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320Y1 - 냉온수기 - Google Patents

냉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320Y1
KR200230320Y1 KR2020010004011U KR20010004011U KR200230320Y1 KR 200230320 Y1 KR200230320 Y1 KR 200230320Y1 KR 2020010004011 U KR2020010004011 U KR 2020010004011U KR 20010004011 U KR20010004011 U KR 20010004011U KR 200230320 Y1 KR200230320 Y1 KR 2002303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purifier
cold
purifier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원
Original Assignee
이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원 filed Critical 이순원
Priority to KR20200100040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3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3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320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물을 정화하는 기능만을 가진 정수기를 본체 상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정수기에서 정화된 물을 가열 및 냉각하므로서 냉온수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공급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와 공급된 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장치가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냉온수를 제공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수도물 유입구와 정화수 유출구가 하부에 형성된 정수기를 수용하기 위해서 본체 상부에 형성되는 정수기 수용공간과;
내부에 저수탱크를 수납하기 위해 상기 정수기 수용공간의 후측에 형성되는 저수탱크 수납공간과;
상기 정수기에서 정화된 일정용량의 물을 저장하며, 정수기에서 공급되는 물이 과공급되는 것을 막기 위한 부력스위치가 내부 상측에 형성되는 저수탱크와;
상기한 부력스위치와 연동하여 정수기로의 수도물 공급을 단속하기 위해서 정수기의 수도물 유입구와 연결되는 공급호스의 도중에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온수기{Hot and Cold Water Dispenser}
본 고안은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도물을 정화하는 기능만을 가진 정수기를 본체 상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정수기에서 정화된 물을 가열 및 냉각하므로서 냉수 및 온수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도꼭지로부터 급수되는 원수를 별도의 여과수단을 통과시킨 후 원수 중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서 순수한 정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가정이나 업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정수기는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 박테리아, 발암물질 등을 분리제거함과 동시에 순수한 물인 용존산소만이 통과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정수기는 수도물을 정수하는 방식에는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및 역삼투압식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정수기를 제조하는 제조회사마다 다양한 디자인과 다양한 방식의 여과방법을 채용한 정수기를 공급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은 미국 암웨이사에서 제작된 모델명 E-8301K 정수기를 도시한도면으로, 도 6은 상기 정수기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단면도이다.
상기 정수기(1)는 케이스(4) 내부에 여과장치(5) 및 제어장치(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장치(5)의 하측에는 수도물 유입구(2)와 정화수 유출구(3)가 돌출형성된다.
상기한 정수기(1)는 수도물 유입구(2)로 공급받은 수도물을 정화장치(5)에서 정화한 후 정화수 유출구(3)로 배수하게 되는 것으로, 가정이나 업소에서 주방의 싱크대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정수기는 물을 정화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뿐, 정화된 물을 냉각하여 냉수를 공급하는 장치 및 정화된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장치가 없어서 사용자가 냉온수를 마시기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물을 데우거나 식혀 사용할 수밖에 없는 없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냉온수장치가 일체로 형성된 정수기가 제공되고 있으나, 냉온수장치가 구비된 정수기는 대체로 고가이기 때문에 일반가정에서는 구입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도물을 정화하는 기능만을 가진 정수기를 본체 상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정수기에서 정화된 물을 가열 및 냉각하므로서 냉온수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냉온수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공급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와 공급된 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장치가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냉온수를 제공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수도물 유입구와 정화수 유출구가 하부에 형성된 정수기를 수용하기 위해서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정수기 수용공간과;
내부에 저수탱크를 수납하기 위해 상기 정수기 수용공간의 후측에 형성되는 저수탱크 수납공간과;
상기 정수기에서 정화된 일정용량의 물을 저장하며, 정수기에서 공급되는 물이 과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력스위치가 내부 상측에 형성되는 저수탱크와;
상기한 부력스위치와 연동하여 정수기로의 수도물 공급을 단속하기 위해서 정수기의 수도물 유입구와 연결되는 공급호스의 도중에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된 냉온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된 냉온수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된 냉온수기의 상부뚜껑 및 정수기가 분리된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정수기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해 정수기 수용공간을 이루는 카세트의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종래의 정수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수기 100 : 냉온수기
21 : 콤퓨레서 22 : 히터
23 : 냉수저장통 24 : 온수저장통
30 : 정수기 수용공간 31 : 카세트
34 : 스톱퍼 35 : 마감판
40 : 저수탱크 수납공간 50 : 저수탱크
51 : 부력스위치 52 : 제1연결호스
60 : 솔레노이드 밸브 61 : 공급호스
이하, 본 고안에 의해 구성된 냉온수기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된 냉온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된 냉온수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된 냉온수기의 상부뚜껑 및 정수기가 착탈된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정수기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해 정수기 수용공간을 이루는 카세트의 사시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은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된 냉온수기 본체를 지시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0)는 3단으로 형성되는 가로판(11,12,13)에 의해서 크게 상부, 중간부, 하부로 구분된다.
