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651B1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651B1
KR101647651B1 KR1020090111527A KR20090111527A KR101647651B1 KR 101647651 B1 KR101647651 B1 KR 101647651B1 KR 1020090111527 A KR1020090111527 A KR 1020090111527A KR 20090111527 A KR20090111527 A KR 20090111527A KR 101647651 B1 KR101647651 B1 KR 101647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water
making tray
pipe
m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4760A (ko
Inventor
박정철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1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651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65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냉각된 물을 제빙트레이로 공급할 수 있는 제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200); 상기 물공급원(200)의 아래에 위치하며 냉동시스템에 연결된 증발기(E)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 상기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가 잠길 수 있도록 물이 담기는 제빙트레이(400); 상기 제빙트레이(400)의 아래에 위치하며 냉각된 물이 저장된 냉수탱크(500); 및 상기 물공급원(20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공급된 물을 상기 냉수탱크(500)에 저장된 냉각된 물과 열교환하여 냉각시킨 후 상기 제빙트레이(400)에 공급하는 제빙용 물공급부(6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빙용 물공급부(600)는 일측이 상기 물공급원(200)에 연결되며 밸브(V)가 구비된 제1공급관(610), 일측이 상기 제1공급관(610)에 연결되며 상기 냉수탱크(500)의 내부를 지나도록 구비되는 냉각관(620) 및, 일측은 상기 냉각관(62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빙트레이(4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공급관(630)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급관(630)의 타측은 상기 제빙트레이(400) 보다는 높고 상기 물공급원(200) 보다는 낮게 위치며, 상기 물공급원(200)은 복수개의 정수필터를 거치면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정수탱크일 수 있다.
제빙기, 제빙트레이, 물, 냉각

Description

제빙기{ICE MAKER}
본 발명은 냉각된 물을 제빙트레이로 공급할 수 있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제빙기는 얼음정수기 또는 냉장고에 구비되어 얼음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빙기는 냉동시스템에 연결된 증발기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와,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의 아래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가 잠길 수 있도록 물이 담기는 제빙트레이를 포함한다.
따라서,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가 잠길 수 있도록 제빙트레이에 물을 공급한 후 냉동시스템을 작동시키면 증발기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고 증발기에 연결된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 각각에도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빙트레이에 담긴 물과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를 유동하는 차가운 냉매와의 열교환, 즉 제빙트레이에 담긴 물로부터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로의 열전달에 의해서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 각각에 얼음이 생성된다.
한편, 종래에는 제빙트레이에 상온의 물을 공급하였다. 따라서, 얼음의 제조를 위해서 제빙트레이에 담긴 물을 상온으로부터 빙점이하로 냉각시켜야만 하였다. 그러므로, 제빙시간이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빙을 위한 에너지가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제빙성능과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빙기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냉각된 물을 제빙트레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제빙시간이 단축되고 제빙을 위한 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제빙성능과 효율이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펌프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없이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냉각된 물을 제빙트레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제빙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제빙트레이로 공급하는 물을 냉수탱크에 저장된 냉각된 물과 열교환하여 냉각한 후 제빙트레이로 공급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제빙기는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 물공급원의 아래에 위치하며 냉동시스템에 연결된 증발기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의 아래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가 잠길 수 있도록 물이 담기는 제빙트레이; 제빙트레이의 아래에 위치하며 냉각된 물이 저장된 냉수탱크; 및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공급된 물을 냉수탱크에 저장된 냉각된 물과 열교환하여 냉각시킨 후 제빙트레이에 공급하는 제빙용 물공급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빙용 물공급부는 일측이 물공급원에 연결되며 밸브가 구비된 제1공급관, 일측이 제1공급관에 연결되며 냉수탱크의 내부를 지나도록 구비되는 냉각관 및, 일측은 냉각관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빙트레이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공급관을 포함하고, 제2공급관의 타측은 제빙트레이 보다는 높고 물공급원 보다는 낮게 위치하며, 물공급원은 복수개의 정수필터를 거치면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정수탱크일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냉각관에는 냉각관을 지지하며 냉각관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탈착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탈착지지부는 냉각관에 구비되는 지지부본체; 지지부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 및 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는 제1지지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지지부는 일측은 제빙기 본체에 고정되며 타측은 지지부본체를 지지하면서 제1지지부재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밀착되는 제2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된 물을 제빙트레이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빙시간이 단축되고 제빙을 위한 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빙성능과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펌프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없이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냉각된 물을 제빙트레이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제빙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제빙트레이로 공급하는 물을 냉수탱크에 저장된 냉각된 물과 열교환하여 냉각한 후 제빙트레이로 공급하는 것을 기 초로 한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는 물공급원(200)과,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와, 제빙트레이(400)와, 냉수탱크(500) 및, 제빙용 물공급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공급원(200)은 제빙트레이(4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물공급원(200)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예컨대 제빙기(100)가 얼음정수기(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된다면, 복수개의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를 거치면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정수탱크일 수 있다. 