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746B1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746B1
KR101675746B1 KR1020100028641A KR20100028641A KR101675746B1 KR 101675746 B1 KR101675746 B1 KR 101675746B1 KR 1020100028641 A KR1020100028641 A KR 1020100028641A KR 20100028641 A KR20100028641 A KR 20100028641A KR 101675746 B1 KR101675746 B1 KR 101675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cold water
water tank
stored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9087A (ko
Inventor
박권일
노진환
이응삼
강지훈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8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746B1/ko
Publication of KR20110109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8Producing ice of a particular transparency or translucency, e.g. by inject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8Producing ice by immersing freezing chambers, cylindrical bodies or plates into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별도의 장치없이 간단한 구조로 얼음과 냉수가 생성될 수 있는 제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물(W)이 유입되어 저장되고 저장된 물(W)이 배출되는 냉수탱크(200); 및 상기 냉수탱크(200)의 외부 일면에 구비되며 냉매가 유동되고 복수개의 침지관(310)이 연결되는 증발기(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침지관(310)은 상기 냉수탱크(200)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냉수탱크(200)의 내부에 위치되며 냉매가 유동되어 상기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W)이 냉각되면서 얼음(I)이 생성되며, 상기 냉수탱크(200)에는 상기 침지관(310)에 생성된 후 탈빙(脫氷)되어 상기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W) 위로 뜬 얼음(I)이 얼음저장고(400)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10)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210)는 상기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W)에 파동이 발생되어 상기 침지관(310)에 투명 얼음(I)이 생성되도록 주기적으로 선회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빙기{ICE MAKER}
본 발명은 아이스 트레이나 아이스 트레이에 물이 공급되도록 아이스 트레이에 연결되는 물 공급시스템 등 별도의 장치없이 간단한 구조로 얼음과 냉수가 함께 생성될 수 있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제빙기는 얼음이 만들어지며 만들어진 얼음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빙기는 냉장고나 얼음정수기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얼음을 만들기 위해서 제빙기는 물이 담기는 아이스 트레이와, 아이스 트레이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물 공급시스템 및 아이스 트레이에 담긴 물에 잠기며 냉매가 유동되는 침지관이 복수개 연결된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이스 트레이에 담긴 물과 침지관에서 유동되는 차가운 냉매와의 열교환, 즉 아이스 트레이에 담긴 물로부터 침지관에서 유동되는 차가운 냉매로의 열전달에 의해서, 침지관에 얼음이 생성된다. 그리고, 침지관에 생성된 얼음은 침지관에서 유동되는 뜨거운 냉매에 의해서 침지관에 접촉되는 부분이 녹아서 침지관에서 분리, 즉 탈빙(脫氷)된다. 이와 같이 탈빙된 얼음은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고, 가이드바에 의해서 얼음저장고로 가이드되어 얼음저장고에 저장된다.
한편, 냉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차가운 냉매가 유동되는 별도의 증발기에 의해서 냉각시키거나, 전술한 바와 같이 만들어진 얼음이 냉수탱크에 낙하되도록 하여 냉수를 만든다.
따라서, 얼음의 생성과 냉수의 생성이 별도의 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나의 장치에서 얼음과 냉수가 함께 생성될 수 없기 때문에, 제품이 비교적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얼음의 생성과 냉수의 생성을 위해서 별도로 물이 공급되어야만 한다거나 별도의 증발기가 각각 필요하기 때문에, 제품의 원가가 비교적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얼음의 생성을 위해서 아이스 트레이에 상온의 물이 공급되기 때문에, 얼음의 생성시간이 비교적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빙기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별도의 장치없이 간단한 구조로 얼음과 냉수가 함께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제품의 원가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얼음의 생성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투명 얼음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제빙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냉수탱크의 외부 일면에 냉매가 유동되는 증발기가 구비되며 증발기에 연결되어 냉매가 유동되는 침지관이 냉수탱크의 일면을 관통하여 냉수탱크의 내부에 위치되어서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냉각되면서 침지관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제빙기는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냉수탱크; 및 냉수탱크의 외부 일면에 구비되며 냉매가 유동되고 복수개의 침지관이 연결되는 증발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개의 침지관은 냉수탱크의 일면을 관통하여 냉수탱크의 내부에 위치되며 냉매가 유동되어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냉각되면서 얼음이 생성되며, 냉수탱크에는 침지관에 생성된 후 탈빙(脫氷)되어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 위로 뜬 얼음이 얼음저장고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고, 가이드부재는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에 파동이 발생되어 침지관에 투명 얼음이 생성되도록 주기적으로 선회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얼음저장고는 냉수탱크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탱크에 구비되며 냉수탱크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가이드부재가 회전구동되도록 하는 구동유닛;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장치없이 간단한 구조로 얼음과 냉수가 함께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품의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의 생성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제빙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냉수탱크의 외부 일면에 냉매가 유동되는 증발기가 구비되며 증발기에 연결되어 냉매가 유동되는 침지관이 냉수탱크의 일면을 관통하여 냉수탱크의 내부에 위치되어서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냉각되면서 침지관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는 냉수탱크(200)와 증발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냉수탱크(2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W)이 유입되어 저장되고 물(W)이 배출될 수 있다. 