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825B1 - 냉온정수기의 데이타백업장치 - Google Patents

냉온정수기의 데이타백업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825B1
KR0146825B1 KR1019950023140A KR19950023140A KR0146825B1 KR 0146825 B1 KR0146825 B1 KR 0146825B1 KR 1019950023140 A KR1019950023140 A KR 1019950023140A KR 19950023140 A KR19950023140 A KR 19950023140A KR 0146825 B1 KR0146825 B1 KR 0146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t water
cold
temperatur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3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200A (ko
Inventor
정금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23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6825B1/ko
Priority to JP8199457A priority patent/JP2807442B2/ja
Priority to US08/690,647 priority patent/US5772869A/en
Publication of KR970007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10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12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9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connected to a supp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7/00Simultaneous control of variable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5D1/00 - G05D25/00
    • G05D27/02Simultaneous control of variable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5D1/00 - G05D25/00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의 변경시마다 변경데이타를 저장하여 정전시에도 안전하게 데이터를 백업시킬 수 있는 냉온정수기의 데이터백업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냉온정수기의 운전조건을 입력함과 동시에 냉수 및 온수온도를 설정함도록 키이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수단과, 상기 키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키이신호에 따라 냉수 및 온수온도를 제어함과 동시에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키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운전조건, 냉수설정온도 및 온수설정온도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키입력수단에 의해 설정된 냉수설정온도 및 온수설정온도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내의 냉수 및 온수온도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데이터의 변경시마다 변경데이타를 EEPROM에 저장하여 정전시에도 별도의 백업밧데리없이 현재의 운전상태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온정수기의 데이터백업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온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 A-A선을 따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온정수기의 데이터 백업장치의 제어블록도,
제4a도 및 제4b도는 본 발명에 의한 냉온정수기의 데이터백업 제어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정수탱크 5 : 정수실
7 : 냉수탱크 9 : 온수탱크
11 : 냉온수실 13 : 여과실
15 : 기계실 21 : 침전필터
23 : 전처리필터 25,27 : 멤브레인
29 : 후처리필터 31 : UV필터
33 : 가압펌프 35 : 압축기
37 : 응축기 39 : 팬모터
43 : 증발간 47 : 히터
100 : 직류전원수단 102 : 수위감지수단
104 : 키입력수단 105 : 온도설정스위치
107 : 배수스위치 109 : 운전스위치
110 : 냉수온도감지수단 112 : 온수온도감지수단
114 : 제어수단 116 : 펌프구동수단
118 : 급수밸브구동수단 119 : 급수밸브
120 : 압축기구동수단 122 : 모터구동수단
124 : 히터구동수단 126 : 메모리수단
128 : 표시수단
본 발명은 수도물 등의 원수에 포함된 유해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정수를 행하는 냉온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의 변경시마다 변경데이타를 저장하여 정전시에도 안전하게 데이터를 백업시킬 수 있는 냉온정수기의 데이터백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정수기는 수도물 등의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한 발암물질을 제거하여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그 정수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및 역삼투압식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그중에서도 역삼투압식은 원수에 압력을 가하여 인공적인 삼투막인 멤브레인(역삼투필터)을 통과시켜 정수를 행하는 것으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 박테리아, 발암물질 등을 분리제거함과 동시에 순수한 물과 용존산소 등만이 통과된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최첨단 과학산업이나 초정밀전자부품의 세척용 또는 의학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식수를 위한 가정용 정수기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냉온정수기는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도물 등의 원수에 함유된 중금속, 박테리아, 발암물질 등의 유해물질을 다수개의 필터를 통과시켜 여과한 후, 그 여과된 정수를 정수탱크를 통해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냉수설정온도 및 온수설정온도로 냉각 및 가열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냉수 또는 온수를 취수하도록 하였다.
