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6371A - 정수기의 취수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6371A
KR19980056371A KR1019960075639A KR19960075639A KR19980056371A KR 19980056371 A KR19980056371 A KR 19980056371A KR 1019960075639 A KR1019960075639 A KR 1019960075639A KR 19960075639 A KR19960075639 A KR 19960075639A KR 19980056371 A KR19980056371 A KR 19980056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take
purified
cold
wate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5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수영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75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6371A/ko
Publication of KR19980056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371A/ko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의 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수를 정수한 후, 냉각 및 가열시켜 저장하는 정수탱크(3), 냉수탱크(7), 온수탱크(9)를 구비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탱크(3, 7, 9)에 저장된 정수, 냉수, 온수를 취수하도록 선택하는 취수선택수단(102)과, 상기 취수선택수단(102)에 의해 선택된 정수, 냉수, 온수를 취수하는 취수수단(104)과, 상기 취수선택수단(102)의 취수선택신호 및 상기 취수수단(104)의 취수인식신호를 받아 취수밸브(112, 114, 116)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06)과, 상기 제어수단(106)의 밸브구동신호에 따라 취수밸브(112, 114, 116)를 개폐하는 밸브구동수단(110)으로 이루어져, 취수스위치(SW4, SW5)의 이중전기배선으로 노이즈에 의한 취수밸브(112,114,116)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정확하게 취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의 취수장치
본 발명은 전자식 취수밸브를 적용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이즈에 의한 취수밸브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정수기의 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도물등의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한 발암물질을 제거하여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그 정수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및 역삼투압식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그중에서도 역삼투압식은 원수에 압력을 가하여 인공적인 삼투막인 멤브레인(역삼투필터)을 통과시키 정수를 행하는 것으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 박테리아, 발암물질 등을 분리제거함과 동시에 순수한 물과 용존산소 등만이 통과된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최첨단 과학산업이나 초정밀전자부품의 세척용 또는 의학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식수를 위한 가정용 정수기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역삼투압식 정수기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여과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3)가 안착되도록 본체(1)의 상측에 설치된 정수실(5)과, 상기 정수탱크(3)로부터 유입된 정수를 가열 및 냉각시켜 냉수 및 온수를 저장하도록 상기 정수실(5)의 하측에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가 설치된 냉온수실(11)과, 도시되지 않은 수도전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도물등의 원수에 포함된 유해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여과시키도록 다수개의 필터가 설치된 여과실(13)과, 상기 냉수탱크(7)내의 정수를 냉각시키도록 냉동싸이클을 형성하는 각종 냉매수단 및 송풍수단이 설치된 기계실(15)과, 상기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내의 정수를 취수하도록 상기 본체(1)의 전면에 설치된 취수레버(1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정수탱크(3)의 내부에는 정수탱크(3)내 정수의 양을 다단계로 감지하는 플로트센서(10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여과실(13)내에는 수도전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도물등의 원수에 함유된 부유물질 및 녹찌꺼기를 제거하는 침전필터(2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침전필터(21)의 일측에는 상기 침전필터(21)를 통과한 원수에 함유된 염소성분등의 각종 유해한 유기화합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필터(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처리필터(23)의 일측에는 상기 전처리필터(23)를 통과한 원수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이나 발암물질, 박테리아등의 세균을 제거하도록 내측에 도시되지 않은 다수개의 멤브레인막이 형성된 멤브레인(25, 27)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멤브레인(25, 27)의 일측에는 상기 브레인(25, 27)을 통과한 원수에 포함된 유독가스등의 냄새성분을 제거하는 후처리필터(2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침전필터(21), 전처리필터(23), 멤브레인(25, 27) 및 후처리필터(29)의 하측에는 수도물등의 원수가 상기 다수개의 필더를 통과할때 자외선을 조사하여 원수에 함유된 유해한 균을 살균하는 UV필더(3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UV필터(31)의 하측에는 상기 전처리필터(23)를 통과하여 상기 멤브레인(25, 27)으로 유입되는 원수가 소정압력을 가지고 상기 멤브레인(25, 27)에서 역삼투압에 의한 정수가 가능하도록 상기 멤브레인(25, 27)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압력을 소정압력으로 승압시키는 가압펌프(3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5)내에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입축하는 압축기(3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압축기(35)의 일측에는 상기 압축기(35)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외부공기와의 자연 대류나 강제대류현상에 의해 열교환하여 저온고압의 액상냉매로 강제냉각시켜 액화하는 응축기(3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기(37)의 일측에는 상기 응축기(37)를 통과하는 냉매를 액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압축기(35)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압축기(35) 및 응축기(37) 주위에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팬모터(39)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팬(4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온수실(11)의 냉수탱크(7) 내부에는 상기 냉수탱크(7)내의 정수를 냉각시키도록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내부에 흐르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관(4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냉수탱크(7)의 일측면에는 상기 냉수탱크(7)내에 저장된 냉수를 상기 취수레버(17)를 통해 취수하도록 취수관(45)이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냉온수실(11)의 온수탱크(9) 내부에는 상기 온수탱크(9)내의 정수를 가열하는 히터(4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온수탱크(9)의 일측면에는 상기 온수탱크(9)내에 저장된 온수를 상기 취수레버(17)를 통해 취수하도록 취수관(49)이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1)내부는 칸막이부재(10, 12, 14)에 의해 정수실(5), 냉온수실(11), 여과실(13) 및 기계실(15)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미설명 부호 19는 상기 취수레버(17)의 작동에 따라 떨어지는 잔수를 수용하도록 상기 취수레버(17)의 하측에 설치된 물받이부재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정수기에 있어서 정수탱크(3)의 수위가 저수위이하이면, 도시 되지않은 급수밸브가 개방되면서 수도전으로부터 수도물등의 원수가 급수되기 시작한다.
