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6099A - 얼음정수기 - Google Patents

얼음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6099A
KR20130046099A KR1020110110461A KR20110110461A KR20130046099A KR 20130046099 A KR20130046099 A KR 20130046099A KR 1020110110461 A KR1020110110461 A KR 1020110110461A KR 20110110461 A KR20110110461 A KR 20110110461A KR 20130046099 A KR20130046099 A KR 20130046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cold water
water
water tan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오 나까조
Original Assignee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0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6099A/ko
Publication of KR20130046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된 얼음으로 정수를 냉각시켜 냉각수를 얻는 얼음정수기의 얼음토출수단이 강구된 것에 관한 것이다.
이 얼음정수기는 냉각사이클로서 제빙관(31),침지관(32)이 냉매순환되고, 정수탱크(2)에 저장된 물이 물받이(33)로 공급됨과 동시에 얼음을 형성하는 냉각사이클부와 정수공급부를 하우징(1)에 연결하고, 이 하우징(1)내에 정수탱크(2)와, 제빙유닛(3)과, 저빙고(4)와, 냉수탱크(5)와, 센싱부(6)와, 얼음토출수단(7)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으로, 얼음토출수단(7)이 하우징(1) 내측 중심에 위치하며, 상기 저빙고(4)에 낙하된 얼음을 회전시켜 얼음토출구(71)를 통하여 토출하도록 수개의 회전날개(72)와 배플(도시생략)을 형성한 회동축(73)과, 이 회동축(73)을 구동하는 구동모터(74)로서 이루어진 것으로 제빙된 얼음을 구동모터(74)를 작동하여 회전날개(72)가 회전시켜 얼음을 얼음토출구(71)로 토출케 되는 얼음정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얼음정수기{WATER PURIFIER WITH ICE MAKER}
본 발명은 얼음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빙된 얼음으로 냉수가 공급되는 얼음 정수기를 제공하되 얼음토출수단이 강구된 얼음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음 정수기는 수돗물과 같은 원수를 정수하여 사용자에게 정수와 냉/온수 및 얼음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얼음정수기는 원수를 정수하는 필터부와,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 탱크와, 정수를 냉각시켜 저장하는 냉수 탱크 및, 얼음을 만드는 제빙 유니트를 구비한다. 냉수 탱크와 제빙 유니트에는 냉각을 위한 냉각 부재가 각각 설치된다. 냉수 탱크와 제빙 유니트에 각각 냉각부재가 설치되면 부품수가 증가하여 정수기 가격이 비싸지고 소비 전력이 커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일반 정수기는 유입된 물을 여과하여 여과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에는 복수개의 정수필터 및 저장탱크가 구비되어 있어서, 정수기에 유입된 물을 복수개의 정수필터를 거치면서 여과시키고, 여과된 물을 저장탱크에 저장한 후에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얼음정수기에는 제빙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저장탱크에 저장된 여과된 물을 공급받아 여과된 물로 얼음을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 얼음정수기의 제빙부에는 여과수가 공급되는 제빙접시와 얼음이 만들어져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저장부에서는 드레인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냉각부 또는 얼음저장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드레인수를 얼음정수기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얼음정수기의 냉각부 또는 얼음저장부에는 드레인관이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냉각부 또는 얼음저장부에 서 발생하는 드레인수를 모두 얼음정수기의 외부로 배출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물을 낭비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얼음정수기가 공개특허 10-2010-0084832호로 제안되어 있다. 즉, 도 1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입된 물을 여과하도록 복수개의 정수필터로 이루어진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에 연결되어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여과된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만드는 제빙부와, 상기 제빙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공급받아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여과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와, 상기 냉각부에서 배출되는 드레인수를 상기 여과부에서 재여과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부와 상기 여과부에 연결되는 드레인수 공급부를 포함하는 드레인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얼음정수기이다.
또한, 공개특허 10-2011-0017148호로 알려진 얼음정수기는 도 1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증발기를 구비하며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생성부와,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상기 증발기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각될 수 있게 상기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상기 증발기측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순환냉각부를 포함하는 얼음정수기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정수기들은 공히 얼음저장고를 별도로 구성하고,제빙후의 드레인수를 그대로 냉수에 포함하여 사용하는 얼음정수기도 있다.