한편, 입력전원이 갑자기 오프되는 순간 정전시에 운전중인 데이터(예를들면, 냉수설정온도, 온수설정온도 및 운전ON/OFF상태)를 보호하기위해 입력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그 감지된 입력전압이 마이컴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전압이하로 떨어지면, 백업밧데리에 의해 백업되는 메모리영역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와같은 방식에 있어서는 백업밧데리의 용량과 상기 백업밧데리에 의해 백업되는 데이터의 저장시간이 서로 비례하여 데이터를 소정시간동안 백업시키기 위해서는 백업밧데리의 용량이 커야 하므로 제품의 크기가 커지면서도 제조비가 상승할뿐만 아니라, 백업밧데리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백업밧데리가 완전방전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의 변경시마다 변경데이타를 EEPROM에 저장하여 정전시에도 별도의 백업밧데리없이 현재의 운전상태를 안전하게 메모리시킴으로써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냉온정수기의 데이터백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냉온정수기의 데이터백업장치는 급수되는 원수를 다수개의 필터를 통과시켜 정수한 후 가열 및 냉각시켜 온수 및 냉수를 공급하도록 정수탱크,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를 구비하는 냉온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냉온정수기의 운전조건을 입력함과 동시에 냉수 및 온수온도를 설정하도록 키이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수단과, 상기 키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키이신호에 따라 냉수 및 온수온도를 제어함과 동시에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다느이 제어에 따라 상기키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운전조건, 냉수설정온도 및 온수설정온도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과, 상기 제어수다느이 제어에 따라 상기 키입력수단에 의해 설정된 냉수설정온도 및 온수설정온도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내의 냉수 및 온수온도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도 및 제 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냉온정수기는 여과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3)가 안착되도록 본체(1)의 상측에 설치된 정수실(5)과, 상기 정수탱크(3)로부터 유입된 정수를 가열 및 냉각시켜 냉수 및 온수를 저장하도록 상기 정수실(5)의 하측에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가 설치된 냉온수실(11)과, 도시되지 않는 수도전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도물 등의 원수에 포함된 유해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여과시키도록 다수개의 필터가 설치된 여과실(13)과, 상기 냉수탱크(7)내의 정수를 냉각시키도록 냉동싸이클을 형성하는 각종 냉매수단 및 송풍수단이 설치된 기계실(15)과, 상기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내의 정수를 취수하도록 상기 본체(1)의 전면에 설치된 취수레버(1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여과실(13)내에는 수도전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도물 등의 원수에 함유된 부유물질 및 녹찌꺼기를 제거하는 침전필터(2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침전필터(21)의 일측에는 상기 침전필터(21)를 통과한 원수에 함유된 염소성분 등의 각종 유해한 유기화합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필터(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처리필터(23)의 일측에는 상기 전처리필터(23)를 통과한 원수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이나 발암물질, 박테리아 등의 세균을 제거하도록 내측에 도시되지 않은 다수개의 멤브레인막이 형성된 멤브레인(25,27)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멤브레인(25,27)의 일측에는 상기 멤브레인(25,27)을 통과한 원수에 포함되 유독가스 등의 냄새성분을 제거하는 후처리필터(2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침전필터(21), 전처리필터(23), 멤브레인(25,27) 및 후처리필터(29)의 하측에는 수도물 등의 원수가 상기 다수개의 필터를 통과할 때 자외선을 조사하여 원수에 함유된 유해한 균을 살균하는 UV필터(3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UV필터(31)의 하측에는 상기 전처리필터(23)를 통과하여 상기 멤브레인(25,27)으로 유입되는 원수가 소정압력을 가지고 상기 멤브레인(25,27)에서 역삼투압에 의한 정수가 가능하도록 상기 멤브레인(25,27)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압력을 소정압력으로 승압시키는 가압펌프(3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5)내에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입축하는 압축기(3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압축기(35)의 일측에는 상기 압축기(35)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외부공기와의 자연대류나 강제대류현상에 의해 열교환하여 저온고압의 액상냉매로 강제냉각시켜 액화하는 응축기(3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기(37)의 일측에는 상기 응축기(37)를 통과하는 냉매를 액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압축기(35)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압축기(35) 및 응축기(37) 주위에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팬모터(39)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팬(41)이 설치되어있다.
