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353A - 빙축열 방식 정수기 및 그 누수 감지방법 - Google Patents

빙축열 방식 정수기 및 그 누수 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353A
KR20110001353A KR1020090058855A KR20090058855A KR20110001353A KR 20110001353 A KR20110001353 A KR 20110001353A KR 1020090058855 A KR1020090058855 A KR 1020090058855A KR 20090058855 A KR20090058855 A KR 20090058855A KR 20110001353 A KR20110001353 A KR 20110001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ak
water purifier
ice
heat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회
안규섭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8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1353A/ko
Publication of KR20110001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3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누수감지가 가능한 빙축열 방식 정수기 및 그 누수 감지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빙축열 방식 정수기는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공급을 유지하거나 차단하는 원수공급밸브;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빙축열 방식으로 냉각시키는 빙축열식 냉각조;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 또는 상기 빙축열식 냉각조에서 냉각된 냉수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전원이 공급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초기가동시간 경과한 후 상기 추출부를 통한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음에도 상기 유량센서의 작동이 있는 경우 누수라고 판단하고, 상기 원수공급밸브를 차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빙축열 방식 정수기에 의하면 유량센서의 작동 및 정수기 사용여부를 통하여 안정적으로 누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Figure P1020090058855
빙축열, 정수기, 누수감지, 유량센서, 탄산수, 바닥누수 감지센서

Description

빙축열 방식 정수기 및 그 누수 감지방법{ICE-STORAGE TYPE WATER PURIFIER AND WATER LEAKAGE SENS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빙축 열교환을 이용한 빙축열 방식 정수기 및 그 누수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적으로 누수를 감지하고 누수 감지시 감전 등의 안전사고나 정수기의 부품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빙축열 방식 정수기 및 그 누수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도전이나 생수통으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정수시키기 위한 장치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포함한 정수법을 기초로 원수에 포함된 중금속이나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인체에 유익한 물질만이 포함된 음용수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는 상온의 정수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를 냉각시킨 냉수를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냉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정수기는 냉수탱크를 구비하여 냉수탱크 내부에 냉각장치의 증발기를 설치하거나 냉수탱크의 외면에 증발기를 접촉시키는 직접 냉각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얼음 및/또는 차가운 유체가 저장된 냉각조에 냉수관을 통과시켜 냉각조 내부에 수용된 차가운 열전달 물질과 냉수관을 통과하는 정수 사이의 열교환을 통하여 냉수를 생성하는 빙축열 방식(또는 간접 냉각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빙축열 방식의 정수기는 별도의 냉수탱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냉수탱크의 수위변화를 통한 누수를 감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빙축열 방식의 정수기는 초기 사용시 냉각조에 냉각용 원수를 공급하여야 하므로 냉각용 원수 공급시 누수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누수가 발생한 경우 감전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에 대한 개선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빙축열식 냉각조를 구비하는 정수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 감지가 가능한 빙축열 방식 정수기 및 그 누수 감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수기의 작동 초기에도 안정적으로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빙축열 방식 정수기 및 그 누수 감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누수 발생시 원수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빙축열 방식 정수기 및 그 누수 감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누수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빙축열 방식 정수기 및 그 누수 감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빙축열식 냉각조에서 응결된 물 등으로 인한 누수 오감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빙축열 방식 정수기 및 그 누수 감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공급을 유지하거나 차단하는 원수공급밸브;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빙축열 방식으로 냉각시키는 빙축열식 냉각조;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 또는 상기 빙축열식 냉각조에서 냉각된 냉수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전원이 공급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초기가동시간 경과 한 후 상기 추출부를 통한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음에도 상기 유량센서의 작동이 있는 경우 누수라고 판단하고, 상기 원수공급밸브를 차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빙축열 방식 정수기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공급을 유지하거나 차단하는 원수공급밸브;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빙축열 방식으로 냉각시키는 빙축열식 냉각조; 상기 빙축열식 냉각조 내부에 배치되어 탄산수 또는 산소수를 생성하는 기능수 생성탱크;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 상기 빙축열식 냉각조에서 냉각된 냉수, 또는 상기 기능수 생성탱크에서 생성된 탄산수나 