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712B1 - 정수기의 취수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취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712B1
KR0156712B1 KR1019950035499A KR19950035499A KR0156712B1 KR 0156712 B1 KR0156712 B1 KR 0156712B1 KR 1019950035499 A KR1019950035499 A KR 1019950035499A KR 19950035499 A KR19950035499 A KR 19950035499A KR 0156712 B1 KR0156712 B1 KR 0156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take
cold
hot wa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5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956A (ko
Inventor
천연봉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35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6712B1/ko
Publication of KR970020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7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된 정수를 자동으로 취수하는 정수기의 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온수 및 냉수를 저장하는 냉·온수 탱크와, 상기 냉·온수 탱크에 저장된 냉수 및 온수를 배출하는 취수코크와, 상기 취수코크로부터 배출되는 냉수 및 온수를 취수하도록 취수용기를 재치하는 수납부를 구비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 취수용기가 재치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용기감지수단과, 상기 용기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용기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취수코크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냉·온수 탱크에 저장된 냉수 및 온수를 배출하도록 취수밸브를 구동하는 취수밸브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취수코크에 광센서를 취부시켜 취수용기의 재치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자동취수가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취수동안에도 다른 일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수기의 취수장치
제1도는 종래에 의한 취수코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화살표 A-A선을 따른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주요구성부분의 개략적인 취부구조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취수장치의 제어블록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용기감지수단의 상세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정수탱크 5 : 정수실
7 : 냉수탱크 9 : 온수탱크
11 : 냉온수실 13 : 여과실
15 : 기계실 17 : 취수코크
18 : 취수구 20 : 광센서
21 : 침전필터 22 : 취수용기
23 : 전처리필터 25,27 : 멤브레인
29 : 후처리필터 31 : UV필터
33 : 가압펌프 35 : 압축기
37 : 응축기 39 : 팬모터
43 : 증발관 47 : 히터
100 : 직류전원수단 102 : 수위감지수단
104 : 키입력수단 105 : 온도설정스위치
107 : 배수스위치 109 : 전원스위치
110 : 제어수단 112 : 냉수온도감지수단
114 : 온수온도감지수단 116 : 용기감지수단
118 : 취수밸브구동수단 119 : 취수밸브
120 : 펌프구동수단 122 : 급수밸브구동수단
123 : 급수밸브 124 : 압축기구동수단
126 : 모터구동수단 128 : 히터구동수단
130 : 배수밸브구동수단 131 : 배수밸브
132 : 표시수단
본 발명은 수도물등의 원수에 포함된 유해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수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자동으로 취수하는 정수기의 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도물등의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한 발암물질을 제거하여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그 정수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및 역삼투압식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그중에서도 역삼투압식은 원수에 압력을 가하여 인공적인 삼투막인 멤브레인(역삼투필터)을 통과시켜 정수를 행하는 것으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 박테리아, 발암물질 등을 분리제거함과 동시에 순수한 물과 용존산소 등만이 통과된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최첨단 과학산업이나 초정밀전자부품의 세척용 또는 의학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식수를 위한 가정용 정수기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정수기는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도물등의 원수에 함유된 중금속, 박테리아, 발암물질등의 유해물질을 다수개의 필터를 통과시켜 여과한 후, 그 여과된 정수를 정수탱크를 통해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에 저장하여 냉각 및 가열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냉수 또는 온수를 취수하도록 하였다.
