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788B1 -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 - Google Patents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788B1
KR102106788B1 KR1020190179065A KR20190179065A KR102106788B1 KR 102106788 B1 KR102106788 B1 KR 102106788B1 KR 1020190179065 A KR1020190179065 A KR 1020190179065A KR 20190179065 A KR20190179065 A KR 20190179065A KR 102106788 B1 KR102106788 B1 KR 102106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main body
ice
unit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민
Original Assignee
정호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호민 filed Critical 정호민
Priority to KR1020190179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기로서, 특히 냉매를 순환하여 제빙하는 제빙 유닛과, 상기 제빙 유닛이 담겨지는 보관 용기와, 상기 보관 용기를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 일 측에 구비되어 물을 상기 제빙 유닛의 제빙 케이스에 직접 투입하는 직접 급수 유닛을 포함하여 물 공급부로부터 제빙 케이스에 물을 직접 공급하여 공급 경로를 최소화함에 따라 오염을 방지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이다.

Description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ICE MAKER OF DIRECT WATER SUPPLYING TYPE}
본 발명은 제빙기로서, 특히 냉매를 순환하여 제빙하는 제빙 유닛과, 상기 제빙 유닛이 담겨지는 보관 용기와, 상기 보관 용기를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 일 측에 구비되어 물을 상기 제빙 유닛의 제빙 케이스에 직접 투입하는 직접 급수 유닛을 포함하여 물 공급부로부터 제빙 케이스에 물을 직접 공급하여 공급 경로를 최소화함에 따라 오염을 방지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이다.
일반적으로 제빙 장치라고 하는 것은 얼음을 제조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 유닛(I)과 상기 제빙 유닛(I)이 내부에 구비되는 하우징(C)을 포함한다.
상기 제빙 유닛(I)은 냉매를 보관하고 압축하는 냉매 탱크(3)과, 상기 냉매 탱크(3)에서 압축된 냉매가 투입되어 증발되는 증발 튜브(1)를 포함한다. 즉, 상기 냉매 탱크(3)에서 압축된 냉매가 증발 튜브(1) 내부에서 팽창하여 온도가 하강하고 이에 의해 증발 튜브(1) 주위의 물이 얼어 얼음으로 제조된다.
한편, 상기 증발 튜브(1)에서 팽창된 냉매는 응축기(4)로 귀환하여 응축되고 냉매 탱크(3)로 투입되어 다시 압축된다.
상기 증발 튜브(1)는 제빙 케이스(2)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빙 케이스(2) 내부에는 물이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냉매가 증발 튜브(1)에서 증발될 때, 상기 제빙 케이스(2)에 공급되고 증발 튜브(1)에 접하여 얼음이 제조된다.
상기 제빙 케이스(2)에 물이 공급하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외부 물 공급부로부터 보관 용기(10)에 일 차적으로 공급된 후 상기 보관 용기(10)에 담긴 물을 이 차적으로 상기 제빙 케이스(2)에 물이 공급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제빙 장치의 경우 물을 보관 용기를 거쳐 공급됨에 따라 보관 용기를 거치는 동안에 이물질이나 세균 등이 혼합될 수 있어 위생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제빙 장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58160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275188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602236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647651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696216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4-014435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매를 순환하여 제빙하는 제빙 유닛과, 상기 제빙 유닛이 담겨지는 보관 용기와, 상기 보관 용기를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 일 측에 구비되어 물을 상기 제빙 유닛의 제빙 케이스에 직접 투입하는 직접 급수 유닛을 포함하여 물 공급부로부터 제빙 케이스에 물을 직접 공급하여 공급 경로를 최소화함에 따라 오염을 방지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매를 순환하여 제빙하는 제빙 유닛(I)과, 상기 제빙 유닛(I)이 담겨지는 보관 용기(10)와, 상기 보관 용기(10)를 덮는 커버(20)와, 상기 커버(20) 일 측에 구비되어 물을 상기 제빙 유닛(I)의 제빙 케이스(2)에 직접 투입하는 직접 급수 유닛(600)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20)는 상기 보관 용기(10)의 상측을 덮는 제1커버(400)와, 상기 제1커버(400)를 덮는 제2커버(5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400)는 상기 보관 용기(10)를 덮는 제1커버 본체(410)와, 상기 제1커버 본체(410)에 형성되고 상기 제빙 케이스(2) 상에 배치되는 배관 설치공(420)과, 상기 제1커버 본체(410)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직접 급수 유닛(600)을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B)을 포함하며, 상기 직접 급수 유닛(600)은 외부의 물 공급부에 연결되어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작동부(610)와, 상기 작동부(610)에 연결되고 상기 배관 설치공(420)에 삽입되는 투입 배관(630)을 포함하는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직접 급수 유닛(600)은 상기 작동부(610)가 지지되는 밸브 브라켓(6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610)는 외부 물 공급부와 투입 배관(630) 사이에 구비되어 물이 유동하는 밸브부(612)와, 상기 밸브부(612)를 구동하여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구동부(611)와, 