또한, 상기 냉온수실(11)의 냉수탱크(7) 내부에는 상기 냉수탱크(7)내의 정수를 냉각시키도록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내부에 흐르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관(43)이 성치되어 있고, 상기 냉수탱크(7)의 일측면에는 상기 냉수탱크(7)내에 저장된 냉수를 상기 취수레버(17)를 통해 취수하도록 취수관(45)이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냉온수실(11)의 온수탱크(9) 내부에는 상기 온수탱크(9)내의 정수를 가열하는 히터(4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온수탱크(9)의 일측면에는 상기 온수탱크(9)내에 저장된 온수를 상기 취수레버(17)를 통해 취수하도록 취수관(49)이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1)내부는 칸막이부재(10,12,14)에 의해 정수실(5), 냉온수실(11), 여과실(13) 및 기계실(15)로 구획되어 있다.
한편, 미설명 부호 19는 상기 취수레버(17)의 작동에 따라 떨어지는 잔수를 수용하도록 상기 취수레버(17)의 하측에 설치된 물받이부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온정수기의 정수 및 배수동작을 제어하는 회로블록도를 제 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직류전원수단(100)은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입력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원의 전원진압을 입력받아 상기 냉온정수기의 동작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수위감지수단(102)은 상기 정수탱크(3)내에 공급되어 저장되는 정수량 및 즉, 상기 정수탱크(3)의 수위를 감지하는 만수위, 중수위 및 갈수위감지센서이다.
그리고, 키입력수단(104)은 상기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내에 저장되는 냉수 또는 온수의 온도(Tcs,Ths)를 설정하는 온도설정스위치(105)와, 상기 탱크(3,7,9)내의 정수를 배수하기위한 배수스위치(107)와, 상기 냉온정수기의 전원을 온/오프제어하는 운전스위치(109)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수단(114)은 상기 직류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냉온정수기를 초기화시킴은 물론, 상기 수위감지수단(102)에 의해 감지된 수위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냉온정수기의 전체적인 정수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로써, 이 제어수단(114)은 상기 키입력수단(104)에 의해 입력된 키이신호에 따라 상기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에 저장되는 냉수 또는 온수의 온도를 제어함과 동시에 정수의 배수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냉수온도감지수단(110)은 상기 냉수탱크(7)내에 저장된 냉수의 온도(Tc)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14)에 출력하는 온도센서이고, 온수온도감지수단(112)은 상기 온수탱크(9)내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Th)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14)에 출력하는 온도센서이다.
또, 펌프구동수단(116)은 상기 수위감지수단(102)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정수탱크(3)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정수탱크(3)내에 정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1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가압펌프(33)를 구동제어하고, 급수밸브구동수단(118)은 상기 수위감지수단(102)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정수탱크(3)의 수위에 따라 상기 수도전으로부터 급수되는 원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1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급수밸브(119)를 구동제어한다.
압축기구동수단(120)은 상기 키입력수단(104)의 온도설정스위치(105)에 의해 설정된 냉수설정온도(Tcs)와 상기 냉수온도감지수단(110)에 의해 감지된 냉수온도(Tc)의 차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11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냉수탱크(7)내의 정수를 냉각시키도록 압축기(35)를 구동제어하고, 모터구동수단(122)은 상기 키입력수단(104)의 온도설정스위치(105)에 의해 설정된 냉수설정온도(Tcs)와 상기 냉수온도감지수단(110)에 의해 감지된 냉수온도(Tc)의 차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11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응축기(37)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송풍함과 동시에 상기 압축기(35)를 냉각시키도록 팬모터(39)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팬(41)을 구동제어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히터구동수단(124)은 상기 키입력수단(104)의 온도설정스위치(105)에 의해 설정된 온수설정온도(Ths)와 상기 온수온도감지수단(112)에 의해 감지된 온수온도(Th)의 차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11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온수탱크(9)내의 정수를 가열시키도록 히터(47)를 구동제어하고, 메모리수단(126)은 상기 제어수단(11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키입력수단(104)의 온도설정스위치(105)에 의해 설정된 냉수설정온도(Tcs) 및 온수설정온도(Ths)를 저장함은 물론, 상기 온도설정스위치(105)의 키이조작에 따라 변경된 설정온도데이타를 저장하고, 상기 키입력수단(104)의 운전스위치(109)의 온/오프상태 및 배수스위치(107)의 온/오프상태를 저장하는 EEPROM이다.
