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071B1 -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071B1
KR0161071B1 KR1019950069114A KR19950069114A KR0161071B1 KR 0161071 B1 KR0161071 B1 KR 0161071B1 KR 1019950069114 A KR1019950069114 A KR 1019950069114A KR 19950069114 A KR19950069114 A KR 19950069114A KR 0161071 B1 KR0161071 B1 KR 0161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ainage
drain
storage
rea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9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2964A (ko
Inventor
윤덕중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69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1071B1/ko
Priority to JP8341887A priority patent/JP2795640B2/ja
Priority to US08/777,390 priority patent/US5819784A/en
Priority to CN96121378A priority patent/CN1157887A/zh
Publication of KR970032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2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0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3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10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 F16K11/04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with movable valve members positioned between valve sea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762With leakage or drip collec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416With heating or cooling of the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815Multiple inlet with single outl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265Dividing into parallel flow paths with recombining
    • Y10T137/87338Flow passage with bypass
    • Y10T137/87362Including cleaning, treating, or heat transfer fe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는, 온수 및 냉수통(110)(120)과 물받이통(16)에 배수라인을 구비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온수 및 냉수통(110)(120)의 저장수배수라인을 통하여 배수되는 저장수가 물받이통(16)의 잔수배수라인을 통하여 억류되지 않도록 저장수배수라인과 잔수배수라인이 서로 합쳐되는 부분에 선택적으로 배수통로를 개폐하는 배수전환수단(2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저장수를 외부로 배수시킬 때 내압에 의해 상승된 수두차로 인하여 저장수가 잔수배수관(17)을 따라 억류되어 물받이통(16)으로 유입되는 물넘침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제1도는 종래의 냉온정수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에 의한 냉온전수기의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종래에 의한 냉온정수기의 정면을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여과수단과 가압펌프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흐름도.
제5도는 종래의 물통과 물받이통의 배수라인을 도시한 개략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물통과 물받이통의 배수라인을 도시한 개략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물통측 배수라인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물받이통측 배수라인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물받이통 17 : 잔수배수관
110 : 온수통 120 : 냉수통
113 : 온수배수관 123 : 냉수배수관
170, 171 : 제1 및 제2연결배수관 200 : 배수전환수단
210 : 몸체 211, 212 : 제1 및 제2원통부
213 : 유입구 214 : 유출구
220, 230 : 제1 및 제2연결캡 240 : 실링체
241 : 플랜지부 250 :밸브체
251, 252 : 제1 및 제2밀착부 260 : 탄성체
270 : 작동축 271, 272 : 제1 및 제2돌출부
280 : 힌지핀 290 : 작동레버
291 : 작동홈
본 발명은 수돗물 등의 원수중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시키는 역삼투압식 냉온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기적으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물통세척을 위하여 물통(예컨대, 온수통 및 냉수통)내의 저장수(예컨대, 온수 및 냉수)를 외부로 배수시킬 때 내압에 의해 상승된 수두차로 인하여 저장수가 물받이통의 잔수배수라인을 따라 역류되어 물넘침현상이 초래되는 것을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온정수기는 수도전로부터 급수되는 원수를 별도의 여과수단내로 통과시킨후 정수를 행하는 원수중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냉온정수기는, 정수하는 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및 역삼투압식등으로 대별될 수 있으며, 이중 특히 역삼투압식 냉온정수기는 원수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인공적인 삼투막인 멤브레인을 통과시켜 정수를 행하는 것으로 중금속, 박테리아, 발암물질등을 분리제거함과 동시에 순수한 물과 용존산소만이 