상기 급수밸브의 개방에 따라 수도전으로부터 급수되는 원수는 침전필터(21)를 통과하면서 부유물질 및 녹찌꺼기가 제거되고, 상기 침전필터(21)를 통과한 원수는 전처리필터(23)를 통과하면서 염소성분등의 각종 유해한 유기화합물질이 제거된다.
상기 전처리필터(23)를 통과한 원수는 가압펌프(33)의 구동에 따라 소정압력으로 승압되어 멤브레인(25,27)을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멤브레인(25, 27)으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멤브레인(25, 27)내에 형성된 다수개의 멤브레인막을 투과하면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중금속이나, 발암물질, 박테리아등의 세균이 제거된다.
상기 멤브레인(25, 27)을 통과한 원수는 다시 후처리필터(29)를 통과하면서 유독가스등의 냄새가 제거된 후, 도시되지 않은 급수공을 통해 정수탱크(3)내로 공급된다음 다시 냉수탱크(7)및 온수탱크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이때, 압축기(35)와 팬모터(39)가 구동되면, 압축기(35)에 의해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37)로 유입되면서 외부공기와의 자연대류나 팬(41)의 회전에 의한 강제대류현상에 의해 열교환되어 저온고압의 냉매로 냉각되어 액화하고, 상기 응축기(37)에서 액화된 저온고압의 액상냉매는 도시되지 않은 캐필러리튜브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로 감압되어 증발관(43)에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관(43)에서는 캐필러리튜브에서 감압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가 여러개의 파이프를 통과하면서 증발하여 기화할때 상기 냉수탱크(7)내의 정수가 냉각되어 냉수로 변화되고, 히터(47)의 발열에 의해 온수탱크(9)내의 정수가 가열되어 온수로 변화된다.
상기와 같은 정수동작에 따라 정수탱크(3),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에 저장된 정수, 냉수 및 온수를 사용자가 취수하기위해 본체(1)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정수, 냉수, 온수스위치를 선택한다음 취수레버(17)를 작동시키면, 취수스위치가 온되면서 도시되지 않은 마이컴에 신호가 입력되므로 마이컴에서는 버퍼IC에 정수, 냉수 또는 온수가운데 선택된 전자식 솔레노이드밸브(이하, 취수밸브라 한다)에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취수밸브를 개방시키므로 취수구를 통해 정수, 냉수 또는 온수가 배출되어 취수가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의 정수기에 있어서는, 밸브구동용 전원이 전원회로에 직결되어 있어 마이컴의 오동작이나 외부의 임펄스(impulse)성 노이즈에 의해 버퍼IC가 구동되면, 취수밸브가 오동작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정수, 냉수 또는 온수가 배출되므로 물의 낭비가 심할뿐만 아니라, 정수기의 주위가 청결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취수스위치의 이중전기배선으로 노이즈에 의한 취수밸브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정확하게 취수할 수 있고, 위생적인 정수기의 취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취수장치는 다수개의 필터를 거쳐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정수탱크와, 상기 정수탱크로부터 유입된 정수를 냉각시켜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탱크와, 상기 정수탱크로부터 유입된 정수를 가열시켜 온수를 저장하는 온수탱크를 구비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탱크에 저장된 정수, 냉수 및 온수가운데 사용자가 원하는 물을 취수하도록 선택하는 취수선택수단과, 상기 취수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정수, 냉수 및 온수를 취수하는 취수수단과, 상기 취수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취수선택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상기 취수수단에 의해 입력된 취수인식신호를 받아서 사용자가 원하는 물을 취수하도록 취수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밸브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정수, 냉수 및 온수를 취수하도록 상기 취수밸브를 개폐하는 밸브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에 의한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중단면도,
도2는 도1의 화살표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취수장치의 상세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정수탱크 5 : 정수실
