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914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914B1
KR101213914B1 KR1020100064629A KR20100064629A KR101213914B1 KR 101213914 B1 KR101213914 B1 KR 101213914B1 KR 1020100064629 A KR1020100064629 A KR 1020100064629A KR 20100064629 A KR20100064629 A KR 20100064629A KR 101213914 B1 KR101213914 B1 KR 101213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ce
tray
drain pipe
drain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012A (ko
Inventor
최고봉
최호선
김세주
하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4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91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4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정수탱크; 상기 정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취출되는 물 취출부; 상기 정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정수탱크로 공급되는 물이 최대 수위를 넘는 경우,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오버플로우 배수장치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정수기 { Water purifier }
본 발명은 역류 방지 및 물넘침 방지를 위한 배수구조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필터들이나 멤브레인(Membrane)들에 의하여 원수를 정수하여 저장탱크에 저장하고,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취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는 통상적으로 냉수와 온수를 선택적으로 취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정수기는 정수성능 및 특성에 따라 활성탄 흡착방식, 여과방식, UF(Ultra filter), NF(Nano filter), RO(Reverse Osmosis:역삼투) 등의 멤브레인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종래의 정수기에 의하면, 물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정수탱크 내에 정수가 가득 채워진 경우에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물넘침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정수기에 구비된 배수장치가 하수구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물의 역류 및 하수구의 냄새가 역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 넘침이 방지되고, 오/폐수 및 하수배관의 냄새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정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정수탱크; 상기 정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취출되는 물 취출부; 상기 정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정수탱크로 공급되는 물이 최대 수위를 넘는 경우,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오버플로우 배수장치; 취출되기 위한 물의 온도가 기준 온도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선택부가 선택된 경우, 물의 온도가 기준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바이패스 배수장치; 상기 오버플로우 배수장치 및 상기 바이패스 배수장치가 연결되는 제1배수관; 상기 물 취출부에서 배출된 물을 모으는 물받이; 상기 물받이의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물받이 배수장치; 얼음이 생성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빙트레이; 상기 제빙트레이에서 낙하되는 물을 받는 제상수트레이; 상기 제상수트레이에 모인 물을 배수하며, 상기 제1배수관에 연결되는 제상수 배수장치; 및 상기 물받이 배수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제1배수관과 독립적인 유로인 제2배수관을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수된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정수탱크; 상기 정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취출되는 물 취출부; 상기 정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정수탱크로 공급되는 물이 최대 수위를 넘는 경우,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오버플로우 배수장치가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를 구비한 정수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를 구비한 정수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배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탱크의 물 넘침 방지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박스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 들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를 구비한 정수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를 구비한 정수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채용된 정수기(1)는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프런트 상측 패널(12)과, 프런트 하측 패널(13)과, 물 받이(14)와, 탑 커버(11)와, 사이드 커버(16)를 포함한다.
상기 프런트 상측 패널(12)에는 온수와 냉수를 각각 취수할 수 있는 물 취출부(22)와, 물 취출버튼(200: 선택부라고도 할 수 있음)과, 얼음취출부(22')와 얼음취출버튼(20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프런트 상측 패널(12)에는 사용자가 상기 정수기(1)의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버튼 및 표시창이 구비된 제어부(15)가 구비된다.
상기 물 받이(14)는 상기 물 취출버튼(200) 및 얼음취출버튼(200)의 하방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공급되는 원수를 여과시키기 위한 다수의 필터(31)와, 상기 필터(31)를 통해 정수된 물이 수용되는 정수탱크(50)와, 상기 정수탱크로부터 정수 된 물을 공급받아 각각 냉각 또는 가열된 물을 저장하는 냉수탱크(미도시) 및 온수탱크(미도시) 등이 구비된다.
상기 프런트 상측 패널에는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에 상기 물 취출부(22), 물 취출버튼(200), 얼음취출부(22')와 얼음취출버튼(200')이 구비된다. 이 때, 상기 물 취출부(22) 및 물 취출버튼(200)은 취출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물 취출버튼(200)의 선택에 의해서 온수 또는 냉수가 취출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상기 본체(10)는,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기 위한 다수의 플레이트(36)과,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36)가 연결되는 다수의 메인 프레임(35)이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메인 프레임(35)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본체(10)에는 냉수 취출을 위해 냉매의 순환 싸이클을 형성하는 응축기(33), 압축기(32), 증발기(후술함), 팽창기(미도시)와, 공급되는 원수로부터 이물질 등을 필터링하는 필터(31)와, 얼음을 생성 및 보관하기 위한 아이스박스(40)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응축기(33)는 상기 본체(10)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압축기(32)에서 토출된 냉매를 응축시킨다.
그리고, 본체(10) 하측부에는 상기 필터(31)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31)를 거친 정수된 물은 배관을 통해서 상기 본체(10)의 상측부에 구비된 정수탱크(50)에 집수된다.