상기 밸브부(612)와 구동부(611)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613)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브라켓(640)은 상기 연결부(613)에서 구동부(6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부(611)와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2밸브 브라켓(642)과, 상기 제2밸브 브라켓(642)의 끝단에서 절곡되고 상기 구동부(611)의 끝단을 덮는 제1밸브 브라켓(641)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브라켓(B)은 상기 제1커버 본체(410) 상에 구비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1지지 브라켓(430) 및 제2지지 브라켓(4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 브라켓(430)은 상기 제1커버 본체(410) 상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단에는 지지홈(432)이 요홈되게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밸브부(612)가 안착되는 한 쌍의 제1지지 브라켓 본체(431)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 브라켓(440)은 상기 제1커버 본체(410) 상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제2지지 브라켓 본체(441)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지지 브라켓 본체(441) 사이에 상기 구동부(611)가 끼움되고, 상기 제2지지 브라켓 본체(441) 중 하나의 외측에 상기 제2 밸브 브라켓(642)가 배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보관 용기(10)는 하우징(C) 내부에 배치되고 제빙 유닛(I)이 인접하는 베이스 바디(300)와, 상기 베이스 바디(300)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는 메인 바디(20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200)는 상기 베이스 바디(300) 내부에 삽입되는 아이스 바스켓 수용부(210)와, 상기 제빙 유닛(I)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빙 유닛(I)의 제빙 케이스(2)가 내부에 수용되는 제빙 케이스 수용부(220)를 포함하되, 상기 아이스 바스켓 수용부(210)와 제빙 케이스 수용부(220)의 맞닿는 면은 상호 연통되고, 상기 메인 바디(200)의 상측에 상기 제1커버(400)가 배치되고, 상기 메인 바디(200)의 일 측면에 간접 급수 유닛(700)이 배치되며, 상기 간접 급수 유닛(700)은 상기 메인 바디(200)의 하측 일부에 구비된 복귀 배관(240)으로부터 물을 이송받아 상기 제빙 케이스(2)측으로 물을 투입한다.
상기에서, 상기 간접 급수 유닛(700)은 상기 메인 바디(200)의 개방부(212)에 끼움되는 판체 형상의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와,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에 구비되는 급수부(720)와,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의 일 측에 구비되어 급수 여부를 감지하는 급수 감지부(730)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720)는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 중 메인 바디(200) 외측면 방향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복귀 배관(240)과 연결되는 연결 배관(722)과,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 배관(722)이 연통되며 일 측면은 메인 바디(200) 내측면과 연통되는 투입 배관(721)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 감지부(730)는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에 구비되는 고정부(731)와, 일 측은 상기 고정부(731)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투입 배관(721)의 토출부측에 배치되는 전극부(732)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에는 특정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관통공(711)과,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의 상면으로서 상기 관통공(711) 주위에 형성되고 특정 높이를 가지는 파지벽(712)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731)는 바아 형상을 가지고 상기 관통공(711)에 삽입되는 삽입바아(7311)와, 상기 삽입 바아(7311)의 상단에 구비되고 직경은 상기 삽입 바아(7311)보다 크게 형성되는 헤드(7312)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벽(712)은 원호 형상을 가지며 일정 간격 개방된 형상인 원호부(7121)와, 상기 원호부(7121)의 개방된 부분에서 메인 바디(200) 내측면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며 일정 간격 이격된 직선부(7122)를 포함하여, 상기 전극부(732)는 상기 삽입 바아(7311) 일 측에 권취되는 권취부(7312)와 상기 권취부(7312)에서 메인 바디(200) 내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7322)와, 상기 연장부(7322) 끝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투입 배관(721)의 토출부측에 배치되어 물과 접촉하는 물 접촉부(7323)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부(731)의 삽입 바아(7311)는 상기 관통공(711)에 삽입되고, 상기 헤드(7312)는 상기 파지벽(712)의 원호부(7121) 내부에 끼움되며, 상기 연장부(7322)는 상기 직선부(7122)사이에 끼움되며, 상기 직선부(7122)는 메인 바디(200) 내측으로 갈수록 상호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직선부(7122)에 삽입된 연장부(7322) 및 물 접촉부(7323) 역시 상호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물 접촉부(7323) 모두 투입 배관(721)의 토출부측에 배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개방부(212)의 하측에는 개방부(212) 양 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 블록(21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블록(213) 