표시수단(128)은 상기 키입력수단(104)의 온도설정스위치(105)에 의해 설정된 냉수설정온도(Tcs) 및 온수설정온도(Ths)를 표시함은 물론, 상기 냉수온도감지수단(110)에 의해 감지된 냉수온도(Tc) 및 상기 온수온도감지수단(112)에 의해 감지된 온수온도(Th)를 표시한다.
한편, 상기 메모리수단(126)에 냉수설정온도(Tcs) 및 온수설정온도(Ths)의 저장은, 상기 온도설정스위치(105)의 키이조작에 의한 온도설정(Tcs,Ths)이 완료되고 상기 표시수단(128)에서 표시되는 온도가 설정온도(Tcs,Ths)에서 현재온도(Tc,Th)로 바뀌는 시점에서 기록(WRITE)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온정수기의 데이터백업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제 4a도 및 제 4b도는 본 발명에 의한 냉온정수기의 데이터백업 제어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로서, 제 4a도 및 제 4b도에서 S는 스텝(Step)을 표시한다.
먼저, 냉온정수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직류전원수단(100)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입력단으롱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원의 전원전압을 상기 냉온정수기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구동회로 및 제어수단(114)에 출력한다.
따라서, 스텝SI에서는 상기 직류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제어수단(114)에서 입력받아 상기 냉온정수기를 초기화시키고, 스텝S2에서는 키입력수단(104)의 도시되지 않은 냉수 및 온수선택스위치를 조작하여 냉수 및 온수를 선택한다음, 온도설정스위치(105)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냉수온도 및 온수온도(Tcs,Ths)를 설정한다.
이때, 표시수단(128)에서는 상기 키입력수단(104)에 의해 설정된 냉수설정온도(Tcs) 및 온수설정온도(Ths)를 제어수단(114)의 제어에 따라 표시하는데, 상기 표시수단(128)에 표시되는 온도가 냉수설정온도(Tcs) 및 온수설정온도(Ths)에서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내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의 냉수온도(Tc) 및 온수온도(Th)로 복귀되는 시점에서 상기 온도설정스위치(105)에 의해 설정된 냉수설정온도(Tcs) 및 온수설정온도(Ths)가 메모리수단(126)에 저장된다.
이어서, 상기 키입력수단(104)의 운전스위치(109)가 온되면, 스텝S3에서는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3)의 정수량 즉, 상기 정수탱크(3)의 수위를 수위감지수단(102)에서 감지하여 그 감지된 수위데이타를 제어수단(114)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114)에서는 수위감지수단(102)에 의해 감지된 정수탱크(3)의 수위가 갈수위(최저수위;만수위를 100%라 가정하면, 약10%정도)이상인가를 판별하는데, 이는 상기 정수탱크(3)내에 장착된 갈수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저항값을 제어수단(114)에서 입력받아 정수탱크(3)의 수위가 갈수위이상인가를 판별하는 것이다.
상기 스텝S3에서의 판별결과, 상기 정수탱크(3)의 수위가 갈수위이상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정수탱크(3)내에 정수를 공급하기위한 정수동작을 수행하도록 스텝S4에서 제어수단(114)은 급수밸브(81)를 개방하기위한 제어신호를 급수밸브구동수단(118)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급수밸브구동수단(118)에서는 제어수단(114)의 제어에 따라 급수밸브(81)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공급하여 급수밸브(81)를 개방시킨다.
상기 급수밸브(81)가 개방되면, 수도전으로부터 수도물 등의 원수가 급수되기 시작하는데, 스템S5에서 제어수단(114)은 수도전으로부터 급수되어 멤브레인(25,27)으로 유입되는 원수를 소정압력으로 승압시키도록 가압펌프(33)를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펌프구동수단(116)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펌프구동수단(116)에서는 제어수단(11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가압펌프(33)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공급하여 가압펌프(33)를 구동시킨다.
