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917A - 물 순환 플레이트를 구비한 투명 얼음 제빙기 - Google Patents

물 순환 플레이트를 구비한 투명 얼음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917A
KR20230036917A KR1020210120008A KR20210120008A KR20230036917A KR 20230036917 A KR20230036917 A KR 20230036917A KR 1020210120008 A KR1020210120008 A KR 1020210120008A KR 20210120008 A KR20210120008 A KR 20210120008A KR 20230036917 A KR20230036917 A KR 20230036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plate
ice storage
tank body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앤테크
Priority to KR1020210120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6917A/ko
Publication of KR20230036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8Producing ice of a particular transparency or translucency, e.g. by inject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8Producing ice by immersing freezing chambers, cylindrical bodies or plates into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얼음 보관조 내측면에 다수 개의 물 순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얼음 보관조 내부에 투입된 물이 상기 물 순환 플레이트에 부딪히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순환되어 투명한 얼음으로 제조되도록 하여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도 투명 얼음이 제조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물 순환 플레이트를 구비한 투명 얼음 제빙기이다.

Description

물 순환 플레이트를 구비한 투명 얼음 제빙기{ICEMAKER FOR TRANSPARENT ICE WITH WATER CIRCULATING PLATE}
본 발명은 제빙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얼음 보관조 내측면에 다수 개의 물 순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얼음 보관조 내부에 투입된 물이 상기 물 순환 플레이트에 부딪히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순환되어 투명한 얼음으로 제조되도록 하여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도 투명 얼음이 제조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물 순환 플레이트를 구비한 투명 얼음 제빙기이다.
일반적으로 제빙기라고 하는 것은 얼음을 제조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유동하며 제빙하는 증발관(V)과, 상기 증발관(V)에 의해 제빙된 얼음이 낙하하여 보관되는 얼음 보관조(1)와, 상기 증발관(V) 및 얼음 보관조(1)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스(H)를 포함한다. 즉, 상기 얼음 보관조(1)에 투입된 물이 상기 증발관(V)에 의해 냉각되어 제빙된다. 이러한 케이스(H)상에는 커버(C)가 부착된다. 상기 커버(C)에는 급수부(C1)가 구비되어 상기 얼음 보관조(1) 측으로 물이 공급된다.
최근에는 투명한 얼음을 만들기 위해서 다양한 기술적 시도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2-0072719호에서는 선회 부재를 구비하여 물 안에서 파동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파동에 의해 물 안의 기포를 제거하여 투명 얼음을 제조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별도의 선회 부재를 구비해야 해서 구성이 복잡해지고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제빙기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2049947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2106788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2-007271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얼음 보관조 내측면에 다수 개의 물 순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얼음 보관조 내부에 투입된 물이 상기 물 순환 플레이트에 부딪히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순환되어 투명한 얼음으로 제조되도록 하여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도 투명 얼음이 제조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물 순환 플레이트를 구비한 투명 얼음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매가 유동하며 제빙하는 증발관(V)과, 상기 증발관(V)에 의해 제빙된 얼음이 낙하하여 보관되는 얼음 보관조(100)와, 상기 증발관(V) 및 얼음 보관조(100)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스(H)와, 상기 케이스(H) 상면을 덮는 커버(C)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보관조(10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의 형상이고 상기 증발관(V)이 수용되는 얼음 보관조 본체(110)와, 상기 얼음 보관조 본체(110) 내측면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물 순환 플레이트(120)를 포함하여, 상기 커버(C)에 구비된 급수부(C1)를 통해 상기 얼음 보관조 본체(110) 내부에 투입된 물이 상기 물 순환 플레이트(120)에 부딪히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순환되어 