사이에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투입 배관(721)이 접하는 요홈부(215)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블록(213)은 지지 블록 본체(2131)와, 상기 지지 블록 본체(2131)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731)의 삽입 바아(7311)가 삽입되는 고정부 삽입홈(2133)과, 상기 지지 블록 본체(2131)에 형성되는 걸림공(2132)을 포함하며,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의 하측에는 상기 걸림공(2132)에 삽입되는 걸림부(741)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741)가 상기 걸림공(2132)에 삽입되고,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 중 메인 바디(200) 외측면 방향 끝단에 하향 절곡되어 상기 지지 블록 본체(2131) 중 메인 바디(200) 외측면 방향 끝단에 접하는 제2걸림판(7101)과, 상기 급수부(720)의 투입 배관(721) 하측에는 하향 돌출되어 상기 요홈부(215) 중 메인 바디(200) 내측면 방향 끝단에 걸림되는 제1걸림판(7211)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메인 바디(200)가 수용되는 베이스 바디(300) 일 측에는 개방부(310)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 바디(200)에 형성되는 복귀 배관(240)이 노출되고, 상기 노출된 복귀 배관(240)이 상기 연결 배관(722)과 연통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물을 직접 급수할 수 있어 보다 위생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일반적인 제빙기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1커버와 직접 급수 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메인 바디와 베이스 바디 그리고 간접 급수 유닛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간접 급수 유닛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간접 급수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1커버의 회동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1커버에 로터리 댐퍼가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순환하여 제빙하는 제빙 유닛(I)과, 상기 제빙 유닛(I)이 담겨지는 보관 용기(10)와, 상기 보관 용기(10)를 덮는 커버(20)와, 상기 커버(20) 일 측에 구비되어 물을 상기 제빙 유닛(I)의 제빙 케이스(2)에 직접 투입하는 직접 급수 유닛(60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직접 급수 유닛(600)이 상기 커버(20) 일 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물 공급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제빙 케이스(2)에 물을 직접 공급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종래보다 물 공급 경로가 단축되어 이물질의 혼합이나 세균의 오염 확률이 줄어들어 보다 위생적인 물 공급이 가능해진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보관 용기(10)의 상측을 덮는 제1커버(400)와, 상기 제1커버(400)를 덮는 제2커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관 용기(1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며 상기 제1커버(400)가 상기 보관 용기(10) 상측을 덮고, 제2커버(500)가 제1커버(400)를 덮게 된다. 이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직접 급수 유닛(600)은 상기 제1커버(40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직접 급수 유닛(600)이 제2커버(500)에 의해 덮여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직접 급수 유닛(600)이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위생상 도움이 된다.
상기 제1커버(400)는 상기 보관 용기(10)를 덮는 판체 형상의 제1커버 본체(410)와, 상기 제1커버 본체(410)에 형성되고 상기 제빙 케이스(2) 상에 배치되는 배관 설치공(420)과, 상기 제1커버 본체(410)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직접 급수 유닛(600)을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B)을 포함한다.
상기 직접 급수 유닛(600)은 외부의 물 공급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작동부(610)와, 상기 작동부(610)에 연결되고 상기 배관 설치공(420)에 삽입되는 투입 배관(630)과, 상기 작동부(610)가 지지되는 밸브 브라켓(640)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부(610)는 물 공급부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 물 공급부(도시되지 않음)와 투입 배관(630) 사이에 구비되어 물이 유동하는 밸브부(612)와, 상기 밸브부(612)를 구동하여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구동부(611)와, 상기 밸브부(612)와 구동부(611)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613)을 포함한다. 즉, 밸브부(612) 내부에 물이 유동하며, 상기 구동부(611)는 밸브부(612) 내부에 구비되는 개폐 도구를 작동하여 밸브부(612) 내부의 유동을 단속한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611)가 개폐 도구를 작동하여 밸브부(612) 내부를 오픈하면 물의 유동이 허용되고, 반대로 밸브부(612) 내부를 닫게 하면 물의 허용이 금지된다. 상기 구동부(611)는 널리 알려진 전동 모터 혹은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밸브부(612)의 일 측은 외부의 물 공급부와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투입 배관(630)과 연결된다. 즉, 상기 외부 물 공급부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밸브부(612)와 투입 배관(630)을 거쳐 상기 제빙 케이스(2) 내부에 물을 공급한다. 상기 투입 배관(630)은 제1커버(400)의 배관 설치공(420)을 통해 제빙 케이스(2) 측으로 진입한다. 상기 투입 배관(630)을 통해 물이 공급되어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빙 케이스(2)로 물이 공급된다.
