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640Y1 - 정수기의 유로구조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유로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640Y1
KR0127640Y1 KR2019940032377U KR19940032377U KR0127640Y1 KR 0127640 Y1 KR0127640 Y1 KR 0127640Y1 KR 2019940032377 U KR2019940032377 U KR 2019940032377U KR 19940032377 U KR19940032377 U KR 19940032377U KR 0127640 Y1 KR0127640 Y1 KR 01276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d
tank
cold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2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453U (ko
Inventor
남궁관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32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640Y1/ko
Publication of KR9600164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4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6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6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1Other construction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의 유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냉수, 온수)탱크(3, 7, 9)와, 상기 정수(냉수, 온수)탱크(3, 7, 9)에 공급되는 정수를 만들도록 수돗물을 여과하는 멤브레인 여과장치(23)를 구비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냉수, 온수)탱크(3, 7, 9)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유출하도록 상기 정수를 안내하는 주유출관(85)과, 상기 멤브레인 여과장치(23)를 통과하지 못한 농축수를 안내하여 상기 정수(냉수, 온수)탱크(3, 7, 9)에 저장된 정수와 함께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그 양단이 상기 멤브레인 여과장치(23) 및 상기 주유출관(85)에 각각 접속된 농축수유출관(87)과, 상기 농축수유출관(87)을 통해 외부로 유출하는 농축수가 상기 주유출관(85)을 통해 상기 정수(냉수, 온수)탱크(3, 7, 9)로 역류하지 않도록 상기 주유출관(85)의 일정한 곳에 배설된 첵밸브(8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농축수가 상기 정수(냉수, 온수)탱크에 유입함이 없이 배관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배관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의 유로구조
제1도는 종래 유로구조가 적용된 정수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로구조가 적용된 정수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정수탱크 7 : 냉수탱크
9 : 온수탱크 23 : 멤브레인 여과장치
85 : 주유출관 87 : 농축수 유출관
89 : 첵밸브
본 고안은 정수기의 유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냉수, 온수)탱크로부터 정수를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안내하는 주유출관과 멤브레인 여과장치로부터 농축수를 유출시키도록 안내하는 농축수유출관을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주유출관에 첵밸브를 배설하므로써, 상기 농축수가 상기 정수(냉수, 온수)탱크에 유입함이 없이 배관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배관비용을 줄이는 정수기의 유로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수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내의 상측에는 여과된 정수를 저장하도록 정수탱크(3)가 배설된 정수실(5)이 형성되고, 상기 정수실(5)의 하측에는 상기 정수탱크(3)로부터 유입한 정수가 냉수 및 온수로 바뀌어 저장되는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가 배설된 냉온수실(11)이 형성되며, 상기 냉온수실(11)의 하측에는 수도전(13)으로 부터 유입한 수돗물을 여과하도록 각종 여과장치가 배설된 여과실(15)이 형성되고, 상기 여과실(15)의 하측에는 상기 냉수탱크(7)내의 정수를 냉수로 만들도록 냉매사이클을 형성하는 각종 냉매장치 및 송풍장치가 배설된 기계실(17)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여과실(15)내에는 상기 수도전(13)으로부터 유입한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물질 및 녹찌거기를 제거하도록 침전 필터를 구비한 침전여과장치(19)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침전여과장치(19)의 일측에는 상기 침전여과장치를 통과한 물에 함유된 염소성분과 이물질(비교적 