통과되도록 하여 최첨단 과학산업이나 초정밀전자부품의 세척용 또는 의학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식수를 위한 가정 및 업소용의 냉온정수기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냉온정수기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본체(10)가 전면판넬(11), 후면판넬(12), 양측면판넬(13), 상부판넬(14), 하부판넬(15)로 이루어져 상호체결조립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면판넬(11)의 외측 중간 높이에는 후술하는 취수밸브로부터 낙하되는 잔수를 집수하는 물받이통(16)이 설치되어 있고, 이 물받이통(16)의 후방측에는 집수된 잔수를 외부로 자연배수시키는 잔수배수관(17)이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본체(10)내의 소정높이에 대하여 상부 및 하부측에 각각 일정면적의 공간(E)(F)을 형성하도록 가로방향으로 각각 제1 및 제2칸막이부재(20)(21)가 설치되고, 상기 제1칸막이부재(20)와 제2칸막이부재(21)의 사이에 대하여 후방측에 일정면적의 공간(G)을 형성하도록 세로방향으로 제3칸막이부재(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칸막이부재(20)와 제2칸막이부재(21)의 사이에 대하여 전방측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일정면적의 공간(H)(I)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3칸막이부재(22)의 전측면 소정높이에 가로방향으로 제4칸막이부재(23)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공간(E)에는 상기 제1칸막이부재(20)를 매개로 그 상면에 일정용량의 정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정수저장통(3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면판넬(11)에 제품의 가동을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콘트롤박스(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간(F)에는 상기 하부판넬(15)의 상부면에 대하여 그 일측에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작용을 하는 압축기(50)와, 그 타측에 상기 압축기(50)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받아 응축작용을 하는 응축기(60)와, 그 중간에 상기 압축기(50)와 응축기(60)에서 발생되는 압축 및 응축열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7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간(G)에는 상기 제3칸막이부재(22)의 이며 소정높이에 제1 및 제2필터고정브라켓(80)(81)을 매개로 교체가능케 지지되도록 복수개의 여과수단(9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칸막이부재(21)의 상면 일측에 가압펌프(10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여과수단(90)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전(도시안됨)으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중에 함유된 녹찌거기등의 부유물질을 제거하도록 제1필터고정브라켓(80)을 매개로 설치된 침전필터(91)와, 상기 침전필터(91)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중에 함유된 염소성분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제1필터고정브라켓(80)을 매개로 설치된 전처리필터(92)와, 상기 전처리필터(82)에서 상기 가압펌프(100)로 공급되어 가압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중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 및 발암물질을 제거하도록 제1필터고정브라켓(80)을 매개로 설치된 제1 및 제2멤브레인필터(93)(94)와, 상기 제1 및 제2멤브레인필터(93)(94)로부터 동시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중에 함유된 냄새 및 유독가스성분을 제거하도록 제1필터고정브라켓(80)을 매개로 설치된 후처리필터(95)와, 상기 후처리필터(95)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통과될 때 원수중에 함유된 유해한 균을 살균하여 상기 정수저장통(30)에 공급되도록 제2필터고정브라켓(81)을 매개로 설치된 살균필터(96)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침전필터(91), 전처리필터(92), 제1 및 제2멤브레인필터(93)(94), 후처리필터(95), 살균필터(96) 및 가암펌프(100)들은 원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연결호스(97)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제1 및 제2멤브레인필터(93)(94)의 하부 일측에는 그 내부를 통과하면서 발생된 농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농축수관(98)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간(H)에는 상기 정수저장통(30)에서 저류 저장된 정수를 제1 및 제2정수관(31)(32)을 통하여 각각 일정용량으로 공급받아 가열 및 냉각시키도록 상기 제4칸막이부재(23)의 상면에 온수통(110)과 냉수통(120)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온수통(110)에는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되면서 내부에 저류된 정수를 가열시키는 히터부재(111)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냉수통(120)의 외주측에는 액냉매를 받아 냉수통(120) 내의 정수를 차갑게 열교환시키는 냉각코일(121)이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으며, 이들 온수 및 냉수통(110)(120)내의 저장수를 각각 배출시키도록 온수 및 냉수통(110)(120)의 상부에 설치된 물배출관(112)(122)에 각각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전면판넬(11)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온수 및 냉수용 취수밸브(130)(131)가 설치되어 있다.