산소수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전원이 공급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초기가동시간 경과한 후 상기 추출부를 통한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상기 기능수 생성탱크에 정수의 유입이 없음에도 상기 유량센서의 작동이 있는 경우 누수라고 판단하고, 상기 원수공급밸브를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빙축열 방식 정수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빙축열 방식 정수기는 상기 빙축열식 냉각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빙축열식 냉각조를 포함한 정수기 내부 부품으로부터의 누수를 감지하는 바닥누수 감지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닥누수 감지센서에서 누수가 감지된 경우 상기 원수공급밸브를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누수가 감지된 경우 상기 바닥누수 감지센서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누수가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 누수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빙축열 방식으로 냉각시키는 빙축열식 냉각조를 구비하는 정수기의 누수 감지방법에 있어서, a) 전원이 투입된 후 미리 설정된 초기가동시간이 경과했는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초기가동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c) 상기 유량센서의 작동이 감지된 경우 정수기의 사용이 있는지 판단하고, 정수기의 사용이 없음에도 상기 유량센서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누수라고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누수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필터부로 원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빙축열 방식 정수기의 누수 감지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빙축열 방식 정수기의 누수 감지방법은 상기 a) 단계 이전에, pa1) 상기 빙축열식 냉각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빙축열식 냉각조를 포함하는 정수기 내부 부품으로부터의 누수를 감지하는 바닥누수 감지센서를 통하여 누수가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pa2) 상기 바닥누수 감지센서에서 누수가 감지된 경우 상기 필터부로 원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pa2) 단계는 상기 바닥누수 감지센서에서 제1 시간동안 계속하여 누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필터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빙축열 방식 정수기의 누수 감지방법은 상기 유량센서 또는 바닥누수 감지센서를 통하여 누수가 감지된 경우 상기 바닥누수 감지센서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빙축열 방식 정수기의 누수 감지방법은 상기 유량센서 또는 바닥누수 감지센서를 통하여 누수가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누수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미리 설정된 제2 설정시간동안 계속하여 정수기의 사용이 없음에도 상기 유량센서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누수라고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수기는 정수와 냉수의 추출이 가능하며, 상기 c) 단계는 정수 또는 냉수의 추출이 이루어질 때 정수기의 사용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정수기는 탄산수 또는 산소수를 생성하는 기능수 생성탱크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c) 단계는 탄산수 또는 산소수의 추출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기능수 생성탱크에 물이 공급될 때에도 정수기의 사용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유량센서의 작동여부 및 정수기의 사용여부를 통하여 누수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누수발생시 원수공급밸브를 차단함으로써 추가적인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바닥누수 감지센서를 통하여 누수를 감지함으로써 정수기의 작동 초기에도 안정적으로 누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누수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최소한의 설정시간 동안 누수 판단을 보류하므로, 빙축열식 냉각조 등에 의한 응축수의 영향으로 바닥누수 감지센서가 작동하고 원수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누수 오감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누수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누수를 인지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빙축열식 냉각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누수감지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누수감지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빙축열 방식 정수기(100)는 원 수를 여과하는 필터부(110)와, 상기 필터부(110)로 유입되는 원수의 공급을 유지하거나 차단하는 원수공급밸브(120)와, 상기 필터부(110)에서 여과된 정수를 빙축열 방식으로 냉각시키는 빙축열식 냉각조(160)와, 상기 필터부(110)에서 여과된 정수 또는 상기 빙축열식 냉각조(160)에서 냉각된 냉수를 추출하는 추출부(190)와, 유량센서(130)를 통하여 누수를 감지하고 누수 감지시 상기 원수공급밸브(120)를 차단하는 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10)는 수도전 또는 생수통과 같은 원수 공급부(미도시)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여과하게 된다. 이러한 필터부(110)의 구성은 정수기의 사양이나 성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개수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원수공급밸브(120)는 원수공급라인(101)를 통하여 필터부(110)에 유입되는 원수의 흐름을 유지하거나 차단하게 되며, 일 예로서 NOS(Normally Open Solenoid)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원수공급밸브(120)는 필터부(110)의 전단 또는 후단이나 필터부(110)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설치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필터부(110)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은 유량센서(130)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유량센서(130)가 작동하는 경우 정수기의 내부로 원수가 유입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필터부(11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정수는 정수추출밸브(104a)가 개방됨에 따라 정수라인(102) 및 정수 배출라인(104)을 거쳐 추출 부(190)를 통하여 추출된다.