냉수탱크(200)는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W)이 냉수탱크(200)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물공급원은,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가 정수기에 구비된다면, 유입된 물(W)이 여과되도록 복수개의 정수필터가 포함된 여과부나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W)이 저장되는 저장탱크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물공급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냉수탱크(200)에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저장된 물(W)이 배출되도록 냉수탱크(200)는 배출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수탱크(200)에 저장되고 증발기(300)에 의해서 냉각된 물(W)은 배출부재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배출부재는,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가 정수기(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된다면, 콕크나 파우셋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배출부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냉수탱크(200)에 저장되고 증발기(300)에 의해서 냉각된 물(W)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러한 냉수탱크(200)에는 가이드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재(210)에 의해서 후술할 바와 같이 증발기(300)에 연결된 침지관(310)에 생성된 후 탈빙(脫氷)되어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W) 위로 뜬 얼음(I)이, 냉수탱크(200)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얼음저장고(400)로 이동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21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 위로 뜬 얼음(I)이 얼음저장고(400)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 위로 뜬 얼음(I)이 얼음저장고(400)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부재(210)는 냉수탱크(2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냉수탱크(200)에는 가이드부재(210)가 회전구동되도록 하는 구동유닛(22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유닛(220)에 의한 가이드부재(210)의 회전에 의해서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W) 위로 뜬 얼음(I)이 가이드부재(210)에 올려진 후 얼음저장고(400)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구동유닛(220)은 침지관(310)에 얼음(I)이 생성될 때에는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W)에 파동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구동유닛(220)은 얼음(I)의 생성시에는 가이드부재(210)가 냉수탱크(200) 내에서 주기적으로 선회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재(210)의 주기적인 선회에 의해서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에 파동이 발생되면, 침지관(310)에 생성되는 얼음(I) 내에 발생될 수 있는 기포층이 성장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침지관(310)에 투명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증발기(3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냉수탱크(200)의 외부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300)는 냉동시스템에 포함되어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 증발기(300)에서 유동되는 냉매는 차가운 냉매나 뜨거운 냉매일 수 있다.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냉각되도록 하거나 후술할 침지관(310)에 얼음(I)이 생성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증발기(300)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침지관(310)에 생성된 얼음(I)이 탈빙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증발기(300)에 뜨거운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증발기(300)에는 복수개의 침지관(310)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침지관(310)에도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 즉, 증발기(300)에서 유동되는 냉매가 침지관(310)에 유입되어 침지관(310)에서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침지관(310)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증발기(300)가 구비된 냉수탱크(200)의 일면을 관통하여 냉수탱크(20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침지관(310)에서 유동되는 차가운 냉매와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W)과의 열교환, 즉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W)로부터 침지관(310)에서 유동되는 차가운 냉매로의 열전달에 의해서,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침지관(310)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아이스 트레이나 아이스 트레이에 물이 공급되도록 아이스 트레이에 연결된 물 공급시스템 등 별도의 장치없이 간단한 구조로 얼음과 냉수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제품의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W)이 냉각되면서 침지관(310)에 얼음(I)이 생성되기 때문에, 얼음(I)의 생성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한편, 침지관(310)이 관통하는 냉수탱크(200)의 일면과 침지관(310) 사이는 밀봉부재(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밀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침지관(310)이 냉수탱크(200)의 일면을 관통하더라도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W)이 누수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2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에 구비된 복수개의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나 여과부에 연결되어 여과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 등과 같은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W)이 냉수탱크(200)에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수탱크(200)에 물(W)이 유입되어 저장되면, 증발기(300)가 포함된 냉동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이 작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증발기(300)와 증발기(300)에 연결된 침지관(310)에는 차가운 냉매가 유동된다. 침지관(310)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되면,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W)과 침지관(310)에서 유동되는 차가운 냉매와의 열교환, 즉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W)로부터 침지관(310)에서 유동되는 차가운 냉매로의 열전달에 의해서,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냉각된다. 또한, 침지관(31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열전달에 의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이 생성된다.
한편, 침지관(310)에 얼음(I)이 생성될 때,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220)에 의해서 가이드부재(210)가 주기적으로 선회되도록 하면,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W)에 파동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W)에 발생되는 파동에 의해서, 침지관(310)에 생성되는 얼음(I) 내에 발생될 수 있는 기포층이 성장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침지관(310)에 투명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침지관(310)에 생성된 얼음(I)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가 되면, 증발기(300)에 뜨거운 냉매가 유동되게 냉동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이 작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침지관(310)에도 뜨거운 냉매가 유동되어 침지관(310)과 접촉하고 있는 얼음(I)의 부분이 녹게 된다. 이에 의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이 침지관(310)으로부터 분리, 즉 탈빙(脫氷)된다.