그러나, 물공급원(200)은 정수탱크에 한정되지 않고 제빙트레이(4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공급원(200)의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는 냉동시스템(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의 내부에는 차가운 냉매나 뜨거운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에 얼음(I)이 생성되는 제빙시에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의 내부에는 차가운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의 각각에 생성된 얼음(I)을 얼음생성부재(300)로부터 분리하는 탈빙시에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의 내부에는 뜨거운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에와 같이 제빙트레이(400)는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빙트레이(400)에는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가 잠길 수 있도록 물이 담길 수 있다.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가 제 빙트레이(400)에 담긴 물에 잠긴 상태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의 내부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면, 제빙트레이(400)에 담긴 물과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의 내부를 유동하는 차가운 냉매 사이에 열교환이 발생한다. 즉, 제빙트레이(400)에 담긴 물로부터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를 유동하는 차가운 냉매로 열전달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 각각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냉수탱크(5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빙트레이(40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냉수탱크(500)에는 냉각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냉수탱크(500)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는 방법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에 생성된 얼음(I)을 냉수탱크(500)로 보내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냉수탱크(500)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냉수탱크(500)에 냉동시스템(도시되지 않음) 또는 냉각시스템(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별도의 증발기(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여 냉각하는 등 냉수탱크(500)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제빙용 물공급부(600)는 물공급원(20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공급된 물을 냉수탱크(500)에 저장된 냉각된 물과 열교환하여 냉각시킬 수 있다. 즉, 물공급원(200)으로부터 공급된 물로부터 냉수탱크(500)에 저장된 냉각된 물로의 열전달에 의해서 물공급원(200)로부터 공급된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제빙용 물공급부(600)는 전술된 바와 같이 냉각된, 물공급원(20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제빙트레이(40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빙용 물공급부(6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공급관(610)과, 냉각관(620) 및, 제2공급관(6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공급관(610)은 일측이 물공급원(20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물공급원(200)로부터 제1공급관(610)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공급관(61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밸브(V)가 구비될 수 있다. 밸브(V)를 조작하여 물공급원(200)로부터 제1공급관(610)으로의 물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냉각관(620)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측이 제1공급관(6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공급관(610)과 냉각관(620)은 연결부재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200)으로부터 제1공급관(610)으로 공급된 물은 냉각관(620)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냉각관(620)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냉수탱크(500)의 내부를 지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관(620)을 유동하는 물공급원(200)으로부터 제1공급관(610)으로 공급된 물은, 냉각관(620)을 유동하면서 냉수탱크(500)에 저장된 냉각된 물과의 열교환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다. 즉, 냉각관(620)을 유동하는 물로부터 냉수탱크(500)에 저장된 냉각된 물로의 열전달에 의해서 냉각관(620)을 유동하는 물이 냉각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냉각관(620)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U' 자형 일 수 있다. 그러나, 냉각관(620)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냉수탱크(500)에 저장된 냉각된 물과의 열교환에 의해서 냉각관(620)을 유동하는 물을 냉각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냉각관(620)에는 탈착지지부(6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탈착지지부(621)는 냉각관(62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탈착지지부(621)에 의해서 냉각관(620)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탈착지지부(621)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본체(621a)와, 탄성부재(621b) 및, 제1지지부재(621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탈착지지부(621)는 제2지지부재(621d)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본체(621a)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냉각관(62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621b)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본체(621a)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621b)는 제1지지부재(621c)에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탄성부재(621b)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621b)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부본체(621a)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1지지부재(621c)에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판 스프링 등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제1지지부재(621c)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본체(621a)에 삽입된 