이때, 필터부(110)에서 여과된 정수의 일부는 냉수추출밸브(108a)가 개방되는 경우 삼방향밸브(103) 및 냉수 인입라인(105)을 통해 빙축열식 냉각조(160)로 유입된다.
상기 빙축열식 냉각조(160)는 냉각장치(170)를 통하여 냉각된 얼음 및/또는 낮은 온도의 유체를 수용하며 냉각관(106)을 통해 유입된 정수와 빙축열식 냉각조(160)에 수용된 얼음 및/또는 낮은 온도의 유체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냉수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냉각장치(170)는 통상의 냉각시스템과 마찬가지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73), 상기 압축기(173)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174),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증발하는 증발기(171), 상기 증발기(171)에서 증발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1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171)는 냉각관(106)이 직접적으로 결빙되어 동파되는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빙축열식 냉각조(160)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빙축열식 냉각조(160) 내에 수용된 유체를 과냉각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171)의 하부에 배치된 냉각관(10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빙축열식 냉각조(160)를 통과하면서 충분한 열교환(냉각)이 가능하도록 다수 번에 걸쳐 지그재그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빙축열식 냉각조(160)에서 냉각된 냉수는 냉수 배출라인(108)을 거쳐 추출부(190)를 통하여 추출된다.
또한, 상기 빙축열식 냉각조(160)는 상기 증발기(171)에 의해 그 내부에 완전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른 온도분포를 가질 수 있도록 교반장치(16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교반장치(165)는 교반팬(165c)과 연결되는 교반축(165b)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165a)로 이루어지며, 그 회전에 의해 빙축열식 냉각조(160)에 수용된 유체가 급결빙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빙축열식 냉각조(160) 내부에는 물이나 냉각점이 낮은 유체가 수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냉수 인입라인(105)을 통해 인입되는 정수가 삼방향 밸브(105a)를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빙축열식 냉각조(160)가 적절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플로트(16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빙축열식 냉각조(160)는 냉각장치(170)의 구동을 위하여 전원이 투입된 후 일정시간(초기가동시간, 예를 들어 20분) 동안 그 내부를 냉각용 유체로 채울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원 투입후 일정시간(초기가동시간) 동안에는 정수 또는 냉수의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유량센서(130)가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제어부(C)는 전원이 투입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초기가동시간 경과한 이후에, 상기 추출부(190)를 통한 추출 등 정수기의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음에도 유량센서(130)의 작동이 있는 경우 누수라고 판단하게 되고, 추가적인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원수공급밸브(120)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추출부(190)를 통한 추출 등을 통하여 정수기의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의 여부는 추출밸브(104a,108a)의 개방신호를 감지하거나 정수배출라인(104)이나 냉수배출라인(108)에 별도의 센서를 부착함으로써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빙축열 방식 정수기는 초기가동시간 경과후 유량센서(130)의 작동과 추출 등에 의한 정수기의 사용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누수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빙축열 방식 정수기(100)는 상기 빙축열식 냉각조(16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빙축열식 냉각조(160)나 각종 배관 등 정수기 내부 부품으로부터의 누수를 감지하는 바닥누수 감지센서(1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바닥누수 감지센서(150)는 빙축열식 냉각조(160) 하측에 위치한 플레이트(151)에 설치될 수 있으나, 정수기 본체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그 위치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바닥누수 감지센서(150)가 설치된 경우,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바닥누수 감지센서(150)에서 누수가 감지되면 상기 원수공급밸브(120)를 차단하게 된다.