이때, 사용자가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에 저장된 냉수 또는 온수를 취수하기 위한 종래의 구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사용자가 취수용기를 가지고 취수레버(2)를 뒤로 작동시키면, 취수코크(4)내 밸브가 개방되어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8)에 저장된 냉수 또는 온수가 취수구(6)를 통해 취수용기로 배출되고, 상기 취수레버(2)를 앞으로 원위치시키면, 취수코크(4)내 밸브가 폐쇄되어 취수구(6)를 통해 배출되는 냉수 또는 온수가 차단되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취수구조에 있어서는, 취수레버(2)를 뒤로 이동시켜야 취수가 가능하므로 어린아이들의 경우 사용하기가 어렵고, 취수하는 동안에는 다른 일을 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취수레버(2)가 잦은 개폐동작이나 무리한 힘에 의해 파손되고,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 취수코크(4)내 밸브가 마모되면 취수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취수코크에 광센서를 취부시켜 취수용기의 재치여부를 감지함으로써 탱크내 물이 자동으로 취수되도록 하는 정수기의 취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취수가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취수하는 동안에도 다른 일을 할 수 있으며, 취수레버의 파손이나 취수코크의 마모를 방지하므로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정수기의 취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취수장치는 온수 및 냉수를 저장하는 냉·온수 탱크와, 상기 냉·온수 탱크에 저장된 냉수 및 온수를 배출하는 취수코크와, 상기 취수코크로부터 배출되는 냉수 및 온수를 취수하도록 취수용기를 재치하는 수납부를 구비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 취수용기가 재치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용기감지수단과, 상기 용기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용기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취수코크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냉·온수 탱크에 저장된 냉수 및 오수를 배출하도록 취수밸브를 구동하는 취수밸브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수기는 여과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3)가 안착되도록 본체(1)의 상측에 설치된 정수실(5)과, 상기 정수탱크(3)로부터 유입된 정수를 가열 및 냉각시켜 냉수 및 온수를 저장하도록 상기 정수실(5)의 하측에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가 설치된 냉온수실(11)과, 도시되지 않은 수도전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도물등의 원수에 포함된 유해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여과시키도록 다수개의 필터가 설치된 여과실(13)과, 상기 냉수탱크(7)내의 정수를 냉각시키도록 냉동싸이클을 형성하는 각종 냉매수단 및 송풍수단이 설치된 기계실(15)과, 상기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 내의 정수를 취수하도록 상기 본체(1)의 전면에 설치된 취수코크(1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여과실(13)내에는 수도전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도물등의 원수에 함유된 부유물질 및 녹찌꺼기를 제어하는 침전필터(2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침전필터(21)의 일측에는 상기 침전필터(21)를 통과한 원수에 함유된 염소성분등의 각종 유해한 유기화합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필터(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처리필터(23)의 일측에는 상기 전처리필터(23)를통과한 원수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이나 발암물질, 박테리아 등의 세균을 제거하도록 내측에 도시되지 않은 다수개의 멤브레인막이 형성된 멤브레인(25,27)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멤브레인(25,27)의 일측에는 상기 멤브레인(25,27)을 통과한 원수에 포함된 유독가스 등의 냄새성분을 제거하는 후처리필터(2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침전필터(21), 전처리필터(23), 멤브레인(25,27) 및 후처리필터(29)의 하측에는 수도물등의 원수가 상기 다수개의 필터를 통과할 때 자외선을 조사하여 원수에 함유된 유해한 균을 살균하는 UV필터(3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UV필터(31)의 하측에는 상기 전처리필터(23)를 통과하여 상기 멤브레인(25,27)으로 유입되는 원수가 소정압력을 가지고 상기 멤브레인(25,27)에서 역삼투압에 의한 정수가 가능하도록 상기 멤브레인(25,27)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압력을 소정압력으로 승압시키는 가압펌프(3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5) 내에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입축하는 압축기(3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압축기(35)의 일측에는 상기 압축기(35)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외부공기와의 자연대류나 강제대류현상에 의해 열교환하여 저온고압의 액상냉매로 강제냉각시켜 액화하는 응축기(3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기(37)의 일측에는 상기 응축기(37)를 통과하는 냉매를 액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압축기(35)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압축기(35) 및 응축기(37) 주위에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팬모터(39)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팬(4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온수실(11)의 냉수탱크(7) 내부에는 상기 냉수탱크(7) 내의 정수를 냉각시키도록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내부에 흐르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관(4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냉수탱크(7)의 일측면에는 상기 냉수탱크(7)내에 저장된 냉수를 상기 취수레버(17)를 통해 취수하도록 취수관(45)이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냉온수실(11)의 온수탱크(9) 내부에는 상기 온수탱크(9) 내의 정수를 가열하는 히터(4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온수탱크(9)의 일측면에는 상기 온수탱크(9) 내에 저장된 온수를 상기 취수레버(17)를 통해 취수하도록 취수관(49)이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1) 내부는 칸막이부재(10,12,14)에 의해 정수실(5), 냉온수실(11), 여과실(13) 및 기계실(15)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미설명 부호 19는 컵등의 취수용기(22)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이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상기 취수코크(17)의 하부에는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19)에 컵등의 취수용기(22)가 재치되었는지를 감지하도록 취수용기(22)의 재치여부에 따라 온/오프되는 광센서(2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광센서(20)는 적외선 빛을 발광하도록 발광다이오드(LED)로 이루어진 발광부(20a)와, 상기 발광부(20a)에서 발생된 빛이 취수용기(22)에 의해 반사되면서 변화하는 빛의 세기를 수신하도록 수광트랜지스터(TR)로 이루어진 수광부(20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수기의 취수동작을 제어하는 회로블록도를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6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류전원수단(100)은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정수기의 동작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Vcc)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수위감지수단(102)은 상기 정수탱크(3)내에 공급되어 저장되어 정수량 즉, 상기 정수탱크(3)의 수위를 감지하는 만수위 및 갈수위감지센서이다.