이러한 작동부(610)에는 밸브 브라켓(640)이 구비된다. 상기 밸브 브라켓(640)은 상기 연결부(613)에서 구동부(6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부(611)와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2밸브 브라켓(642)과, 상기 제2밸브 브라켓(642)의 끝단에서 절곡되고 상기 구동부(611)의 끝단을 덮는 제1밸브 브라켓(64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커버(400)에 구비되는 지지 브라켓(B)은 상기 제1커버 본체(410) 상에 구비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1지지 브라켓(430) 및 제2지지 브라켓(4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 브라켓(430)은 상기 제1커버 본체(410) 상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제1지지 브라켓 본체(431)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지지 브라켓 본체(431)의 상단에는 지지홈(432)이 요홈되게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홈(432)에 상기 밸브부(612)가 안착된다. 즉, 상기 밸브부(6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지지홈(432) 역시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밸브부(612)가 상기 지지홈(432)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 브라켓(440)은 상기 제1커버 본체(410) 상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제2지지 브라켓 본체(441)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지지 브라켓 본체(441) 사이에 상기 구동부(611)가 끼움된다.
이때, 상기 제2지지 브라켓 본체(441) 중 하나의 외측에 상기 제2 밸브 브라켓(642)가 배치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좌측에 배치되는 제2지지 브라켓 본체(441) 외측에 상기 제2 밸브 브라켓(642)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직접 급수 유닛(600)이 안정적으로 제1커버(400) 상에 배치된다.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관 용기(10)는 하우징(C) 내부에 배치되고 제빙 유닛(I)이 인접하는 베이스 바디(300)와, 상기 베이스 바디(300)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는 메인 바디(20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바디(200)는 상기 베이스 바디(300) 내부에 삽입되는 아이스 바스켓 수용부(210)와, 상기 제빙 유닛(I)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빙 유닛(I)의 제빙 케이스(2)가 내부에 수용되는 제빙 케이스 수용부(220)를 포함하되, 상기 아이스 바스켓 수용부(210)와 제빙 케이스 수용부(220)의 맞닿는 면은 상호 연통된다.
상기 메인 바디(200)의 상측에 상기 제1커버(400)가 배치되고, 상기 메인 바디(200)의 일 측면에 간접 급수 유닛(700)이 배치되며, 상기 간접 급수 유닛(700)은 상기 메인 바디(200)의 하측 일부에 구비된 복귀 배관(240)으로부터 물을 이송받아 상기 제빙 케이스(2)측으로 물을 투입한다.
즉, 종래 기술과 동일하게 제빙 유닛(I)에 의해 얼음이 생산되어 1차적으로 제빙 케이스(2)에 담겨진 후 메인 바디(200)에 담겨진다. 상기 메인 바디(200) 내부에는 추가적으로 아이스 바스켓(100, 도 2참조)이 구비되어 상기 생산된 얼음이 상기 아이스 바스켓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아이스 바스켓 또는 메인 바디(200)에 저장된 얼음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물로 변환되어 잔존할 수 있다. 상기 잔존한 물을 회수하여 다시 얼음을 만드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 바디(200)에는 복귀 배관(240)이 형성되어 상술된 바와 같이 간접 급수 윤닛(700)과 연결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아이스 바스켓이 메인 바디(200)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아이스 바스켓의 바닥면이 상기 메인 바디와 연통되게 하여 상기 아이스 바스켓에 저장된 얼음이 물로 변환한 후 상기 메인 바디(200)로 집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술된 바와 같이 얼음이 녹아 생성된 물을 다시 얼음으로 제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간접 급수 유닛(700)은 상기 메인 바디(200)의 개방부(212)에 끼움되는 판체 형상의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와,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에 구비되는 급수부(720)와,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의 일 측에 구비되어 급수 여부를 감지하는 급수 감지부(7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간접 급수 유닛(700)은 메인 바디(200)의 개방부(212)에 설치되어 메인 바디(200)에서 회수되는 물을 제빙 케이스(2)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바디(200)는 상술된 하우징(C,도 3참조) 내부에 구비되므로 상기 간접 급수 유닛(700)은 외부와 단절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720)는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 중 메인 바디(200) 외측면 방향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복귀 배관(240)과 연결되는 연결 배관(722)과,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 배관(722)이 연통되며 일 측면은 메인 바디(200) 내측면과 연통되는 투입 배관(721)을 포함한다. 즉, 상기 개방부(212)에 상기 판체 형상의 간접 급수부 본체(710)가 설치된다. 상기 간접 급수부 본체(710) 중 메인 바디(200) 외측면 방향 측면에 상기 연결 배관(722)이 구비되고, 상기 간접 급수부 본체(710)의 하측면에 상기 투입 배관(721)이 설치된다. 상기 투입 배관(721) 중 도면상 좌측(도 11 참조)은 상기 연결 배관(722)과 연통되고, 도면상 우측(도 11 참조)은 메인 바디 내측면 방향으로 구비되어 물이 상기 메인 바디 내측으로서 제빙 케이스로 투입되도록 한다.