투명한 얼음으로 제조되는 물 순환 플레이트를 구비한 투명 얼음 제빙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물 순환 플레이트(120)는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열 플레이트(120-1)와, 제2열 플레이트(120-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열 플레이트(120-1)와 제2열 플레이트(120-2)는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열 플레이트(120-1)와 제2열 플레이트(120-2)는 판체 형상의 플레이트 본체(121)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 본체(121)는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 배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물 순환 플레이트(120)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121)의 일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부(124)와, 상기 플레이트 본체(121)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면 곡면부(122)와, 상기 상부 곡면부(122) 중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외측 방향 일 지점에서 얼음 보관조 본체(110) 내측면까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직선부(125)와, 상기 플레이트 본체(121)의 하측에 형성되어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바닥면에 접하는 하부 곡면부(123)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124)는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폭 방향 중심측에 배치되어 제1열 플레이트(120-1)와 제2열 플레이트(120-2)의 수직부(124)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열 플레이트(120-1)의 수직부(124-1)와 제2열 플레이트(120-2)의 수직부(124-2) 사이의 수평 방향 거리(D1)와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폭 방향 내측면 수평 방향 거리(D2)의 비율(D1/D2)은 0.2 내지 0.3이고, 상기 상부 직선부(125)는 상기 상부 곡면부(122)의 일 지점에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일 지점에서 수직부(124)까지의 수평 방향 직선 거리(D3)와 상기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폭 방향 내측면 수평 방향 거리(D2)의 비율(D3/D2)은 0.25 내지 0.3이며, 상기 수직부(124)의 높이(D4)와 상기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내측 바닥면에서 상기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상부 개방면까지의 수직 방향 높이(D5)의 비율(D4/D5)은 0.1 내지 0.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상기 제1열 플레이트(120-1)는 얼음 보관조 본체(110) 중 급수부(C1) 방향에 배치되고, 제2열 플레이트(120-2)는 얼음 보관조 본체(110) 중 급수부(C1) 반대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제1열 플레이트(120-1)와 얼음 보관조 본체(110) 내측면 사이 거리(L1)와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폭 방향 내측면 수평 방향 거리(D2)의 비율(L1/D2)은 0.001 내지 0.002이고, 상기 제2열 플레이트(120-2)와 얼음 보관조 본체(110) 내측면 사이 거리(L2)와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폭 방향 내측면 수평 방향 거리(D2)의 비율(L2/D2)은 0.004 내지 0.005이며, 상기 제1열 플레이트(120-1) 또는 제2열 플레이트(120-2)의 플레이트 본체(121) 사이 거리(L3)와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길이 방향 내측면 사이 거리(D6)의 비율(L3/D6)은 0.09 내지 0.1이며, 상기 플레이트 본체(121)의 두께(L4)와 플레이트 본체(121) 사이 거리(L3)의 비율(L4/L3)은 0.05 내지 0.06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종래보다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도 투명 얼음이 제조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제빙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 보관조에 대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 보관조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 보관조에 대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도 1에 도시된 증발관(V)과 케이스(H) 및 커버(C)를 포함한다. 상기 증발관(V)은 냉매가 유동하며 제빙한다. 상기 케이스(H) 내부에 상기 증발관(V)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H) 상부에 커버(C)가 구비된다. 이러한 케이스(H)와 커버(C) 그리고 증발관(V)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케이스(H)에 얼음 보관조(100)가 구비된다. 이러한 얼음 보관조(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중공의 형상이고 상기 증발관(V)이 수용되는 얼음 보관조 본체(1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얼음 보관조 본체(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얼음 보관조 본체(110) 내측면에 다수 개의 물 순환 플레이트(120)가 구비된다. 이때, 커버(C)에 구비된 급수부(C1)를 통해 상기 얼음 보관조 본체(110) 내부에 투입된 물이 상기 물 순환 플레이트(120)에 부딪히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순환되어 투명한 얼음으로 제조된다.