또, 온수 및 냉수통(110)(120)의 하부면 일측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수 및 냉수배수관(113)(123)이 연결되어 있고, 이들 온수 및 냉수관(113)(123)의 일측에는 전기적인 제어신호에 따라 온수 및 냉수배수관(113)(123)의 통로를 개폐하면서 냉수배수관(123)을 통하여 배수되는 냉수가 온수배수관(113)을 통하여 역류되어 온수통(110)으로 혼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솔레노이드밸브(150)(151)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온수배수관(113)과 냉수배수관(123)이 서로 합쳐지는 그 끝단에는 제1엘보우관(16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엘로우관(160)의 일측에는 상기 온수 및 냉수배수관(113)(123)에서 배수되는 저장수가 합쳐져 하나의 배수라인으로 배수되도록 제1연결배수관(170)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연결배수관(170)과 상기 물받이통(16)의 잔수배수관(17)이 서로 합쳐지는 그 끝단에는 제2엘보우관(161)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엘보우관(161)의 일측에는 상기 제1연결배수관(160)을 통하여 배수되는 저장수와 상기 물받이통(16)의 잔수배수관(17)을 통하여 자연배수되는 잔수가 합쳐져 하나의 배수라인으로 배수되도록 제2연결배수관(171)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간(I)에는 제품을 가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2칸막이부재(21)의 상면에 메인 인쇄회로기판(140)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정수기에서 본체(10)의 정면 상단측 콘트롤박스(40)에 배열된 기능 및 선택버튼(부호도시안됨)을 조작하여 가압펌프(100)를 가동시키면, 수도전(도시안됨)의 수압에 의해 공급되는 원수(물)와 가압펌프(100)의 가동에 의한 압력에 의해 복수개의 여과수단(90)을 통하여 흐르면서 정수화된다.
즉, 수도전(도시안됨)으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침전필터(91)의 내부를 통과할 때 원수증에 함유된 녹찌거기등의 부유물질이 제거되고, 이 침전필터(91)를 거친 후 전처리필터(92)를 통과할 때 원수중에 함유된 염소성분등의 이물질이 제거되며, 이 전처리필터(82)를 거친 후 제1 및 제2멤브레인필터(93)(94)를 동시 통과할 때 원수중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 및 발암물질이 제거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멤브레인필터(93)(94)를 거친 후 후처리필터(95)를 통과할 때 원수중에 함유된 냄새 및 유독가스성분이 제거되고, 이 후처리필터(95)를 거친 후 살균필터(96)를 통과할 때 원수중에 함유된 유해한 균을 살균하여 정수저장통(30)에 공급하여 주게된다.
이때, 정수저장통(30)으로 저장된 정수는 그 바닥면에 연결된 제1 및 제2정수관(31)(32)을 통하여 각각 온수 및 냉수통(110)(120)으로 공급된다. 즉, 제1정수관(31)을 따라 흐르는 정수는 온수통(110)의 상부측을 통하여 만수위가 되는 일정용량까지 계속 공급되고, 제2정수관(32)을 따라 흐르는 정수는 냉수통(120)의 상부측을 통하여 만수위가 되는 일정용량까지 계속 공급되며, 이들 온수 및 냉수통(110)(120)이 만수위가 되어 더 이상 정수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비로소 정수저장탱크(30)에 정수가 저장됨과 동시에 정수저장통(30)의 일측에 장착된 수위센서(도시안됨)의 감지신호에 따라 일정용량으로 저장되면 가압펌프(100)의 가동이 정지되게 된다.
한편, 온수공급을 위하여 온수통(110)에 설치된 히터부재(111)가 가동되면, 이 히터부재(111)는 인가된 전류공급에 따라 설정된 온도로 발열되면서 온수통(110)내에 저장된 정수를 뜨겁게 열교환시키게 된다.
그리고, 냉수공급을 위하여 압축기(50)가 가동되면, 이 압축기(50)의 압축작용에 의해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가스가 응축기(60)에 공급되고, 이 응축기(60)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냉매가스는 냉각수단(70)의 가동에 의한 송풍바람에 의해 응축작용이 이루어진다.
