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173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173A
KR20150068173A KR1020130154069A KR20130154069A KR20150068173A KR 20150068173 A KR20150068173 A KR 20150068173A KR 1020130154069 A KR1020130154069 A KR 1020130154069A KR 20130154069 A KR20130154069 A KR 20130154069A KR 20150068173 A KR20150068173 A KR 20150068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reservoir
drying tank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채
문정민
전제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4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8173A/ko
Publication of KR20150068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고 물을 정화하는 필터; 상기 필터로부터 배출된 정수가 유동하는 저수조; 및 상기 저수조를 지지하고,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배출된 물을 모아 배출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 내부에서 생성된 물을 제거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화된 음용수를 효과적으로 얻기 위해, 가정을 비롯한 다양한 공간에서 정수기의 사용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지하수 등의 자연수(이하, 정수되기 전 상태의 물을 '원수'라 함)를 여과하기 위한 장치로서, 여러개의 필터를 통해 원수를 여과하여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유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음용수를 제공한다. 정수기는 기본적으로 물이 유동하는 배관과, 물을 냉각하는 냉각장치 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공기 속의 수증기로인해 정수기 내부에 물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내부에서 발생된 물을 방치할 경우 정수기 내부에 구비된 전장품간에 합선이 발생하거나, 세균의 발생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정수기 내부에서 발생한 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둘째, 물 제거를 위해 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 하는 것이다.
셋째, 물제거 구성을 간단히하여 정수기의 볼륨 증대를 막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고 물을 정화하는 필터; 상기 필터로부터 배출된 정수가 유동하는 저수조; 및 상기 저수조를 지지하고,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배출된 물을 모아 배출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프레임이 물을 수집 및/ 배출하므로 구성이 간결하고 공간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둘째, 물을 증발시켜 제거하므로 위생적이고 별도로 청소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셋째, 정수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사용하므로 별도의 에너지 소모가 없는 장점도 있다.
넷째, 건조를 위한 별도의 가열부가 불필요하여 외형의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의 냉매순환을 표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들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정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 사시도이다. 정수기는 저수조(90, 91, 93)의 유무에 따라 직수형과 저장형으로 구분된다. 직수형 정수기는 저수조(90, 91, 93)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직수형 정수기는 사용자의 요청시마다 원수를 유입한다. 직수형 정수기는 사용자의 요청시 마다 여과한 정수를 바로 공급하는 직수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수의 저장을 필수적 구성으로 하지 않고, 정수의 저장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므로 직수형 정수기와 저장형 정수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저장형 정수기는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90, 91, 93)를 포함한다. 저장형 정수기는 사용자의 요청시 저수조(90, 91, 93)에 수용된 물을 제공한다. 배관은 원수 공급부와 여과부를 연결하는 원수배관(31)을 포함한다. 배관은 복수의 필터들 사이를 연결하는 필터배관(33)을 포함한다.
배관은 필터(80)부에서 배출된 정수가 유동하는 정수배관을 포함한다. 밸브는 케이싱(10) 내부에 수용된다. 밸브는 수동으로 개폐하는 게이트밸브 gate valve , 콕밸브 cock valve 등으로 구성되거나, 자동으로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 solenoid valve 로 구성될 수 있다. 밸브는 원수배관(31)에 연결된 원수밸브를 포함한다. 원수밸브는 직수형 정수장치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원수는 상수도 등의 원수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것으로, 원수밸브의 개폐정도에 따라 직수형 정수장치로 유입되는 유량이 달라질 수 있다. 원수밸브는 감압밸브일 수 있다. 밸브는 사용자의 출수명령시 개방되는 출수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 케이싱(10) 내부에 배치되고 물을 정화하는 필터(80); 케이싱(10) 내부에 배치되고 필터(80)로부터 배출된 정수를 냉각하는 히트펌프(50); 및 케이싱(10) 내부에서 생성된 물을 수용하고 히트펌프(50)에서 발생된 열 에너지를 흡수하는 건조탱크(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 케이싱(10) 내부에 배치되고 물을 정화하는 필터(80); 필터(80)로부터 배출된 정수가 유동하는 저수조(90, 91, 93) 및 저수조(90, 91, 93)를 지지하고, 케이싱(10) 내부에서 배출된 물을 모아 배출하는 프레임110)을 포함한다.