종래에는 투명 얼음을 제조하기 위해 소정의 선회 부재를 구비하여 물 안에서 파동을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선회 부재로서 팬 부재 등을 설치한 후 상기 팬 부재를 구동하여 물 안에서 파동을 발생한다. 이러한 파동에 의해 물 안의 기포를 제거하여 투명 얼음을 제조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별도의 선회 부재를 구비해야 하는 관계로 구성이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제조 원가 또한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얼음 보관조 본체(110) 내측면에 다수 개의 물 순환 플레이트(120)가 구비된다. 이때, 커버(C)에 구비된 급수부(C1)를 통해 상기 얼음 보관조 본체(110) 내부에 투입된 물이 상기 물 순환 플레이트(120)에 부딪히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순환되어 투명한 얼음으로 제조된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얼음 보관조 본체(110) 내부에 물 순환 플레이트(120)를 형성하면 이러한 물 순환 플레이트(120)에 의해 물에 파동이 발생하게 되어 투명 얼음을 제조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달리 별도의 구성이 필요없어 구성이 단순해지고 이에 따라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물 순환 플레이트(120)는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열 플레이트(120-1)와, 제2열 플레이트(120-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물 순환 플레이트(120)는 1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폭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열 플레이트(120-1)와 제2열 플레이트(120-2)는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열 플레이트(120-1)와 제2열 플레이트(120-2)는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때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열 플레이트(120-1)와 제2열 플레이트(120-2)는 판체 형상의 플레이트 본체(121)를 포함한다. 이러한 플레이트 본체(121)는 얇은 두께를 가지는 형상으로 직립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열 플레이트(120-1)와 제2열 플레이트(120-2)의 플레이트 본체(121)는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플레이트 본체(121)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플레이트 본체(121)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고 폭 방향으로도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급수부에서 급수된 물이 플레이트 본체(121)에 충돌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물에 파동이 발생하게 되어 투명 얼음을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물 순환 플레이트(120)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121)의 일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부(124)와, 상기 플레이트 본체(121)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면 곡면부(122)와, 상기 플레이트 본체(121)의 하측에 형성되어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바닥면에 접하는 하부 곡면부(123)를 포함한다. 이때, 상면 곡면부(122) 중 일부는 상부 직선부(125)가 수평 방향이고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직선부(125)는 상기 상부 곡면부(122) 중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외측 방향 일 지점(P)에서 얼음 보관조 본체(110) 내측면까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직부(124)는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폭 방향 중심측에 배치되어 제1열 플레이트(120-1)와 제2열 플레이트(120-2)의 수직부(124)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열 플레이트(120-1)의 수직부(124-1)와 제2열 플레이트(120-2)의 수직부(124-2) 사이의 수평 방향 거리(D1)와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폭 방향 내측면 수평 방향 거리(D2)의 비율(D1/D2)은 0.2 내지 0.3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급수부를 통해 투입된 물은 제1열 플레이트(120-1)와 제2열 플레이트(120-2)를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 순환되며 이때, 상기 제1열 플레이트(120-1)와 제2열 플레이트(120-2) 사이 거리 즉, 수직부 사이의 거리 비율을 상술된 바와 같이 폭 방향 내측면 수평 방향 거리(D2)의 비율(D1/D2)을 기준으로 0.2 내지 0.3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실험 결과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상부 직선부(125)는 상기 상부 곡면부(122)의 일 지점(P)에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일 지점에서 수직부(124)까지의 수평 방향 직선 거리(D3)와 상기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폭 방향 내측면 수평 방향 거리(D2)의 비율(D3/D2)은 0.25 내지 0.3인 것이 물이 다양한 방향으로 순회하는 최적의 형상임이 실험 결과 확인되었다.
