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517B1 - 상면 부착 방식의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빙기 - Google Patents

상면 부착 방식의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517B1
KR102349517B1 KR1020210064166A KR20210064166A KR102349517B1 KR 102349517 B1 KR102349517 B1 KR 102349517B1 KR 1020210064166 A KR1020210064166 A KR 1020210064166A KR 20210064166 A KR20210064166 A KR 20210064166A KR 102349517 B1 KR102349517 B1 KR 102349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ll
outer partition
evaporation tube
ice mak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9517B9 (ko
Inventor
정병욱
김익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알텍
Priority to KR1020210064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5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517B1/ko
Publication of KR10234951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517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8Producing ice by immersing freezing chambers, cylindrical bodies or plates into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2Geometry probl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8Sticking or clogging of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지지 브라켓을 제빙기의 증발관 상면에만 구비하는 구성에 의해 상기 제빙 바아에 의해 생성된 얼음과 교착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제빙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상면 부착 방식의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빙기이다.

Description

상면 부착 방식의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빙기{ICE MAKER WITH SUPPORTING BRACKET OF UPPER ATTACHING TYPE}
본 발명은 제빙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지지 브라켓을 제빙기의 증발관 상면에만 구비하는 구성에 의해 상기 제빙 바아에 의해 생성된 얼음과 교착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제빙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상면 부착 방식의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빙기이다.
일반적으로 제빙 장치라고 하는 것은 얼음을 제조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H)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관(V)을 포함한다. 상기 증발관(V)에는 냉매가 투입되어 상기 증발관(V)의 제빙 바아(E) 주위의 물을 얼리게 되어 제빙한다. 상기 증발관(V)는 한 쌍의 직선부(V2)와 상기 직선부(V2) 사이를 연결하는 곡면부(V1)를 포함한다. 이러한 증발관(V)은 브라켓(B)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B)은 직선부(V2) 상측면에 걸쳐지는 상부 브라켓(B1)과, 직선부 하측면에 부착되는 하부 브라켓(B2)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브라켓(B1)과 하부 브라켓(B2)은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 브라켓(B1)에는 연장부(B3)가 형성되어 하우징(H)에 고정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상기 증발관(V)과 제빙 바아(E)에 의해 제빙될 때 상기 하부 브라켓(B2)의 하측면에도 얼음(I)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브라켓(B2)의 하측면에 얼음이 생성되면 상기 제빙 바아(E) 주위에 형성되는 얼음과 교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빙 바아(E) 주위에 정상적으로 제빙된 얼음이 상기 하부 브라켓(B2)에 형성된 얼음으로 인해 제빙 바아(E)로부터 이격되지 않아 제빙기의 제빙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제빙 장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2049947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210678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 브라켓을 제빙기의 증발관 상면에만 구비하는 구성에 의해 상기 제빙 바아에 의해 생성된 얼음과 교착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제빙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상면 부착 방식의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빙기의 증발관(V)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관(V)을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100)으로서, 상기 지지 브라켓(100)은 상기 증발관(V)의 곡면부(V1) 및 상기 곡면부(V1) 양 측단에 구비되는 직선부(V2)의 상면 중 일부를 덮는 브라켓 본체(110)와, 상기 브라켓 본체(110) 일 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증발관(V)이 구비되는 하우징(H)에 고정되는 연장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본체(110)는 U자 형상을 가지며 중공이고 하측과 양 측단은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상면 부착 방식의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빙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브라켓 본체(110)는 판체 형상으로 직립되고 길이 방향으로 U자 형상을 가지는 내측 격벽(111)과, 판체 형상으로 직립되고 길이 방향으로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측 격벽(11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는 외측 격벽(112)과, 상기 내측 격벽(111) 및 외측 격벽(112)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판체부(113)를 포함함여, 상기 내측 격벽(111)과 외측 격벽(112) 사이에 상기 증발관(V)이 구비된다.
