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236B1 -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236B1
KR101602236B1 KR1020130095545A KR20130095545A KR101602236B1 KR 101602236 B1 KR101602236 B1 KR 101602236B1 KR 1020130095545 A KR1020130095545 A KR 1020130095545A KR 20130095545 A KR20130095545 A KR 20130095545A KR 101602236 B1 KR101602236 B1 KR 101602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ice
refrigerant
path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5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9117A (ko
Inventor
류춘재
정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5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236B1/ko
Publication of KR20150019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수를 공급받아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의해 생성된 정수가 채워지는 제빙 트레이; 압축기, 응축기 및 상기 제빙 트레이에 채워진 정수에 침지되는 복수 개의 핑거를 갖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수단; 냉매를 제1 방향으로 제1 유입로를 통해 상기 증발기를 통과시킨 후 제1 토출로를 통해 상기 압축기로 공급하는 제1 유로; 냉매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제2 유입로를 통해 상기 증발기를 통과시킨 후 제2 토출로를 통해 상기 압축기로 공급하는 제2 유로;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유로로 냉매를 교호적으로 공급하는 유로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수단은, 상기 제1 유입로에 배치되는 제1 모세관; 및 상기 제2 유입로에 배치되는 제2 모세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WATER PURIFIER WITH A ICE MAKING MEANS}
본 발명은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수 외에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물리적·화학적 방법으로 물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중금속 등 유해요소를 여과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서, 일반적인 정수기는 크게 오염물질이 포함된 원수(原水)에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지난 정수(淨水)를 저장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정수를 취출시키는 취출부를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정수기에 전원이 공급되면, 원수가 상기 필터부로 공급되어 정화되어 상기 수조부에 저장되게 되고, 저장된 정수는 사용자 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취출부를 통해 취출되게 된다.
아울러, 단순히 원수를 정화하는 기능 외에도 정화된 정수를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냉수 및 온수를 제공하는 냉온수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제빙수단을 포함하여 냉온수 외에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정수기도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냉수 기능 및 제빙 기능을 위해서는 수조부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수단을 필요로 하게 된다.
정수기에 사용되는 냉각 수단으로는 열전소자 또는 일반적인 냉장고에 사용되는 냉매압축 사이클장치를 들 수 있으며, 소비전력 및 냉각용량 등의 문제로 인해서 냉매압축 사이클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정수기(10)는 필터(미도시)를 통해 이물질이 여과된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조(12)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조(12)와 별도로 얼음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제빙 트레이(14)와 상기 제빙 트레이(14)에 의해 냉각된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조(1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 트레이(14)와 인접하여 증발기(20)가 구비되고, 상기 증발기(20)와 함께 냉매압축 사이클장치를 형성하는 압축기(22),응축기(24) 및 캐필러리 튜브(26)가 각각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빙 트레이(14)의 하측에 제빙된 얼음이 보관되는 아이스 뱅크(30)가 구비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30)는 하나의 단열 공간 내에 상기 제빙 트레이(14)와 함께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는 제빙 트레이(14)에서 생성된 얼음은 상기 아이스 뱅크(30)에 보관하고, 제빙 트레이(14)에 잔류하는 물은 상기 냉수조(16)로 이동시켜서 사용자에게 냉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증발기(20)는 상기 제빙 트레이(14)에 채워진 냉수와 직접 접촉하는 핑거(21)를 갖는, 소위 침지형 증발기이다. 상기 침지형 증발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비가 낮은 장점이 있어 종래부터 정수기의 제빙수단으로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제빙효율 향상, 소비전력 저감 및 제빙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목적에서 인버터를 이용하여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는 형태의 제빙수단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버터를 이용하여 압축기를 제어하는 경우 증발기의 입구 온도 및 냉매유량이 변화하여 각각 핑거에 생성되는 얼음의 형태가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있다. 