한편, 상술된 플레이트 본체(121)에 물이 충돌하면서 물이 다양한 방향으로 순회하는데, 이때, 상기 플레이트 본체(121)의 높이가 중요하다. 실험 결과 상기 수직부(124)의 높이(D4)와 상기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내측 바닥면에서 상기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상부 개방면까지의 수직 방향 높이(D5)의 비율(D4/D5)은 0.1 내지 0.2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상기 제1열 플레이트(120-1)는 얼음 보관조 본체(110) 중 급수부(C1) 방향에 배치되고, 제2열 플레이트(120-2)는 얼음 보관조 본체(110) 중 급수부(C1)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급수부를 통해 투입된 물은 1차적으로 제1열 플레이트(120-1)에 충돌하므로 상기 제1열 플레이트(120-1)와 얼음 보관조 본체(110) 내측면 사이 거리(L1)와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폭 방향 내측면 수평 방향 거리(D2)의 비율(L1/D2)은 0.001 내지 0.002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제2열 플레이트(120-2)와 얼음 보관조 본체(110) 내측면 사이 거리(L2)와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폭 방향 내측면 수평 방향 거리(D2)의 비율(L2/D2)은 0.004 내지 0.005인 것이 확인되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본체(121)는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 배치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다. 이때, 상기 제1열 플레이트(120-1) 또는 제2열 플레이트(120-2)의 플레이트 본체(121) 사이 거리(L3)와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길이 방향 내측면 사이 거리(D6)의 비율(L3/D6)은 0.09 내지 0.1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실험 결과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본체(121)의 두께(L4)와 플레이트 본체(121) 사이 거리(L3)의 비율(L4/L3)은 0.05 내지 0.06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실험 결과 확인되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얼음 보관조 110 : 얼음 보관조 본체
120 : 물 순환 플레이트 121 : 플레이트 본체

Claims (4)

  1. 냉매가 유동하며 제빙하는 증발관(V)과, 상기 증발관(V)에 의해 제빙된 얼음이 낙하하여 보관되는 얼음 보관조(100)와, 상기 증발관(V) 및 얼음 보관조(100)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스(H)와, 상기 케이스(H) 상면을 덮는 커버(C)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보관조(10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의 형상이고 상기 증발관(V)이 수용되는 얼음 보관조 본체(110)와,
    상기 얼음 보관조 본체(110) 내측면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물 순환 플레이트(120)를 포함하여,
    상기 커버(C)에 구비된 급수부(C1)를 통해 상기 얼음 보관조 본체(110) 내부에 투입된 물이 상기 물 순환 플레이트(120)에 부딪히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순환되어 투명한 얼음으로 제조되는 물 순환 플레이트를 구비한 투명 얼음 제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순환 플레이트(120)는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열 플레이트(120-1)와, 제2열 플레이트(120-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열 플레이트(120-1)와 제2열 플레이트(120-2)는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열 플레이트(120-1)와 제2열 플레이트(120-2)는 판체 형상의 플레이트 본체(121)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 본체(121)는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 배치되는 물 순환 플레이트를 구비한 투명 얼음 제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 순환 플레이트(120)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121)의 일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부(124)와, 상기 플레이트 본체(121)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면 곡면부(122)와, 상기 상부 곡면부(122) 중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외측 방향 일 지점에서 얼음 보관조 본체(110) 내측면까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직선부(125)와, 상기 플레이트 본체(121)의 하측에 형성되어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바닥면에 접하는 하부 곡면부(123)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124)는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폭 방향 중심측에 배치되어 제1열 플레이트(120-1)와 제2열 플레이트(120-2)의 수직부(124)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열 플레이트(120-1)의 수직부(124-1)와 제2열 플레이트(120-2)의 수직부(124-2) 사이의 수평 방향 거리(D1)와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폭 방향 내측면 수평 방향 거리(D2)의 비율(D1/D2)은 0.2 내지 0.3이고,