이러한 드레인수 재활용방식의 얼음정수기로는 도 1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허등록제10-0814613호의 얼음 정수기가 알려져 있다. 이 얼음 정수기는,
얼음을 만드는 제빙 유니트와, 제빙 유니트의 아래에 설치된 냉수 탱크와, 얼음보다 작은 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그 상면에는 제빙 유니트로부터 떨어진 얼음이 적재되고, 상기 적재된 얼음 중 적어도 일부가 냉수에 잠겨 냉수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수 탱크의 상부에 설치된 아이스 그릴을 구비하여서 되며, 아이스 그릴은, 평평한 중앙부와, 중앙부의 양측에서 상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부를 구비하며, 제빙 유니트는 회전모터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물받이; 및 물받이에 수용된 정수 또는 냉수에 침지되도록 설치된 증발기를 구비하며, 얼음 정수기는 필터부로부터 정수를 공급받는 정수 탱크를 구비하고, 냉수 탱크는 정수 탱크와 연결되어 정수를 선택적으로 공급받는 것이며, 냉수 탱크에는 얼음이 녹아서 냉수가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냉수 배수관이 설치된 것이며, 얼음 정수기는 필터부로부터 정수를 공급받는 정수 탱크를 구비하고, 물받이에는 정수 탱크로부터 정수가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얼음정수기들은 공통적으로 얼음의 제조후 발생되는 드레인수를 재활용하며, 얼음을 직접 정수된 물에 접촉시켜 냉수를 제공하는 얼음정수기이지만 얼음의 배출이 원활한 구조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제빙된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취출구조가 마련되지 않아 얼음취출시 일일이 얼음을 취출하는 도구를 사용하므로 저빙고내 온도가 외기로 인하여 쉽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간단한 스위칭작동으로 얼음을 취출시키고, 저빙고내 얼음의 적재량을 검출하고 냉수탱크의 수위를 검출하고, 정수탱크의 수위를 검출하여 이를 전체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수단,센싱수단의 효율적인 사용이 필요로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얼음정수기가 갖는 필요성을 감안하여 얼음의 제조와 동시에 제빙된 얼음으로 냉수가 공급되는 얼음 정수기를 제공하되 얼음토출수단이 강구된 얼음정수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얼음정수기가 갖는 필요성을 감안하여 간단한 스위칭작동으로 얼음을 취출시키고, 저빙고내 얼음의 적재량, 냉수탱크의 수위,정수탱크의 수위등을 검출하여 효율적인 작동이 가능한 얼음정수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얼음정수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부에 형성된 정수탱크와, 상기 정수탱크 직하방의 하우징내측에 형성된 소정의 제빙컵에 정수를 공급함과 아울러 침지부가 냉동사이클로서 냉매를 순환시켜 침지부가 얼음을 형성하도록 제빙컵에 침지시킴과 아울러 탈빙수단을 형성한 제빙유닛과, 상기 하우징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빙유닛에서 탈빙된 얼음이 저장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내 바닥측에 형성되고 정수탱크로 부터 정수가 공급되며 저빙고 바닥측에 형성된 냉수탱크로 이루어진 저빙고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저빙고의 얼음량을 검출하여 제1위치에 도달하면 만빙센서1을 통하여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여 제빙유닛의 제빙동작을 일시적으로 멈추도록 하고, 제2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빙유닛을 동작하여 제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만빙센서2로 이루어지고, 냉수탱크의 냉수수위를 검출하여 정수탱크로 부터 공급되는 정수량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냉수탱크 수위검출센서로 이루어진 센싱부와, 냉수탱크의 정수량이 오버하는 경우 이를 오버훌로우시키는 오버훌로우관과, 상기 냉수탱크겸 저빙고의 상방에서 얼음이 토출되도록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얼음토출구와, 상기 냉수탱크의 일측에 형성된 냉수배출구와,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저빙고에 낙하된 얼음을 회전시켜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하도록 수개의 회전날개와 배플을 형성한 회동축과, 이 회동축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로서 이루어진 얼음토출수단을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로서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얼음정수기의 상기 저빙고와 냉수탱크를 구획하고, 저빙고 바닥 일부를 냉수탱크측으로 요입시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다공성 기둥을 이루어 얼음이 충전됨과 동시에 냉수와 접촉하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 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얼음정수기는 상기 저빙고와 냉수탱크 사이에 일부가 냉수탱크측으로 침지되는 얼음주머니를 형성하여 저빙고와 냉수탱크를 구획하는 그릴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얼음의 제조와 동시에 제빙된 얼음으로 냉수가 공급되는 얼음정수기로서 얼음토출수단이 강구된 얼음정수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간단한 스위칭작동으로 얼음을 취출시키고, 저빙고내 얼음의 적재량, 냉수탱크의 수위,정수탱크의 수위등을 검출하여 효율적인 작동이 가능한 얼음정수기를 제공하는 효과도 얻는다.