큰 입자)을 제거하여 후술하는 멤브레인 필터를 보호함은 물론 각종 유해 유기 화학물질을 제거하도록 선카본필터를 구비한 전처리 여과장치(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처리 여과장치(21)의 일측에는 상기 전처리 여과장치(21)를 통과한 물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은 물론 발암물질을 제거하도록 멤브레인 필터(23a)를 구비한 멤브레인 여과장치(2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멤브레인 여과장치(23)의 일측에는 상기 멤브레인 여과장치(23)를 통과한 물에 스며든 냄새와 유독가스성분을 제거하도록 후카본필터를 구비한 후처리 여과장치(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후처리 여과장치(25)의 일측에는 상기 후처리 여과장치(25)를 통과한 물에 살균하도록 U.V 필터를 구비한 살균여과장치(2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17)내에는 그 저면에 저온 저압의 냉매가스를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로 변화시키도록 압축기(29)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압축기(29)의 일측에는 상기 압축기(29)로부터 유입한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를 냉매액으로 변화시키도록 도시하지 않은 냉매관에 의해 상기 압축기(29)에 연결된 응축기(31)가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기(31)의 일측에는 상기 응축기(31)내에 흐르는 냉매를 액화시킴과 동시에 압축기(29)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응축기(31) 및 압축기(29)의 주위에 공기를 불어주는 팬(33)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팬(33)의 일측에는 상기 팬(33)을 회전시키도록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35)가 상기 팬(33)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내부에는 상기 정수실(5), 냉온수실(11), 여과실(15) 및 기계실(17)을 각각 형성하도록 칸막이부재(37, 39, 41)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부재(41)의 하측에 형성된 기계실(17)의 좌우측면에는 상기 팬(33)에 의해 상기 기계실(17)내에 공기가 유동하도록 공기유입구(1a) 및 공기유출구(1b)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계실(17)의 외부저면에는 상기 본체(1)를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다수의 받침부(1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수탱크(3)의 상면에는 상기 정수탱크(3)내에 정수가 유입하도록 상기 여과실(15)의 살균여과장치(27)에 접속된 정수유입관(43)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정수탱크(3)에 유입한 과도한 양의 정수가 외부로 유출하도록 주유출관(45)에 접속된 과도정수유출관(47)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정수탱크(3)의 하면에는 상기 정수탱크(3)에 유입한 정수가 상기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로 유출하도록 상기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에 접속된 제1정수유출관(49) 및 제2정수유출관(51)의 일단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상기 냉수탱크(7)의 상면에는 상기 제1정수유출관(49)이 칸막이 부재(37)를 통과하여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냉수탱크(7)에 장기간 저수된 냉수가 외부로 유출하도록 주유출관(45)에 접속된 장기냉수유출관(53)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냉수탱크(7)의 내부에는 상기 냉수탱크(7)내에 유입한 정수를 냉수로 만들도록 그 내부에 흐르는 냉매가 증발하는 증발관(55)이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냉수탱크(7)의 일측면에는 상기 냉수탱크(7)에 저장된 냉수를 도시하지 않은 취수밸브를 통해 받도록 냉취수관(57)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냉수탱크(7)의 하면에는 상기 냉수탱크(7)내의 냉수를 배출시키도록 냉배수밸브(59)를 매개물로 하여 냉배수관(61)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냉배수관(61)은 상기 주유출관(45)에 접속된 배수관(63)에 접속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장기냉수유출관(53)은 상기 정수탱크(3)가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정수탱크(3)의 상부까지 높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온수탱크(9)의 상면에는 상기 제2정수유출관(51)이 칸막이 부재(37)를 통과하여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온수탱크(9)에 장기간 저수된 온수가 외부로 유출하도록 주유출관(45)에 접속된 