또, 응축기(60)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기체 냉매가스는 냉온정수기의 주위온도인 실온보다 다소 높은 온도의 고압액체 냉매가스로 상변화되어 모세관(도시안됨)을 통과함으로써 감압되고, 이 감압된 액체 냉매가스는 냉수통(120)의 외주면에 감겨져 있는 냉각코일(121)로 유입되어 팽창됨으로써 저온저압으로 기화됨과 동시에 냉각작용이 이루어지는 냉동싸이클에 따라 냉수통(120)내에 저장된 정수를 차갑게 열교환시키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온수 및 냉수통(110)(120)내에 저장된 온수 및 냉수를 컵등의 용기(도시안됨)에 받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컵등의 용기를 온수 및 냉수용 취수밸브(130)(131)에 설치된 취수레버(부호도시안됨)에 말착시킴과 동시에 후방측으로 밀어주면 취수레버가 후방측으로 회전동작되는 힘에 의해 취수밸브(130)(131)의 통로가 개방되면서 상기 온수 및 냉수통(110)(120)내에 저장된 온수 및 냉수는 각각 물배출관(112)(122)과 각각 결합된 취수밸브(130)(131)의 안내를 받아 컵등의 용기로 배출됨으로써 취수가 가능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정수기의 배수장치에 의하면, 물받이통(16)에 집수된 잔수가 잔수배수관(17)을 통하여 외부로 자연배수되고, 온수 및 냉수통(110)(120)에 설치된 각각의 솔레노이드밸브(150)(151)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수 및 냉수배수관(113)(123)을 통하여 배수됨과 동시에 상기 잔수배수관(17)과 합쳐져 하나의 배수라인을 통하여 외부로 배수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정기적으로 물통세척을 위하여 온수통(110) 및 냉수통(120)내의 저장수를 외부로 배수시킬 경우, 내압에 의해 상승된 수두차로 인하여 저장수가 물받이통(16)의 잔수배수관(17)을 따라 역류되어 물넘침현상이 초래된다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물통세척을 위하여 온수 및 냉수통내의 저장수를 외부로 배수시킬 때 내압에 의해 상승된 수두차로 인하여 저장수가 물받이통의 잔수배수라인을 따라 역류되는 물넘침현상을 방지하도록 저장수배수라인과 잔수배수라인을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는, 온수 및 냉수통과 물받이통에 배수라인을 구비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온수 및 냉수통의 저장수배수라인을 통하여 배수되는 저장수가 물받이통의 잔수배수라인을 통하여 역류되는 물넘침현상을 방지하도록 저장수배수라인과 잔수배수라인이 서로 합쳐지는 부분에 선택적으로 배수통로를 개폐하는 배수전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병기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200은 상기 온수 및 냉수통(110)(120)의 저장수배수라인을 통하여 배수되는 저장수가 물받이통(16)의 잔수배수라인을 통하여 역류되는 물넘침현상을 방지하도록 저장수배수라인과 잔수배수라인이 서로 합쳐지는 부분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배수통로를 개폐하는 배수전환수단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배수전환수단(200)은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연결배수관(170)(171)이 각각 상하측에 대각방향으로 연결되게 함과 동시에 상호 배수통로를 형성하도록 형성된 원통형 몸체(210)와, 상기 잔수배수관(17)이 외측 중앙에 연결됨에 동시에 상기 몸체(210)의 하부측 배수통로와 연결되도록 몸체(210)의 전방측에 나사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된 제1연결캡(220)과, 상기 몸체(210)의 후방측에 나사방식에 의해 결합된 제2연결캡(230)과, 상기 제2연결캡(230)의 결합시 그 사이에 일측이 개재되어 고정됨과 동시에 그 타측이 몸체(210)의 후방측 내경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삽입된 중공형 실링체(240)와, 전진이동시 저장수의 배수통로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잔수의 배수통로를 폐쇄시키며 또한 후진이동시 저장수의 배수통로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잔수의 배수통로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제1연결캡(220)의 결합시 몸체(210)의 전방측을 통하여 상기 실링체(240)의 내경에 전후슬라이드가능케 삽입된 밸브체(250)와, 상기 밸브체(250)가 전방측으로 탄발되도록 상기 실링체(240)의 내경에 삽입된 탄성체(260)와, 상기 밸브체(250)의 후방측을 통하여 일측단이 삽입결합됨과 동시에 타측단이 상기 탄성체(260)의 내경과 제2연결캡(230)의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작동축(270)과, 편심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밸브체(250)를 후방측으로 잡아당기도록 외부로 돌출된 상기 작동축(270)의 끝단과 힌지핀(280)을 