상기에서, 상기 외측 격벽(112)의 상단부에 걸림부(114)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14)는 외측 격벽(112)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다수 개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14)의 상단은 내측 격벽(111)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형상이고, 상기 외측 격벽(112) 중 증발관(V)의 곡면부(V1)가 접하는 부분에는 길이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방부(115)가 형성되어 상기 곡면부(V1)가 노출된다.
상기에서, 상기 개방부(115)를 통해 노출되는 판체부(113)에서 개방부(115) 방향으로 곡면 돌출부(118)가 돌출하고 상기 곡면 돌출부(118)의 돌출된 끝면은 특정 곡률을 가지며, 상기 걸림부(114)는 외측 격벽(112)의 양측 끝단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걸림부(1141)와, 상기 개방부(115) 양 측에 인접하는 외측 격벽(112)의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걸림부(1142)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 돌출부(118)는 상기 개방부(115) 양 측의 외측 격벽(1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걸림부(1141)가 형성된 외측 격벽(112) 및 판체부(113)사이에는 일정 거리 만큼 이격된 제1이격부(117)가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부(1142)가 형성된 외측 격벽(112) 및 판체부(113)사이에는 일정 거리 만큼 이격된 제2이격부(116)가 형성되며, 상기 제2이격부(116)는 제21이격부(1161)와 제22이격부(1162)를 포함하며, 상기 제21이격부(1161)는 상기 제2걸림부(1142)가 형성된 외측 격벽(112) 및 판체부(113)사이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2이격부(1162)는 상기 제2걸림부(1142)가 형성된 외측 격벽(112) 끝단과 곡면 돌출부(118) 측면사이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연장부(120)는 상기 브라켓 본체(110)의 외측 격벽(112)에서 돌출되고 판체 형상인 연장부 본체(121)와, 상기 외측 격벽(112)과 연장부 본체(121)사이에 형성되는 보강 리브(122)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H)은 상기 증발관(V)이 수용되는 하우징 본체(H1)와 상기 하우징 본체(H1)와, 상기 하우징 본체(H1)의 상면 두께면에서 요홈되게 형성되는 요홈부(H2)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 본체(121)에는 고정구(F)가 구비되고, 상기 요홈부(H2)의 바닥면에는 고정공(H2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F)가 상기 고정공(H21)에 삽입되어 상기 연장부 본체(121)가 고정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빙기는 상기 증발관(V)에 구비되는 팬 유닛(3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팬 유닛(300)은 상기 증발관(V) 중 한 쌍의 직선부(V2) 상면에 걸쳐서 구비되는 고정 바아(310)와, 상기 고정 바아(310) 저면에 구비되고 한 쌍의 직선부(V2)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부(320)와, 상기 구동부(320)의 하측에 구비되는 팬 형상의 가진부(33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고정 바아(310)에는 삽입공(311)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311)을 통해 상기 구동부(320) 내부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이 투입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제빙된 얼음의 교착을 방지하여 제빙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제빙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증발기와 지지 브라켓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증발기에 대해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증발기와 지지 브라켓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하우징에 대한 일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팬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기의 증발관(V)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관(V)을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10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브라켓(100)은 상기 증발관(V)의 곡면부(V1) 및 상기 곡면부(V1) 양 측단에 구비되는 직선부(V2)의 상면 중 일부를 덮는 브라켓 본체(110)와, 상기 브라켓 본체(110) 일 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증발관(V)이 구비되는 하우징(H)에 고정되는 연장부(12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지지 브라켓(100)은 증발관(V)의 곡면부(V1) 및 직선부(V2) 상면을 덮는 것이다. 종래의 브라켓(B)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직선부(V2) 상측면에 걸쳐지는 상부 브라켓(B1)과, 직선부 하측면에 부착되는 하부 브라켓(B2)을 포함한다. (도 1 참조) 이러한 종래의 브라켓은 하부 브라켓에 얼음이 생성되어 주위 얼음과 교착된다. 따라서, 제빙 바아(E) 주위에 정상적으로 제빙된 얼음이 상기 하부 브라켓(B2)에 형성된 얼음과 교착됨으로 인해 제빙 바아(E)로부터 이격되지 않아 제빙기의 제빙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증발관(V)의 곡면부(V1) 및 직선부(V2)의 상면에만 지지 브라켓(100)이 설치되어 종래와 같이 브라켓의 하측면에 얼음이 생성되지 않아 주위의 얼음(즉, 정상적인 얼음)과 교착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정상적으로 형성된 얼음이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할 수 있어 제빙 효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 본체(110)는 U자 형상을 가지며 중공이고 하측과 양 측단은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브라켓 본체(110)는 증발관(V)의 상측에 하강하면서 상기 증발관(V)의 상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브라켓 본체(110)는 상술된 바와 같이 하측이 개방되어 증발관(V)이 내부에 삽입된다.