장기온수유출관(65)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온수탱크(9)의 내부에는 상기 온수탱크(9)내에 유입한 정수를 온수로 만들도록 가열하는 히터(67)가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온수탱크(9)의 일측면에는 상기 온수탱크(9)에 저장된 온수를 도시하지 않은 취수밸브를 통해 받도록 온취수관(69)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온수탱크(9)의 하면에는 상기 온수탱크(9)내의 온수를 배출시키도록 온배수밸브(71)를 매개물로 하여 온배수관(73)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온배수관(73)은 상기 주유출관(45)에 접속된 배수관(63)에 접속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장기온수유출관(65)은 상기 정수탱크(3)가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정수탱크(3)의 상부까지 높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여과실(15)에 배설된 침전필터장치(19)의 상면에는 상기 침전여과장치(19)에 수돗물이 유입하도록 상기 수도전(13)에 접속된 급수관(75)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침전여과장치(19)의 하면과 상기 전처리여과장치(21)의 상면, 상기 전처리여과장치(21)의 하면과 상기 멤브레인 여과장치(23)의 상면, 상기 멤브레인 여과장치(23)의 하면과 상기 후처리여과장치(25)의 상면, 상기 후처리여과장치(25)의 하면과 상기 살균여과장치(27)의 상면은 각각 제1, 제2, 제3, 제4연결관(77, 78, 79, 8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살균여과장치(27)의 하면에는 상기 정수탱크(3)에 접속된 정수유입관(43)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관(78)에는 상기 전처리여과장치(21)로부터 유출한 물을 상기 멤브레인 여과장치(23)에 공급하도록 물의 압력을 높혀주는 물펌프(81)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멤브레인 여과장치(23)의 하면에는 상기 멤브레인 필터(23a)를 통과하지 못한 농축수를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농축수유출관(83)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멤브레인 필터(23a)는 그 표면에 0.0001u의 직경으로 된 미소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필터(23a)에 물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수압이 높아야 하므로 상기 멤브레인 여과장치(23)의 전단계의 일정한 곳에는 물의 압력을 높이는 상기 물펌프(8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종래 정수기에서 도시하지 않은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면, 물펌프(81)가 동작하고, 수도전(13)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급수관(75), 침전여과장치(19), 제1연결관(77), 전처리여과장치(2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제2연결관(78)에 설치된 상기 물펌프(81)에 의해 압력이 높아진다.
상기 물펌프(81)에 의해 압력이 높아진 물은 멤브레인 여과장치(23), 제3연결관(79), 후처리여과장치(25), 제4연결관(80), 살균여과장치(27)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여과 및 살균된 후, 정수유입관(43)을 통해 정수탱크(3)에 유입한 다음, 제1정수유출관(49) 및 제2정수유출관(51)을 통해 상기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에 저장된다.
이와 동시에 압축기(29) 및 모터(35)가 동작하고, 상기 압축기(29)를 통과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는 응축기(31)를 지나면서 냉매액으로 변화한다. 이때, 모터(35)에서 동력(회전력)을 받은 팬(33)이 회전하고, 상기 팬(33)의 회전에 의해 공기유입구(1a)를 통해 기계실(17)내에 유입한 공기는 상기 응축기(31)와 압축기(29)의 주위를 흐르면서 상기 응축기(31)내에 흐르는 냉매를 액화시킴과 동시에 압축기(29)를 냉각시킨 후, 공기 유출구(1b)를 통하여 다시 외부로 유출한다.
상기 응축기(31)내를 통과하면서 액화된 고압의 냉매는 도시하지 않은 캐필러리튜브내에 유입한 후, 상기 캐필러리튜브의 단열팽창효과에 의해 저압의 냉매액으로 변환되어 상기 냉수탱크(7)내에 배설된 증발관(55)내에 유입한다. 상기 증발관(55)내에 유입한 냉매액은 증발하면서 상기 냉수탱크(7)내에 저장된 정수와 열교환한다. 이때, 상기 냉수탱크(7)내에 저장된 정수는 냉수로 바뀐다.
상기 증발관(55)을 통과하면서 기화한 냉매가스는 다시 압축기(29)내에 유입하여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로 변화하는 냉매의 냉매사이클이 계속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전원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온수탱크(9)내에 배설된 히터(67)에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히터(67)에서 발생하는 열은 상기 온수탱크(9)에 저장된 정수에 가해져 상기 온수탱크(9)에 저장된 정수는 온수로 바뀐다.