7 : 냉수탱크 9 : 온수탱크
11 : 냉온수실 13 : 여과실
15 : 기계실 21 : 침전필터
23 : 전처리필터 25, 27 : 멤브레인
29 : 후처리필터 31 : UV필터
33 : 가압펌프 35 : 압축기
37 : 응축기 39 : 팬모터
43 : 증발관 47 : 히터
100 : 전원수단 102 : 취수선택수단
104 : 취수수단 106 : 제어수단
108 : 버퍼수단 110 : 밸브구동수단
112 : 정수용 취수밸브 114 : 냉수용 취수밸브
116 : 온수용 취수밸브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기본구성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원수단(100)은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상기 정수기의 동작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DC 5V의 마이컴 구동전압, DC 24V의 릴레이구동전압) 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취수선택수단(102)은 정수탱크(3), 냉수탱크(7) 및 온수탱크(9)에 저장된 정수, 냉수 또는 온수가운데 사용자가 원하는 물을 선택하도록 정수스위치(SW1), 냉수스위치(SW2), 온수스위치(SW3)와, 다이오드(D1∼D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취수수단(104)은 상기 취수선택수단(102)에 의해 선택된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취수하도록 취수레버(17)의 작동에 따라 연동되어 온되는 취수스위치(SW4, SW5)와, 상기 취수스위치(SW4)의 온동작에 따라 상기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압(Vcc)을 후술하는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출력저항(R1)과, 상기 제어수단에 입력되는 전압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성분을 필터링하는 캐패시터(C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수단(106)은 상기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정수기를 초기화시킴은 물론, 상기 취수선택수단(102)에 의해 선택된 취수선택신호와 상기 취수수단(104)에 의해 입력된 취수인식신호에 따라 정수, 냉수 또는 온수가운데 사용자가 원하는 물을 취수하도록 취수밸브(112, 114, 116)의 개폐동작을 제어한다.
버퍼수단(108)은 상기 제어수단(106)의 출력단자(P1, P2, P3)로부터 출력 되는 밸브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출력단을 드라이브하도록 버퍼IC로 구성되어 있다.
또, 밸브구동수단(110)은 상기 정수탱크(3), 냉수탱(7) 및 온수탱크(9)에 저장된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취수하도록 상기 버퍼수단(108)을 통해 출력되는 밸브구동신호에 따라 정수, 냉수 또는 온수용 취수밸브(112, 114, 116)를 구동제어하는 것으로써, 이 밸브구동수단(110)은 상기 제어수단(106)의 출력단자(P1)로부터 출력되는 정수용 밸브구동신호를 버퍼수단(108)을 통해 전달받아 정수용 취수밸브(112)를 개폐하도록 구동하는 릴레이(RY1)와, 상기 제어수단(106)의 출력 단자(P2)로부터 출력 되는 냉수용 밸브구동신호를 버퍼수단(108)을 통해 전달 받아 냉수용 취수밸브(114) 를 개폐하도록 구동하는 릴레이(RY2)와, 상기 제어수단(106)의 출력단자(P3)로부터 출력되는 온수용 밸브구동신호를 버퍼수단(108)을 통해 전달받아 온수용 취수밸브(116)를 개폐하도록 구동하는 릴레이(RY3)와, 상기 취수스위치(SW5)의 오프시 상기 릴레이(RY1∼RY3)에 발생하는 역기전력을 바이패스하는 보호용 다이오드(D4, D5, D6)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취수수단(104)의 취수스위치(SW4)는 상기 제어수단(106)의 입력단자(14)에 취수인식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스위치이고, 취수스위치(SW5)는 상기 취수밸브(112, 114, 116)에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릴레이(RY1∼RY3)구동전압에 연결되는 스위치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수기의 취수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정수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수단(100)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입력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원의 전원전압을 상기 정수기의 구동에 필요한 24V(VDD)의 릴레이 구동전압과 5V(Vcc)의 제어수단(106) 구동전압이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5V의 구동전압(Vcc)을 제어 수단(106)에서 입력받아 정수기를 초기화시킨다.