매개로 힌지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2연결캡(230)의 외면에 밀착된 작동레버(290)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몸체(210)에는 그 중앙에 단차면을 형성하도록 그 전방에 제1원통부(211)와, 그 후방에 상기 제1원통부(2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2원통부(2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2원통부(212)의 외주면 상부에는 상기 제1연결배수관(170)이 연결되도록 유입구(213)가 돌설되어 있고, 상기 제1원통부(211)의 외주면 하부에는 상기 제2연결배수관(171)이 연결되도록 유축구(214)가 돌설되어 있으며, 이들 제1 및 제2원통부(211)(212)의 외주면에 대하여 전방 및 후방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연결캡(220)(230)이 나사결합되도록 수나사면(부호도시안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캡(220)에는 그 외주면에 대하여 후방측에 상기 몸체(210)의 전방측과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면(부호도시안됨)을 가진 플랜지부(221)가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 중앙에 상기 잔수배수관(17)이 연결되도록 유입구(222)가 돌설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캡(230)에는 그 외주면에 대하여 전방측에 상기 몸체(210)의 후방측과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면(부호도시안됨)을 가진 플랜지부(231)가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 상기 작동축(270)이 관통되도록 관통구멍(2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링체(240)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그 외주면에 대하여 후방측에 상기 몸체(210)와 제2연결캡(230)과의 나사결합시 그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도록 플랜지부(241)가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상기 밸브체(250)에는 그 전방측에 상기 제1연결캡(220)에 형성된 유입구(222)를 개폐하도록 제1밀착부(25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측에 상기 실링체(240)의 내경에 삽입되어 전후슬라이드되면서 상기 몸체(210)에 형성된 제2원통부(212)의 전방측 내주면에 밀착되어 유입구(213)를 개폐하도록 제2밀착부(25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체(260)는 압축작용을 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작동축(270)은 환봉으로 이루어져 그 전방 및 중간측에 상기 밸브체(250)의 후방측을 통하여 삽입되어서 그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된 제1밀착부(251)와 제2밀착부(252)의 부분에 이탈됨이 없이 결합되도록 제1돌출부(271)와 제2돌출부(272)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에 힌지핀(280)이 교차되게 삽입되도록 힌지홀(부호도시안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레버(290)에는 그 전방측 중앙에 상기 작동축(270)의 후단이 삽입되도록 소정깊이의 작동홈(29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측면에 상기 작동홈(291)내에 삽입된 작동축(270)의힌지홀(부호도시안됨)에 힌지핀(280)이 교차되게 삽입되도록 힌지홀(부호도시안됨)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00은 팩킹부재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받이통(16)에 집수된 잔수를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하여 배수전환수단(200)의 작동레버(290)를 제7도의 상태로 들어올리면, 이 작동레버(290)는 힌지핀(280)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상부방향으로 회전동작됨과 동시에 소정위치에 정지되면서 그 일측면이 제2연결캡(230)의 외측면에 부딪쳐 미끄럼운동되는 편심오차(예컨대, 편심최대거리)에 의해 힌지핀(280)을 매개로 작동축(270)을 후방측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이 작동축(270)은 그 전방 및 중간측에 돌출된 제1 및 제2돌출부(271)(272)와 밸브체(250)의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된 제1 및 제2밀착부(251)(252)와의 고정결합에 의해 밸브체(250)를 후방측으로 동시 잡아당기게 되며, 이 밸브체(250)는 후방측으로 이동될 때 그 후방측이 실링체(240)의 내경을 따라 슬리이드되면서 실링체(240)내에 설치된 탄성체(260)를 압축시키게 된다.