상기 정수탱크(50)에 집수된 정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가열수단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온수 및 저온으로 냉각된 냉수로 취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배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탱크의 물 넘침 방지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박스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 들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장치(300)는 오버플로우 배수장치(310), 바이패스 배수장치(320), 물받이 배수장치(330) 및 제상수 배수장치(36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정수탱크(50)는 정수된 물을 보관하는 저수조(52)와, 상기 저수조(52)의 상측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저수조 커버(5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정수탱크(50)에는 만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에 의해서 상기 정수탱크(50)에 물이 일정 수위까지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수탱크(50)로 물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유로 상에 센서가 구비되어 물의 유량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정수탱크(5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저수조(52)의 측면 상측부에는 상기 오버 플로우 배수장치(310)가 구비된다. 상기 오버 플로우 배수장치(310)는, 상기 저수조(52)의 측면 상측부에 형성되는 홀(311)과, 상기 홀(311)과 연통되는 배관(312)이 포함된다. 상기 홀(311)의 최저점은 상기 저수조(52)의 최대 저수선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의 오작동 또는 손상되어, 상기 저수조(52)에 최대 저수선까지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저수조(52)의 물은 상기 홀 및 배관을 통하여 상기 저수조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대 저수량을 감지하기 위한 기구적 구성(볼 탑(ball top))의 구성없이도 최대 저수선까지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물이 자동으로 외부로 배수되므로, 저수조의 물 넘침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수조 내부에 볼 탑의 구성이 불필요하므로, 볼 탑의 제거에 따른 공간이 확보되어 동일한 용량의 저수 탱크에 보다 많은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취출수단은 상기 바이패스 배수장치(320)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패스 배수장치(320)는, 물의 온도가 정해진 온도 이하 또는 그 이상인 상태에서, 취출버튼이 선택된 경우, 물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는 동안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즉, 온도센서(미도시)에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냉수인 경우)하거나 또는 기준 온도 미만(온수인 경우)인 경우 못미치는 경우, 일정 시간 동안 정수된 물을 배수관을 통해서 외부로 배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아이스박스에 구비된 제상수 배수장치(360)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아이스박스(40)에는 물을 공급하는 매니폴드(110)와, 상기 매니폴드(110)에서 제공된 물을 일정한 형상과 크기를 가진 얼음으로 제빙하는 제빙트레이(120)와, 상기 제빙트레이(120)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빙트레이(120)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증발기(150)와, 상기 제빙트레이(120)에 제빙된 얼음을 탈빙시키는 탈빙수단(130)과, 상기 탈빙수단(130)의 탈빙작업을 안내하는 탈빙가이드(140)와, 상기 탈빙수단(130)의 작동을 제어하는 탈빙수단 제어장치(101)와, 상기 제빙트레이(120)의 하방으로 낙하되는 제상수를 받는 제상수트레이(16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탈빙수단(130)은 회전축(134)과, 상기 회전축(134)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탈빙블레이드(132)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탈빙블레이드(132)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탈빙수단(130)은 상기 회전축(134)의 일 측방에 위치된 상기 탈빙수단 제어장치(101)의 구동에 의해서 일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빙트레이(120)에 제빙된 얼음을 탈빙시킨다.
한편, 상기 제빙트레이(120)에는 다수의 얼음이 생성하기 위한 제빙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구획가이드(121)를 포함한다.
상기 제빙트레이(120)의 일측에는 냉각유지부(12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냉각유지부(122)는 상기 제빙트레이(120)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이와 달리 상기 냉각유지부(122)는 상기 제빙트레이(120)와 별도의 물품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빙트레이(120)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지부(122)는, 사각판 형상의 연장부(123)와, 상기 연장부(123)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냉각핀(12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빙트레이(120)와 제상수트레이(160) 사이에는 상기 증발기(15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증발기(150)는 상기 제빙트레이(120)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증발기(150)는 상기 제빙트레이(120)의 저면과 골고루 접촉하여 열전달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빙트레이(120)의 저면의 테두리를 따라서 배치된다.
상기 증발기(150)의 저온의 냉매와 상기 제빙트레이가 열교환을 함으로써, 상기 제빙트레이에 수용된 물이 얼음으로 변화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트레이(120)의 상측에는 상기 탈빙수단(130)의 탈빙작업을 가이드하는 탈빙가이드(140)부가 위치된다.
상기 탈빙가이드(140)는, 상기 탈빙수단(130)의 회동시에 상기 탈빙블레이드(132)의 회동을 안내하고, 탈빙되는 얼음이 상기 아이스뱅크(104)로 유입되는 것을 가이드 하는 안내블레이드(14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134)의 일측단은 상기 탈빙가이드(140)부와 축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탈빙 제어장치와 축결합된다.
상기 제상수트레이(160)는, 상기 제빙트레이(120)가 냉각을 반복하는 경우에, 상기 제빙트레이(120) 주위에 발생하여 부착된 서리가 녹아서 발생하는 제상수를 수용한다. 따라서, 상기 제상수가 상기 본체의 내부 부품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상수트레이(160)의 제상수는 상기 제상수 배수장치(360)에 의해서 배수된다.
한편, 상기 정수기 일측에 구비된 물받이(14)에 저장된 물 등은 상기 물받이 배수장치(330)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상수 배수장치(360), 오버 플로우 배수장치(310) 및 바이패스 배수장치(320)는 단일의 배수관(제1배수관)에 연결된다.