즉, 냉매의 유입측과 가까운 핑거에는 상대적으로 큰 얼음이 생기고, 토출측과 가까운 핑거에는 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얼음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침지식 증발기를 이용하더라도 각각의 핑거에 균일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는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원수를 공급받아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의해 생성된 정수가 채워지는 제빙 트레이; 압축기, 응축기 및 상기 제빙 트레이에 채워진 정수에 침지되는 복수 개의 핑거를 갖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수단; 냉매를 제1 방향으로 제1 유입로를 통해 상기 증발기를 통과시킨 후 제1 토출로를 통해 상기 압축기로 공급하는 제1 유로; 냉매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제2 유입로를 통해 상기 증발기를 통과시킨 후 제2 토출로를 통해 상기 압축기로 공급하는 제2 유로;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유로로 냉매를 교호적으로 공급하는 유로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수단은, 상기 제1 유입로에 배치되는 제1 모세관; 및 상기 제2 유입로에 배치되는 제2 모세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서는 침지식의 증발기로 냉매를 공급함에 있어서, 하나의 방향이 아니라 정역방향으로 교호적으로 냉매를 공급함으로써, 증발기의 핑거 전체에 걸쳐서 얼음이 균일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유로 제어수단은 소정 주기로 제1 또는 제2 유입로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가령, 약 1분을 주기로 하여 냉매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증발기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일정 주기가 아니라 불규칙적으로 냉매의 흐름방향을 변경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로 제어수단은, 상기 증발기의 전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유입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유입로에 연결되는 제1 삼방 밸브; 및 상기 증발기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토출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토출로에 연결되는 제2 삼방 밸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만일, 상기 제1 및 제2 삼방 밸브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유로를 통해 증발기로 유입된 냉매가 증발기를 따라 흐르는 것이 아니라 제2 유로측으로 역류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상기 증발기의 전단 및 후단 중 상기 제1 삼방 밸브 또는 제2 삼방 밸브가 설치되지 않은 단부에서 냉매가 토출되는 유로의 직경을 증발기의 내경에 비해서 작게 형성할 수 있다. 토출로의 저항이 증발기 내부의 저항보다 커지기 때문에 유입된 냉매가 토출로측으로 역류하지 않고 증발기를 따라서 흐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로 제어 수단은, 상기 증발기의 전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유입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유입로에 연결되는 제1 삼방 밸브; 및 상기 증발기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토출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토출로에 연결되는 제2 삼방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로 제어수단은, 상기 증발기의 전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유입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유입로에 각각 연결되는 온오프 밸브; 및 상기 증발기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토출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토출로 각각에 연결되는 온오프 밸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의 전단 및 후단 중 상기 각 온오프 밸브가 설치되지 않은 일 단부에서 냉매가 토출되는 유로의 직경이 상기 증발기의 내경에 비해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토출로의 저항이 증발기 내부의 저항보다 커지기 때문에 유입된 냉매가 토출로측으로 역류하지 않고 증발기를 따라서 흐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로 제어수단은, 상기 증발기의 전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유입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유입로에 각각 연결되는 온오프 밸브; 및 상기 증발기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토출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토출로 각각에 연결되는 온오프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의하면, 침지식의 증발기로 냉매를 공급함에 있어서, 하나의 방향이 아니라 정역방향으로 교호적으로 냉매를 공급함으로써, 증발기의 핑거 전체에 걸쳐서 균일한 얼음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의 전단 및 후단 중 상기 삼방 밸브 또는 온오프 밸브가 설치되지 않은 단부에서 냉매가 토출되는 유로의 직경을 증발기의 내경에 비해서 작게 형성하여, 별도의 밸브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유입된 냉매가 토출측으로 역류하지 않고 증발기를 따라서 흐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유로에 모세관을 각각 설치하고, 팽창기의 전단에 밸브를 설치하여 냉매의 낮은 온도로 인해 밸브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의 일 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구조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예 중 증발기의 일측 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예 중 유로제어 수단의 제1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예 중 유로제어 수단의 제2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7은 상기 실시예 중 유로제어 수단의 제3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8은 상기 실시예 중 유로제어 수단의 제4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9는 상기 실시예 중 유로제어 수단의 제5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구조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100)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를 갖는 캐비넷(110)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넷(110)의 전면에는 취출구(116)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취출구(116)의 내부에는 각각 냉수 레버(112)와 온수 레버(114)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반드시 냉수 및 온수 레버가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각각의 레버가 갖는 기능은 정수기에 구비되는 기능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두 개의 레버 중 하나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얼음 취출 레버로서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취출구(116)의 상측에는 조작수단(120)이 구비된다. 상기 조작수단(120)은 정수기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거나 조작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정수기의 상태 및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22)와 조작 버튼(124)을 구비한다.