이 경우, 빙축열식 냉각조(160) 등에 의하여 발생한 응축수의 영향으로 바닥누수 감지센서(150)가 작동하고 원수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누수 오감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C)는 미리 설정된 제1 설정시간 동안 계속하여 바닥누수 감지센서(150)에서 누수가 감지되는 경우 이를 누수로 판단하고 누수감지에 따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응축수가 제1 설정시간보다 작은 시간동안 일시적으로 바닥누수 감지센서(150)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실제로 누수가 발생한 것이 아니므로 이로 인한 누수 오감지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바닥누수 감지센서(150)에서 누수가 감지된 후 누수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최소한의 설정시간(실제로 누수가 발생한 경우 초기 누수량은 미미하므로 예를 들어, 15초로 설정할 수 있다) 동안 누수 판단을 보류함으로써 누수 오감지로 인한 정수기의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닥누수 감지센서(150)를 통하여 누수가 감지된 경우 바닥누수 감지센서(150)를 통한 누전을 막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C)는 바닥누수 감지센서(15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바닥누수 감지센서(15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전원 투입후 초기가동시간 동안에도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정수기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유량센서(130) 또는 바닥누수 감지센서(150)를 통하여 누수가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누수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누수를 인지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빙축열 방식 정수기(100)는 유량센서(130)와 정수기의 사용여부를 통하여, 및/또는 바닥누수 감지센서(150)를 통하여 누수를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수공급밸브(120)의 차단, 바닥누수 감지센서(150)의 전원 차단, 누수 디스플레이 등을 통한 안정적인 누수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빙축열 방식 정수기에 대해 살펴본다. 도 2에 도시된 빙축열 방식 정수기는 탄산가스를 함유하는 탄산수나 산소가스를 함유하는 산소수와 같은 기능수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수 생성탱크(180)와 이에 연결된 유로를 갖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빙축열 방식 정수기(100)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빙축열 방식 정수기(100)는 빙축열식 냉각조 내부에 배치되어 탄산수 또는 산소수를 생성하는 기능수 생성탱크(18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추출부(190)는 필터부(110)에서 여과된 정수, 빙축열식 냉각조(160)에서 냉각된 냉수 또는 기능수 생성탱크(180)에서 생성된 탄산수 또는 산소수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기능수 생성탱크(180)는 탄산수 또는 산소수와 같은 기능수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탄산수 생성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기능수 생성탱크(180)는 그 온도를 낮게 유지하기 위하여 빙축열식 냉각조(16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냉수 공급밸브(107a)가 개방되면 냉각관(106)에 연결된 삼방향 밸브(106a), 냉수 공급관(107)을 순차적으로 거쳐 기능수 생성탱크(180)의 내부에 냉수가 유입되며, 탄산가스 공급밸브(141)가 개방되면 탄산가스 공급부(140)로부터 탄산가스 라인(142)를 거쳐 탄산가스가 기능수 생성탱크(180)의 내부에 공급된다. 이때, 탄산가스의 용해가 용이하도록 탄산가스는 작은 기공을 갖는 기포관(143)을 통해 기 능수 생성탱크(18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기능수 생성탱크(180)에 유입된 냉수에 탄산가스가 용해되면서 탄산수가 생성되며, 생성된 탄산수는 탄산수 추출밸브(145a)가 개방되면 탄산수 배출라인(145)을 통해 추출부(190)에서 배출된다.
한편, 탄산수가 다량 추출된후 새로운 탄산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정수 및 탄산가스의 추가공급이 필요하고 이를 위하여 기능수 생성탱크(180)에 잔류하는 미용해 탄산가스로 인한 잔류압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기능수 생성탱크(180)의 상측에는 잔류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라인(185)과 가스 배출밸브(186)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수, 냉수 뿐만 아니라 탄산수나 산소수와 같은 기능수의 추출이 가능한 정수기의 경우, 제어부(C)는 전원이 투입된 후 미리 설정된 초기가동시간 경과후 상기 추출부(190)를 통한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기능수 생성탱크(180)에 정수의 유입이 없음에도 상기 유량센서(130)의 작동이 있는 경우 누수라고 판단하고, 상기 원수공급밸브(130)를 차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빙축열 방식 정수기의 누수 감지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4에 도시된 빙축열 방식 정수기의 누수 감지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빙축열 방식 정수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빙축열 방식 정수기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누수 감지방법은 먼저, 전원이 투입된 후 미리 설정된 초기가동시간이 경과했는지 판단하는 초기가동시간 경과확인 단계(S50)를 수행하게 된다.
빙축열식 냉각조(160)는 냉각장치(170)의 구동을 위하여 전원이 투입된 후 일정시간(초기가동시간, 예를 들어 20분) 동안 그 내부를 냉각용 유체로 채울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원 투입후 일정시간(초기가동시간) 동안에는 정수 또는 냉수의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량센서(130)가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전원이 투입된 후 미리 설정된 초기가동시간이 경과했는지 판단하는 단계(S50)를 거치게 된다.
