 캡 내측면에 돌출성형된 제2체결부에 체결되며, 제2몸부의 내측 상단까지 연장되고, 상단이 '∩'자 형으로 성형된 통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관의 상단에 형성된 제3체결부에 체결되며, 하단에 다수 개의 제2걸림턱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2누수방지관과;
    상기 제2누수방지관에 삽입되며 부력에 의해 승강하여 통기관을 폐쇄하도록 된 제2누수방지구와;
    상기 제2누수방지관 외경의 소정위치에서 내측으로 관통형성되어 제2누수방지구 승강을 보조하도록 된 제2승강보조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통은,
    상, 하부 외경에 제3나사부가 형성된 원통형 제3몸체와;
    상기 제3몸체의 상부 제3나사부에 체결되어 제3몸체의 상단을 폐쇄하는 제3 상부 캡과;
    상기 제3몸체의 하부 제3나사부에 체결되어 제3몸체의 하단을 폐쇄하며, 제3통공이 형성된 제3하부 캡과;
    상기 제3몸체에 삽입되며, 정수된 물을 저장하도록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3몸부의 하단에 형성된 제3입출수관이 제3하부 캡의 제3통공으로 관통되는 제3위생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상부 캡에 관통형성되어 제3몸체 내부로 외기가 소통되게 하는 제3통기공과;
    상기 제3통기공이 형성된 제3상부 캡 내측 저면에 돌출성형된 제4체결부에 체결되며, 하단에 다수 개의 제3걸림턱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3누수방지관과;
    상기 제3누수방지관에 삽입되며 부력에 의해 승강하여 제3통기공 하단을 폐쇄하도록 된 제3누수방지구와;
    상기 제3누수방지관 외경의 소정위치에서 내측으로 관통형성되어 제3누수방지구 승강을 보조하도록 된 제3승강보조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070039657A 2007-04-24 2007-04-24 정수기 KR100824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657A KR100824078B1 (ko) 2007-04-24 2007-04-24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657A KR100824078B1 (ko) 2007-04-24 2007-04-24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4078B1 true KR100824078B1 (ko) 2008-04-21

Family

ID=39572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657A KR100824078B1 (ko) 2007-04-24 2007-04-24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0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0467A1 (ko) * 2013-10-21 2015-04-30 노정인 정수기의 누수 방지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0377A (en) 1986-09-11 1989-03-07 Kabushiki Kaisha Iseki Kaihatsu Koki Clarification device
US5741420A (en) * 1996-03-25 1998-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w forming prevention apparatus
KR200230320Y1 (ko) 2001-02-17 2001-07-31 이순원 냉온수기
JP2003305457A (ja) * 2002-03-29 2003-10-28 Woongjin Coway Co Ltd 浄水器の改善構造
JP2004144457A (ja) * 2002-08-30 2004-05-20 Ebara Refrigeration Equipment & Systems Co Ltd 連結式冷温水機の運転台数制御方法及び運転台数制御装置
KR100592714B1 (ko) 2004-05-28 2006-06-26 김태조 난간대용 지주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0377A (en) 1986-09-11 1989-03-07 Kabushiki Kaisha Iseki Kaihatsu Koki Clarification device
US5741420A (en) * 1996-03-25 1998-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w forming prevention apparatus
KR200230320Y1 (ko) 2001-02-17 2001-07-31 이순원 냉온수기
JP2003305457A (ja) * 2002-03-29 2003-10-28 Woongjin Coway Co Ltd 浄水器の改善構造
JP2004144457A (ja) * 2002-08-30 2004-05-20 Ebara Refrigeration Equipment & Systems Co Ltd 連結式冷温水機の運転台数制御方法及び運転台数制御装置
KR100592714B1 (ko) 2004-05-28 2006-06-26 김태조 난간대용 지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0467A1 (ko) * 2013-10-21 2015-04-30 노정인 정수기의 누수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3609C (en) Drinking water pitcher having a removable upper reservoir
KR960704808A (ko) 물병의 물 소독 시스템(bottle water disinfection system)
JP4392021B2 (ja) 水処理装置及び該装置用カートリッジ
KR20170142434A (ko) 정수기
KR100824078B1 (ko) 정수기
KR19980047539U (ko) 정수기의 취수부 살균장치
KR101621869B1 (ko)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KR20110062568A (ko) 살균장치를 가진 정수기
US9963337B2 (en) Tank with an integral filter and beverage dispensing appliance comprising such a tank
US20180050284A1 (en) Capsule intended for a liquid flow comprising an inner casing and an outer unit
KR20080006558U (ko) 냉·온 정수기
KR101198652B1 (ko) 자가 살균 시스템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살균 방법
KR19980069541A (ko) 물분배기의 살균장치
KR20090077460A (ko) 냉온정수기
KR101368425B1 (ko) 수처리장치의 살균수 공급장치
JPH0372992A (ja) 浄水器
CN215327285U (zh) 水路板及净水机
KR101325119B1 (ko) 정수기용 살균 크리닝장치 및 이를 갖는 정수기
KR20110029396A (ko) 정수기
KR20230116298A (ko) 세정용유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조립체
KR20170124217A (ko) 살균수 배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20050097787A (ko) 이온 정수기의 세균제거장치
JPH10235337A (ja) 水分配機
KR101231998B1 (ko) 정수기의 살균장치 및 방법
KR200292155Y1 (ko) 정수기의 도자기 냉수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