또, 밸브체(250)는 후측으로 이동될 때 그 전방측 제1밀착부(251)가 제1연결캡(220)에 형성된 유입구(222)의 통로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유입구(222)와 몸체(210)의 하부 전방측에 형성된 유출구(214)와의 잔수배수라인을 개방시키게 되고, 밸브체(250)의 후방측 제2밀착부(252)가 몸체(210)의 제2원통부(212)의 내주면 끝단 가장자리면에 긴밀하게 밀착됨으로써 몸체(210)의 상부 후방측에 형성된 유입구(213)를 통한 저장수배수라인을 페쇄시키게 된다.
이때, 물받이통(16)에 집수된 잔수는 잔수배수관(17)을 따라 흐르면서 제7도에 표시한 점선화살표방향과 같이 잔수배수라인을 통과함과 동시에 몸체(210)의 유출구(214)에 연결된 제2연결배수관(171)을 따라 제품의 외부로 배수된다.
한편, 보통 1개월에 한번 정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정기적으로 정수저장통(30)과 온수 및 냉수통(110)(120)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먼저 온수 및 냉수통(110)(120)의 하부측 온수 및 냉수배관(113)(123)에 설치된 솔레노이드(150)(151)를 동작시켜 온수 및 냉수배수관(113)(123)의 통로를 개방시킨 다음, 작동레버(290)를 제8도의 상태로 잡아당기면, 이 작동레버(290)는 힌지핀(280)를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회전동작됨과 동시에 소정위치에 정지되면서 그 타측면이 제2연결캡(230)의 외측면에 부딪쳐 미끄럼운동되는 편심오차(예컨대, 편심최저거리)에 의해 힌지핀(280)을 매개로 작동축(270)이 전방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준다.
이에 따라, 작동축(270)과 고정결합된 밸브체(250)는 탄성체(260)의 탄발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그 전방측 제1밀착부(251)가 제1연결캡(220)의 유입구(222)에 긴밀하게 밀착됨으로써 상기 유입구(222)와 몸체(210)의 하부 전방측에 형성된 유출구(214)와의 잔수배수라인을 페쇄시키게 되고, 그 후방측 제2밀착부(252)가 몸체(210)의 제2원통부(212)의 내주면 끝단 가장자리면로부터 일정간격으로 떨어짐으로써 몸체(210)의 상부 후방측과 하부 전방측에 각각 형성된 유입구(213)와 유출구(214)를 통한 저장수배수라인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 경우, 온수 및 냉수통(110)(120)내에 저류 저장된 저장수는 각각 온수배수관(113)과 냉수배수관(123)을 따라 흐름과 동시에 제1엘보우관(16)에 의해 서로 합쳐지게 되고, 제1엘보우관(160)의 일측에 연결된 제1연결배수관(170)을 통하여 흐르면서 제8도에 표시한 점선화살표방향과 같이 저장수배수라인을 통과함과 동시에 몸체(210)의 유출구(214)에 연결된 제2연결배수관(171)을 따라 제품의 외부로 배수된다.
이때, 배수전환수단(200)의 저장수배수라인을 통과하는 저장수는 잔수배수라인을 따라 역류되지 못하기 때문에 온수 및 냉수통(110)(120)내의 저장수를 외부로 배수시킬 때 내압에 의해 상승된 수두차로 인하여 저장수가 잔수배수관(17)을 따라 역류되어 물받이통(16)으로 유입되는 물넘침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는, 온수 및 냉수통의 저장수배수라인과 물받이통의 잔수배수량라인이 서로 합쳐져 배수되는 부분에 배수전환수단을 장착한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저장수를 외부로 배수시킬 때 내압에 의해 상승된 수두차로 인하여 저장수가 잔수배수관을 따라 역류되어 물받이통으로 유입되는 물넘침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온수 및 냉수통과 물받이통에 배수라인을 구비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온수 및 냉수통의 저장수배수라인을 통하여 배수되는 저장수가 물받이통의 잔수배수라인을 통하여 역류되는 물넘침현상을 방지하도록 저장수배수라인과 잔수배수라인이 서로 합쳐지는 부분에 선택적으로 배수통로를 개페하는 배수전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전환수단은 상하측에 대각방향으로 배수통로를 가진 몸체와, 상기 물받이통의 잔수배수관이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연결캡과, 상기 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연결캡과, 상기 몸체와 제2연결캡의 결합시 그 사이에 일측이 개재되어 고정됨과 동시에 그 타측이 몸체의 후방측 내경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삽입되는 실링체와, 전진이동시 저장수의 배수통로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잔수의 배수통로를 폐쇄시키며 또한 후진이동시 저장수의 배수통로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잔수의 배수통로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몸체와 제1연결캡의 결합시 몸체의 전방측을 통하여 상기 실링체의 내경에 후방측이 전후슬라이드가능케 삽입되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가 전방측으로 탄발되도록 상기 실링체의 내경에 삽입되는 탄성체와, 상기 밸브체의 후방측을 통하여 일측단이 결합됨과 동시에 타측단이 상기 탄성체의 내경과 제2연결캡의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축과, 