그리고, 정수탱크(3), 냉수탱크(7), 온수탱크(9)에 저장된 정수, 냉수 또는 온수가운데 사용자가 원하는 물을 취수하기위해 정수스위치(SW1), 냉수스위치(SW2) 또는 온수스위치(SW3)를 선택하면, 제어수단(106)에서는 입력단자(I1∼I3)를 통해 입력되는 하이 또는 로우레벨의 취수선택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정수스위치(SW1), 냉수스위치(SW2) 또는 온수스위치(SW3)의 선택과 동시에 취수레버(17)를 움직이면, 취수스위치(SW4)가 온되어 제어수단(106)의 입 력단자(I 4)에 로우레벨의 전압신호가 입력되므로 제어수단(106)에서는 취수인식신호가 발생되었음을 판단한다.
이 때, 상기 취수스위치(SW4)가 온됨과 동시에 취수스위치(SW5)도 연동되어 온되므로 전원수단(100)으로부터 24V(VDD)의 릴레이 구동전압이 릴레이(RY1∼RY3)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106)에서는 정수, 냉수 또는 온수가운데 입력단자(I1∼I3)를 통해 입력된 취수선택신호에 따라 정수용, 냉수용 또는 온수용 취수밸브(112, 114, 116)를 개방하기위한 제어신호를 버퍼수단(108)을 통해 밸브구동수단(11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밸브구동수단(110)에서는 제어수단(106)의 출력단자(P1∼P3)로부더 버퍼수단(108)을 통해 출력되는 정수용, 냉수용 또는 온수용 밸브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선택된 릴레이(RY1∼RY3)를 구동하여 정수용, 냉수용 또는 온수용 취수 밸브(112, 114, 116) 를 개 방시킨다.
만약, 사용자가 정수를 선택하였다면, 제어수단(106)의 출력단자(P1)로부터 하이레벨의 정수용 밸브구동신호가 출력되어 버퍼수단(108)을 통해 로우로 반전되므로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릴레이 구동전압(VDD)에 의해 전류가 취수스위치(SW5) 및 릴레이(RY1)를 통해 버퍼수단(108)을 거쳐 접지단으로 흐르기 때문에 릴레이(RY1)가 구동하여 릴레이접점(RY1c)이 폐쇄된다.
상기 릴레이접점(RY1c)이 폐쇄되면,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VDD)이 릴레이접점(RYlc) 을 통해 정수용 취수밸브(112)에 인가되어 정수용 취수밸브(112)가 개방되므로 정수탱크(3)에 저장된 정수가 취수구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사용자가 냉수를 선택하였다면, 제어수단(106)의 출력단자(P2)로부터 하이레벨의 냉수용 밸브구동신호가 출력되어 버퍼수단(108)을 통해 로우로 반전되므로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릴레이 구동전압(VDD)에 의해 전류가 취수스위치(SW5) 및 릴레이(RY2)를 통해 버퍼수단(108)을 거쳐 접지단으로 흐르기 때문에 릴레이(RY2)가 구동하여 릴레이접점(RY2c)이 폐쇄된다.
상기 릴레이집점(RY2c)이 폐쇄되면,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 압(VDD)이 릴레이접점(RY2c)을 통해 냉수용 취수밸브(114)에 인가되어 냉수용 취수밸브(114)가 개방되므로 냉수탱크(7)에 저장된 냉수가 취수구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사용자가 온수를 선택하였다면, 제어수단(106)의 출력단자(P3)로부터 하이레벨의 온수용 밸브구동신호가 출력되어 버퍼수단(108)을 통해 로우로 반전되므로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릴레이 구동전압(VDD)에 의해 전류가 취수스위치(SW5) 및 릴레이(RY3)를 통해 버퍼수단(108)을 거쳐 접지단으로 흐르기 때문에 릴레이(RY3)가 구동하여 릴레이접점(RY3c)이 폐쇄된다.