상기 급수 감지부(730)는 상기 투입 배관(721)에서 토출되는 물을 감지하여 급수량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급수 감지부(730)는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에 구비되는 고정부(731)와, 일 측은 상기 고정부(731)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투입 배관(721)의 토출부측에 배치되는 전극부(73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전극부(732)는 전도성 재질로서 물이 접촉하면 전기적 특성(예를 들어 저항이나 정전 용량 등)이 변화하며 이러한 전기적 특성이 변화하면 물이 투입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 시간을 확인하여 급수량을 추정한다. 상기 전극부(732)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부(731)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731)의 일측은 상기 간접 급수부 본체(710)에 고정되고, 타 측에 상기 전극부(732)가 고정된다.
상기 급수 감지부(73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에는 특정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관통공(711)과,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의 상면으로서 상기 관통공(711) 주위에 형성되고 특정 높이를 가지는 파지벽(71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731)는 바아 형상을 가지고 상기 관통공(711)에 삽입되는 삽입바아(7311)와, 상기 삽입 바아(7311)의 상단에 구비되고 직경은 상기 삽입 바아(7311)보다 크게 형성되는 헤드(7312)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파지벽(712)은 원호 형상을 가지며 일정 간격 개방된 형상인 원호부(7121)와, 상기 원호부(7121)의 개방된 부분에서 메인 바디(200) 내측면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며 일정 간격 이격된 직선부(71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극부(732)는 상기 삽입 바아(7311) 일 측에 권취되는 권취부(7312)와 상기 권취부(7312)에서 메인 바디(200) 내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7322)와, 상기 연장부(7322) 끝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투입 배관(721)의 토출부측에 배치되어 물과 접촉하는 물 접촉부(732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731)의 삽입 바아(7311)는 상기 관통공(711)에 삽입되고, 상기 헤드(7312)는 상기 파지벽(712)의 원호부(7121) 내부에 끼움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7322)는 상기 직선부(7122)사이에 끼움되며, 상기 직선부(7122)는 메인 바디(200) 내측으로 갈수록 상호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직선부(7122)에 삽입된 연장부(7322) 및 물 접촉부(7323) 역시 상호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물 접촉부(7323) 모두 투입 배관(721)의 토출부측에 배치된다.
상기 간접 급수 유닛(7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개방부(212)의 하측에는 개방부(212) 양 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 블록(21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방부(212)의 하측에는 개방부(212) 양 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 블록(21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블록(213) 사이에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투입 배관(721)이 접하는 요홈부(215)가 형성된다. 상기 요홈부(215) 일 측에는 제어부 케이스(214)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 케이스(214)에 제어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물 접촉부(7323)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급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블록(213)은 지지 블록 본체(2131)와, 상기 지지 블록 본체(2131)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731)의 삽입 바아(7311)가 삽입되는 고정부 삽입홈(2133)과, 상기 지지 블록 본체(2131)에 형성되는 걸림공(213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의 하측에는 상기 걸림공(2132)에 삽입되는 걸림부(741)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741)가 상기 걸림공(2132)에 삽입된다. 즉, 상기 걸림부(741)가 걸림공(2132)에 삽입됨에 의해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가 개방부(212)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 중 메인 바디(200) 외측면 방향 끝단에 하향 절곡되어 상기 지지 블록 본체(2131) 중 메인 바디(200) 외측면 방향 끝단에 접하는 제2걸림판(710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급수부(720)의 투입 배관(721) 하측에는 하향 돌출되어 상기 요홈부(215) 중 메인 바디(200) 내측면 방향 끝단에 걸림되는 제1걸림판(7211)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복귀 배관(240)과 연결되는 연결 배관(722)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메인 바디(200)가 수용되는 베이스 바디(300) 일 측에는 개방부(310)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방부(310)를 통해 상기 메인 바디(200)에 형성되는 복귀 배관(240)이 노출된다. 상기 노출된 복귀 배관(240)이 상기 연결 배관(722)과 연통되어 메인 본체에 잔존하는 물을 제빙 케이스 측으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410)는 상기 보관 용기(10)를 덮는 제1커버 본체(4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버 본체(410)는 상기 보관 용기(10)를 덮으며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 커버 본체(410-2)와, 상기 고정 커버 본체(410-2) 일 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 커버 본체(4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 커버 본체(410-1)가 회동하면서 보관 용기(10)를 개폐한다.
