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833B1 - 정수기의 유로구조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유로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833B1
KR0146833B1 KR1019950023144A KR19950023144A KR0146833B1 KR 0146833 B1 KR0146833 B1 KR 0146833B1 KR 1019950023144 A KR1019950023144 A KR 1019950023144A KR 19950023144 A KR19950023144 A KR 19950023144A KR 0146833 B1 KR0146833 B1 KR 0146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d water
tank
purifi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3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343A (ko
Inventor
하동규
이은관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23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6833B1/ko
Publication of KR970005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6Calibrated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저장탱크로부터 온수탱크에 정수를 이동시키도록 정수를 안내하는 정수관에 정수가 용이하게 유입하게 하는 정수기의 유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정수저장탱크(9)에 저장된 정수를 온수탱크(13)의 하부로 유입시키도록 정수관(11)이 상기 정수저장탱크(9) 및 온수탱크(13)를 연통시키는 정수기의 유로구조에 있어서, 상기 정수관(11)에 정수를 원활히 유입시키도록 상기 정수관(11)의 입구에는 가이드부재(51)가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정수관을 통해 온수탱크에 정수를 원활히 유입시켜 히터부재에 의한 온수탱크의 과열 및 탄화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의 유로구조
제1도는 정수기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상태의 측단면도,
제2도는 종래 유로구조가 적용된 정수기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상태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부의 확대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로구조가 적용된 정수기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상태의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B부의 확대도,
제6도는 제5도의 가이드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정수저장탱크 11,12 : 정수관
13,15 : 온수, 냉수탱크 51 : 가이드부재
51a : 걸림턱 51b : 개구부
본 발명은 수도물등의 원수중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시키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저장탱크로부터 온수탱크로 정수를 유동시키도록 정수를 안내하는 정수관에 정수가 용이하게 유입하게 하는 정수기의 유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도꼭지로부터 급수되는 원수를 별도의 필터수단내로 통과시킨후 정수를 행하는 원수중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수기는, 정수하는 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및 역삼투압식등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이중에서 특히, 역삼투압식 정수기는 원수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인공적인 삼투막인 멤브레인을 통과시켜 정수를 행하는 것으로서, 중금속, 박테리아, 발암물질등을 분리제거함과 동시에 순수한 물과 용존산소만이 통과되도록 하여 최첨단 과학산업이나 초정밀전자부품의 세척용 또는 의학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식수용으로 가정 및 업소용의 정수기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정수기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내에는 수도꼭지(3)와 접속된 급수관(5)을 통하여 공급되는 원수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정화시키는 다수개의 필터수단(7)이 장착되고, 그 상측에는 상기 다수개의 필터수단(7)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화된 정수를 저류 저장하는 정수저장탱크(9)가 장착되며, 그 하측에는 상기 정수저장탱크(9)내에 있는 정수를 각각의 정수관(11, 12)을 통하여 공급받아 가열 및 냉각시키는 온수탱크(13) 및 냉수탱크(15)가 설치되고, 상기 온수 및 냉수탱크(13)(15)의 하측에는 냉동사이클을 형성시키도록 압축기 및 응축기등이 배설된 기계실(16)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탱크(13)에는 발열함에 따라 그 내부에 저류된 정수를 가열시키는 히터부재(17)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냉수탱크(15)의 외측면에는 냉동싸이클의 작동에 의해 냉각작용을 행하는 