정수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싱(10)을 포함한다. 케이싱(10) 내부에는 원수를 여과하는 여과부가 수용된다. 저수형 정수기의 경우 케이싱(10) 내부에는 저수조(90, 91, 93)가 수용된다. 물받이(17)는 케이싱(10)의 외부에 배치된다. 물받이(17)는 정수기에서 출수된 후 낙하하는 물을 저장한다. 물받이(17)는 케이싱(10)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케이싱(10) 내부에는 냉수조(93) 및/또는 온수조(91) 및/또는 상온수조(90) 및/또는 필터(80)으로부터 배출된 물 및/또는 결로가 존재한다. 결로는 케이싱(10) 내부의 부품이 습공기의 이슬점 이하로 되었을 때 형성된다. 이하, 물은 필터에서 배출된 정수와 결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케이싱(10)의 전방에는 컨트롤패널(11)이 배치된다. 컨트롤패널(11)에는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부가 구비된다. 케이싱(10)의 앞쪽에는 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조작레버(12)가 구비된다. 조작부는, 다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는 온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온수버튼(11a)과, 상온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상온수버튼(11c)과, 냉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온수버튼(11b)을 포함할 수 있다. 온수버튼(11a)을 누르고 조작레버(12)를 가압하면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온수버튼(11b)을 누르고 조작레버(12)를 가압하면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상온수버튼(11c)을누르고 조작레버(12)를 가압하면 정수가 배출될 수 있다.
조작부는 온수 배출 기능을 잠그기 위한 잠금버튼(11d)과, 냉수 또는 정수를 일정 시간 또는 일정량만큼 연속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속버튼(11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80)는 케이싱(10) 내부에 수용된다. 필터(8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정수는 상온을 유지하는 상온수를 포함한다. 정수는 상온수와 온도가 다른 변온수를 포함한다. 변온수는 상온수보다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포함한다. 변온수는 상온수보다 온도가 높은 온수를 포함한다. 냉수는 히트펌프(50)에 의해 형성된다.
열 교환부는 케이싱(10) 내부에 배치된다. 열교환부는 냉각부 및/또는 가열부를 포함한다. 냉각부는 히트펌프(50)와 냉수조(93)를 포함한다. 히트펌프(50)는 열에너지를 흡수 및 열 에너지를 배출한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건조탱크(100)에 수용된 물은 히트펌프(50)로부터 흡수한 열 에너지에 의해 증발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50)의 냉매순환을 표현한 것이다.
히트펌프(50)는, 냉매를 압축하고 냉매로부터 발생된 압축열을 방출하는 압축기(21)를 포함하고, 건조탱크(100)는 압축기(21)로부터 발생된 열 에너지를 흡수한다. 히트펌프(50)는 기상냉매에 기계적 에너지를 가하여 기상냉매를 압축하고 고온고압의 기상냉매를 토출하는 압축기(21)와 기상냉매가 응축되고, 액화열를 방출하며 고온고압의 액상냉매를 토출하는 응축기(23)와 교축작용을 통하여 고온고압의 액상냉매를 증발이 가능한 압력까지 감압하는 팽창밸브(25)와 저온저압의 액상냉매가 기화열을 흡수하여 저온저압의 기상냉매로 변하는 증발기(27)를 포함한다. 증발기(27)를 유동하는 냉매는 냉수조(93)에 수용된 정수로부터 기화열을 공급받는다. 냉수조(93)에 수용된 정수는 냉각된다. 냉수조(93)는 냉수를 배출한다. 압축기(21)는 기계적 압력을 통해 냉매를 압축한다.
냉매는 체적이 감소하고 감소된 체적에 대응하는 압축열을 발생한다. 건조탱크(100)는 압축열을 흡수한다. 직수형 정수기는 냉수조(93)의 역할을 정수가 유동하는 배관이 담당한다. 가열부는 전류가 인가되고 줄열을 발생하는 저항선과 저항선으로부터 줄열을 흡수하는 온수조(91)를 포함한다. 온수조(91)에 수용된 정수는 온수조(91)로부터 열 에너지를 흡수하여 가열된다. 온수조(91)는 온수를 배출한다. 직수형 정수기는 온수조(91)의 역할을 정수가 유동하는배관이 담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들프레임(11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필터(80)로부터 배출된 정수를 수용하는 저수조(90, 91, 93); 및 저수조(90, 91, 93)가 안착되는 저수조 안착부(150)를 포함하고, 저수조 안착부(150)는 저수조 안착부(150)에 수집된 물이 저수조 안착부(150)의 외부로 배출되는 저수배출포트(151)가 형성될 수 있다.