탄성부재(621b)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지지부재(621c)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본체(621a)에 삽입되어 탄성부재(621b)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재(621d)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측이 제빙기 본체(B)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지부재(621d)의 타측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본체(621a)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재(621d)의 타측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지지부재(621c)가 탄성부재(621b)의 탄성력에 의해서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재(621b)의 탄성력에 의해서 냉각관(620)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관(620)에 구비된 탈착지지부(621)에 의해서, 예컨대 'U'자형의 냉각관(620)의 내부에 이물질이 쌓인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관(620)에 외력을 작용하여 냉각관(620)을 도면에서 보아 오른쪽으로 밀면, 탄성부재(621b)가 압축되면서 냉각관(620)을 제빙용 물공급부(6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빙용 물공급부(600)로부터 분리된 냉각관(620)은 이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621b)가 압축되도록 냉각관(620)에 외력을 준 상태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관(620)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공급관(630)의 일측은 냉각관(6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공급관(630)의 일측과 냉각관(620)은 연결부재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관(620)을 유동하면서 냉수탱크(500)에 저장된 냉각된 물과의 열교환에 의해서 냉각된 물은 제2공급관(630)을 유동할 수 있다. 제2공급관(630)의 타측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빙트레이(4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관(620)을 유동하면서 냉수탱크(500)에 저장된 냉각된 물과의 열교환에 의해서 냉각된 물은 제2공급관(630)을 통해 제빙트레이(400)에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각된 물이 제빙트레이(400)에 공급되면, 제빙트레이(400)에 담긴 물과 얼음(I)이 어는 빙점과의 차이가 얼마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에서 얼음(I)이 생성되도록, 각 얼음생성부재(300) 주위의 제빙트레이(400)에 담긴 물을 빙점이하로 냉각시키는 데에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제빙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빙성능과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한편,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공급원(200)은 제빙트레이(400)보다 높은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냉각관(620)이 제빙트레이(400)보다 낮은 위치의 냉수탱크(500)의 내부를 지나도록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전술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200)은 제빙트레이(400)보다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물공급원(200)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제1공급관(610)과 냉각관(620) 및 제2공급관(630)을 거쳐서 제빙트레이(400)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없이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냉각된 물을 제빙트레이에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도3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200)에,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가 얼음정수기(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된다면 정수탱크에 복수개의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를 거치면서 여과된 물(W)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냉수탱크(500)에 저장된 물(W)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에서 생성된 얼음(I)이 냉수탱크(500)로 보내져서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공급관(610)에 구비된 밸브(V)는 닫힐 수 있다. 또한, 제빙트레이(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비어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급관(610)에 구비된 밸브(V)를 열면, 물공급원(200), 예컨대 정수탱크에 저장된 물(W)이 중력에 의해서 제1공급관(610)으로 유동한다. 제1유동관(610)을 유동한 물은 제1유동관(610)에 연결된 냉각관(620)에 유입되어 냉각관(620)을 유동하게 된다. 냉각관(620)을 유동하는 물은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500)를 지나게 된다. 따라서, 냉각관(620)을 유동하는 물은 냉수탱크(500)에 저장된 냉각된 물(W)과의 열교환에 의해서, 즉 냉각관(620)을 유동하는 물에서 냉수탱크(500)에 저장된 냉각된 물(W)로의 열전달에 의해서 냉각된다. 이와 같이, 냉각관(620)을 지나면서 냉수탱크(500)에 저장된 냉각된 물(W)과의 열교환에 의해서 냉각된 물은, 냉각관(620)에 연결된 제2공급관(630)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트레이(400)에 공급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가 잠겨서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는 수위까지 제빙트레이(400)로의 냉각된 물(W)의 공급이 끝나면, 제1공급관(610)에 구비된 밸브(V)를 닫는다.
이후, 증발기(E)에 연결된 냉동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을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증발기(E)와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의 내부에는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의 내부를 유동하는 차가운 냉매와 제빙트레이(400)에 담겨진 냉각된 물(W)과의 열교환에 의해서, 즉 제빙트레이(400)에 담겨진 냉각된 물(W)로부터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의 내부를 유동하는 차가운 냉매로의 열전달에 의해서, 얼음(I)이 생성된다.
이후,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에 일정크기의 얼음(I)이 생성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트레이(400)를 탈빙위치로 회전시킨다. 제빙트레이(400)를 탈빙위치로 회전시키면, 제빙트레이(400)에 담겨진 냉각된 물(W)은 냉수탱크(500)로 떨어지거나 또는 제빙트레이(400)에 연결된 별도의 물받이(도시되지 않음)로 옮겨져서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빙트레이(400)를 탈빙위치로 회전시킨 후, 냉동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을 작동하여 증발기(E)와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의 내부에 뜨거운 냉매가 유동하게 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 각각에 접촉하고 있는 얼음(I)의 표면이 녹게 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로부터 얼음(I)이 분리된다. 이에 따라, 얼음(I)은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어 가이드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얼음저장고(도시되지 않음)로 보내지거나, 냉수탱크(500)로 보내어져서 냉수탱크(500)에 저장된 물(W)을 냉각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를 사용하면, 냉각된 물을 제빙트레이(400)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빙시간이 단축되고 제빙을 위한 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제빙성능과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그리고, 펌프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없이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냉각된 물을 제빙트레이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제빙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에서 냉각관을 분리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빙기 200 : 물공급원