냉각코일(19)이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으며, 상기 본체(1)의 전면판넬(21)의 외측에는 상기 온수 및 냉수탱크(13)(15)내에 있는 온수 및 냉수를 각각 취수하도록 온수 및 냉수탱크(13)(15)의 상부에 설치된 물배출관(23, 23')에 각각 취수밸브(25, 25')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온수탱크(13)의 내부에 있는 정수가 상기 히터부재(17)에 의해 데워져 위로 상승하고 상기 온수탱크(13)의 상부에서 온수를 취출하도록 상기 정수저장탱크(9)로부터 상기 온수탱크(13)에 정수를 안내하는 정수관(11)은 상기 정수저장탱크(9)의 저면 및 상기 온수탱크(13)의 저면에 그 양단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수저장탱크(9)의 저면에는 일정한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에는 상기 정수관(11)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취수밸브(25, 25')의 하측에는 취수동작이 끝난 후에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취수밸브(25, 25')의 취수구에 부착된 후 낙하하는 물을 받도록 물받이부재(27)가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수장치가 적용된 정수기에서, 상기 수도꼭지(3) 및 급수관(5)을 통하여 급수되는 원수가 다수개의 필터수단(7)에서 원수중에 포함된 중금속, 박테리아, 발암물질등의 유해물질이 제거된 후, 온수 및 냉수탱크(13)(15)내로 공급되면, 상기 온수 및 냉수탱크(13)(15)내에서는 히터부재(17) 및 냉각코일(19)의 작동에 의해 정수에 가열 및 냉각작용이 각각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자가 취수밸브(25)에 설치된 취수레버(도시안됨)를 컵등의 용기로 밀어주는 힘에 의해 취수레버를 조작시켜 상기 취수밸브(25, 25')의 통로를 개방시키면, 상기 온수 및 냉수탱크(13)(15)내에 저류된 온수 및 냉수는 물배출관(23, 23')을 지나서 상기 취수밸브(25, 2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취수가 가능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취수동작이 끝난 후에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취수밸브(25, 25')의 취수구에 부착된 물은 물받이부재(27)에 낙하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정수기에서, 정수저장탱크(9)로부터 온수탱크(13)에 이르는 정수관(11)의 길이가 길므로 상기 온수탱크(13)에 정수가 유입될 초기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수저장탱크(9)에 연통한 정수관(11)의 입구에는 공기와 접하는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물의 경계막(W)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온수탱크(13)에는 정수가 유입하지 않게 되고, 상기 온수탱크(13)에 정수가 유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히터부재(17)에 전원이 인가되면, 온수탱크(13)가 과열하고 이로 인해 온수탱크(13)의 표면이 탄화하여 탄화찌꺼기가 생기며, 이 탄화찌꺼기는 취수시에 물배출관(23)을 지나서 취수밸브(25)를 통해 유출하므로 정수의 질을 떨어뜨리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저장탱크에서 정수관에 정수를 유입시키는 가이드부재를 상기 정수관에 배설하므로써, 상기 정수관을 통해 온수탱크에 정수를 원활히 유입시켜 히터부재에 의한 온수탱크의 과열 및 탄화를 방지하는 정수기의 유로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유로구조는 정수저장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온수탱크의 하부로 유입시키도록 정수관이 상기 정수저장탱크 및 온수탱크를 연통시키는 정수기의 유로구조에 있어서, 상기 정수관에 정수를 원활히 유입시키도록 상기 정수관의 입구에는 가이드부재가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수저장탱크(9)의 하측에는 상기 정수저장탱크(9)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어 히터부재(17) 및 냉각코일(19)에 의해 온수 및 냉수로 각각 바꿔지도록 온수탱크(13) 및 냉수탱크(15)가 각각 배설되어 있고, 상기 온수탱크(13) 및 냉수탱크(15)는 정수관(11)(12)에 의해 상기 정수저장탱크(9)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관(11)에 정수를 용이하게 유입시키도록 상기 정수관(11)의 입구에는 가이드부재(51)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51)은 대체로 원통관형상으로서, 그 일측부가 상기 정수관(11)의 내부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그 외주면에 걸림턱(51a)이 형성되고, 그 타측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재(51)의 내부로 정수가 원활히 유입하도록 외주면의 일측에 개구부(51b)가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유로구조의 작용 및 효과를 다음에 설명한다.
필터수단(7)을 거쳐 정수저장탱크(9)에 물이 차면, 상기 정수저장탱크(9)로부터 정수관(11, 12)를 통해 상기 온수탱크(13) 및 냉수탱크(15)에 각각 정수가 유입한다.
이때, 상기 온수탱크(13)에 유입하는 물을 안내하는 정수관(11)의 상단에 삽입된 가이드부재(51)를 통해 상기 정수저장탱크(9)에 있는 정수는 상기 온수탱크(13)에 원활히 유입한다.