도 1a,1b,1c는 종래 알려진 얼음정수기의 도면들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얼음정수기의 전체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얼음정수기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얼음정수기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얼음정수기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중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얼음정수기의 전체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얼음정수기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일반적인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얼음정수기는 기본적으로 냉동사이클을 이루도록 열교환기,압축기,드라이어,액분리기를 통하여 냉매가 순환되는 냉동사이블이 작동되므로서 제빙관(31)을 흐르는 냉매로서 침지관(32)에 얼음이 형성되는 것이고, 필터부에서 필터링되고 승압펌프로서 압력을 높여 정수탱크(2)에 저장된 정수가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물받이(33)로 공급됨과 아울러 정수관(21),조절밸브(22)로서 냉수탱크(5)에 소정 수위로 채워지게 된다.
이러한 얼음형성용 냉각사이클과 정수과정을 통하여 기본적인 얼음 및 정수공급구조는 마련되고, 이하에서는 제빙된 얼음의 토출 및 얼음에 의하여 냉각된 정수 즉, 냉수공급구조가 설명된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발명 얼음정수기는 냉각사이클부와 정수공급부와 연결되는 소정의 하우징(1)과, 정수탱크(2)와, 제빙유닛(3)과, 저빙고(4)와, 냉수탱크(5)와, 센싱부(6)와, 얼음토출수단(7)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은 일반적인 얼음정수기와 같은 외부 케이싱으로 이루어지며, 그 구조와 형태는 특정하지 않는다.
정수탱크(2)는 상기 하우징(1)의 상부에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탱크(2)에 공급되는 정수는 소정의 필터링과정을 통하여 정수된 물로서 물받이(33)와 냉수탱크(5)에 각각 공급된다. 이때 물받이(33)으로의 정수된 물의 배관도시은 배관,밸브 혹은 펌프만으로 이루어지므로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였다. 후술하는 냉수탱크(5)로 공급되는 정수는 정수탱크(2)에 연결된 배관(21)과 밸브(22)로서 공급된다.
제빙유닛(3)은 정수탱크(2)의 직하방 하우징(1)내측에 형성된 소정의 제빙접시(31)에 정수를 공급함과 아울러 침지부(32)가 냉각사이클로서 냉매를 순환시켜 침지부(32)가 얼음을 형성하도록 제빙접시(31)에 침지된 탈빙수단(제빙관을 따라 제빙된 얼음에 순간 고온을 가해 얼음을 낙하시키는 수단으로, 구체적 도시는 생략하였음)으로 이루어진다.
저빙고(4)는 상기 하우징(1)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빙유닛(3)에서 탈빙된 얼음이 저장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1)내 바닥(13)측에 형성되고 정수탱크(2)로 부터 정수가 공급되며 저빙고 바닥(13)측에 형성된 냉수탱크(5)와 구분된다.
냉수탱크(5)는 본 실시예서는 별도의 구체적 공간은 정의되지 않았지만 얼음이 적재되는 저빙고(4)의 바닥에서 소정 높이까지를 칭한다.
오버훌로우관(51)은 냉수탱크(5)의 정수량이 오버하는 경우 이를 오버훌로우시키게 된다. 냉수배출구(51)는 냉수탱크(5)의 일측에 형성된다.
센싱부(6)는 상기 하우징(1)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빙고(4)의 얼음량(적재높이)을 검출하여 제1위치에 도달하면 만빙센서1(61)을 통하여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여 제빙유닛(3)의 제빙동작을 일시적으로 멈추도록 하고, 제2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빙유닛을 동작하여 제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만빙센서2(62)로 이루어지고, 냉수탱크(5)의 냉수수위를 검출하여 정수탱크로 부터 공급되는 정수량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냉수탱크 수위검출센서(63)로 이루어진다.