이 때, 상기 물받이 배수장치(330)는 상기 제1배수관과는 별도의 배수관(제2배수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 이유는 상기 물받이(14)에는 물 외에 이물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이물에 의해서 제2배수관이 막히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에는 상기 정수기의 공기 또는 하수배관에서 역류하는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물 등이 원활히 유동되고, 냄새가 배출되도록 하는 에어 벤트(370)가 구비된다. 그리고, 물 등은 상기 에어 벤트(370)를 통과할 수 없고 공기 또는 가스만이 상기 에어 벤트(370)를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관에는 물 등이 일 방향으로만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체크밸브(340)(Check valve)가 구비된다. 상기 체크밸브(340)의 상류에 상기 제상수 배수장치(360) 및 상기 오버 플로우 배수장치(310)가 연결되고, 상기 체크밸브(340)의 하류에 바이패스 배수장치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의 상기 체크밸브(340)의 하류 측에는 하수구의 물 또는 오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U"자 형상의 역류방지부(3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에서 상기 배수장치(310, 320, 360)이 연결되는 위치는 상기 하수구(하수배관) 보다 높게 위치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정수기를 작동 및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오폐수의 배수 및 처리가 손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도모되고, 상기 정수기의 사용환경 또한 쾌적해지고, 정수기의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정수기 10..... 본체
310.... 오버 플로우 배수장치 320.... 바이패스 배수장치 330.... 물받이 배수장치 340.... 체크밸브
350.... 역류방지부 360.... 제상수 배수장치
370.... 에어벤트

Claims (7)

  1.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정수탱크;
    상기 정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취출되는 물 취출부;
    상기 정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정수탱크로 공급되는 물이 최대 수위를 넘는 경우,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오버플로우 배수장치;
    취출되기 위한 물의 온도가 기준 온도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선택부가 선택된 경우, 물의 온도가 기준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바이패스 배수장치;
    상기 오버플로우 배수장치 및 상기 바이패스 배수장치가 연결되는 제1배수관;
    상기 물 취출부에서 배출된 물을 모으는 물받이;
    상기 물받이의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물받이 배수장치;
    얼음이 생성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빙트레이;
    상기 제빙트레이에서 낙하되는 물을 받는 제상수트레이;
    상기 제상수트레이에 모인 물을 배수하며, 상기 제1배수관에 연결되는 제상수 배수장치; 및
    상기 물받이 배수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제1배수관과 독립적인 유로인 제2배수관을 포함하는 정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관에는 공기 또는 가스가 배출되기 위한 에어 벤트가 형성되는 정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관에는 외부의 물 또는 오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 방지부가 구비되는 정수기.
KR1020100064629A 2010-07-06 2010-07-06 정수기 KR101213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629A KR101213914B1 (ko) 2010-07-06 2010-07-06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629A KR101213914B1 (ko) 2010-07-06 2010-07-06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012A KR20120004012A (ko) 2012-01-12
KR101213914B1 true KR101213914B1 (ko) 2012-12-18

Family

ID=45610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629A KR101213914B1 (ko) 2010-07-06 2010-07-06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9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4575A (ko) * 2013-06-11 2014-12-19 쿠쿠전자주식회사 제빙기 및 제빙방법, 제빙기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2278A (ko) 2012-02-10 2013-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293B1 (ko) * 2006-09-19 2008-01-15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알칼리 얼음 제조 기능을 구비한 냉온 얼음 정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293B1 (ko) * 2006-09-19 2008-01-15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알칼리 얼음 제조 기능을 구비한 냉온 얼음 정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4575A (ko) * 2013-06-11 2014-12-19 쿠쿠전자주식회사 제빙기 및 제빙방법, 제빙기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KR102148457B1 (ko) * 2013-06-11 2020-08-26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제빙기 및 제빙방법, 제빙기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012A (ko)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49760B2 (en) Multipurpose adiabatic potable water 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s
KR100540745B1 (ko) 식수 제조장치
US20100083676A1 (en) Water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with ozone recharge
US20140061958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centrating Solutions Using Evaporation
CN206989352U (zh) 改进的空调单元
JPH1094708A (ja) 配水器の廃水受け装置
KR100407867B1 (ko) 제빙기를 가진 냉온정수기
KR100557239B1 (ko) 이중 식수생성장치
KR101275188B1 (ko)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KR101213914B1 (ko) 정수기
KR101602236B1 (ko)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KR100993891B1 (ko) 정수기
KR101711337B1 (ko) 열대기후용 고효율 에어워터 시스템
KR101188483B1 (ko) 정수기
KR20090131938A (ko)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KR100937954B1 (ko) 단체급수용 대용량음수대
KR100699798B1 (ko) 수도직결식 음수대
KR20150068173A (ko) 정수기
KR101146364B1 (ko) 제빙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CN107850367B (zh) 热带气候用空气水系统
KR101262109B1 (ko) 정수기
KR101231043B1 (ko)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JP4215584B2 (ja) 油水分離装置
KR200337907Y1 (ko) 이중 식수생성장치
KR0161087B1 (ko) 냉온정수기의 에어트립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