전원투입후 미리 설정된 초기가동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전원투입후의 시간을 적산하고(S51) 다시 처음으로 복귀하여 초기가동시간 경과확인 단계(S50)를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초기가동시간이 경과한 경우 필터부(110)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130)의 작동여부를 판단하게 되며(S60), 유량센서(130)가 작동하지 않으면 빙축열 방식 정수기(10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누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다시 처음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유량센서(130)가 작동하면 정수기의 사용이 있는지 판단하게 된다(S70). 즉, 정수기 사용판단 단계(S70)는 추출부(190)를 통한 추출이 이루어지는지를 추출밸브의 개폐 등을 감지하여 확인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빙축열 방식 정수기와 같이 정수와 냉수의 추출이 가능한 경우에는 추출부(190)를 통하여 정수 또는 냉수의 추출이 이루어질 때 정수기의 사용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빙축열 방식 정수기와 같이, 정수 또는 냉수 뿐만 아니라 탄산수 또는 산소수를 생성하는 기능수 생성탱크(18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추출부(190)를 통하여 정수, 냉수, 탄산수 또는 산소수의 추출이 이루어지거나 탄산수 또는 산소수의 재성성을 위하여 기능수 생성탱크(180)에 냉수가 공급될 때에도 정수기의 사용이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량센서(130)가 작동하지만 실제로 추출부(190)를 통한 추출이 이루어지거나 탄산수 또는 산소수의 재성성을 위하여 기능수 생성탱크(180)에 냉수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작동상태로서 누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다시 처음으로 복귀하게 된다.
만약, 유량센서(130)가 작동함에도 정수기의 사용이 없는 경우에는 아무런 원인없이 원수가 공급되는 상태이므로 이를 누수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누수 조치단계(S90)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누수 조치단계(S90)는 바닥누수 감지센서(150)을 통하여 누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누수 감지센서(15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S91)와, 사용자에게 누수를 알리기 위하여 알람이나 램프를 통하여 누수를 표시하는 단계(S92)와, 추가적인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수기 내부로 인입되는 원수를 차단하기 위하여 원수공급밸브(120)를 차단하는 단계(S9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누수 조치단계(S90)에 포함되는 내부 구성단계의 순서는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순서 또한 변경 가능하다.
한편, 추출부(190)를 통한 추출작업이 종료된 후에도 정수기 내부의 관로 길이로 인하여 유량센서(130)가 소정시간 동안 추가로 작동될 수 있으며, 유량센서(130)나 추출부(190)의 작동오차 등으로 인하여 추출부(190)에서 추출이 없는 상태임에도 유량센서(130)가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곧바로 누수 조치단계(S90)를 수행하는 경우 누수 오감지로 인하여 불편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정수기의 사용이 없음에도 유량센서(130)가 미리 설정된 제2 설정시간 동안 계속하여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80)를 누수 조치단계(S90) 이전에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정수기의 사용이 없음에도 유량센서가 계속하여 작동한 시간이 제2 설정시간 미만인 경우 감지된 시간을 적산하고(S81)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초기단계부터 다시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제2 설정시간 이상 유량센서가 계속 작동한 경우에는 누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누수 조치단계(S90)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정수기의 사용이 없음에도 유량센서가 작동하는 경우 누수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제2 설정시간 동안 누수 판단을 보류함으로써 누수 오감지로 인한 정수기의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빙축열 방식 정수기의 누수 감지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5에 도시된 누수 감지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누수 감지방법과 대비할 때 초기가동시간 경과확인 단계(S50) 이전에 바닥누수 감지단계(S10) 내지 누수 조치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누수 감지단계(S10)는 빙축열식 냉각조(16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빙축열식 냉각조(160)나 각종 배관 등 정수기 내부 부품으로부터의 누수를 감지하는 바닥누수 감지센서(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누수 감지단계(S10)에서 누수가 감지된 경우 누수 조치단계(S4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누수 조치단계(S40)는 바닥누수 감지센서(150)을 통하여 누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누수 