저수조(90, 91, 93)는 상온수조(90) 및/또는 온수조(91) 및/또는 냉수조(93)를 포함한다. 상온수조(90)는 냉수조(93) 및/또는 온수조(91)로 공급될 정수를 저장한다. 상온수조(90)는 벤트홀이 형성된다. 상온수조(90) 내부의 공기는 벤트홀을 통해 유동하여 상온수조(90)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동일하게 한다. 벤트홀에는 부직포 ? 이물질 투입 방지수단이 배치된다. 냉수조(93)는 냉각된 물을 저장할 수 있다. 냉수조(93)의 표면은 습공기의 이슬점 이하일 수 있다. 냉수조(93)는 표면에 결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 밖에, 상온수조(90) 또는 온수조(91)의 경우도 누수 또는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
정수기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20)와 베이스(120)의 상측에 배치된 미들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수조 안착부(150)는 미들프레임(110)에 형성될 수 있다. 저수조 안착부(150)는 저수조(90, 91, 93)의 하면과 형합하는 형상일 수 있다. 저수조 안착부(150)는 저수조(90, 91, 93)를 고정한다. 저수조 안착부(150)는 움푹 패인 형상일 수 있다. 저수조 안착부(150)는 저수조(90, 91, 93)에서 흘러내린 물이 수용된다. 저수배출포트(151)는 저수조 안착부(150)의 단부에 형성된다. 저수배출포트(151)는 저수조 안착부(150)의 일부를 절개한 형상이다. 저수배출포트(151)는 배관 또는 홀 또는 수로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받침부(131)는 저수조 안착부(150)보다 높이가 낮다. 필터받침부(131)는 필터입수포트(137)보다 높이가 낮다. 필터지지부(133)는 연결유로(140)와 물이 유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필터지지부(133)는 저수조안착부(150)과 물이 유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필터(80)를 수용하고, 수집된 물을 필터삽입부(13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포트(139)가 형성된 필터삽입부(130)를 포함한다. 필터삽입부(130)는 미들프레임(110)에 형성된다. 미들프레임(110)은 필터삽입부(130)에 수집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포트(139)를 포함한다. 배수포트(139)는 홀 또는 배관 또는 수로일 수 있다.
필터지지부(133)는 필터(80)의 외주면을 감싼다. 필터지지부(133)는 필터(80)를 지지한다. 필터지지부(133)는 다른 필터지지부(133)와 연결된다. 복수의 필터지지부(133)는 배수로(135)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필터삽입부(130)는 필터(80)를 고정한다. 필터삽입부(130)는 움푹 패인 형상이다. 필터(80)를 교환하며 배출된 물은 필터삽입부(130)에 수용된다. 필터(80)에 형성된 물은 흘러내려 필터삽입부(130)에 수용된다. 배수포트(139)는 필터삽입부(130)에 형성된다. 배수포트(139)는 필터삽입부(130)의 하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포트(139)는 미들프레임(11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배수포트(139)는 미들프레임(110)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배수포트(139)는 배관 또는 홀 또는 수로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삽입부(130)는 저수배출포트(151)에서 배출된 물이 필터삽입부(130)로 유입되는 필터입수포트(137)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입수포트(137)는 외부에서 형성된 물이 유동하여 필터삽입부(130)로 유입되는 관문이다. 필터입수포트(137)는 배관 또는 홀 또는 수로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입수포트(137)는 연결유로(140)와 연결될 수 있다. 필터입수포트(137)는 저수배출포트(151)에서 배출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필터입수포트(137)는 필터지지부(133)에 형성될 수 있다. 필터받침부(131)는 원형일 수 있다. 필터지지부(133)는 필터받침부로부터 중력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필터지지부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필터지지부는 배수로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배수로는 필터입수포트(137)을 통해 유입된 물이 흐른다. 배수로는 복수의 필터받침부에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필터받침부에 형성된 각각의 배수로는 서로 연결된다. 