다음에, 상기 정수탱크(3)내에 일정량의 정수가 차고, 상기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내의 냉수 및 온수가 일정온도에 달하면, 도시하지 않은 수위센서 및 온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물펌프(81)와 히터(67)가 동작을 멈춤과 동시에 냉매사이클이 중단된다.
한편, 여과되면서 상기 멤브레인 여과장치(23)의 멤브레인 필터(23a)를 통과하지 못한 물, 즉 농축수는 눙축수유출관(83)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하수도로 유출한다.
그리고, 상기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에 저장된 냉수 또는 온수를 받고자 하면, 상기 냉취수관(57) 또는 온취수관(69)의 단부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취수밸브를 열어 취수하게 된다.
상기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에 저장된 냉수 또는 온수를 취수함으로 인해, 상기 정수탱크(3)의 수위가 일정한 레벨이하로 되거나 상기 냉수탱크(7)내의 냉수온도가 일정한 온도이상이 되거나 상기 온수탱크(9)내의 온수온도가 일정한 온도이하가 되면, 도시하지 않은 수위센서 및 온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물펌프(81) 및 히터(67)가 동작하거나 냉매사이클이 형성되고, 상기 정수유입관(43)을 통하여 정수가 상기 정수탱크(3)에 유입하여 정수탱크(3)내의 수위가 높아진다.
상기 정수탱크(3)내에 정수가 보충될시에 상기 정수탱크(3),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내의 물은 어느정도의 오랜시간 동안 저장되어 있었으므로 사용자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정수탱크(3)내에 일정한 수위가 된 후, 정수가 한동안 상기 정수탱크(3)에 유입한다. 상기 정수탱크(3)내에 과도하게 유입하는 정수에 의해 상기 온수탱크(9) 및 냉수탱크(7)에 저장된 온수 및 냉수는 장기온수유출관(65) 및 장기냉수유출관(53)을 각각 통해 주유출관(45)을 지나서 하수도로 유출한다. 이때, 상기 장기온수유출관(65)의 최고높이가 장기냉수유출관(53)의 최고높이보다 낮으므로 온수가 냉수보다 먼저 유출하게 된다. 즉, 부폐하기 쉬운 온수가 먼저 외부로 유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수탱크(3)에 유입한 과도한 양의 정수는 과도정수유출관(47)을 통해 주유출관(45)을 지나서 하수도로 유출한다.
그리고, 상기 정수탱크(3),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에 장기간 물이 저장되어 있으면 부폐하므로, 일정한 기간이 지났을 경우에는 상기 정수탱크(3),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에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면, 냉배수밸브(59) 및/또는 온배수밸브(71)가 열려 상기 정수탱크(3),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에 저장된 물은 냉배수관(61) 및/또는 온배수관(73), 배수관(63), 주유출관(45)을 순차적으로 통해 하수도로 유출한다.
그런데,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정수기에서는 상기 정수탱크(3),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유출하도록 물을 안내하는 주유출관(45)과, 싱기 멤브레인 여과장치(23)의 멤브레인 필터(23a)를 통과하지 못한 농축수가 외부로 유출하도록 농축수를 안내하는 농축수유출관(83)이 서로 별도의 유로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주유출관(45) 및 농축수유출관(83)에 대한 배관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배관비용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정수(냉수, 온수)탱크로부터 정수를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안내하는 주유출관과 멤브레인 여과장치로부터 농축수를 유출시키도록 안내하는 농축수유출관을 접속하여 유로를 간소화함으로써, 배관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배관비용을 줄이는 정수기의 유로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유출관의 일정한 곳에 첵밸브를 배설하므로써, 상기 농축수유출관을 통해 외부로 유출하는 농축수가 상기 주유출관을 통해 상기 정수(냉수, 온수)탱크로 역류하지 않게 하는 정수기의 