상기 고정 커버 본체(410-2)에는 샤프트 지지 브라켓(41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 커버 본체(410-1)에는 샤프트(418)가 구비된다. 상기 샤프트(418)는 상기 샤프트 지지 브라켓(416)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샤프트 지지 브라켓(416)의 상면 일 부분을 요홈되게 형성한 후, 상기 요홈된 부분에 상기 샤프트(418)을 배치한다. 즉, 상기 샤프트(418)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 커버 본체(410-1)가 상기 샤프트(418)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 회전한다.
상기 샤프트 지지 브라켓(4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판체로서 상호 이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418)의 양 측면에 돌출부(419)가 형성되어 샤프트 지지 브라켓(416)의 요홈된 면에 안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 커버 본체(410-1)의 개폐시 보관 용기(10)와 충돌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419)의 일 측이 삽입되고 샤프트 지지 브라켓(416) 일 측에 구비되는 로터리 댐퍼(4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댐퍼(ROTARY DAMPER)라고 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닫기 동작 시 감쇄력이 작용되어 충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겨웅 상기 돌출부(419)에 상기 로터리 댐퍼(417)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 커버 본체(410-1)가 닫힐 때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터리 댐퍼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예를 들어 한국 등록 특허 제10-1289151호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아이스 바스켓 200 : 메인 바디
210 : 아이스 바스켓 수용부 220 : 제빙 케이스 수용부
300 : 베이스 바디 400 : 제1커버
500 : 제2커버 600 : 직접 급수 유닛
610 : 작동부 611 : 구동부
612 : 밸브부 613 : 연결부
630 : 투입 배관 640 : 밸브 브라켓
700 : 간접 급수 유닛 710 : 간접 급수 유닛 본체
720 : 급수부 730 : 급수 감지부

Claims (7)

  1. 냉매를 순환하여 제빙하는 제빙 유닛(I)과, 상기 제빙 유닛(I)이 담겨지는 보관 용기(10)와, 상기 보관 용기(10)를 덮는 커버(20)와, 상기 커버(20) 일 측에 구비되어 물을 상기 제빙 유닛(I)의 제빙 케이스(2)에 직접 투입하는 직접 급수 유닛(600)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20)는 상기 보관 용기(10)의 상측을 덮는 제1커버(400)와, 상기 제1커버(400)를 덮는 제2커버(5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400)는 상기 보관 용기(10)를 덮는 제1커버 본체(410)와, 상기 제1커버 본체(410)에 형성되고 상기 제빙 케이스(2) 상에 배치되는 배관 설치공(420)과, 상기 제1커버 본체(410)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직접 급수 유닛(600)을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B)을 포함하며,
    상기 직접 급수 유닛(600)은 외부의 물 공급부에 연결되어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작동부(610)와, 상기 작동부(610)에 연결되고 상기 배관 설치공(420)에 삽입되는 투입 배관(630)을 포함하되,
    상기 보관 용기(10)는 하우징(C) 내부에 배치되고 제빙 유닛(I)이 인접하는 베이스 바디(300)와, 상기 베이스 바디(300)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는 메인 바디(20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200)는 상기 베이스 바디(300) 내부에 삽입되는 아이스 바스켓 수용부(210)와, 상기 제빙 유닛(I)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빙 유닛(I)의 제빙 케이스(2)가 내부에 수용되는 제빙 케이스 수용부(220)를 포함하되, 상기 아이스 바스켓 수용부(210)와 제빙 케이스 수용부(220)의 맞닿는 면은 상호 연통되고,
    상기 메인 바디(200)의 상측에 상기 제1커버(400)가 배치되고,
    상기 메인 바디(200)의 일 측면에 간접 급수 유닛(700)이 배치되며, 상기 간접 급수 유닛(700)은 상기 메인 바디(200)의 하측 일부에 구비된 복귀 배관(240)으로부터 물을 이송받아 상기 제빙 케이스(2)측으로 물을 투입하며,
    상기 간접 급수 유닛(700)은 상기 메인 바디(200)의 개방부(212)에 끼움되는 판체 형상의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와,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에 구비되는 급수부(720)와,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의 일 측에 구비되어 급수 여부를 감지하는 급수 감지부(730)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720)는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 중 메인 바디(200) 외측면 방향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복귀 배관(240)과 연결되는 연결 배관(722)과,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 배관(722)이 연통되며 일 측면은 메인 바디(200) 내측면과 연통되는 투입 배관(721)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 감지부(730)는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에 구비되는 고정부(731)와, 일 측은 상기 고정부(731)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투입 배관(721)의 토출부측에 배치되는 전극부(732)를 포함하는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 급수 유닛(600)은 상기 작동부(610)가 지지되는 밸브 브라켓(6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610)는 외부 물 공급부와 투입 배관(630) 사이에 구비되어 물이 유동하는 밸브부(612)와, 상기 밸브부(612)를 구동하여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구동부(611)와, 상기 밸브부(612)와 