즉,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51)의 상단 개구부 및 외주면에 형성된 개구부(51b)를 통해 동시에 상기 가이드부재(51)의 내부에 정수가 유입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51)의 내부에 연통하는 유입구의 면적이 넓으므로 상기 가이드부재(51)의 내부에 연통하는 유입구의 면적이 넓으므로 상기 가이드부재(51)의 입구에 있는 물의 유동에너지는 공기와 접하는 물의 표면장력을 이기고, 상기 정수저장탱크(9)에 있는 물은 상기 정수관(11)을 통해 상기 온수탱크(13)에 원활히 유입한다.
따라서, 초기에 상기 온수탱크(13)로 정수가 유입할 때, 히터부재(17)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온수탱크(13)가 과열하여 온수탱크(13)의 표면이 탄화할 염려가 없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유로구조는 정수저장탱크에서 정수관에 정수를 유입시키는 가이드부재를 상기 정수관에 배설하므로써, 상기 정수관을 통해 온수탱크에 정수를 원활히 유입시켜 히터부재에 의한 온수탱크의 과열 및 탄화를 방지한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정수저장탱크(9)에 저장된 정수를 온수탱크(13)의 하부로 유입시키도록 정수관(11)이 상기 정수저장탱크(9) 및 온수탱크(13)를 연통시키는 정수기의 유로구조에 있어서, 상기 정수관(11)에 정수를 원활히 유입시키도록 상기 정수관(11)의 입구에는 가이드부재(51)가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유로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51)은 그 일측부가 상기 정수관(11)의 내부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그 외주면에 걸림턱(51a)이 형성되고, 그 타측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재(51)의 내부로 정수가 원활히 유입하도록 외주면의 일측에 개구부(51b)가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유로구조.
KR1019950023144A 1995-07-29 1995-07-29 정수기의 유로구조 KR0146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3144A KR0146833B1 (ko) 1995-07-29 1995-07-29 정수기의 유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3144A KR0146833B1 (ko) 1995-07-29 1995-07-29 정수기의 유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343A KR970005343A (ko) 1997-02-19
KR0146833B1 true KR0146833B1 (ko) 1998-08-17

Family

ID=1942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3144A KR0146833B1 (ko) 1995-07-29 1995-07-29 정수기의 유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6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218B1 (ko) * 2006-04-28 2013-10-28 오사카 가스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정수기
KR101463737B1 (ko) * 2008-05-07 2014-11-21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용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1107307B1 (ko) * 2010-02-04 2012-01-20 박봉찬 다단 맨틀 구조를 갖는 임팩트형 콘 크러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343A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07450B2 (ja) 浄水器の選択的連続取水装置
KR0161071B1 (ko)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CN103300721B (zh) 反渗透空气能热泵饮水机
JPH1094708A (ja) 配水器の廃水受け装置
JP2009530092A (ja) 浄水製造方法及び装置
KR0146833B1 (ko) 정수기의 유로구조
KR102177297B1 (ko) 필터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0496675B1 (ko) 가열장치를 갖는 냉온정수기
KR100199338B1 (ko) 역삼투 냉,온 정수기의 음용수 취출장치
JPH101989A (ja) 浄水器の取水装置用カップリング装置
KR0146834B1 (ko) 정수기의 필터고정장치
KR0146832B1 (ko) 정수기의 배수장치(drainage of water purifier)
KR0119056Y1 (ko) 정수기의 급수장치
KR0146835B1 (ko) 정수기
KR102028415B1 (ko) 직수형 정수기용 온수 탱크
KR200230320Y1 (ko) 냉온수기
KR980008280A (ko) 냉온정수기의 배수장치
CN211998948U (zh) 一种带加热装置的净水器
KR0127640Y1 (ko) 정수기의 유로구조
KR20000000006A (ko) 정수기에 있어서 음용수 및 음용차 제공시스템및 장치
CN218435396U (zh) 直饮机
KR100487799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용 히팅장치
KR0161087B1 (ko) 냉온정수기의 에어트립 방지장치
KR200274163Y1 (ko) 스트레이너를 구비한 볼 밸브
KR0139295Y1 (ko) 냉온정수기의 측면판넬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