상기 릴레이접점(RY3c)이 폐쇄되면,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VDD)이 릴레이접점(RY3C)을 통해 온수용 취수밸브(116)에 인가되어 온수용 취수밸브(116)가 개방되므로 온수탱크(9)에 저장된 온수가 취수구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같이, 취수스위치(SW4, SW5)가 연동되어 온동작함에 따라 취수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취수스위치(SW5)가 오프되어 전원수단(100)으로부터 릴레이(RY1∼RY3)에 릴레이 구동전압(VDD)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릴레이(RY1∼RY3)에 감응하지 않아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정수기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약수통, 생수통, 자판기 등의 물을 사용하는 모든 제품에서 본 발명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취수장치에 의하면, 취수스위치(SW4, SW5)의 이중전기배선으로 노이즈에 의한 취수밸브(112, 1114, 116)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정확하게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취수할 수 있으며, 위생적이다.

Claims (4)

  1. 다수개의 필터를 거쳐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정수탱크(3)와, 상기 정수탱크(3)로부터 유입된 정수를 냉각시켜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탱크(7)와, 상기 정수탱크(3)로부터 유입된 정수를 가열시켜 온수를 지장하는 온수탱크(9)와, 상기 탱크(3, 7, 9)내의 정수, 냉수, 온수를 취수하도록 조작하는 취수레버(17)를 구비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탱크(3, 7, 9)에 저장된 정수, 냉수 및 온수가운데 사용자가 원하는 물을 취수하도록 선택하는 취수선택수단(102)과, 상기 취수선택수단(102)에 의해 선택된 정수, 냉수 및 온수를 취수하도록 상기 취수레버(17)의 조작에 따라 동작되는 취수수단(104)과, 상기 취수선택수단(102)에 의해 선택된 취수선택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상기 취수수단(104)에 의해 입력된 취수인식신호를 받아서 사용자가 원하는 물을 취수하도록 취수밸브(112,114,116)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06)과, 상기 제어수단(106)으로부터 출력되는 밸브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정수, 냉수 및 온수를 취수하도록 상기 취수밸브(112, 114, 116)를 개폐하는 밸브구동수단(11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취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수수단(104)은 상기 제어수단(106)에 취수인식신호를 발생하는 취수스위 치(SW4)와, 상기 취수밸 브(112, 114, 116)의 전원인가를 제어하는 취수스위치(SW5)의 이중전기배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취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수밸브(112, 114, 116)는 상기 취수수단(104)의 전원인가용 취수스위치(SW5) 온시에만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취수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취수스위지(SW5)는 취수레버(17)의 조작시에만 온되어 취수밸브(112, 114, 116) 구동용릴레이(RY1∼RY3)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노이즈에 의한 상기 취수밸브(112, 114, 116)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취수장치.
KR1019960075639A 1996-12-28 1996-12-28 정수기의 취수장치 KR19980056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639A KR19980056371A (ko) 1996-12-28 1996-12-28 정수기의 취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639A KR19980056371A (ko) 1996-12-28 1996-12-28 정수기의 취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371A true KR19980056371A (ko) 1998-09-25

Family

ID=6639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5639A KR19980056371A (ko) 1996-12-28 1996-12-28 정수기의 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63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788B1 (ko) * 2005-04-14 2007-03-0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온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788B1 (ko) * 2005-04-14 2007-03-0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온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5908B1 (ko) 냉온정수기의 램프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5484538A (en) Multiple service water purifier and dispenser and process of purifying water
JP2807443B2 (ja) 浄水器の排水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0161071B1 (ko)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KR19980056371A (ko) 정수기의 취수장치
KR0146825B1 (ko) 냉온정수기의 데이타백업장치
KR101631214B1 (ko) 물의 온도 검출에 따른 압축기 구동시스템 및 구동방법
KR19980056373A (ko) 정수기의 제어장치
KR0175905B1 (ko) 냉온정수기의 해충퇴치장치
KR19980073959A (ko) 정수기의 온도제어장치
KR0175901B1 (ko) 냉온정수기
WO1998012489A1 (en) Purified water supply apparatus
KR0156712B1 (ko) 정수기의 취수장치
KR19980056370A (ko) 정수기의 배수제어장치
KR19980069533A (ko) 물분배기의 취수장치
KR19980056374A (ko) 정수기의 수위감지장치
KR19980069541A (ko) 물분배기의 살균장치
KR0175904B1 (ko) 냉온정수기의 농축수량 조절장치
JP2804015B2 (ja) 浄水器の濃縮水調整装置
KR0175909B1 (ko) 정수기용 정수저장탱크의 덮개장치
KR200233790Y1 (ko) 급속냉각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US20230234828A1 (en) Water purifier with ice-maker
KR0161087B1 (ko) 냉온정수기의 에어트립 방지장치
KR0127638Y1 (ko) 정수기의 배수장치
JPH10245100A (ja) 水分配機の取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