구동부(611)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613)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브라켓(640)은 상기 연결부(613)에서 구동부(6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부(611)와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2밸브 브라켓(642)과, 상기 제2밸브 브라켓(642)의 끝단에서 절곡되고 상기 구동부(611)의 끝단을 덮는 제1밸브 브라켓(641)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브라켓(B)은 상기 제1커버 본체(410) 상에 구비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1지지 브라켓(430) 및 제2지지 브라켓(4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 브라켓(430)은 상기 제1커버 본체(410) 상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단에는 지지홈(432)이 요홈되게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밸브부(612)가 안착되는 한 쌍의 제1지지 브라켓 본체(431)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 브라켓(440)은 상기 제1커버 본체(410) 상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제2지지 브라켓 본체(441)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지지 브라켓 본체(441) 사이에 상기 구동부(611)가 끼움되고, 상기 제2지지 브라켓 본체(441) 중 하나의 외측에 상기 제2 밸브 브라켓(642)가 배치되는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에는 특정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관통공(711)과,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의 상면으로서 상기 관통공(711) 주위에 형성되고 특정 높이를 가지는 파지벽(712)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731)는 바아 형상을 가지고 상기 관통공(711)에 삽입되는 삽입바아(7311)와, 상기 삽입 바아(7311)의 상단에 구비되고 직경은 상기 삽입 바아(7311)보다 크게 형성되는 헤드(7312)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벽(712)은 원호 형상을 가지며 일정 간격 개방된 형상인 원호부(7121)와, 상기 원호부(7121)의 개방된 부분에서 메인 바디(200) 내측면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며 일정 간격 이격된 직선부(7122)를 포함하여,
    상기 전극부(732)는 상기 삽입 바아(7311) 일 측에 권취되는 권취부(7312)와 상기 권취부(7312)에서 메인 바디(200) 내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7322)와, 상기 연장부(7322) 끝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투입 배관(721)의 토출부측에 배치되어 물과 접촉하는 물 접촉부(7323)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부(731)의 삽입 바아(7311)는 상기 관통공(711)에 삽입되고, 상기 헤드(7312)는 상기 파지벽(712)의 원호부(7121) 내부에 끼움되며, 상기 연장부(7322)는 상기 직선부(7122)사이에 끼움되며,
    상기 직선부(7122)는 메인 바디(200) 내측으로 갈수록 상호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직선부(7122)에 삽입된 연장부(7322) 및 물 접촉부(7323) 역시 상호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물 접촉부(7323) 모두 투입 배관(721)의 토출부측에 배치되는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212)의 하측에는 개방부(212) 양 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 블록(21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블록(213) 사이에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투입 배관(721)이 접하는 요홈부(215)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블록(213)은 지지 블록 본체(2131)와, 상기 지지 블록 본체(2131)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731)의 삽입 바아(7311)가 삽입되는 고정부 삽입홈(2133)과, 상기 지지 블록 본체(2131)에 형성되는 걸림공(2132)을 포함하며,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의 하측에는 상기 걸림공(2132)에 삽입되는 걸림부(741)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741)가 상기 걸림공(2132)에 삽입되고,
    상기 간접 급수 유닛 본체(710) 중 메인 바디(200) 외측면 방향 끝단에 하향 절곡되어 상기 지지 블록 본체(2131) 중 메인 바디(200) 외측면 방향 끝단에 접하는 제2걸림판(7101)과,
    상기 급수부(720)의 투입 배관(721) 하측에는 하향 돌출되어 상기 요홈부(215) 중 메인 바디(200) 내측면 방향 끝단에 걸림되는 제1걸림판(7211)이 형성되는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200)가 수용되는 베이스 바디(300) 일 측에는 개방부(310)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 바디(200)에 형성되는 복귀 배관(240)이 노출되고, 상기 노출된 복귀 배관(240)이 상기 연결 배관(722)과 연통되는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
KR1020190179065A 2019-12-31 2019-12-31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 KR102106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065A KR102106788B1 (ko) 2019-12-31 2019-12-31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065A KR102106788B1 (ko) 2019-12-31 2019-12-31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788B1 true KR102106788B1 (ko) 2020-05-06

Family