이러한 브라켓 본체(110)는 내측 격벽(111)과 외측 격벽(112) 그리고 판체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격벽(111)은 판체 형상을 가지며 직립되고 길이 방향으로 U자 형상을 가진다. 상기 외측 격벽(112) 역시 판체 형상을 가지며 직립되고 길이 방향으로 U자 형상을 가진다. 다만, 상기 외측 격벽(112)은 상기 내측 격벽(11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는 관계로 상기 외측 격벽(112)의 길이와 곡률은 내측 격벽(111)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판체부(113)는 상기 내측 격벽(111) 및 외측 격벽(112)의 상단부를 연결한다. 이러한 내측 격벽(111)과 외측 격벽(112) 사이에 상기 증발관(V)이 구비되고, 상기 증발관(V)의 상측면은 판체부(113)가 대향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증발관(V)은 내측 격벽(111)과 외측 격벽(11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100)과 증발관(V)을 상호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상기 외측 격벽(112)의 상단부에 걸림부(114)가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부(114)는 외측 격벽(112)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다수 개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14)의 상단은 내측 격벽(111)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형상을 가진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14)의 상단은 내측 격벽(111)으로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후크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걸림부(114)가 증발관(V) 하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증발관(V)과 브라켓(100)이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한편, 상기 외측 격벽(112) 중 증발관(V)의 곡면부(V1)가 접하는 부분에는 길이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방부(115)가 형성되어 상기 곡면부(V1)가 노출된다. 이러한 개방부(115)를 통해 노출되는 판체부(113)에서 개방부(115) 방향으로 곡면 돌출부(118)가 돌출하고 상기 곡면 돌출부(118)의 돌출된 끝면은 특정 곡률을 가진다. 이때, 상기 곡면 돌출부(118)는 상기 개방부(115) 양 측의 외측 격벽(112) 사이에 배치되며, 이러한 개방부(115) 및 곡면 돌출부(118)에 대해서는 따로이 설명한다.
한편, 상기 걸림부(114)는 제1걸림부(1141)와 제2걸림부(11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걸림부(1141)는 외측 격벽(112)의 양측 끝단 중 상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걸림부(1142)는 상기 개방부(115) 양 측에 인접하는 외측 격벽(112)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증발관(V)은 상기 걸림부(114)에 의해 걸림되어 지지 브라켓(100)과 상호 고정된다. 이때, 상기 증발관(V)은 상기 걸림부(114)에 1차 접촉한 상태에서 외측 격벽(112)과 내측 격벽(111) 사이 공간으로 진입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114)는 외측 방향으로 변형되어야 한다. 이후, 상기 증발관(V)이 상기 외측 격벽(112)과 내측 격벽(111) 사이 공간으로 진입한 후에는 상기 걸림부(114)가 원래 형상으로 복귀해야 상기 걸림부(114)가 증발관(V)의 하측면을 접촉하여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114)의 탄성 변형이 필요하다.