성기 가압펌프(33)가 구동되면, 스템S6에서는 급수밸브(81)의 개방에 따라 수도전으로부터 급수되는 원수가 침전필터(21)를 통과하면서 부유물질 및 녹찌꺼기가 제거되고, 상기 침전필터(21)를 통과한 원수는 전처리필터(23)를 통과하면서 연소성분 등의 각종 유해한 유기화합물질이 제거된다.
상기 전처리필터(23)를 통과한 원수는 가압펌프(33)의 구동에 따라 소정압력으로 승압되어 멤브레인(25,27)을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멤브레인(25,27)으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멤브레인(25,27)내에 형성된 다수개의 멤브레인막을 투과하면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중금속이나, 발암물질, 박테리아 등의 세균이 제거된다.
상기 멤브레인(25,27)을 통과한 원수는 다시 후처리필터(29)를 통과하면서 유독가스 등의 냄새가 제거된 후, 도시되지 않은 급수공을 통해 정수탱크(3)내로 공급되면서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한편, UV필터(31)에서는 상기 침전필터(21), 전처리필터(23), 멤브레인(25,27) 및 후처리필터(29)를 통과하는 원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원수에 함유된 유해한 균을 살균시킨다.
이어서, 스템S7에서는 상기 스템S6에의 정수동작시에 정수탱크(3)내로 공급되는 정수량 즉, 상기 정수탱크(3)의 수위를 수위감지수단(102)에서 감지하여 그 감지된 수위데이타를 제어수단(114)에 출력하면, 상기 제어수단(114)에서는 수위감지수단(102)에 의해 감지된 정수탱크(3)의 수위가 갈수위이상인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7에서의 판별결과, 상기 정수탱크(3)의 수위가 갈수위이상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정수탱크(3)내에 정수를 계속해서 공급해야 하므로상기 스텝S6로 복귀하여 정수동작을 수행하면서 스텝S6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S7에서의 판별결과, 상기 정수탱크(3)의 수위가 갈수위이상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에 저장된 정수를 냉각 및 가열시키기위해 스텝S8에서 제어수단(114)은 압축기(35)와 히터(47)를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압축기구동수단(120)과 히터구동수단(124)에 출력함과 동시에 팬모터(39)를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모터구동수단(122)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구동수단(120)에서는 제어수단(114)의 제어에 따라 압축기(35)를 구동시키고, 히터구동수단(124)에서는 제어수단(114)의 제어에 따라 히터(47)를 구동시키며, 상기 모터구동수단(122)에서는 제어수단(114)의 제어에 따라 팬모터(39)를 구동시킨다.
상기 압축기(35)와 팬모터(39)가 구동되면, 압축기(35)에 의해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37)로 유입되면서 외부공기와의 자연대류나 팬(41)의 회전에 의한 강제대류현상에 의해 열교환되어 저온고압의 냉매로 냉각되어 액화한다.
상기 응축기(37)에서 액화된 저온고압의 액상냉매는 도시되지 않은 캐필러리튜브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로 감압되어 증발관(43)에 유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증발관(43)에서는 캐필러리튜브에서 감압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가 여러개의 파이프를 통과하면서 증발하여 기화할 때 상기 냉수탱크(7)내의 정수를 냉각시키고, 증발관(43)에서 냉각된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는 다시 상기 압축기(35)로 흡입되면서 반복순환하는 냉동싸이클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냉동싸이클의 반복순환동작에 따라 냉수탱크(7)내의 정수가 냉각되어 냉수로 변화된다.
또한, 상기 히텨(47)가 구동되면, 히터(47)의 발열에 의해 온수탱크(9)내의 정수가 가열되어 온수로 변화된다.
상기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내 정수의 냉각 및 가열시에도 정수동작은 정수탱크(3)내의 만수위가 될 때까지 계속해서 수행된다.