본체(100)의 중간부 및 하부에는 일반적인 종래의 냉온수기와 같이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콤퓨레서(21)와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22)가 형성되고, 냉각 및 가열된 냉온수를 저장하는 냉수저장통(23) 및 온수저장통(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수저장통(23) 및 온수저장통(24)은 중간부의 중앙판(14) 외측으로 노출형성되는 냉수콕(25) 및 온수콕(26)과 연결되고, 상기 냉수콕(25) 및 온수콕(26)의 하부에는 퇴수를 받을 수 있도록 물받이(27)가 형성된다.
그리고 냉온수기 본체(100)의 상부는 전면에 형성된 정수기 수용공간(30)과, 후면에 형성된 저수탱크 수납공간(40)으로 크게 분리된다. 상기 정수기 수용공간(30)은 전면과 상면이 개방 형성되며, 상기 저수탱크 수납공간(40)은 폐쇄 형성된다.
상기한 정수기 수용공간(30)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ㄷ'자형의 카세트(3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카세트(31)의 양측에는 본체의 측면판(15)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32)가 돌출형성되며, 결합부(32)의 상부에는 측면판(15)에 나사고정하기 위한 고정편(33)이 형성된다. 또한, 정수기 수용공간(30)을 이루는 카세트(31) 내측면 하부에는 정수기(1)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스톱퍼(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카세트(31)의 전면 하부에는 정수기(1)가 전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감판(35)이 결합된다.
상기한 저수탱크 수납공간(40)은 상부 가로판(11), 측면판(15), 배면판(17), 카세트(31)의 배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그 상부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별도로 형성되는 상부판(18)에 의해서 마감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탱크 수납공간(40)에 수납되는 저수탱크(50)는 정수기(1)에서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용기로서, 그 내부 상측에는 정수기(1)에서 정화된 물이 과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력스위치(51)가 형성된다. 이 부력스위치(51)는 정수기(1)의 물을 공급하는 제1연결호스(52)의 일단과 연결되며, 부력스위치(51)의 작동에 따라서 정수기(1)로의 물공급을 단속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60)와 연결된다. 또한, 저수탱크(50)의 하부에는 상기 냉수저장통(23)과 상기 온수저장통(24)에 각각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2연결호스(53)가 연결된다.
상기한 솔레노이드 밸브(60)는 공급호스(61)의 도중에 형성되는데, 상기 공급호스(61)는 본체(100)의 후측에서 공급되는 수도물이 정수기(1)의 수도물 유입구(2)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본 고안에서는 콤퓨레서(21)에 의한 냉각장치를 이용하였으나, 이는 냉각장치의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최근 개발된 반도체 소자에 의한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물을 냉각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 중 미설명부호 16은 전면판을 지시하는 것이고, 도면부호 19는 본체(100) 내부에 외부의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기 위한 철망을 지시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냉온수기(1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냉온수기 본체(100)의 정수기 수용공간(30)에 정수기(1)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공급호스(61)와 제1연결호스(52)의 끝단에 형성된 컨넥터를 상기 정수기(1) 하부에 형성된 수도물 유입구(2)와 정화수 유출구(3)에 연결한다.
상기한 공급호스(61)의 다른 일끝단은 수도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수도물 공급호스와 별도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정수기(1)의 장착이 끝나면 공급호스(61) 및정수기(1)로 수도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수도꼭지를 개방한다.