이와 같이 침지관(310)으로부터 탈빙된 얼음(I)은 그 비중이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W)보다 작기 때문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W) 위로 뜨게 된다. 얼음(I)이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W) 위로 뜨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220)에 의해서 가이드부재(210)가 회전되도록 한다. 가이드부재(210)가 회전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W) 위로 뜬 얼음(I)이 가이드부재(210)에 올려진다. 그리고 가이드부재(210)에 얼음(I)이 올려진 상태에서 가이드부재(210)가 구동유닛(220)에 의해서 더 회전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이 그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고 얼음저장고(400)로 이동되어 저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를 사용하면, 별도의 장치없이 간단한 구조로 얼음과 냉수가 함께 생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제품의 원가가 절감될 수 있고, 얼음의 생성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투명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제빙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제빙기 200 : 냉수탱크
210 : 가이드부재 220 : 구동유닛
300 : 증발기 310 : 침지관
400 : 얼음저장고 W : 물
I : 얼음

Claims (4)

  1. 물(W)이 유입되어 저장되고 저장된 물(W)이 배출되는 냉수탱크(200); 및
    냉매가 유동되고 복수개의 침지관(310)이 연결되는 증발기(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침지관(310)은 상기 냉수탱크(200)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W)이 냉각되면서 얼음(I)이 생성되고,
    상기 냉수탱크(200)에는 상기 침지관(310)에 생성된 후 탈빙(脫氷)되어 상기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W) 위로 뜬 얼음(I)이 얼음저장고(400)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10)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210)는 상기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W)에 파동이 발생되어 상기 침지관(310)에 투명 얼음(I)이 생성되도록 주기적으로 선회되고,
    상기 가이드부재(210)는 상기 냉수탱크(2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냉수탱크(200)에 구비된 구동유닛(220)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며,
    상기 구동유닛(220)은 상기 침지관(310)에 얼음(I)이 생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부재(210)가 주기적으로 선회하도록 하며, 상기 침지관(310)에서 탈빙된 얼음(I)을 상기 얼음저장고(400)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부재(210)가 일측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탈빙되어 상기 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W) 위로 뜬 얼음(I)이 상기 가이드부재(210)에 올려진 후 상기 얼음저장고(400)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저장고(400)는 상기 냉수탱크(200)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3. 삭제
  4. 삭제
KR1020100028641A 2010-03-30 2010-03-30 제빙기 KR101675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641A KR101675746B1 (ko) 2010-03-30 2010-03-30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641A KR101675746B1 (ko) 2010-03-30 2010-03-30 제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087A KR20110109087A (ko) 2011-10-06
KR101675746B1 true KR101675746B1 (ko) 2016-11-15

Family

ID=4502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641A KR101675746B1 (ko) 2010-03-30 2010-03-30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7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2362A4 (en) * 2020-01-16 2023-06-07 Haier Smart Home Co., Ltd. ICE MA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ICE OVER THE SIN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904B1 (ko) * 2012-12-20 2014-11-20 정휘동 제빙 유닛을 냉수 탱크 하부에 배치한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KR102226421B1 (ko) * 2014-02-18 2021-03-11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
KR101632724B1 (ko) 2014-09-30 2016-06-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열정의 온도 산출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254Y1 (ko) * 2006-12-15 2008-06-02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Sus재질의 증발기를 이용한 투명얼음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5053A (en) * 1975-12-08 1977-10-25 Elfving Thore M Thermoelectric water cooler or ice freezer
JP3002868B2 (ja) * 1997-04-22 2000-01-24 基全 洪 簡易型電子式アイスキューブ製造器
JPH11257809A (ja) * 1998-03-12 1999-09-24 Hoshizaki Electric Co Ltd 溜水式製氷機の製氷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254Y1 (ko) * 2006-12-15 2008-06-02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Sus재질의 증발기를 이용한 투명얼음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2362A4 (en) * 2020-01-16 2023-06-07 Haier Smart Home Co., Ltd. ICE MA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ICE OVER THE SI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087A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700B1 (ko) 두 개의 물받이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KR101156905B1 (ko) 제빙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4191045A (ja) 製氷機
US8769980B2 (en)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KR101675746B1 (ko) 제빙기
KR101337080B1 (ko) 정수기 및 제빙용 증발기
KR101795424B1 (ko)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KR100995151B1 (ko) 투명얼음 제빙장치
KR20090111716A (ko) 보조탱크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US20160282030A1 (en) Ice storage apparatus and ice mak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KR100998198B1 (ko) 순환식 투명얼음 제빙장치
KR101602236B1 (ko)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KR20100110663A (ko) 정수 장치
KR20090111718A (ko) 얼음 정수기
KR102186818B1 (ko) 제빙기
KR20140001531A (ko) 기능수 제조장치
US10139145B2 (en) Filters for stand-alone ice making appliances
KR20130013475A (ko) 제빙 자화 육각 정수기
KR101463904B1 (ko) 제빙 유닛을 냉수 탱크 하부에 배치한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KR101647651B1 (ko) 제빙기
KR20160012253A (ko) 냉수공급장치
KR102396593B1 (ko) 제빙기
KR101647639B1 (ko) 순간냉수 생성이 가능한 얼음 정수기
KR20170071464A (ko)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KR20110001851A (ko) 제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