그리고, 키입력수단(104)은 상기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 내에 저장되는 냉수 또는 온수의 온도를 설정(Tcs,Ths)하는 온도설정스위치(105)와, 상기 탱크(3,7,9)내의 정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스위치(107)와, 상기 정수기의 전원을 온/오프제어하는 전원스위치(109)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수단(110)은 상기 직류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Vcc)을 인가받아 상기 정수기를 초기화시킴은 물론, 상기 수위감지수단(102)에 의해 감지된 수위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정수기의 전체적인 정수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로써, 이 제어수단(110)은 상기 광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취수용기(22)의 재치여부에 따라 상기 취수코크(17)내 밸브개폐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냉수온도감지수단(112)은 상기 냉수탱크(7)내에 저장된 냉수의 온도(Tc)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10)에 출력하는 온도센서이고, 온수온도감지수단(114)은 상기 온수탱크(9)내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Th)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10)에 출력하는 온도센서이다.
용기감지수단(116)은 상기 수납부(19)에 취수용기(22)가 재치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10)에 출력하는 것으로써, 이 용기감지수단(116)은 상기 직류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Vcc)을 저항(R1)을 통해 입력받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LED)와, 상기 발광다이오드(LED)로부터 발산되는 광신호가 취수용기(22)에 의해 반사되면서 변화하는 빛의 세기를 수신하여 턴온/턴오프되는 수광트랜지스터(TR)와, 상기 수광트랜지스터(TR)의 턴온/턴오프동작에 따라 상기 직류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Vcc)을 상기 제어수단(110)의 입력단자(P1)에 출력하도록 상기 수광트랜지스터(TR)에 접속된 저항(R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취수밸브구동수단(118)은 상기 용기감지수단(116)에 의해 감지된 용기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에 저장된 냉수 또는 온수를 상기 취수코크(17)를 통해 취수용기(22)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취수밸브(119)를 구동제어한다.
펌프구동수단(120)은 상기 수위감지수단(102)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정수탱크(3)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정수탱크(3)내에 정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가압펌프(33)를 구동제어하고, 급수밸브구동수단(122)은 상기 수위감지수단(102)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정수탱크(3)의 수위에 따라 상기 수도전으로부터 급수되는 원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급수밸브(123)를 구동제어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압축기구동수단(124)은 상기 키입력수단(104)의 온도설정스위치(105)에 의해 설정된 냉수설정온도(Tcs)와 상기 냉수온도감지수단(112)에 의해 감지된 냉수온도(Tc)의 차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냉수탱크(7)내의 정수를 냉각시키도록 압축기(35)를 구동제어하고, 모터구동수단(126)은 상기 키입력수단(104)의 온도설정스위치(105)에 의해 설정된 냉수설정온도(Tcs)와 상기 냉수온도감지수단(112)에 의해 감지된 냉수온도(Tc)의 차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응축기(37)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송풍함과 동시에 상기 압축기(35)를 냉각시키도록 팬모터(39)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팬(41)을 구동제어한다.
히터구동수단(128)은 상기 키입력수단(104)의 온도설정스위치(105)에 의해 설정된 온수설정온도(Ths)와 상기 온수온도감지수단(114)에 의해 감지된 온수온도(Th)의 차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온수탱크(9)내의 정수를 가열시키도록 히터(47)를 구동제어하고, 배수밸브구동수단(130)은 상기 키입력수단(104)에 의해 입력된 배수스위치(107)의 온신호에 따라 상기 정수탱크(3),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 내의 정수를 배수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배수밸브(131)를 구동제어한다.