배수로는 물이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포트는 물이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수로와 수로 또는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필터(80)는 복수로 구비되고 필터삽입부(130)는 복수로 형성되며, 복수의 필터삽입부(130)를 연결하는 배수로(135)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80)는 복수로 구비되어 여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여과부는, 세디먼트 필터(80)(sediment filter), 프리카본 필터(80)(pre-carbon filter),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80)(reverse omosis membrane filter), 포스트카본 필터(80)(post-carbon filter) 및 나노필터(80)(nano-filter)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8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터(80)의 종류, 개수 및 순서는 정수장치의 여과방식 또는 정수장치에 요구되는 여과성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디먼트 필터(80)와 프리 카본필터(80)가 일체화된 전처리 복합필터(80)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역삼투막 필터(80)대신에 중공사막 필터(80)(ultra filtration filter)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필터(80)를 대신하거나 추가하여마이크로 필터(80)(micro filter)나 다른 기능성 필터(80)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세디먼트 필터(80)는 부직포가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이물질과 부유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프리카본 필터(80)는 계면 활성탄이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 등을 여과할 수 있다.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80)는 0. 001um정도의 미세한 입자를 여과할 수 있다. 포스트카본 필터(80)는 프리카본 필터(80)의 계면 활성탄보다 흡착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여 색소와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중공사막 필터(80)는 가운데가 비어 있는 실 모양의 막이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세균을 여과할 수 있다.
여과부는 복수의 필터로 구성된다. 각각의 필터(80)는 수명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필터(80)를 교환하는 과정에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누수는 필터삽입부(130)에 수용된다. 누수는 물과 함께 배수포트(139)로 향한다. 누수는 배수관(160)을 통해 건조탱크(100)로 향한다. 배수로(135)는 필터삽입부(130)에 형성된다. 배수로(135)는 배관 또는 홀 또는 수로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로(135)는 하나의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로(135)는 복수의 필터삽입부(130)를 연결한다. 배수로(135)는 배출포트와 연결된다. 배수로(135)는 복수의 필터삽입부(130)을 물이 유동가능하게 서로 연결한다. 배수로는 필터받침부(131)에 형성되어 물을 배수포트(139)로 유인한다.
필터삽입부(130)는 필터(80)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필터받침부(131); 및 필터(80)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필터지지부(133)를 포함하고, 배수로(135)는 필터받침부(131)에 형성되고, 연결유로(140)와 연결될 수 있다. 필터받침부(131)는 필터(80)의 바닥면을 지지한다. 필터받침부(131)는 배수로(135)가 형성된다. 필터받침부(131)는 배출포트가 형성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 측면도이다.
건조탱크(100)는 케이싱(10) 내부에서 배출된 정수 또는 원수가 저장된다. 건조탱크(100)는 케이싱(10)내부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저장된다. 건조탱크(100)는 필터배관(33)에서 배출된 정수중인 물이 저장된다. 건조탱크(100)는 냉수조(93)의 표면에 형성된 결로 또는 상온수조(90) 또는 온수조(91)에서 누수된 정수 등이 저장된다. 케이싱(10) 내부에서 배출 또는 응축된 물은 프레임에 모여 건조탱크(100)에 저수된다. 프레임은 후술할 미들프레임(110)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베이스(120)도 포함한다.