얼음토출수단(7)은 상기 하우징(1) 내측 중심에 위치하며, 상기 저빙고(4)에 낙하된 얼음을 회전시켜 얼음토출구(71)를 통하여 토출하도록 수개의 회전날개(72)와 배플(도시생략)을 형성한 회동축(73)과, 이 회동축(73)을 구동하는 구동모터(74)로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빙고(4)의 바닥의 일정높이 까지 정수된 물이 공급되어 수위를 유지하도록 냉수탱크(5)를 정의하는 것이고, 바닥에서 적재된 일부 얼음을 통하여 정수된 물이 냉각수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적재된 얼음을 토출하기 위해서는 구동모터(74)를 구동하는 스위칭수단이 필요하지만, 구체적인 전원 공급 및 전기적인 스위칭회로등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따라서 제빙된 얼음을 토출하기 위해서는 구동모터(74)를 소정의 스위칭수단으로 작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회전축(73)의 회전으로 회전날개(72)가 회전되어 적재된 얼음이 밀려 토출구(71)로 토출되게 된다. 회전날개(72)는 직하방으로 길게 칸막이를 이루어 얼음을 밀어내도록 배플의 형성이 바람직하다.
첨부 도면중 도 4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얼음정수기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발명 얼음정수기는 전술한 실시예1의 모든 구성과 동일하게 구현하되, 저빙고(4)와 냉수탱크(5)사이를 바닥판(41)으로 구획하여 냉수탱크(5)와 구분한다. 이때, 바닥판(41)의 일부를 냉수탱크(5)측으로 요입시켜 다수의 구멍(43)이 형성된 다공성 기둥(42)을 이루어 얼음이 충전됨과 동시에 기둥(42)의 침지상태에서 얼음과 냉수가 접촉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빙된 얼음은 구동모터(74)의 구동으로 회전축(73)이 회전하고, 이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날개(72)가 회전하므로서 적재된 얼음이 밀려 토출구(71)로 토출된다.
첨부 도면중 도 5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얼음정수기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발명 얼음정수기는 전술한 실시예1의 모든 구성과 동일하게 구현하되, 저빙고(4)와 냉수탱크(5)사이에 역(逆)원통형 그릴(8)로서 냉수탱크(5)의 상면에서 덮여지게 설치되어 저빙고(4)와 구분된다. 즉, 역 원통형 그릴(8)은 그 상면(저빙고 바닥면)의 일부를 냉수탱크(5)측으로 요입시켜 기둥을 형성하되 다수의 구멍(83)이 형성된 얼음주머니(82)를 형성한다. 이 얼음주머니(82)에는 저빙고(4)의 일부 얼음이 충전되어 냉각탱크(5)내 공급된 정수와 침지된 상태에서 접촉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져 공급된 정수를 냉각시키게 된다. 그릴(8)의 중심에는 회전축(73)이 관통되는 관통공(81)을 형성하여서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얼음정수기는 구동모터(74)를 소정의 스위칭수단으로 구동하고, 그에 따라 회전축(73)의 회전으로 회전날개(72)가 회전되어 적재된 얼음이 밀려 토출구(71)로 토출된다.