그리고, 표시수단(132)은 상기 키입력수단(104)에 의해 입력된 키이신호에 따라 냉수 또는 온수의 설정온도(Tcs,Ths)를 표시함은 물론, 상기 배수스위치(107)의 온신하에 따라 배수램프를 점멸 또는 점등시켜 상기 정수탱크(3),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의 배수동작을 표시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수기의 취수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정수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직류전원수단(100)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상기 정수기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Vcc)으로 변환하여 각 구동회로 및 제어수단(11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110)에서는 직류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Vcc)을 입력받아 정수기를 초기화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키입력수단(104)의 도시되지 않은 냉수 및 온수선택스위치를 조작하여 냉수 및 온수를 선택한 다음, 온도설정스위치(105)를 조작하여 원하는 냉수온도 및 온수온도(Tcs,Ths)를 설정하면, 표시수단(132)에서는 상기 키입력수단(104)에 의해 설정된 냉수설정온도(Tcs) 및 온수설정온도(Ths)를 제어수단(110)의 제어에 따라 표시한다.
이때, 정수를 저정하는 정수탱크(3)의 정수량 즉, 상기 정수탱크(3)의 수위를 수위감지수단(102)에서 감지하여 그 감지된 수위데이터를 제어수단(11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110)에서는 수위감지수단(102)에 의해 감지된 정수탱크(3)의 수위가 '갈수위'(최저수위;만수위를 100%라 가정하면, 약10%정도)이상인가를 판별하는데, 이는 상기 정수탱크(3)내에 장착된 갈수위센서에서 감지된 저항값을 제어수단(110)에서 입력받아 정수탱크(3)의 수위가 갈수위이상인가를 판별하는 것이다.
상기 정수탱크(3)의 수위가 '갈수위'이하이면, 제어수단(110)은 정수탱크(3)내에 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정수동작을 수행하도록 급수밸브구동수단(122)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급수밸브구동수단(122)에서는 제어수단(110)의 제어에 따라 급수밸브(123)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공급하여 급수밸브(123)를 개방시킨다.
상기 급수밸브(123)가 개방되면, 수도전으로부터 수도물등의 원수가 급수되기 시작하는데, 제어수단(110)은 수도전으로부터 급수되어 멤브레인(25,27)으로 유입되는 원수를 소정압력으로 승압시키도록 가압펌프(33)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펌프구동수단(12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펌프구동수단(120)에서는 제어수단(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가압펌프(33)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공급하여 가압펌프(33)를 구동시킨다.
상기 가압펌프(33)가 구동되면, 급수밸브(123)의 개방에 따라 수도전으로부터 급수되는 원수가 침전필터(21)를 통과하면서 부유물질 및 녹찌꺼기가 제거되고, 상기 침전필터(21)를 통과한 원수는 전처리필터(23)를 통과하면서 염소성분등의 각종 유해한 유기화합물질이 제거된다.
상기 전처리필터(23)를 통과한 원수는 가압펌프(33)의 구동에 따라 소정압력으로 승압되어 멤브레인(25,27)을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멤브레인(25,27)으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멤브레인(25,27)내에 형성된 다수개의 멤브레인막을 투과하면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중금속이나, 발암물질, 박테리아 등의 세균이 제거된다.
상기 멤브레인(25,27)을 통과한 원수는 다시 후처리필터(29)를 통과하면서 유독가스 등의 냄새가 제거된 후, 도시되지 않은 급수공을 통해 정수탱크(3)내로 공급되면서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한편, UV필터(31)에서는 상기 침전필터(21), 전처리필터(23), 멤브레인(25,27) 및 후처리필터(29)를 통과하는 원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원수에 함유된 유해한 균을 살균시킨다.
이때, 정수탱크(3)내로 공급되는 정수량 즉, 상기 정수탱크(3)의 수위를 수위감지수단(102)에서 감지하여 그 감지된 수위데이터를 제어수단(110)에 출력하면, 상기 제어수단(110)에서는 수위감지수단(102)에 의해 감지된 정수탱크(3)의 수위가 갈수위이상인가를 판별한다.