이때, 스템S9에서는 냉동싸이클의 반복순환동작에 따라 낮아지는 냉수탱크(7)내의 냉수온도(Tc)를 냉수온도감지수단(110)에서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14)에 출력하고, 표시수단(128)에서는 상기 냉수온도감지수단(110)에 의해 감지된 냉수온도(Tc)를 제어수단(114)의 제어에 따라 표시한다.
이어서, 스텝S10에서 제어수단(114)은 상기 냉수온도감지수단(110)에 의해 감지된 냉온도(Tc)가 온도설정스위치(105)에 의해 설정된 냉수설정온도(Tcs)이하인가를 판별하여, 냉수온도(Tc)가 냉수설정온도(Tcs)이하가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냉수탱크(7)내의 냉수를 계속해서 냉각시켜야 하므로 상기 스텝S8로 복귀하여 압축기(35) 및 팬모터(39)를 구동시키면서 스텝S8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10에서의 판별결과, 냉수온도(Tc)가 냉수설정온도(Tcs)이하인 경우(YSE일 경우)에는 냉수탱크(7)내의 냉수를 냉각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스템S11에서 압축기구동수단(120)과 모터구동수단(122)은 제어수단(114)의 제어에 따라 압축기(35)와 팬모터(39)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어서, 스텝S12에서는 상기 히터(47)의 발열에 의해 상승하는 온수탱크(9)내의 온수온도(Th)를 온수온도감지수단(112)에서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14)에 출력하고, 표시수단(128)에서는 상기 온수온도감지수단(112)에 의해 감지된 온수온도(Th)를 제어수단(114)의 제어에 따라 표시한다.
그리고, 스텝S13에서 제어수단(114)은 상기 온수온도감지수단(112)에 의해 감지된 온수온도(Th)가 온도설정스위치(105)에 의해 설정된 온수설정온도(Ths)이상인가를 판별하여, 온수온도(Th)가 온수설정온도(Ths)이상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온수탱크(9)내의 온수를 계속해서 가열시켜야 하므로 상기 스텝S8로 복귀하여 히터(47)를 구동시키면서 스텝S8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13에서의 판별결과, 온수온도(Th)가 온수설정온도(Ths)이상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온수탱크(9)내의 온수를 가열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스텝S14에서 히터구동수단(124)은 제어수단(114)의 제어에 따라 히터(47)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어서, 스텝S15에서는 상기 스텝S6에서의 정수동작에 따른 냉온수생성시 변화하는 정수탱크(3)의 수위를 수위감지수단(102)에서감지하여 제어수단(114)에 출력하면, 상기 제어수단(114)에서는 수위감지수단(102)에 의해 감지된 정수탱크(3)의 수위가 만수위이상인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15에서의 판별결과, 상기 정수탱크(3)의 수위가 만수위이상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정수탱크(3)내에 정수를 계속해서 공급해야 하므로 상기 스텝S6로 복귀하여 정수동작을 수행하면서 스텝S6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S15에서의 판별결과, 상기 정수탱크(3)의 수위가 만수위이상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정수탱크(3)내에 정수의 공급을 중지해야 하므로 스텝S16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14)은 급수밸브(81)를 폐쇄하기위한 제어신호를 급수밸브구동수단(118)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급수밸브구동수단(118)에서는 제어수단(114)의 제어에 따라 급수밸브(81)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차단하여 급수밸브(81)를 폐쇄시킨다.
이때, 스텝S17에서 펌프구동수단(116)에서는 제어수단(114)의 제어에 따라 가압펌프(33)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차단하여 가압펌프(33)를 정지시킨다.
상기 급수밸브(81)가 폐쇄되고 가압펌프(33)가 정지되면, 수도전으로부터 급수되는 원수의 공급이 차단되어 정수탱크(3)내에는 정수가 더이산 공급되지 않게 되면서 정수동작을 정지한다.