1:하우징, 2:정수탱크, 3:제빙유닛, 31:증발관, 32:침지부, 33:물받이, 4:저빙고, 41: 바닥판, 42:기둥, 43:구멍, 5:냉수탱크, 51:오버훌로우관, 52:냉수배출구, 6:센싱부,7: 얼음토출수단, 71:얼음토출구, 72:회전날개, 73:회전축, 8:그릴, 81:중심공, 82:얼음주머니, 83:구멍,

Claims (3)

  1. 얼음정수기에 있어서,
    냉각사이클부와 정수공급부와 연결되는 소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부에 형성된 정수탱크;
    상기 정수탱크 직하방의 하우징내측에 형성된 소정의 제빙컵에 정수를 공급함과 아울러 침지부가 냉동사이클로서 냉매를 순환시켜 침지부가 얼음을 형성하도록 제빙컵에 침지시킴과 아울러 탈빙수단을 형성한 제빙유닛;
    상기 하우징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빙유닛에서 탈빙된 얼음이 저장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내 바닥측에 형성되고 정수탱크로 부터 정수가 공급되며 저빙고 바닥측에 형성된 냉수탱크로 이루어진 저빙고;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저빙고의 얼음량을 검출하여 제1위치에 도달하면 만빙센서1을 통하여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여 제빙유닛의 제빙동작을 일시적으로 멈추도록 하고, 제2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빙유닛을 동작하여 제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만빙센서2로 이루어지고, 냉수탱크의 냉수수위를 검출하여 정수탱크로 부터 공급되는 정수량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냉수탱크 수위검출센서로 이루어진 센싱부;
    냉수탱크의 정수량이 오버하는 경우 이를 오버훌로우시키는 오버훌로우관;
    상기 냉수탱크겸 저빙고의 상방에서 얼음이 토출되도록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얼음토출구;
    상기 냉수탱크의 일측에 형성된 냉수배출구;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저빙고에 낙하된 얼음을 회전시켜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하도록 수개의 회전날개를 형성한 회동축과, 이 회동축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로서 이루어진 얼음토출수단을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저빙고와 냉수탱크를 구획하고, 저빙고 바닥 일부를 냉수탱크측으로 요입시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다공성 기둥을 이루어 얼음이 충전됨과 동시에 냉수와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저빙고와 냉수탱크 사이에 일부가 냉수탱크측으로 침지되는 얼음주머니를 형성하여 저빙고와 냉수탱크를 구획하는 그릴을 더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
KR1020110110461A 2011-10-27 2011-10-27 얼음정수기 KR201300460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461A KR20130046099A (ko) 2011-10-27 2011-10-27 얼음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461A KR20130046099A (ko) 2011-10-27 2011-10-27 얼음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099A true KR20130046099A (ko) 2013-05-07

Family

ID=48657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461A KR20130046099A (ko) 2011-10-27 2011-10-27 얼음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609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1020A (ko) * 2013-09-13 2015-03-23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방법
CN109650626A (zh) * 2018-12-26 2019-04-19 邓权塑业科技(湖南)有限公司 一种可净化的节能循环水系统
WO2019080786A1 (zh) * 2017-10-23 2019-05-02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过滤器及冰箱
CN109945566A (zh) * 2019-04-23 2019-06-28 丹顶鹤智能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新型旋转式制冰装置
KR20230110958A (ko) 2022-01-17 2023-07-25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1020A (ko) * 2013-09-13 2015-03-23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방법
WO2019080786A1 (zh) * 2017-10-23 2019-05-02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过滤器及冰箱
CN109650626A (zh) * 2018-12-26 2019-04-19 邓权塑业科技(湖南)有限公司 一种可净化的节能循环水系统
CN109945566A (zh) * 2019-04-23 2019-06-28 丹顶鹤智能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新型旋转式制冰装置
CN109945566B (zh) * 2019-04-23 2023-12-29 丹顶鹤智能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新型旋转式制冰装置
KR20230110958A (ko) 2022-01-17 2023-07-25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700B1 (ko) 두 개의 물받이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KR100729962B1 (ko) 하나의 증발기로 제빙과 동시에 냉수를 얻을 수 있는냉온정수시스템 및 장치
KR20130046099A (ko) 얼음정수기
KR100795293B1 (ko) 알칼리 얼음 제조 기능을 구비한 냉온 얼음 정수기
KR100988467B1 (ko) 보조탱크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CN109997007B (zh) 净水器的控制方法
KR100853445B1 (ko) 제빙기능을 구비한 냉온수기
KR101001297B1 (ko) 얼음 정수기
KR101264666B1 (ko) 침지형 제빙유닛과 이를 이용한 얼음 제조방법
KR101275188B1 (ko)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KR101602236B1 (ko)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JPH051870A (ja) 自動製氷装置
KR100998198B1 (ko) 순환식 투명얼음 제빙장치
KR20030024361A (ko) 제빙기를 가진 냉온정수기
KR20130013475A (ko) 제빙 자화 육각 정수기
KR101507037B1 (ko) 제빙기의 함체
KR20090080433A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1008669B1 (ko) 얼음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얼음제조방법
RU2711357C1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воды методом перекристаллизации и теплообм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стемы
US10760846B2 (en)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an ice making assembly
KR101075058B1 (ko) 얼음 정수기
JP2004003754A (ja) 製氷装置および冷蔵庫
KR20110035638A (ko) 순간냉수 생성이 가능한 얼음 정수기
CN109419362B (zh) 饮用水供给装置
KR101231043B1 (ko)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