유로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의 유로구조는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냉수, 온수)탱크와, 상기 정수(냉수, 온수)탱크에 공급되는 정수를 만들도록 수돗물을 여과하는 멤브레인 여과장치를 구비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냉수, 온수)탱크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유출하도록 상기 정수를 안내하는 주유출관과, 상기 멤브레인 여과장치를 통과하지 못한 농축수를 안내하여 상기 정수(냉수, 온수)탱크에 저장된 정수와 함께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그 양단이 상기 멤브레인 여과장치 및 상기 주유출관에 각각 접속된 농축수유출관과, 상기 농축수유출관을 통해 외부로 유출하는 농축수가 상기 주유출관을 통해 상기 정수(냉수, 온수)탱크로 역류하지 않도록 상기 주유출관의 일정한 곳에 배설된 첵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1도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수(냉수, 온수)탱크(3, 7, 9)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유출하도록 상기 정수를 안내하는 주유출관(85)에는 상기 정수탱크(3)에 유입한 과도한 양의 정수가 외부로 유출하도록 상기 정수탱크(3)에 접속된 과도정수유출관(47), 상기 냉수탱크(7)에 장기간 저수된 냉수가 외부로 유출하도록 상기 냉수탱크(7)에 접속된 장기냉수유출관(53), 상기 온수탱크(9)에 장기간 저수된 온수가 외부로 유출하도록 상기 온수탱크(9)에 접속된 장기온수유출관(65), 상기 냉 온수탱크(7, 9)내의 냉 온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냉 온배수관(61, 73) 및 냉 온배수밸브(59, 71)를 매개물로 하여 상기 냉 온수탱크(7, 9)에 접속된 배수관(63)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맴브레인 여과장치(23)를 통과하지 못한 농축수를 안내하여 상기 정수(냉수, 온수)탱크에 저장된 정수와 함께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상기 주유출관(85)의 일정한 곳에는 상기 멤브레인 여과장치(23)에 접속된 농축수유출관(87)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주유출관(85)에 상기 배수관(63)이 접속된 접속부(85a)와 상기 농축수유출관(87)이 접속된 접속부(85b)사이에는 상기 농축수유출관(87)을 통해 외부로 유출하는 농축수가 상기 주유출관(85)을 통해 상기 정수(냉수, 온수)탱크(3, 7, 9)로 역류하지 않도록 공지의 첵밸브(89)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첵밸브(89)는 그 내부에 유체가 한방향으로만 흐르는 밸브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유로구조의 작용 및 효과를 다음에 설명한다.
상기 정수탱크(3)내에 과도하게 유입하는 정수에 의해 상기 온수탱크(9) 및 냉수탱크(7)에 저장된 온수 및 냉수는 장기온수유출관(65) 및 장기냉수유출관(53)을 각각 통해 주유출관(85)을 지나서 하수도로 유출한다.
그리고, 상기 정수탱크(3),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에 장기간 물이 저장되어 있는 정수를 일시에 외부로 배출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면, 냉배수밸브(59) 및/또는 온배수밸브(71)가 열려 상기 정수탱크(3),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에 저장된 물은 냉배수관(61) 및/또는 온배수관(73), 배수관(63), 주유출관(85)을 순차적으로 통해 하수도로 유출한다.
또한 수돗물이 여과되면서 상기 멤브레인 여과장치(23)의 멤브레인 필터(23a)를 통과하지 못한 물, 즉 농축수는 농축수유출관(87) 및 주유출관(85)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하수도로 유출한다.
이때, 물펌프(81)에 의해 압력이 높아져 외부로 유출되는 농축수는 상기 첵밸브(89)에 의해 상기 정수(냉수, 온수)탱크(3, 7, 9)로 역류되지 않으므로, 여과되지 않은 농축수가 정수(냉수, 온수)탱크(3, 7, 9)에 유입하여 정수를 오염시킬 염려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정수기로부터 외부로 유출하는 물은 모두 상기 주유출관(85)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하수도로 유출하므로 유로가 간소화되어 배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배관비용이 감소되는 것이다.