ID=7073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065A KR102106788B1 (ko) 2019-12-31 2019-12-31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7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485B1 (ko) 2020-12-02 2021-04-30 주식회사 에이스앤테크 이중 살균 방식의 제빙기
KR102349517B1 (ko) 2021-05-18 2022-01-12 주식회사 디알텍 상면 부착 방식의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빙기
KR20230014918A (ko) 2021-07-21 2023-01-31 주식회사 디알텍 투하판이 구비되는 제빙기
KR20230036917A (ko) 2021-09-08 2023-03-15 주식회사 에이스앤테크 물 순환 플레이트를 구비한 투명 얼음 제빙기
KR20230120032A (ko) 2022-02-08 2023-08-16 주식회사 에이스앤테크 용량 지그가 구비되는 제빙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6827A (ja) * 2001-01-12 2002-07-26 Fuji Electric Co Ltd 製氷装置
KR20090099908A (ko) * 2008-03-19 2009-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458160Y1 (ko) 2009-05-07 2012-01-20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얼음 정수기
KR101275188B1 (ko) 2011-08-22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KR20140144359A (ko) 2013-06-10 2014-12-19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얼음정수기
KR101602236B1 (ko) 2013-08-12 201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KR20160041874A (ko) * 2016-03-30 2016-04-18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 정수기
KR101647651B1 (ko) 2009-11-18 2016-08-11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
KR102049947B1 (ko) * 2019-05-22 2019-11-28 정호민 살균 기능이 있는 가정용 제빙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6827A (ja) * 2001-01-12 2002-07-26 Fuji Electric Co Ltd 製氷装置
KR20090099908A (ko) * 2008-03-19 2009-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458160Y1 (ko) 2009-05-07 2012-01-20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얼음 정수기
KR101647651B1 (ko) 2009-11-18 2016-08-11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
KR101275188B1 (ko) 2011-08-22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KR20140144359A (ko) 2013-06-10 2014-12-19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얼음정수기
KR101602236B1 (ko) 2013-08-12 201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KR20160041874A (ko) * 2016-03-30 2016-04-18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 정수기
KR101696216B1 (ko) 2016-03-30 2017-01-13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 정수기
KR102049947B1 (ko) * 2019-05-22 2019-11-28 정호민 살균 기능이 있는 가정용 제빙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485B1 (ko) 2020-12-02 2021-04-30 주식회사 에이스앤테크 이중 살균 방식의 제빙기
KR102349517B1 (ko) 2021-05-18 2022-01-12 주식회사 디알텍 상면 부착 방식의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빙기
KR20230014918A (ko) 2021-07-21 2023-01-31 주식회사 디알텍 투하판이 구비되는 제빙기
KR20230036917A (ko) 2021-09-08 2023-03-15 주식회사 에이스앤테크 물 순환 플레이트를 구비한 투명 얼음 제빙기
KR20230120032A (ko) 2022-02-08 2023-08-16 주식회사 에이스앤테크 용량 지그가 구비되는 제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6788B1 (ko)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
US10047995B2 (en) 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ing device in which an ice tray rotates upside down in a tray accommodating portion
KR101188513B1 (ko) 냉장고
US11148925B2 (en) Refrigerator equipped with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ated water
US10632405B2 (en) Water purifying filter
EP2674701A2 (en) Refrigerator
EP3864356B1 (en) Refrigerator
CN101529173A (zh) 具有制冰机的冰箱
EP2908075B1 (en) Refrigerator
US20130180279A1 (en) Ice maker for a refrigerator
EP2062481A1 (en) Machine for making and dispensing frozen food products such as crushed-ice drinks, sorbets and the like
US5946924A (en) Automatic icemaker for a refrigerator
US6502406B2 (en) Device for cooling and tapping
WO2009093804A2 (en) Water supply device of refrigerator
CN110793263A (zh) 冰箱
KR100436993B1 (ko) 자동제빙기의 급수장치
KR100339534B1 (ko) 냉장고용제빙기의물공급장치및그의제어방법
KR0178879B1 (ko) 자동제빙기가 부착된 냉장고
JPH06213543A (ja) 冷蔵庫の製氷装置
JP2022019349A (ja) 液体ディスペンサ
KR950006703Y1 (ko) 냉장고 자동제빙장치의 제빙용기 지지구조
JP2022019329A (ja) 液体ディスペンサ
KR20040085751A (ko) 냉장고의 디스팬서
KR20080112702A (ko) 냉장고용 생수 공급장치
KR20040096996A (ko) 이종물질을 수용하는 뚜껑의 내용물 내입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