상기 캐비닛(110)은 상수도와 같은 원수를 공급받아 정수하기 위한 필터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에 의해 생성된 정수는 상기 캐비넷(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정수조(130)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정수조(13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냉각한 냉수를 저장하기 위한 냉수조(132)가 별도로 구비된다. 상기 냉수조(132)의 외부는 단열재(132a)로 둘러싸여서 냉수조(132)를 주위로부터 열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만일, 상기 실시예가 온수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단열재로 둘러싸이는 온수조와 온수조 내부를 가열하는 히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수조와 상기 정수조의 사이에 제빙실(140)이 구비된다. 상기 제빙실(140)은 별도의 케이스를 구비할 수도 있고, 단열재에 의해서 상기 캐비넷(110) 내부에 구획되는 단열공간일 수도 있다. 상기 제빙실(140)의 내부에는 제빙에 사용될 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제빙 트레이(142)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빙 트레이(142)는 상기 제빙실(140) 또는 상기 캐비넷(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143) 및 회전축(144)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14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빙 트레이(142)가 회전되면 제빙 트레이(142)의 내부에 수용된 물과 얼음 등의 내용물은 제빙 트레이(142)의 하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떨어지는, 얼음과 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아이스 뱅크(150)가 구비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150)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를 통해서, 상기 제빙 트레이(142)로부터 떨어진 물과 얼음이 아이스 뱅크(150)의 내부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아이스 뱅크(150)의 내부에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얼음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오거(15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오거(152)의 출구측에 얼음 배출구(154)가 위치한다. 상기 얼음 배출구(154)는 상술한 취출구(116)의 내부와 연통되어, 오거가 작동하여 배출되는 얼음이 취출구(116)에서 사용자에게 전달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아이스 뱅크(150)의 바닥면은 물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복수 개의 투수공이 형성되어 공급된 물이 아이스 뱅크(150)의 바닥면을 통과하여 하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유출된 물은 아이스 뱅크(150)의 저면에 배치되어 있는 잔수 저장조(160)의 내부에 수용되게 된다. 상기 잔수 저장조(160)는 잔수 공급관(162)을 통해서 상기 제빙 트레이(142)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잔수 공급관(162)은 상기 정수조와 제빙 트레이 사이에서 연장되는 급수관(146)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잔수 공급관(162)에는 펌프(164)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제빙 트레이(142)에는 잔수 저장조(160)에 저장된 잔수 또는 정수조에 저장된 정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수조(130)로부터 제빙 트레이(142)로 공급되는 정수는 중력에 의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정수조는 제빙 트레이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정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정수 밸브(134)가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통상적으로는 잔수가 정수에 비해서 저온이므로 제빙에 소요되는 에너지 및 시간 단축을 위해서는 잔수가 제빙 트레이에 공급되어 제빙되지만, 잔수의 수량이 부족한 경우에 상기 정수조로부터 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정수조가 제빙 트레이로 직접 물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잔수 저장조로 정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잔수 저장조(160)의 물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면서 이물질이 잔수에 축적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잔수가 허용 기준치 이상으로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잔수가 오염되면 오염된 잔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드레인관(166)이 상기 잔수 저장조(160)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드레인 관에도 배수를 위한 펌프가 구비될 수도 있고, 외부의 펌프를 드레인 관에 연결하여 배수를 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빙 트레이에 공급된 물을 얼리거나 상기 냉수조 내의 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장치로서 냉매압축 사이클장치가 구비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냉매압축 사이클장치는 압축기(170), 응축기(172), 드라이어(173), 제1 및 제2 모세관(174, 175)과 증발기(176) 및 어큐뮬레이터(178)를 포함한다.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작동원리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증발기(176)는 상기 제빙실(140))에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발기(176)는 일단부가 상기 제빙 트레이(140)에 공급된 물에 잠기는 복수 개의 핑거(176a)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176)의 내부에 찬 냉매가 흐르게 되면, 그 주위에 접촉하고 있던 물이 얼면서 얼음이 점차적으로 성장하게 된다. 이렇게 증발기(176) 주변에서 성장한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해서 상기 압축기(170)를 통과한 고온의 냉매가 바이패스되어 상기 증발기(176)로 직접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바이패스관(171)이 구비된다.