이어서, 스텝S18에서는 상기 온도설정스위치(105)의 키이조작에 의해 냉수설정온도(Tcs) 및 온도설정온도(Ths)가 변경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설정온도(Tcs,Ths)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S19로 나아가서 정수탱크(3)의 수위를 수위감지수단(102)에서 감지하여 제어수단(114)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114)에서는 수위감지수단(102)에 의해 감지된 정수탱크(3)의 수위가 증위수이상인가를 판별하여, 정수탱크(3)의 수위가 중수위이상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정수탱크(3)에 정수를 공급하기위한 정수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스텝S4로 복귀하여 스텝S4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19에서의 판별결과, 정수탱크(3)의 수위가 중수위이상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정수탱크(3)에 정수를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스텝S20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14)은 정수동작을 정지하면서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스텝S18에서의 판별결과, 설정온도가 변경된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21로 나아가서 표시수단(128)은 상기 온도설정스위치(105)에 의해 변경된 냉수설정온도(Tcs) 및 온수설정온도(Ths)를 제어수단(114)의 제어에 따라 표시하고, 스텝S22에서는 상기 표시수단(128)에 표시되는 온도가 변경된 냉수설정온도(Tcs) 및 온수설정온도(Ths)에서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내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의 냉수온도(Tc) 및 온수온도(Th)로 복귀되는 시점에서 상기 온도설정스위치(105)에 의해 변경된 냉수설정온도(Tcs) 및 온수설정온도(Ths)의 변경데이타를 메모리수단(126)에 저장하면서 상기 스텝S9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설정온도(Tcs,Ths)의 변경시에 그 변경된 데이터를 바로 메모리수단(126)에 저장함으로써 정전시, 상기 냉온정수기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도 메모리수단(126)에 데이터가 안전하게 백업되어 있기 때문에 다시 전원이 공급되면, 메모리수단(126)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지고 정전되기 이전의 운전상태(예를들면, 냉수설정온도 및 온수설정온도 등)로 냉온정수기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메모리수단(126)에 변경된 설정온도데이타(Tcs,Ths)를 저장한다음, 스텝S9로 복귀하는 것은 변경된 설정온도(Tcs,Ths)에 따라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에 저장되는 냉수 및 온수의 온도(Tc,Th)를 제어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스텝S3에서의 판별결과, 정수탱크(3)의 수위가 갈수위이상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에 저장된 정수를 냉각 및 가열시키기 위해 상기 스텝S8로 나아가서 스텝S8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에서는 냉수설정온도(Tcs) 및 온수설정온도(Ths)의 변경시마다 그 변경된 온도데이타를 메로리수단(126)에 저장하여 정전시에도 안전하게 데이터를 백업시킬 수 있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운전스위치(109)의 온/오프조건, 배수스위치(107)의 온/오프조건, 냉수 및 온수선택조건 등 이전의 운전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온정수기의 데이터백업장치에 의하면, 데이터의 변경시마다 변경데이타를 EEPROM에 저장하여 정전시에도 별도의 백업밧데리없이 현재의 운전상태를 안전하게 메모리시킴으로써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데이타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급수되는 원수를 다수개의 필터를 통과시켜 정수한 후 가열 및 냉각시켜 온수 및 냉수를 공급하도록 정수탱크,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를 구비하는 냉온정수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냉수 및 온수온도를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냉온정수기의 운전조건을 입력하도록 키이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수단과, 상기 키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키이신호에 따라 냉수 및 온수온도를 제어함과 동시에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키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운전조건, 냉수설정온도 및 온수설정온도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키입력수단에 의해 설정된 냉수설정온도 및 온수설정온도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내의 냉수 및 온수온도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의 데이터백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은 상기 키입력수단의 키이조작에 따라 변경되는 설정온도데이타 및 운전상태를 저장하는 EEPRO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의 데이터백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키입력수다느이 키이조작에 따라 변경되는 냉수설정온도 및 온수설정온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의 데이터백업장치.