위 설명에서는 냉 온정수기에 적용된 유로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의 유로구조는 냉정수기를 비롯하여 멤브레인 여과장치를 구비한 모든 정수기에 적용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의 유로구조는 정수(냉수, 온수)탱크로부터 정수를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안내하는 주유출관과 멤브레인 여과장치로부터 농축수를 유출시키도록 안내하는 농축수유출관을 접속하여 유로를 간소화함과 동시에 상기 주유출관에 첵밸브를 배설하므로써, 상기 농축수가 상기 정수(냉수, 온수)탱크에 유입함이 없이 배관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배관비용을 줄인다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냉수, 온수)탱크(3, 7, 9)와, 상기 정수(냉수, 온수)탱크(3, 7, 9)에 공급되는 정수를 만들도록 수돗물을 여과하는 멤브레인 여과장치(23)를 구비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냉수, 온수)탱크(3, 7, 9)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유출하도록 상기 정수를 안내하는 주유출관(85)과, 상기 멤브레인 여과장치(23)를 통과하지 못한 농축수를 안내하여 상기 정수(냉수, 온수)탱크(3, 7, 9)에 저장된 정수와 함께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그 양단이 상기 멤브레인 여과장치(23) 및 상기 주유출관(85)에 각각 접속된 농축수유출관(87)과, 상기 농축수유출관(87)을 통해 외부로 유출하는 농축수가 상기 주유출관(85)을 통해 상기 정수(냉수, 온수)탱크(3, 7, 9)로 역류하지 않도록 상기 주유출관(85)의 일정한 곳에 배설된 첵밸브(8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유로구조.
KR2019940032377U 1994-11-30 1994-11-30 정수기의 유로구조 KR01276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377U KR0127640Y1 (ko) 1994-11-30 1994-11-30 정수기의 유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377U KR0127640Y1 (ko) 1994-11-30 1994-11-30 정수기의 유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453U KR960016453U (ko) 1996-06-17
KR0127640Y1 true KR0127640Y1 (ko) 1998-11-16

Family

ID=19400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2377U KR0127640Y1 (ko) 1994-11-30 1994-11-30 정수기의 유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6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789B1 (ko) * 2002-10-23 2005-04-1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이중 원수차단 구조를 구비한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789B1 (ko) * 2002-10-23 2005-04-1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이중 원수차단 구조를 구비한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453U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7260B1 (en) Circulation-type apparatus for generating drinking water
KR0146826B1 (ko) 냉온정수기의 배수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27640Y1 (ko) 정수기의 유로구조
JP3831732B2 (ja) 加湿器
JPH101989A (ja) 浄水器の取水装置用カップリング装置
KR0127638Y1 (ko) 정수기의 배수장치
KR0127639Y1 (ko) 정수기의 단수감지장치
KR200359693Y1 (ko) 냉온정수기
KR200374174Y1 (ko) 순환식 식수생성장치
KR950007927A (ko) 폐수 재생능력을 가진 샤워터널식 배기 정화장치
KR0122695Y1 (ko) 정수기의 필터보호장치
KR0139294Y1 (ko)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
KR0175909B1 (ko) 정수기용 정수저장탱크의 덮개장치
KR0146825B1 (ko) 냉온정수기의 데이타백업장치
KR0146833B1 (ko) 정수기의 유로구조
KR960005045Y1 (ko) 냉, 온 정수기
KR970006126B1 (ko) 저온 저압 증류법에 의한 정수기
KR0175895B1 (ko) 냉온정수기의 온도제어장치 및 그 방법
RU210789U1 (ru) Диспенсер питьевой воды
JP3059543B2 (ja) 冷却機能付浄水器
KR0161087B1 (ko) 냉온정수기의 에어트립 방지장치
KR19980056373A (ko) 정수기의 제어장치
KR980008280A (ko) 냉온정수기의 배수장치
KR100488811B1 (ko) 역삼투압 정수기의 냉각시스템
KR100620576B1 (ko) 정수기용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