감지센서(15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S41)와, 사용자에게 누수를 알리기 위하여 알람이나 램프를 통하여 누수를 표시하는 단계(S42)와, 추가적인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수기 내부로 인입되는 원수를 차단하기 위하여 원수공급밸브(120)를 차단하는 단계(S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누수 조치단계(S40)에 포함되는 내부 구성단계의 순서는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순서 또한 변경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빙축열식 냉각조(160) 등에 의하여 발생한 응축수의 영향으로 바닥누수 감지센서(150)가 작동하고 원수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누수 오감지에 의한 정수기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빙축열 방식 정수기의 누수 감지방법은 상기 바닥누수 감지단계(S10)에서 누수가 감지된 경우 미리 설정된 제1 설정시간 동안 계속하여 바닥누수 감지센서(150)에서 누수가 감지되는지는 판단하는 단계(S2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응축수가 제1 설정시간보다 작은 시간동안 일시적으로 바닥누수 감지센서(150)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실제로 누수가 발생한 것이 아니므로 이를 누수로 판단하지 않고 제1 설 정시간 동안 누수판단을 보류하게 되며, 제1 설정시간 이상 계속하여 바닥누수 감지센서(150)에서 누수가 감지되면 전술한 누수 조치단계(S40)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바닥누수 감지센서(150)에서 누수가 감지된 후 누수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제1 설정시간 동안 누수 판단을 보류함으로써 누수 오감지로 인한 정수기의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제1 설정시간 이상 누수로 계속 감지되지 않은 경우 감지된 시간을 적산하고(S31) 다시 초기 단계(S10)로 되돌아간다.
또한, 바닥누수 감지단계(S10)에서 누수감지가 확인되지 않으면 도 4를 통하여 설명한 초기가동시간 경과확인 단계(S50)를 수행하게 되며, 이후의 과정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빙축열식 냉각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누수감지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누수감지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빙축열 방식 정수기 106... 냉각관
110... 필터부 120... 원수공급밸브
130... 유량센서 140... 탄산수 공급부
150... 바닥누수 감지센서 160... 빙축열식 냉각조
163... 플로트 165... 교반장치
170... 냉각장치 180... 기능수 생성탱크
190... 추출부 C... 제어부

Claims (13)

  1.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공급을 유지하거나 차단하는 원수공급밸브;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빙축열 방식으로 냉각시키는 빙축열식 냉각조;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 또는 상기 빙축열식 냉각조에서 냉각된 냉수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전원이 공급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초기가동시간 경과한 후 상기 추출부를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음에도 상기 유량센서의 작동이 있는 경우 누수라고 판단하고, 상기 원수공급밸브를 차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축열 방식 정수기.
  2.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공급을 유지하거나 차단하는 원수공급밸브;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빙축열 방식으로 냉각시키는 빙축열식 냉각조;
    상기 빙축열식 냉각조 내부에 배치되어 탄산수 또는 산소수를 생성하는 기능수 생성탱크;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 상기 빙축열식 냉각조에서 냉각된 냉수 또는 상기 기능수 생성탱크에서 생성된 탄산수 또는 산소수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전원이 공급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초기가동시간 경과한 후 상기 추출부를 통한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상기 기능수 생성탱크에 정수의 유입이 없음에도 상기 유량센서의 작동이 있는 경우 누수라고 판단하고, 상기 원수공급밸브를 차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축열 방식 정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빙축열식 냉각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빙축열식 냉각조를 포함한 정수기 내부 부품으로부터의 누수를 감지하는 바닥누수 감지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닥누수 감지센서에서 누수가 감지된 경우 상기 원수공급밸브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축열 방식 정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누수가 감지된 경우 상기 바닥누수 감지센서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축열 방식 정수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누수가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 누수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축열 방식 정수기.