KR1019950023140A 1995-07-29 1995-07-29 냉온정수기의 데이타백업장치 KR0146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3140A KR0146825B1 (ko) 1995-07-29 1995-07-29 냉온정수기의 데이타백업장치
JP8199457A JP2807442B2 (ja) 1995-07-29 1996-07-29 冷温浄水器のデータバックアップ装置
US08/690,647 US5772869A (en) 1995-07-29 1996-07-29 Data backup device for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3140A KR0146825B1 (ko) 1995-07-29 1995-07-29 냉온정수기의 데이타백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200A KR970007200A (ko) 1997-02-21
KR0146825B1 true KR0146825B1 (ko) 1998-08-17

Family

ID=19422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3140A KR0146825B1 (ko) 1995-07-29 1995-07-29 냉온정수기의 데이타백업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772869A (ko)
JP (1) JP2807442B2 (ko)
KR (1) KR01468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245B1 (ko) * 2001-10-19 2005-03-16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품 저장고와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5893B2 (en) * 2009-01-08 2013-07-30 Ali Alajimi Hybrid apparatus for cooling water and air and heating water
KR101185308B1 (ko) * 2009-02-09 2012-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JP2013220419A (ja) * 2012-04-19 2013-10-28 Sangyo Kaihatsu Kiko:Kk 電気浸透修復法による汚染物質の無害化処理方法
CN106419548A (zh) * 2016-09-22 2017-02-22 于林静 一种具有在线制水功能的茶吧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4792A (en) * 1976-06-14 1977-03-29 Gossett Charles W Air and light impervious water purification and product dispensing system
US4792059A (en) * 1987-02-04 1988-12-20 United States Thermoelectric Corporation Sealed hot, cold and room temperature pure water dispenser
US5064097A (en) * 1990-10-10 1991-11-12 Water Center International Ltd. Compact water purification and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WO1994020784A1 (en) * 1993-03-05 1994-09-15 Sheringham Investments Pty. Ltd. Dispenser for hot and cold water
US5494573A (en) * 1994-02-14 1996-02-27 Aquatec Water Systems, Inc. Reverse osmosis water purification diagnostic system
US5499197A (en) * 1994-04-05 1996-03-12 Fou; Hsu-Chao Intelligent and all-bearing control circuit device of reverse osmosis drinking water machine
US5573142A (en) * 1994-10-17 1996-11-12 Whirlpool Corporation Bottled water dispensing cabin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245B1 (ko) * 2001-10-19 2005-03-16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품 저장고와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200A (ko) 1997-02-21
US5772869A (en) 1998-06-30
JP2807442B2 (ja) 1998-10-08
JPH09103781A (ja) 1997-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5908B1 (ko) 냉온정수기의 램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46826B1 (ko) 냉온정수기의 배수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5827428A (en) Filtered water drain for a spillage collector on a purified water dispenser
KR0146825B1 (ko) 냉온정수기의 데이타백업장치
KR0175895B1 (ko) 냉온정수기의 온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631214B1 (ko) 물의 온도 검출에 따른 압축기 구동시스템 및 구동방법
KR19980056373A (ko) 정수기의 제어장치
JPH101989A (ja) 浄水器の取水装置用カップリング装置
KR0156712B1 (ko) 정수기의 취수장치
KR19980073959A (ko) 정수기의 온도제어장치
KR0175905B1 (ko) 냉온정수기의 해충퇴치장치
KR19980056370A (ko) 정수기의 배수제어장치
KR0175904B1 (ko) 냉온정수기의 농축수량 조절장치
KR20110001353A (ko) 빙축열 방식 정수기 및 그 누수 감지방법
KR101305331B1 (ko) 정수기
KR0139294Y1 (ko)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
KR19980056371A (ko) 정수기의 취수장치
KR20120114718A (ko) 정수기용 순간냉각장치
US20230234828A1 (en) Water purifier with ice-maker
KR19980056374A (ko) 정수기의 수위감지장치
KR0175909B1 (ko) 정수기용 정수저장탱크의 덮개장치
JP3691154B2 (ja) 製氷機
JP2017145965A (ja) 給水加温システム
KR0127639Y1 (ko) 정수기의 단수감지장치
KR0161087B1 (ko) 냉온정수기의 에어트립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