편심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밸브체를 후방측으로 잡아당기도록 외부로 돌출된 상기 작동축의 끝단과 힌지핀을 매개로 힌지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2연결캡의 외면에 밀착되는 작동레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그 중앙에 단차면을 형성하도록 그 전방에 제1원통부와, 그 후방에 상기 제1원통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2원통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그 외주면 상부에 상기 온수 및 냉수통의 제1연결배수관과 연결되는 유입구와, 그 외주면 하부에 상기 제2연결배수관과 연결되는 유출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캡은 상기 몸체와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체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그 외주면에 대하여 후방측에 상기 몸체와 제2연결캡의 결합시 그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도록 플랜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는 그 전방측에 상기 제1연결캡에 형성된 유입구를 개페하는 제1밀착부와, 그 후방측에 상기 실링체의 내경에 삽입되어 전후슬라이드되면서 상기 몸체에 형성된 유입구를 개폐하는 제2밀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압축작용을 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에는 그 전방 및 중간측에 상기 밸브체의 후방측을 통하여 삽입되어서 그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된 제1밀착부와 제2밀착부의 부분에 이탈됨이 없이 결합되는 제1 및 돌출부와, 그 후방에 상기 힌지핀이 교차되게 삽입되도록 힌지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에는 그 전방측 중앙에 상기 작동측의 후단이 삽입되도록 소정깊이의 작동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KR1019950069114A 1995-12-30 1995-12-30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KR0161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9114A KR0161071B1 (ko) 1995-12-30 1995-12-30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JP8341887A JP2795640B2 (ja) 1995-12-30 1996-12-20 浄水器の選択的排水切換装置
US08/777,390 US5819784A (en) 1995-12-30 1996-12-27 Water purifier having a water discharge valve for draining water storage tanks
CN96121378A CN1157887A (zh) 1995-12-30 1996-12-30 净水器的可选择排水切换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9114A KR0161071B1 (ko) 1995-12-30 1995-12-30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964A KR970032964A (ko) 1997-07-22
KR0161071B1 true KR0161071B1 (ko) 1998-11-16

Family

ID=1944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9114A KR0161071B1 (ko) 1995-12-30 1995-12-30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19784A (ko)
JP (1) JP2795640B2 (ko)
KR (1) KR0161071B1 (ko)
CN (1) CN11578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79351A (zh) * 2013-07-05 2015-01-14 马银龙 一种冷热水龙头净水器及冷热水净化系统
KR20150100329A (ko) * 2014-02-25 2015-09-02 (주)원봉 냉온수기
WO2017192002A1 (ko) * 2016-05-02 2017-11-09 코웨이 주식회사 살균수 배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9573B1 (en) * 1998-06-02 2001-04-03 Chin Lye Chau Wet battery and vehicle-based water management system
US6378546B1 (en) 2000-10-20 2002-04-30 Neil A. Hansen Fresh water storage apparatus
CN1313896C (zh) * 2002-06-13 2007-05-02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饮料自动售货机
US6679400B1 (en) * 2002-08-06 2004-01-20 Charles S. Goodman Water cooler drip tray drainage apparatus
US6988511B2 (en) * 2003-06-24 2006-01-24 Chang Kuei Tang Outlet valve structure for water dispenser
JP2006096360A (ja) * 2004-09-28 2006-04-13 Hokuei:Kk 液体注出装置