상기 걸림부(114)의 탄성을 위해 상기 걸림부(114)의 재질을 탄성 재질로 하거나 혹은 두께를 적절히 감소시켜 탄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걸림부(114)는 외측 격벽(121) 상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외측 격벽(121)도 같이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걸림부(1141)가 형성된 외측 격벽(112) 및 판체부(113)사이에는 일정 거리 만큼 이격된 제1이격부(11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걸림부(1142)가 형성된 외측 격벽(112) 및 판체부(113)사이에는 일정 거리 만큼 이격된 제2이격부(116)가 형성된다. 이렇한 제1이격부(115)와 제2이격부(116)의 의해 외측 격벽(112)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여 걸ㄹ미부(114)의 변형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이격부(116)는 제21이격부(1161)와 제22이격부(1162)를 포함한다. 상기 제21이격부(1161)는 상기 제2걸림부(1142)가 형성된 외측 격벽(112) 및 판체부(113)사이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2이격부(1162)는 상기 제2걸림부(1142)가 형성된 외측 격벽(112) 끝단과 곡면 돌출부(118) 측면사이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1이격부(1161)는 외측 격벽(112)과 판체부(113) 사이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2이격부(1161)는 외측 격벽(112)과 곡면 돌출부(118)사이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다. 상기 곡면 돌출부(118)는 개방부(115)를 통해 돌출된 후 양측의 외측 격벽(112)과 상기 곡면 돌출부(118) 양 측단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빈 공간이 상기 제22이격부(1161)로 기능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개방부(115)가 필요하다.
상기 브라켓 본체(110)는 연장부(120)를 통해 하우징(H)에 고정된다. 상기 연장부(120)는 상기 브라켓 본체(110)의 외측 격벽(112)에서 돌출되고 판체 형상인 연장부 본체(121)와, 상기 외측 격벽(112)과 연장부 본체(121)사이에 형성되는 보강 리브(122)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장부 본체(121)가 하우징(H)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H)은 상기 증발관(V)이 수용되는 하우징 본체(H1)와 상기 하우징 본체(H1)와, 상기 하우징 본체(H1)의 상면 두께면에서 요홈되게 형성되는 요홈부(H2)를 포함한다. 이땡, 상기 연장부 본체(121)에는 고정구(F)가 구비되고, 상기 요홈부(H2)의 바닥면에는 고정공(H2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F)가 상기 고정공(H21)에 삽입되어 상기 연장부 본체(121)가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빙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관(V)에 구비되는 팬 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제빙기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투명하게 만들기 위함이다. 투명 얼음을 만들기 위해서는 물 안의 기포를 제거해야 하며 이를 위해 물에 파동을 발생시키게 된다.(한국 공개 특허 제10-2012-0072719호 참조)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팬 유닛(300)은 상기 증발관(V) 중 한 쌍의 직선부(V2) 상면에 걸쳐서 구비되는 고정 바아(310)와, 상기 고정 바아(310) 저면에 구비되고 한 쌍의 직선부(V2)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부(320)와, 상기 구동부(320)의 하측에 구비되는 팬 형상의 가진부(3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가진부(330)가 물 속에서 회전하면서 파동을 발생하여 기포를 제거하고 이에 의해 투명 얼음을 만들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바아(310)에는 삽입공(311)이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공(311)을 통해 상기 구동부(320) 내부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이 투입된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널리 알려진 전동 모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동 모터에 샤프트가 구비되어 상기 가진부(3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 바아(310)는 상술된 바아 같이 직선부(V2)의 상면에 걸쳐서 구비되며, 상기 고정 바아(310)를 직선부(V2)에 고정하기 위해 널리 알려진 볼트 등을 이용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용접 등에 의해 영구적으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지지 브라켓 110 : 지지 브라켓 본체
111 : 내측 격벽 112 : 외측 격벽
113 : 판체부 114 : 걸림부
1141 : 제1걸림부 1142 : 제2걸림부
115 : 개방부 116 : 제2이격부
1161 : 제21이격부 1162 : 제22이격부
117 : 제1이격부 120 : 연장부
121 : 연장부 본체 300 : 팬 유닛
310 : 고정 바아 320 : 구동부
330 : 가진부

Claims (7)