상기 정수탱크(3)의 수위가 갈수위이상이면,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에 저장된 정수를 냉각 및 가열시키기 위해 제어수단(110)은 압축기(35)와 히터(47)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압축기구동수단(124)과 히터구동수단(128)에 출력함과 동시에 팬모터(39)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모터구동수단(126)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구동수단(124)에서는 제어수단(110)의 제어에 따라 압축기(35)를 구동시키고, 히터구동수단(128)에서는 제어수단(110)의 제어에 따라 히터(47)를 구동시키며, 상기 모터구동수단(126)에서는 제어수단(110)의 제어에 따라 팬모터(39)를 구동시킨다.
상기 압축기(35)와 팬모터(39)가 구동되면, 압축기(35)에 의해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37)로 유입되면서 외부공기와의 자연대류나 팬(41)의 회전에 의한 가제대류현상에 의해 열교환되어 저온고압의 냉매로 냉각되어 액화한다.
상기 응축기(37)에서 액화된 저온고압의 액상냉매는 도시되지 않은 캐필러리튜브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로 감압되어 증발관(43)에 유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증발관(43)에서는 캐필러리튜브에서 감압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가 여러개의 파이프를 통과하면서 증발하여 기화할 때 상기 냉수탱크(7)내의 정수를 냉각시키고, 증발관(43)에서 냉각된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는 다시 상기 압축기(35)로 흡입되면서 반복순환하는 냉동싸이클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냉동싸이클의 반복순환동작에 따라 냉수탱크(7)내의 정수가 냉각되어 냉수로 변화된다.
또한, 상기 히터(47)가 구동되면, 히터(47)의 발열에 의해 온수탱크(9)내의 정수가 가열되어 온수로 변화된다.
상기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내 정수의 냉각 및 가열시에도 정수동작은 정수탱크(3)내의 수위가 만수위가 될때가지 계속해서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냉동싸이클의 반복 순환동작에 따라 낮아지는 냉수탱크(7)내의 냉수온도(Tc)를 냉수온도감지수단(112)에서 감지하여 냉수온도(Tc)가 냉수설정온도(Tcs)이하이면, 냉수탱크(7) 내 정수를 냉각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제어수단(110)의 제어에 따라 압축기(35)와 팬모터(39)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히터(47)의 발열에 의해 상승하는 온수탱크(9)내의 온수온도(Th)를 온수온도감지수단(114)에서 감지하여 온수온도(Th)가 온수설정온도(Ths) 이상이면, 온수탱크(9)내 정수를 가열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제어수단(110)의 제어에 따라 히터(47)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정수동작에 따라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에 생성된 냉수 또는 온수를 사용자가 취수하기 위해 취수용기(22)를 수납부(19)에 올려 놓으면, 취수코크(17)에 장착된 광센서(20)의 발광다이오드(LED)로부터 발신되는 광신호가 취수용기(22)에 의해 반사되면서 수광트랜지스터(TR)에 인가되어 수광트랜지스터(TR)가 턴온된다.
상기 수광트랜지스터(TR)가 턴온되면, 직류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Vcc)에 의해 전류가 저항(R2)을 거쳐 수광트랜지스터(TR)을 통해 접지단으로 흐르기 때문에 제어수단(110)의 입력단자(P1)에는 로우레벨의 전압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110)에서는 입력단자(P1)를 통해 입력되는 로우레벨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납부(19)에 취수용기(22)가 재치되었다고 판단하여 취수코크(17)내 취수밸브(119)를 개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취수밸브구동수단(118)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취수밸브구동수단(118)에서는 제어수단(110)의 제어에 따라 취수밸브(119)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공급하여 취수밸브(119)를 개방시킨다.
상기 취수밸브(119)가 개방되면,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에 저장된 냉수 또는 온수가 취수구(18)를 통해 배출되어 취수용기(22)에 공급된다.
한편, 사용자가 취수용기(22)를 치우면, 취수코크(17)에 장착된 광센서(20)의 발광다이오드(LED)로부터 발신되는 광신호가 수광트랜지스터(TR)에 인가되지 않게 되어 수광트랜지스터(TR)가 턴오프된다.
상기 수광트랜지스터(TR)가 턴오프되면, 직류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Vcc)이 저항(R2)을 통해 제어수단(110)의 입력단자(P1)로 인가되기 때문에 제어수단(110)의 입력단자(P1)에는 하이레벨의 전압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110)에서는 입력단자(P1)를 통해 입력되는 하이레벨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납부(19)에 취수용기(22)가 재치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취수코크(17)내 취수밸브(119)를 폐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취수밸브구동수단(118)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취수밸브구동수단(118)에서는 제어수단(110)의 제어에 따라 취수밸브(119)_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차단하여 취수밸브(119)를 폐쇄시킨다.