DE102005057156A1 (de) * 2005-11-30 2007-05-3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Wasserfilter
IL195702A0 (en) * 2008-12-04 2011-08-01 Yaniv Bar Water dispenser thal flavors and carbonalcs water
US8495893B2 (en) * 2009-01-08 2013-07-30 Ali Alajimi Hybrid apparatus for cooling water and air and heating water
WO2012066626A1 (ja) * 2010-11-16 2012-05-24 スパーク株式会社 加熱殺菌のできるディスペンサ
US8636174B1 (en) * 2010-12-22 2014-01-28 Food Equipment Technologies Company, Inc. On-demand temperature controlled water dispenser and method
KR20120140105A (ko) * 2011-06-20 2012-12-28 주식회사 위닉스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 장치
CN105805361B (zh) * 2016-04-25 2018-03-27 台州市国人温控卫浴设备有限公司 一种冷热管可转换的恒温水龙头
CN109553139A (zh) * 2017-09-27 2019-04-02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水处理装置
CN109549478A (zh) * 2017-09-27 2019-04-02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水处理装置
US10858234B1 (en) * 2019-06-24 2020-12-08 Bhrs Group Drain system with overflow pro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3122A (en) * 1963-08-21 1965-12-14 Bay Products Dev Co Selector valve
US3366328A (en) * 1965-04-12 1968-01-30 Feinberg Maurice Mixing valve
US4792059A (en) * 1987-02-04 1988-12-20 United States Thermoelectric Corporation Sealed hot, cold and room temperature pure water dispenser
US5476118A (en) * 1991-02-22 1995-12-19 Asahi Yukizai Kogyo Co., Ltd. Non-stagnant piping system
US5307958A (en) * 1991-04-22 1994-05-03 Ebtech, Inc. Bottled water station with removable reservoi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79351A (zh) * 2013-07-05 2015-01-14 马银龙 一种冷热水龙头净水器及冷热水净化系统
KR20150100329A (ko) * 2014-02-25 2015-09-02 (주)원봉 냉온수기
WO2017192002A1 (ko) * 2016-05-02 2017-11-09 코웨이 주식회사 살균수 배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US10898837B2 (en) 2016-05-02 2021-01-26 Coway Co., Ltd Sterilization water discharge device and water treatment device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887A (zh) 1997-08-27
JP2795640B2 (ja) 1998-09-10
JPH09192651A (ja) 1997-07-29
US5819784A (en) 1998-10-13
KR970032964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1071B1 (ko)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JP2807450B2 (ja) 浄水器の選択的連続取水装置
US5827428A (en) Filtered water drain for a spillage collector on a purified water dispenser
KR0175911B1 (ko) 냉온정수기의 취수장치
KR0129636Y1 (ko) 냉온정수기의 전면판넬 착탈장치
KR0175901B1 (ko) 냉온정수기
KR20150068173A (ko) 정수기
KR980008280A (ko) 냉온정수기의 배수장치
KR0139294Y1 (ko)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
KR0161073B1 (ko) 정수기의 냉수 및 온수 혼류방지장치
KR0161087B1 (ko) 냉온정수기의 에어트립 방지장치
KR0146833B1 (ko) 정수기의 유로구조
KR19980069541A (ko) 물분배기의 살균장치
KR960005045Y1 (ko) 냉, 온 정수기
KR0139295Y1 (ko) 냉온정수기의 측면판넬 보강구조
KR0146832B1 (ko) 정수기의 배수장치(drainage of water purifier)
JPH1043735A (ja) 冷温浄水器の取水装置
KR0146835B1 (ko) 정수기
KR0129637Y1 (ko) 냉온정수기의 물침투방지장치
KR0121139Y1 (ko) 냉장고용 음용수의 정수장치
KR0175899B1 (ko) 정수기의 전장부품 배치장치
KR19980069524A (ko) 물분배기의 열전소자 전선고정장치
KR20050081397A (ko) 기능성 정수기
KR19980069539A (ko) 물분배기의 취수장치
JPH1057955A (ja) 配水器の浄水貯蔵箱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