그러면 정수기(1)로 공급된 물은 정화되고, 정화된 물은 제1연결호스(52)를 따라 상기 저장탱크(50)로 공급된다. 또한, 저장탱크(50)로 공급되는 물은 냉수저장통(23) 및 온수저장통(24)에 공급되어 냉각장치 및 가열장치에 의해서 냉각 및 가열된다. 이렇게 냉각 및 가열된 냉온수는 냉수저장통(23) 및 온수저장통(24)에 가득차게 되고, 상기 저수탱크(50)에도 정화된 물이 가득차게 되므로서, 사용자는 항상 냉수 및 온수를 동시에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냉수 혹은 온수를 이용하게 되므로서 냉수저장통(23) 및 온수저장통(24)의 물이 소비되면 저장탱크(50)에 저장된 정수가 곧 보충되고, 저장탱크(50)의 물이 일정량이상 소비되면 부력스위치(51)가 작동된다. 이 부력스위치(51)는 솔레노이드 밸브(6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정수기(1)와 연결된 공급호스(61)로 수도물을 공급하게 되고, 정수기(1)로 공급된 물은 소비된 만큼 정수되어 저장탱크(50)를 채우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저장탱크(50)의 물이 일정량 이상되면 부력수위치(51)다 작동되고, 솔레노이드 밸브(60)가 연동되어 공급호스(61)로 공급되는 물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된 냉온수기(100)는 종래에는 수도물을 정화하는 역할만 하였던 정수기(1)를 장착하여 냉수 및 온수를 동시에 제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냉온수기는 이미 가정에 많이 공급되었지만 단순히 수도물은 정화하는 역할만 하였던 정수기를 이용하여 냉수 및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되므로서 냉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 가정이나 업소에서 물을 데우거나 식히지 않아도 되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공급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와 공급된 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장치가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냉온수를 제공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수도물 유입구(2)와 정화수 유출구(3)가 하부에 형성된 정수기(1)를 수용하기 위해서 본체(100) 상부에 형성되는 정수기 수용공간(30)과;
    내부에 저수탱크(50)를 수납하기 위해 상기 정수기 수용공간(30)의 후측에 형성되는 저수탱크 수납공간(40)과;
    상기 정수기(1)에서 정화된 일정용량의 물을 저장하며, 정수기(1)에서 공급되는 물이 과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력스위치(51)가 내부 상측에 형성되는 저수탱크(50)와;
    상기한 부력스위치(51)와 연동하여 정수기(1)로의 수도물 공급을 단속하기 위해서 정수기(1)의 수도물 유입구(2)와 연결되는 공급호스(61)의 도중에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밸브(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정수기 수용공간(30)은 'ㄷ'자형의 카세트(31) 양측에 측면판(15)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3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32)의 상부에는 측면판(15)에 나사고정하기 위한 고정편(33)이 형성되고, 내측면 하부에는 정수기(1)의 하면을 지지하는 스톱퍼(3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KR2020010004011U 2001-02-17 2001-02-17 냉온수기 KR2002303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011U KR200230320Y1 (ko) 2001-02-17 2001-02-17 냉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011U KR200230320Y1 (ko) 2001-02-17 2001-02-17 냉온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320Y1 true KR200230320Y1 (ko) 2001-07-31

Family

ID=73064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011U KR200230320Y1 (ko) 2001-02-17 2001-02-17 냉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32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076B1 (ko) 2007-10-30 2008-03-24 (주)씨에스아이엔씨 냉온 정수기 구조
KR100824078B1 (ko) 2007-04-24 2008-04-21 김영창 정수기
KR100851825B1 (ko) * 2008-02-12 2008-08-12 주식회사금원하이텍 온수기용 배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078B1 (ko) 2007-04-24 2008-04-21 김영창 정수기
KR100816076B1 (ko) 2007-10-30 2008-03-24 (주)씨에스아이엔씨 냉온 정수기 구조
KR100851825B1 (ko) * 2008-02-12 2008-08-12 주식회사금원하이텍 온수기용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77962B (zh) 具有外置型净水过滤器箱体的冰箱
US20050103721A1 (en) Reduced pressure water filtration system
US20050173323A1 (en) Designs for filtration systems within appliances
KR100993891B1 (ko) 정수기
KR200230320Y1 (ko) 냉온수기
JP3665260B2 (ja) 冷蔵庫
KR20220055532A (ko) 정수기
KR102177297B1 (ko) 필터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JP2004255325A (ja) 水質調整型濾過器
KR20090101334A (ko) 냉온 정수기
KR20080006558U (ko) 냉·온 정수기
CN209172012U (zh) 苏打水机
KR20090077460A (ko) 냉온정수기
KR100657766B1 (ko) 세균번식방지 시스템을 갖는 냉온수기
CN214548897U (zh) 排水水路板和制水设备
CN219396968U (zh) 一种净饮机
KR0146833B1 (ko) 정수기의 유로구조
KR100242626B1 (ko) 정수기겸용 냉온 자판기
KR20210156381A (ko) 모듈형 정수기
CN214433684U (zh) 苏打水制备组件和制水设备
KR20060106803A (ko) 키트 냉온 정수기
KR200353960Y1 (ko) 정수기
CN214141644U (zh) 净水器用扩展箱及包括其的净水器
KR0146838B1 (ko) 정수기의 콘트롤구조
KR0117910Y1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