상기 취수밸브(119)가 폐쇄되면 취수구(18)를 통해 배출되는 냉수 또는 온수가 차단된다.
이와 같이, 수납부(19)에 취수용기(22)의 재치여부에 따라 취수코크(17)내 취수밸브(119)의 개폐동작을 제어하여 자동취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취수레버의 삭제로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취수용기(22)의 크기에 따라 취수시간을 조절하는 별도의 버튼을 구비하여 취수밸브(119)의 개폐동작을 제어수단(110)에서 자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취수장치에 의하면, 취수코크에 광센서를 취부시켜 취수용기의 재치여부를 감지함으로써 탱크내 물이 자동으로 취수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취수하는 동안에도 다른 일을 할 수 있으며, 취수레버의 파손이나 취수코크의 마모를 방지하므로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온수 및 냉수를 저장하는 냉·온수 탱크와, 상기 냉·온수 탱크에 저장된 냉수 및 온수를 배출하는 취수코크와, 상기 취수코크로부터 배출되는 냉수 및 온수를 취수하도록 취수용기를 재치하는 수납부를 구비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 취수용기가 재치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용기감지수단과, 상기 용기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용기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취수코크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냉·온수 탱크에 저장된 냉수 및 온수를 배출하도록 취수밸브를 구동하는 취부밸브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취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감지수단은 상기 취수용기의 재치여부를 감지하도록 온/오프동작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의 온/오프동작에 따라 직류전원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상기 제어수단에 입력하는 저항(R2)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취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밸브는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냉수 및 온수를 일정시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취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상기 직류전원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저항(R1)을 통해 입력받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LED)와, 상기 발광다이오드(LED)로부터 발신되는 광신호가 상기 취수용기(22)에 의해 반사되면서 변화하는 빛의 세기를 수신하여 턴온/턴오프되는 수광트랜지스터(TR)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취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취수코크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취수장치.
KR1019950035499A 1995-10-14 1995-10-14 정수기의 취수장치 KR0156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5499A KR0156712B1 (ko) 1995-10-14 1995-10-14 정수기의 취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5499A KR0156712B1 (ko) 1995-10-14 1995-10-14 정수기의 취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956A KR970020956A (ko) 1997-05-28
KR0156712B1 true KR0156712B1 (ko) 1998-10-15

Family

ID=19430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5499A KR0156712B1 (ko) 1995-10-14 1995-10-14 정수기의 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67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592B1 (ko) * 2002-09-17 2005-06-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보제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와, 이의 정보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592B1 (ko) * 2002-09-17 2005-06-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보제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와, 이의 정보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956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5908B1 (ko) 냉온정수기의 램프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4457151B2 (ja) 循環式飲料水生成装置
KR0146826B1 (ko) 냉온정수기의 배수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56712B1 (ko) 정수기의 취수장치
KR0175895B1 (ko) 냉온정수기의 온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46825B1 (ko) 냉온정수기의 데이타백업장치
KR19980056373A (ko) 정수기의 제어장치
KR20110034950A (ko) 물의 온도 검출에 따른 압축기 구동시스템 및 구동방법
KR0175905B1 (ko) 냉온정수기의 해충퇴치장치
KR20060105077A (ko) 콤팩트형 위생안전 냉온수기
KR19980069541A (ko) 물분배기의 살균장치
KR0161072B1 (ko) 냉온정수기의 물통 살균장치
KR19980056370A (ko) 정수기의 배수제어장치
KR19980056371A (ko) 정수기의 취수장치
KR20130011447A (ko) 정수기
KR19980069533A (ko) 물분배기의 취수장치
KR19980069536A (ko) 물분배기의 펌프제어장치
KR0127639Y1 (ko) 정수기의 단수감지장치
KR19980069535A (ko) 물분배기의 취수장치
KR0127638Y1 (ko) 정수기의 배수장치
KR19980069532A (ko) 물분배기용 송풍수단의 설치구조
KR19980069523A (ko) 물분배기용 냉수통의 냉수취출구조
KR19980069524A (ko) 물분배기의 열전소자 전선고정장치
KR19980069522A (ko) 물분배기
KR19980056372A (ko) 정수기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