  1. 제빙기의 증발관(V)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관(V)을 지지하는 상면 부착 방식의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빙기로서,
    상기 지지 브라켓(100)은 상기 증발관(V)의 곡면부(V1) 및 상기 곡면부(V1) 양 측단에 구비되는 직선부(V2)의 상면 중 일부를 덮는 브라켓 본체(110)와, 상기 브라켓 본체(110) 일 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증발관(V)이 구비되는 하우징(H)에 고정되는 연장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본체(110)는 U자 형상을 가지며 중공이고 하측과 양 측단은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브라켓 본체(110)는 판체 형상으로 직립되고 길이 방향으로 U자 형상을 가지는 내측 격벽(111)과, 판체 형상으로 직립되고 길이 방향으로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측 격벽(11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는 외측 격벽(112)과, 상기 내측 격벽(111) 및 외측 격벽(112)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판체부(113)를 포함함여,
    상기 내측 격벽(111)과 외측 격벽(112) 사이에 상기 증발관(V)이 구비되고,
    상기 외측 격벽(112)의 상단부에 걸림부(114)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14)는 외측 격벽(112)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다수 개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14)의 상단은 내측 격벽(111)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형상이고,
    상기 외측 격벽(112) 중 증발관(V)의 곡면부(V1)가 접하는 부분에는 길이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방부(115)가 형성되어 상기 곡면부(V1)가 노출되는 상면 부착 방식의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빙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115)를 통해 노출되는 판체부(113)에서 개방부(115) 방향으로 곡면 돌출부(118)가 돌출하고 상기 곡면 돌출부(118)의 돌출된 끝면은 특정 곡률을 가지며,
    상기 걸림부(114)는 외측 격벽(112)의 양측 끝단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걸림부(1141)와, 상기 개방부(115) 양 측에 인접하는 외측 격벽(112)의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걸림부(1142)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 돌출부(118)는 상기 개방부(115) 양 측의 외측 격벽(1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걸림부(1141)가 형성된 외측 격벽(112) 및 판체부(113)사이에는 일정 거리 만큼 이격된 제1이격부(117)가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부(1142)가 형성된 외측 격벽(112) 및 판체부(113)사이에는 일정 거리 만큼 이격된 제2이격부(116)가 형성되며,
    상기 제2이격부(116)는 제21이격부(1161)와 제22이격부(1162)를 포함하며, 상기 제21이격부(1161)는 상기 제2걸림부(1142)가 형성된 외측 격벽(112) 및 판체부(113)사이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2이격부(1162)는 상기 제2걸림부(1142)가 형성된 외측 격벽(112) 끝단과 곡면 돌출부(118) 측면사이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면 부착 방식의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20)는 상기 브라켓 본체(110)의 외측 격벽(112)에서 돌출되고 판체 형상인 연장부 본체(121)와, 상기 외측 격벽(112)과 연장부 본체(121)사이에 형성되는 보강 리브(122)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H)은 상기 증발관(V)이 수용되는 하우징 본체(H1)와 상기 하우징 본체(H1)와, 상기 하우징 본체(H1)의 상면 두께면에서 요홈되게 형성되는 요홈부(H2)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 본체(121)에는 고정구(F)가 구비되고, 상기 요홈부(H2)의 바닥면에는 고정공(H2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F)가 상기 고정공(H21)에 삽입되어 상기 연장부 본체(121)가 고정되는 상면 부착 방식의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상기 증발관(V)에 구비되는 팬 유닛(3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팬 유닛(300)은 상기 증발관(V) 중 한 쌍의 직선부(V2) 상면에 걸쳐서 구비되는 고정 바아(310)와, 상기 고정 바아(310) 저면에 구비되고 한 쌍의 직선부(V2)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부(320)와, 상기 구동부(320)의 하측에 구비되는 팬 형상의 가진부(330)를 포함하는 상면 부착 방식의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바아(310)에는 삽입공(311)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311)을 통해 상기 구동부(320) 내부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이 투입되는 상면 부착 방식의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빙기.