즉, 고온의 냉매를 증발기로 공급하여 증발기에 고착된 얼음을 녹여서 이빙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온의 냉매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바이패스 밸브(135)가 상기 바이패스관(171)에 구비된다. 이외에, 이빙 수단으로서 별도의 전기 히터 등을 구비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아이스 뱅크의 내부에 충분한 얼음이 공급되어 제빙의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매와 상기 제빙실 내부의 공기 사이에서 열전달이 이루어져 상기 제빙실(140) 내부를 소정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얼음이 녹지 않을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냉수조(132)에 저장된 냉수는 상기 취출구(116)의 내부에 구비되는 냉수 콕크(133)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1 삼방 밸브(179)가 상기 응축기(172)의 출구측에 설치된다. 상기 삼방 밸브(179)는 상기 제1 또는 제2 모세관(174, 175) 중 어느 한쪽으로 냉매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며, 그에 따라 상기 증발기(176)에서의 냉매의 흐름 방향이 결정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제1 모세관(174)의 후단부에서 상기 증발기를 연결하는 라인을 제1 유입로(180), 상기 제2 모세관(175)의 후단부에서 상기 증발기를 연결하는 라인을 제2 유입로(181)라 칭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76)의 각각의 단부에는 각각 제1 토출로(182) 및 제2 토출로(183)가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토출로(182, 183)의 합류지점에 제2 삼방 밸브(184)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삼방 밸브(179)에 의해 제1 유입로(180)로 냉매가 공급되도록 제어되면, 상기 제2 삼방 밸브(184)는 상기 제1 토출로(182)를 개방하고 제2 토출로(183)는 폐쇄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1 삼방 밸브(179)가 제1 유입로를 폐쇄하고 제2 유입로를 개방하면, 상기 제2 삼방 밸브는 상기 제1 토출로를 폐쇄하고 제2 토출로를 개방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행하면, 상기 증발기에서의 냉매의 흐름이 주기적으로 변화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상기 증발기에 형성된 핑거에서 생성되는 얼음의 크기를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삼방 밸브(179)가 상기 두 개의 모세관의 전단에 위치하므로, 냉매의 낮은 온도로 인해서 작동에 영향을 주는 일이 적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삼방 밸브의 전환작동이 있는 후 소정 시간의 시차를 두고 제2 삼방 밸브의 전황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1 및 제2 삼방 밸브의 전환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제1 토출로 또는 제2 토출로 내부에 잔류하는 냉매가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냉매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게 된다.
도 4는 상기 증발기의 일측 단부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176)이 내부의 단면적은 상기 제2 토출로(183) 내부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유입로(180)를 통해 유입된 냉매는 제2 삼방 밸브가 없더라도 유로 저항이 상대적으로 작은 증발기 내부를 따라서 흐르게 된다. 이로 인해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제2 토출로(183)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증발기의 타측 단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상기 두 개의 삼방 밸브를 포함한 유로제어 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5는 이러한 유로제어 수단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변형예(200)는 하나의 모세관(174)의 후단에서 제1 및 제2 유입로(180, 181)가 분지되고, 상기 분지점에 삼방 밸브(210)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토출로(182, 183) 각각에는 온오프 밸브(212, 214)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삼방 밸브(184)를 대체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제1 변형예에 의하면 모세관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유로제어 수단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 변형예(300)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제1 삼방 밸브(179)를 두 개의 온오프 밸브(310, 312)로 대체하고 있다.
도 7은 유로제어 수단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3 변형예(400)에서는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온오프 밸브(212, 214)를 생략하고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토출로(182, 183)는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의 내부 단면적을 토출로에 비해 크게 형성함으로써 역류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비용을 보다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유로제어 수단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4 변형예(500)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제1 삼방 밸브(179)를 생략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제4 변형예에서는 상기 제2 삼방 밸브(184)에 의해서 냉매의 흐름방향이 결정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유입로에는 항상 냉매가 유입되지만, 상기 제2 삼방 밸브(184)에 의해 폐쇄된 유로에서는 냉매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개방된 유로를 통해서만 흐름이 일어나게 된다.
도 9는 유로제어 수단의 제5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5 변형예(600)에서는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삼방 밸브(210)를 생략하고 제1 및 제2 토출로에 각각 온오프 밸브(610, 612)를 추가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제5 변형예에서는 상기 온오프 밸브(610, 612)에 의해서 냉매의 흐름방향이 결정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유입로에는 항상 냉매가 유입되지만, 상기 온오프 밸브(610, 612)에 의해 폐쇄된 유로에서는 냉매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개방된 유로를 통해서만 흐름이 일어나게 된다.