300 : 얼음생성부재 400 : 제빙트레이
500 : 냉수탱크 600 : 제빙용 물공급부
610 : 제1공급관 620 : 냉각관
621 : 탈착지지부 621a : 지지부본체
621b : 탄성부재 621c : 제1지지부재
621d : 제2지지부재 630 : 제2공급관
E : 증발기 W : 물
I : 얼음 V : 밸브
B : 제빙기 본체

Claims (6)

  1.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200);
    상기 물공급원(200)의 아래에 위치하며 냉동시스템에 연결된 증발기(E)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
    상기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가 잠길 수 있도록 물이 담기는 제빙트레이(400);
    상기 제빙트레이(400)의 아래에 위치하며 냉각된 물이 저장된 냉수탱크(500); 및
    상기 물공급원(20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공급된 물을 상기 냉수탱크(500)에 저장된 냉각된 물과 열교환하여 냉각시킨 후 상기 제빙트레이(400)에 공급하는 제빙용 물공급부(6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빙용 물공급부(600)는 일측이 상기 물공급원(200)에 연결되며 밸브(V)가 구비된 제1공급관(610), 일측이 상기 제1공급관(610)에 연결되며 상기 냉수탱크(500)의 내부를 지나도록 구비되는 냉각관(620) 및, 일측은 상기 냉각관(62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빙트레이(4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공급관(630)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급관(630)의 타측은 상기 제빙트레이(400) 보다는 높고 상기 물공급원(200) 보다는 낮게 위치하며,
    상기 물공급원(200)은 복수개의 정수필터를 거치면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정수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관(620)에는 상기 냉각관(620)을 지지하며 상기 냉각관(620)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탈착지지부(6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지지부(621)는
    상기 냉각관(620)에 구비되는 지지부본체(621a);
    상기 지지부본체(621a)의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621b); 및
    상기 탄성부재(621b)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는 제1지지부재(621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지지부(621)는
    일측은 제빙기 본체(B)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지지부본체(621a)를 지지하면서 상기 제1지지부재(621c)가 상기 탄성부재(621b)의 탄성력에 의해서 밀착되는 제2지지부재(621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6. 삭제
KR1020090111527A 2009-11-18 2009-11-18 제빙기 KR101647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527A KR101647651B1 (ko) 2009-11-18 2009-11-18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527A KR101647651B1 (ko) 2009-11-18 2009-11-18 제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760A KR20110054760A (ko) 2011-05-25
KR101647651B1 true KR101647651B1 (ko) 2016-08-11

Family

ID=44363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527A KR101647651B1 (ko) 2009-11-18 2009-11-18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6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788B1 (ko) 2019-12-31 2020-05-06 정호민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
KR102124907B1 (ko) 2019-10-23 2020-06-22 정병욱 제빙 장치의 조립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6969A (ko) * 2011-09-06 2013-03-14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962B1 (ko) 2005-10-21 2007-06-19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하나의 증발기로 제빙과 동시에 냉수를 얻을 수 있는냉온정수시스템 및 장치
KR100795293B1 (ko) 2006-09-19 2008-01-15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알칼리 얼음 제조 기능을 구비한 냉온 얼음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427U (ko) * 2007-06-18 2008-12-23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제빙기능을 구비한 냉온수 공급기
KR100988467B1 (ko) * 2008-04-22 2010-10-2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보조탱크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962B1 (ko) 2005-10-21 2007-06-19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하나의 증발기로 제빙과 동시에 냉수를 얻을 수 있는냉온정수시스템 및 장치
KR100795293B1 (ko) 2006-09-19 2008-01-15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알칼리 얼음 제조 기능을 구비한 냉온 얼음 정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907B1 (ko) 2019-10-23 2020-06-22 정병욱 제빙 장치의 조립 방법
KR102106788B1 (ko) 2019-12-31 2020-05-06 정호민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760A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158B1 (ko) 얼음정수기
KR100982700B1 (ko) 두 개의 물받이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KR101989711B1 (ko) 제빙 장치를 위한 증발기 어셈블리 및 제빙 방법
KR101026909B1 (ko) 제빙장치
US8769980B2 (en)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KR100988467B1 (ko) 보조탱크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KR101647651B1 (ko) 제빙기
KR100407867B1 (ko) 제빙기를 가진 냉온정수기
US20120017627A1 (en)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KR20120105662A (ko)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675746B1 (ko) 제빙기
KR101443984B1 (ko) 얼음 정수기
KR101647639B1 (ko) 순간냉수 생성이 가능한 얼음 정수기
KR20110054759A (ko) 제빙기
KR102392190B1 (ko)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JP4514805B2 (ja) 過冷却水を用いた製氷システム
KR20130033045A (ko) 제빙기
KR101647648B1 (ko) 순간냉수 생성이 가능한 얼음 정수기
CN218764118U (zh) 制冰机
KR102630821B1 (ko) 보온재를 가진 저장통과 이를 포함하는 먹는물 공급장치
KR102193470B1 (ko) 제빙기
KR102392193B1 (ko) 제빙용수 분사 노즐을 이용하여 제빙하는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CN218410302U (zh) 一种饮用水供给系统及制冰机
KR101075058B1 (ko) 얼음 정수기
JP2011196652A (ja) 製氷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