건조탱크(100)는 수용된 물이 증발하고 압축기(21)에서 발생된 열 에너지가 입사하는 통로인 개구부(100a)가 형성될 수 있다. 히트펌프(50)는 기상냉매에 기계적 에너지를 가하여 기상냉매를 압축하고 고온고압의 기상냉매를 토출하는 압축기(21)를 포함한다. 베이스(120)와 미들프레임(110) 사이에는 압축기(21)가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베이스(120)와 미들프레임(110) 사이에는 응축기(23)가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건조탱크(100)는 베이스(120)에 배치된다. 건조탱크(100)는 압축기(21)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저수배출포트(151)에서 배출된 물을 건조탱크(100)로 유도하는 배수관(160)을 포함한다. 건조탱크(100)는 물을 수용한다. 배수관(160)은 저수배출포트(151)와 건조탱크(100)를 연결한다. 배수관(160)은 배수포트(139)와 건조탱크(100)를 연결하는 배관일 수 있다. 배수관(160)은 배수포트(139)와 건조탱크(100)를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배수관(160)은 후술할 연결유로(14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연결유로(140)를 유동하는 물은 배수관(160)을 통해 건조탱크(100)로 유동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바닥면을 형성하고 건조탱크(100)가 배치된 베이스(120); 및 건조탱크(1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저수조 안착부(150)가 형성된 미들프레임(110)을 포함한다. 미들프레임(110)과 베이스(120) 사이에는 프론트 프레임이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은 미들프레임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한다. 미들프레임(110)은 필터(80)와 저수조(90, 91, 93)를 지지한다. 저수조(90, 91, 93)는 냉수조(93) 및/또는 온수조(91) 및/또는 상온수조(90)를 포함한다. 미들프레임(110)에는 복수의 밸브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히트펌프(50)을 포함한다. 히트펌프(50)는 냉매를 압축하고 압축열을 방출하며 베이스(120)와 미들프레임(110) 사이에 배치된 압축기(21)를 포함한다. 압축기(21)는 케이싱(10) 내부에 배치된다.
건조탱크(100)는 압축기(21)와 베이스(120) 사이에 배치된다. 압축기(21)의 하측으로 방출된 열 에너지는 건조탱크(100)에 전달된다. 건조탱크(100)는 압축기(21)를 바라보는 면이 개구된다. 개구부(100a)는 압축기(21)를 바라보는 방향에 형성된다. 히트펌프(50)는 냉매를 응축하고 액화열을 방출하는 응축기(23)를 포함하고, 건조탱크(100)는 응축기(23)로부터 방출된 액화열을 흡수하는 측벽부(101)를 포함한다.
측벽부(101)는 응축기(23)의 측방향에 배치되고, 개구부(100a)는 압축기(2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응축기(23)는 열을 방출한다. 응축기(23)는 미들프레임(110)과 베이스(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응축기(23)는 정수기의 후면에 배치된다. 건조탱크(10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101)는 응축기(23)와 마주한다. 응축기(23)에서 발생된 열은 측벽부(101)로 향한다. 측벽부(101)는 액화열을 흡수한다. 건조탱크(100)에 수용된 물은 측벽부(101)로부터 열 에너지를 전달받는다.
필터삽입부(130)는 미들프레임(110)에 형성되고 미들프레임(110)은 저수조 안착부(150)와 필터삽입부(13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유로(140)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로(140)는 배관 또는 홀 또는 수로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배수관(160)은 연결유로(140)와 연결될 수 있다. 저수조 안착부(150)는 필터삽입부(130)보다 높이가 높고 연결유로(140)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저조수 안착부와 필터삽입부(130)의 높이 차이로 인해 물은 하측으로 유동한다. 연결유로(140)는 저수배출포트(151)와 필터입수포트(137)를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저수조(90, 91, 93)는 냉각수조 및/또는 상온수조(90)를 포함한다. 저수조(90, 91, 93)의 온도가 습공기의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면 저수조(90, 91, 93)에 물이 발생한다. 저수조(90, 91, 93)에 발생된 물은 저수조 안착부(150)에 모인다. 저수조 안착부(150)에 모인 물은 저수배출포트(15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물은 연결유로(140)를 통해 필터입수포트(137)로 유동한다. 물은 필터입수포트(137)를 통해 필터삽입부(130)로 유동한다.