  6.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빙축열 방식으로 냉각시키는 빙축열식 냉각조를 구비하는 정수기의 누수 감지방법에 있어서,
    a) 전원이 투입된 후 미리 설정된 초기가동시간이 경과했는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초기가동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c) 상기 유량센서의 작동이 감지된 경우 정수기의 사용이 있는지 판단하고, 정수기의 사용이 없음에도 상기 유량센서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누수라고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누수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필터부로 원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빙축열 방식 정수기의 누수 감지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pa1) 상기 빙축열식 냉각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빙축열식 냉각조를 포함하는 정수기 내부 부품으로부터의 누수를 감지하는 바닥누수 감지센서를 통하여 누수가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pa2) 상기 바닥누수 감지센서에서 누수가 감지된 경우 상기 필터부로 원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축열 방식 정수기의 누수 감지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a2) 단계는 상기 바닥누수 감지센서에서 제1 시간동안 계속하여 누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필터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축열 방식 정수기의 누수 감지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센서 또는 바닥누수 감지센서를 통하여 누수가 감지된 경우 상기 바닥누수 감지센서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축열 방식 정수기의 누수 감지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센서 또는 바닥누수 감지센서를 통하여 누수가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누수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축열 방식 정수기의 누수 감지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미리 설정된 제2 설정시간동안 계속하여 정수기의 사용이 없음에도 상기 유량센서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누수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축열 방식 정수기의 누수 감지방법.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정수와 냉수의 추출이 가능하며,
    상기 c) 단계는 정수 또는 냉수의 추출이 이루어질 때 정수기의 사용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축열 방식 정수기의 누수 감지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탄산수 또는 산소수를 생성하는 기능수 생성탱크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c) 단계는 탄산수 또는 산소수의 추출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기능수 생성탱크에 물이 공급될 때에도 정수기의 사용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축열 방식 정수기의 누수 감지방법.
KR1020090058855A 2009-06-30 2009-06-30 빙축열 방식 정수기 및 그 누수 감지방법 KR201100013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855A KR20110001353A (ko) 2009-06-30 2009-06-30 빙축열 방식 정수기 및 그 누수 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855A KR20110001353A (ko) 2009-06-30 2009-06-30 빙축열 방식 정수기 및 그 누수 감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353A true KR20110001353A (ko) 2011-01-06

Family

ID=43609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855A KR20110001353A (ko) 2009-06-30 2009-06-30 빙축열 방식 정수기 및 그 누수 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135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6457A (ko) * 2016-04-11 2017-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80041110A (ko) * 2018-04-16 2018-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90141874A (ko) * 2018-06-15 2019-12-26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직수식 정수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6457A (ko) * 2016-04-11 2017-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N107289731A (zh) * 2016-04-11 2017-10-24 Lg 电子株式会社 水分配器
US9856126B2 (en) 2016-04-11 2018-01-02 Lg Electronics Inc. Water dispenser
KR20180041110A (ko) * 2018-04-16 2018-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90141874A (ko) * 2018-06-15 2019-12-26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직수식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2848B2 (ja) ベーパ回収装置
KR20130044988A (ko) 탄산수 정수기
JP5106812B2 (ja) ガスクーラにおけるガス漏れ検知システム
KR100592716B1 (ko) 수도배관이 필요없는 이동식 냉온정수기
KR900005981B1 (ko) 정화장치를 갖는 냉동시스템 및 그의 작동방법
KR20110001353A (ko) 빙축열 방식 정수기 및 그 누수 감지방법
JP2015508150A (ja) 飲料冷却装置およびこの冷却装置を用いた飲料供給システム
JPH08132025A (ja) 浄水器の漏水感知装置
JP5517873B2 (ja) ヒートポンプ給湯機
CN210089198U (zh) 一种汽车空调冷媒检测装置
JP2011075200A (ja) ヒートポンプ給湯装置
KR20110034950A (ko) 물의 온도 검출에 따른 압축기 구동시스템 및 구동방법
KR0146825B1 (ko) 냉온정수기의 데이타백업장치
JPH08105635A (ja) 空気調和機
CN112279206B (zh) 苏打水罐内水位检测的控制方法和苏打水机
KR0175895B1 (ko) 냉온정수기의 온도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10537839A (zh) 苏打水机的控制方法、苏打水机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H02263072A (ja) 吸収冷凍機の抽気装置
KR100502305B1 (ko) 냉온 이온 정수기의 누수 방지 방법
CN103925740A (zh) 空气源热泵系统
KR100706869B1 (ko) 정수기의 저주파 발진식 누수 감지장치
JP2001263874A (ja) 軸封用油回収装置
KR20180138032A (ko)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의 배수 방법
JP2000249434A (ja) 冷凍装置
KR200371069Y1 (ko) 수도배관이 필요없는 이동식 냉온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