KR1020210064166A 2021-05-18 2021-05-18 상면 부착 방식의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빙기 KR102349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166A KR102349517B1 (ko) 2021-05-18 2021-05-18 상면 부착 방식의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166A KR102349517B1 (ko) 2021-05-18 2021-05-18 상면 부착 방식의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517B1 true KR102349517B1 (ko) 2022-01-12
KR102349517B9 KR102349517B9 (ko) 2022-12-27

Family

ID=79339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166A KR102349517B1 (ko) 2021-05-18 2021-05-18 상면 부착 방식의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51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372B1 (ko) * 2004-12-17 2006-05-1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정수기용 얼음센서 조립체
CN1888751A (zh) * 2006-07-16 2007-01-03 戴进军 制冰机的搅水机构
CN107504735A (zh) * 2017-07-25 2017-12-22 浦江县酉泽水产科技有限公司 一种制冰机上的制冰机构
KR20180041520A (ko) * 2016-10-14 2018-04-24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용 증발기
KR20190071427A (ko) *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49947B1 (ko) 2019-05-22 2019-11-28 정호민 살균 기능이 있는 가정용 제빙기
KR102106788B1 (ko) 2019-12-31 2020-05-06 정호민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372B1 (ko) * 2004-12-17 2006-05-1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정수기용 얼음센서 조립체
CN1888751A (zh) * 2006-07-16 2007-01-03 戴进军 制冰机的搅水机构
KR20180041520A (ko) * 2016-10-14 2018-04-24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용 증발기
CN107504735A (zh) * 2017-07-25 2017-12-22 浦江县酉泽水产科技有限公司 一种制冰机上的制冰机构
KR20190071427A (ko) *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49947B1 (ko) 2019-05-22 2019-11-28 정호민 살균 기능이 있는 가정용 제빙기
KR102106788B1 (ko) 2019-12-31 2020-05-06 정호민 직접 급수 방식의 제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517B9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9517B1 (ko) 상면 부착 방식의 지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빙기
US7996995B2 (en) Electric shaver
GB2313488A (en) Electronic unit-housing box having a fixing structure
EA017135B1 (ru) Барабан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ы
WO2014010595A1 (ja) プロテクタ
JP2009017704A (ja) 車載用電気接続箱
JPH11148752A (ja) 製氷装置
US20230076386A1 (en) Refrigerator
CN109154466B (zh) 铰链装置及具备该铰链装置的收纳箱
US20190284745A1 (en) Washing machine
JP2011253681A (ja) コネクタカバー
KR19980053939A (ko) 전자레인지의 도어어셈블리
JP5097515B2 (ja) 製氷機
KR100513556B1 (ko) 러기지 박스
KR20180042398A (ko) 세탁기
KR100774654B1 (ko) 쉴드형 커넥터
CN219936467U (zh) 一种售货冰箱可拆卸式出货限位导向结构
CN220124538U (zh) 一种食品加工机
KR101164823B1 (ko) 냉장고
KR200160509Y1 (ko) 냉장고용 도어
KR200147353Y1 (ko) 냉장고용 도어
JP5745903B2 (ja) プロテクタ
US10449994B2 (en) Steering apparatus
KR950005756Y1 (ko) Vtr용 브라켓(braclket)과 섀시(chassis)의 상, 하측 커버 결합 구조
KR930003489Y1 (ko) 냉장고의 팬모터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