필터(80)는 복수로 구성되고, 각각 수명이 정해진바 필터(80)는 교체된다. 필터(80)교체도중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필터(80)의 온도가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면 필터(80)에는 물이 형성된다. 누수 및 물은 필터삽입부(130)에 고인다. 필터삽입부(130)에 고인물은 배수로(135)를 따라 유동하며 배수포트(139)로 배출된다. 배수포트(139)는 배수관(160)과 연결된다. 배수관(160)은 건조탱크(100)와 연결된다. 건조탱크(100)는 압축기(21)로부터 압축열을 전달받는다. 건조탱크(100)는 응축기(23)로부터 액화열을 전달받는다. 건조탱크(100)에 수용된 물은 열 에너지를 전달받는다. 건조탱크(100)에 수용된 물은 표면에서 기화가 발생한다. 압축열 및 액화열은 물에 증발열을 공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3)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고 물을 정화하는 필터;
    상기 필터로부터 배출된 정수가 유동하는 저수조; 및
    상기 저수조를 지지하고,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배출된 물을 모아 배출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저수조가 안착되는 저수조 안착부; 및
    상기 저수조 안착부에 수집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저수배출포트가 형성된 정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필터를 수용하는 필터삽입부; 및
    상기 필터 삽입부에 수집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포트가 형성된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저수조가 안착되는 저수조 안착부;
    상기 저수조 안착부에 수집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저수배출포트; 및
    상기 저수배출포트와 상기 필터삽입부를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는 정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 안착부는 상기 필터삽입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정수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삽입부는,
    상기 필터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필터지지부; 및
    상기 필터의 바닥면을 지지하고 상기 배수포트와 연통하는 필터받침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삽입부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받침부는 상기 필터삽입부에 수집된 물을 상기 배수포트로 유인하는 배수로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로는 상기 복수의 필터삽입부를 물이 유동가능하게 서로 연결하는 정수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수용하고, 수용된 물이 증발하여 배출되는 통로인 개구부가 형성된 건조탱크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탱크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배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탱크는 상기 프레임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 정수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탱크는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된 열 에너지를 흡수하는 정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압축기가 배치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압축기의 상측에 배치되는 미들프레임인 정수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탱크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압축기의 하측에 배치된 정수기.
  13. 제 8 항에 있어서,
    냉매를 응축하고 액화열을 방출하는 응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탱크는,
    상기 응축기로부터 방출된 액화열을 흡수하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20130154069A 2013-12-11 2013-12-11 정수기 KR20150068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069A KR20150068173A (ko) 2013-12-11 2013-12-11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069A KR20150068173A (ko) 2013-12-11 2013-12-11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173A true KR20150068173A (ko) 2015-06-19

Family

ID=53515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069A KR20150068173A (ko) 2013-12-11 2013-12-11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81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8533B2 (en) 2015-11-30 2019-09-10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115657A (ko) * 2018-04-03 2019-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방법
KR20190139192A (ko) * 2019-12-10 2019-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8533B2 (en) 2015-11-30 2019-09-10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962282B2 (en) 2015-11-30 2021-03-30 Lg Electronics Inc. Liquid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115657A (ko) * 2018-04-03 2019-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방법
KR20190139192A (ko) * 2019-12-10 2019-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79381B (zh) 改進的空調單元
US5827428A (en) Filtered water drain for a spillage collector on a purified water dispenser
JP2795640B2 (ja) 浄水器の選択的排水切換装置
KR20150068173A (ko) 정수기
KR100557239B1 (ko) 이중 식수생성장치
WO2005039735A1 (en) Water purifier which supplies normal, cool (and hot) water in sink
KR101285438B1 (ko) 정수기
KR100937954B1 (ko) 단체급수용 대용량음수대
KR101611293B1 (ko) 정수기
JPH101989A (ja) 浄水器の取水装置用カップリング装置
EA012394B1 (ru) Узел регенерации для жидкости, содержащий фильтровальный узел и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узел
KR101213914B1 (ko) 정수기
KR20180065733A (ko) 정수기
KR0139294Y1 (ko) 냉온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
US11654383B2 (en) Filter assembly for ice making appliance
KR0161087B1 (ko) 냉온정수기의 에어트립 방지장치
CN219183428U (zh) 基于空气制水的大型咖啡机
CN220967098U (zh) 一种饮水机
KR200337907Y1 (ko) 이중 식수생성장치
KR200327659Y1 (ko) 정수기의 필터 지지장치
KR980008280A (ko) 냉온정수기의 배수장치
KR20120058634A (ko) 하이브리드식 콤팩트 에어 정수기
KR101174129B1 (ko) 히터 보호 기능을 갖는 가열식 음수기
KR0129637Y1 (ko) 냉온정수기의 물침투방지장치
KR20100056223A (ko) 급속냉각형 음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