Claims (9)

  1. 원수를 공급받아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의해 생성된 정수가 채워지는 제빙 트레이;
    압축기, 응축기 및 상기 제빙 트레이에 채워진 정수에 침지되는 복수 개의 핑거를 갖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수단;
    냉매를 제1 방향으로 제1 유입로를 통해 상기 증발기를 통과시킨 후 제1 토출로를 통해 상기 압축기로 공급하는 제1 유로;
    냉매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제2 유입로를 통해 상기 증발기를 통과시킨 후 제2 토출로를 통해 상기 압축기로 공급하는 제2 유로;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유로로 냉매를 교호적으로 공급하는 유로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수단은,
    상기 제1 유입로에 배치되는 제1 모세관; 및
    상기 제2 유입로에 배치되는 제2 모세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제어수단은 소정 주기로 상기 제1 또는 제2 유입로로 냉매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제어수단은,
    상기 증발기의 전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유입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유입로에 연결되는 제1 삼방 밸브; 및
    상기 증발기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토출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토출로에 연결되는 제2 삼방 밸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전단 및 후단 중, 상기 제1 삼방 밸브 또는 상기 제2 삼방 밸브가 설치되지 않은 일 단부에서 냉매가 토출되는 유로의 직경이 상기 증발기의 내경에 비해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제어 수단은,
    상기 증발기의 전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유입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유입로에 연결되는 제1 삼방 밸브; 및
    상기 증발기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토출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토출로에 연결되는 제2 삼방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제어수단은,
    상기 증발기의 전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유입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유입로에 각각 연결되는 온오프 밸브; 및
    상기 증발기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토출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토출로 각각에 연결되는 온오프 밸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전단 및 후단 중 상기 각 온오프 밸브가 설치되지 않은 일 단부에서 냉매가 토출되는 유로의 직경이 상기 증발기의 내경에 비해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제어수단은,
    상기 증발기의 전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유입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유입로에 각각 연결되는 온오프 밸브; 및
    상기 증발기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토출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토출로 각각에 연결되는 온오프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KR1020130095545A 2013-08-12 2013-08-12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KR101602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545A KR101602236B1 (ko) 2013-08-12 2013-08-12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545A KR101602236B1 (ko) 2013-08-12 2013-08-12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117A KR20150019117A (ko) 2015-02-25
KR101602236B1 true KR101602236B1 (ko) 2016-03-10

Family

ID=52578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5545A KR101602236B1 (ko) 2013-08-12 2013-08-12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2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788B1 (ko) 2019-12-31 2020-05-06 정호민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
KR102124907B1 (ko) 2019-10-23 2020-06-22 정병욱 제빙 장치의 조립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8242A1 (ko) * 2016-09-08 2018-03-15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
KR101957687B1 (ko) 2016-09-08 2019-03-19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
KR102464193B1 (ko) * 2018-02-27 2022-11-07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얼음 정수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9589A (ja) 2010-01-20 2011-08-04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製氷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1171B2 (en) * 2008-11-17 2014-02-18 Tai-Her Yang Single flow circuit heat exchange device for periodic positive and reverse directional pumping
KR20120105662A (ko) * 2011-03-16 2012-09-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275188B1 (ko) * 2011-08-22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9589A (ja) 2010-01-20 2011-08-04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製氷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907B1 (ko) 2019-10-23 2020-06-22 정병욱 제빙 장치의 조립 방법
KR102106788B1 (ko) 2019-12-31 2020-05-06 정호민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117A (ko)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236B1 (ko)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KR100729962B1 (ko) 하나의 증발기로 제빙과 동시에 냉수를 얻을 수 있는냉온정수시스템 및 장치
KR101275188B1 (ko)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KR102051672B1 (ko) 제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88467B1 (ko) 보조탱크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US20180216862A1 (en) Ice maker for an appliance
KR100407867B1 (ko) 제빙기를 가진 냉온정수기
KR101324167B1 (ko) 복수개의 제빙모드를 가지는 정수기 및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
KR20120105662A (ko)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및 방법
CN102413894A (zh) 净水装置
KR20130046099A (ko) 얼음정수기
KR101343462B1 (ko) 제빙 및 냉각 시스템
KR101675746B1 (ko) 제빙기
KR101231043B1 (ko)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JP3932385B2 (ja) 被回収機器の冷媒回収充填用オイルセパレーター
KR101281586B1 (ko) 제빙방법 및 상기 제빙방법을 이용하여 제빙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KR20120114718A (ko) 정수기용 순간냉각장치
EP3904296A1 (en) System for purifying water by recrystallization and heat exchange devices (variants)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KR102035506B1 (ko) 제빙과 냉수 형성 겸용 제빙기구
KR19990041499U (ko) 정수기
KR101482097B1 (ko) 제빙장치
KR101213914B1 (ko) 정수기
WO2022267952A1 (zh) 具有可更换过滤器的制冰电器
EP4365518A1 (en) Drain pipe-free clear ice making machine for recycling water for use in making clear ice
CA2561514C (en) Ice maker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