    상기 상부 직선부(125)는 상기 상부 곡면부(122)의 일 지점에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일 지점에서 수직부(124)까지의 수평 방향 직선 거리(D3)와 상기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폭 방향 내측면 수평 방향 거리(D2)의 비율(D3/D2)은 0.25 내지 0.3이며,
    상기 수직부(124)의 높이(D4)와 상기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내측 바닥면에서 상기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상부 개방면까지의 수직 방향 높이(D5)의 비율(D4/D5)은 0.1 내지 0.2인 물 순환 플레이트를 구비한 투명 얼음 제빙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 플레이트(120-1)는 얼음 보관조 본체(110) 중 급수부(C1) 방향에 배치되고, 제2열 플레이트(120-2)는 얼음 보관조 본체(110) 중 급수부(C1) 반대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제1열 플레이트(120-1)와 얼음 보관조 본체(110) 내측면 사이 거리(L1)와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폭 방향 내측면 수평 방향 거리(D2)의 비율(L1/D2)은 0.001 내지 0.002이고,
    상기 제2열 플레이트(120-2)와 얼음 보관조 본체(110) 내측면 사이 거리(L2)와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폭 방향 내측면 수평 방향 거리(D2)의 비율(L2/D2)은 0.004 내지 0.005이며,
    상기 제1열 플레이트(120-1) 또는 제2열 플레이트(120-2)의 플레이트 본체(121) 사이 거리(L3)와 얼음 보관조 본체(110)의 길이 방향 내측면 사이 거리(D6)의 비율(L3/D6)은 0.09 내지 0.1이며,
    상기 플레이트 본체(121)의 두께(L4)와 플레이트 본체(121) 사이 거리(L3)의 비율(L4/L3)은 0.05 내지 0.06인 물 순환 플레이트를 구비한 투명 얼음 제빙기.
KR1020210120008A 2021-09-08 2021-09-08 물 순환 플레이트를 구비한 투명 얼음 제빙기 KR20230036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008A KR20230036917A (ko) 2021-09-08 2021-09-08 물 순환 플레이트를 구비한 투명 얼음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008A KR20230036917A (ko) 2021-09-08 2021-09-08 물 순환 플레이트를 구비한 투명 얼음 제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917A true KR20230036917A (ko) 2023-03-15

Family

ID=85512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008A KR20230036917A (ko) 2021-09-08 2021-09-08 물 순환 플레이트를 구비한 투명 얼음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691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719A (ko) 2010-12-24 2012-07-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제빙기
KR102049947B1 (ko) 2019-05-22 2019-11-28 정호민 살균 기능이 있는 가정용 제빙기
KR102106788B1 (ko) 2019-12-31 2020-05-06 정호민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719A (ko) 2010-12-24 2012-07-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제빙기
KR102049947B1 (ko) 2019-05-22 2019-11-28 정호민 살균 기능이 있는 가정용 제빙기
KR102106788B1 (ko) 2019-12-31 2020-05-06 정호민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116321A (ja) 電池パックの冷却構造
JP2019526023A (ja) 加湿量が向上された浮遊式加湿器
JP2014078517A (ja) 電池パックの冷却構造
KR20230036917A (ko) 물 순환 플레이트를 구비한 투명 얼음 제빙기
US3240265A (en) Refrigeration evaporator system of the flooded type
US1060236A (en) Bath apparatus.
JP2018086488A5 (ko)
JPH11333065A (ja) パチンコ機
US4069065A (en)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crystallization of sugar
KR102169656B1 (ko) 저온공기순환 숙성장치
KR200382083Y1 (ko) 특수강의 연속 열처리장치
JP2018099558A5 (ko)
JP6827293B2 (ja) 熱交換器
SU558055A1 (ru) Ванна дл охлаждени прокатных изделий
KR102529409B1 (ko) 인큐베이터
KR101317072B1 (ko) 서랍식 저장고의 증발관 구조 및 서랍식 저장고의 냉매순환방법
JPH0289978A (ja) 冷蔵庫
US20230349618A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US1043956A (en) Game-board.
JPS6146377Y2 (ko)
US790269A (en) Furnace-wall construction.
US1262068A (en) Water-evaporator.
KR900008088Y1 (ko) 냉각탑의 충진물
JPH0933155A (ja) 冷蔵庫
USD229101S (en) Controlled temperature ch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