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433A - 냉장고용 제빙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제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433A
KR20090080433A KR1020080006359A KR20080006359A KR20090080433A KR 20090080433 A KR20090080433 A KR 20090080433A KR 1020080006359 A KR1020080006359 A KR 1020080006359A KR 20080006359 A KR20080006359 A KR 20080006359A KR 20090080433 A KR20090080433 A KR 20090080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ice making
making
wate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6610B1 (ko
Inventor
정일욱
김성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6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610B1/ko
Publication of KR20090080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8Producing ice by immersing freezing chambers, cylindrical bodies or plates into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냉장고용 제빙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는, 냉동실 및 냉장실이 형성된 냉장고에 구비되며,상기 냉동실의 일측에 구획부재에 의해 구획되어 마련되는 제빙실;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며, 제빙(製氷)되는 물이 저장되는 제빙용기; 상기 제빙용기의 물에 그 일부가 잠겨 내부에 흐르는 냉매에 의해 얼음조각을 생성하는 제빙용 증발기; 및 상기 구획부재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얼음조각이 이송되어 저장되는 얼음저장용기;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에 의하면, 냉장실 또는 냉동실을 냉각하는 증발기 외에 별도의 제빙용 증발기를 더 구비하고 그 제빙용 증발기를 물에 담가 제빙하므로, 보다 신속하게 얼음조각을 제조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제빙장치, 제빙용 증발기

Description

냉장고용 제빙장치{ICE MAKER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고에 구비되어 얼음조각을 제조하는 제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대형 냉장고에는 얼음조각을 만들 수 있는 제빙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제빙장치는 일정량의 물을 제빙용기에 공급한 후 냉기를 공급하여 제빙하고 이어서 상기 제빙용기의 얼음을 얼음저장용기로 이송시켜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제빙장치에서는 상기 제빙용기가 냉동실과 같이 빙점인 0℃보다 낮은 조건에 설치되어 냉기에 의해 결빙된다. 따라서 주변의 냉기와 가장 먼저 접촉되는 부위부터 냉각되기 시작하여 점점 중심방향으로 결빙이 진행된다.
예컨대, 주변의 냉기가 가장 먼저 접하는 수면부터 냉각이 시작되어 빙핵이 결성되고, 그 빙핵을 시점으로 하여 점차 아래쪽으로 퍼져나가면서 전체적으로 얼음이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제빙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상기 제빙장치가 냉동실을 냉각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제빙을 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대류열전달에 의한 손실이 발생되어 제빙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상기 제빙용기로 급수되는 물에는 일정량의 공기가 함유되어 있고 이 공기는 상기 제빙용기의 물이 결빙되는 과정에서 물로부터 분리되어 기포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하지만, 실제 제빙중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냉동실의 찬 냉기에 의해 상기 제빙용기의 수면이 가장 먼저 결빙됨에 따라 물속의 기포가 공기 중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잔류하게 되어 불투명한 얼음이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냉장고용 제빙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제빙속도를 높일 수 있는 냉장고용 제빙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 제빙과정 중에 물에서 분리되는 기포가 신속하게 물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투명한 얼음조각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는 냉장고용 제빙장치의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장치는, 냉동실 및 냉장실이 형성된 냉장고에 구비되며, 상기 냉동실의 일측에 구획부재에 의해 구획되어 마련되는 제빙실;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며, 제빙(製氷)되는 물이 저장되는 제빙용기; 상기 제빙용기의 물에 그 일부가 잠겨 내부에 흐르는 냉매에 의해 얼음조각을 생성하는 제빙용 증발기; 및 상기 구획부재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얼음조각이 이송되어 저장되는 얼음저장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빙용 증발기는, 냉매의 유입구와 배출구를 가지는 냉매배관부; 및
상기 냉매배관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빙용기의 물에 잠기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냉매배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얼음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매배관부와 상기 얼음형성부는, 그 내부가 서로 연통되게 구비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얼음형성부의 그 돌출방향으로 냉매가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냉매 안내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냉장고에는 압축기,응축기,증발기,팽창변을 포함하는 냉동사이클이 구비되며, 상기 제빙용 증발기에는, 제빙시 상기 팽창변에서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며, 이빙(離氷)시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빙실의 온도는, 물의 결빙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빙용 증발기에서 이빙되어 상기 제빙용기에 저장된 얼음조각은, 상기 제빙용기가 그와 결합된 용기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구획부재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빙용기는, 제빙시 상기 제빙용기로 물을 공급하고, 이빙(離氷)시 상기 제빙용기로부터 물을 회수하는 급배수장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장치에 의하면,
첫째, 냉장실 또는 냉동실을 냉각하는 증발기 외에 별도의 제빙용 증발기를 더 구비하고 그 제빙용 증발기를 물에 담가 제빙하므로, 보다 신속하게 얼음조각을 제조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제빙장치가 물의 결빙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제빙실에 설치되므로, 물의 표면이 먼저 결빙되는 것이 방지되어 얼음의 투명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제빙시 냉동실의 냉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냉동실과 제빙장치를 독립적으로 운전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장치가 적용된 냉장고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장치가 적용되는 냉장고(10)는, 중앙에 세로로 형성되는 격벽(15)에 의해 수평으로 구획된다. 즉, 우측에 식품을 냉장보관하는 냉장실(11)이 형성되고, 그 좌측에 식품을 냉동보관하는 냉동실(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1)과 냉동실(12)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13)와 냉동실도어(14)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냉장고(10)에는 상기 냉장실(11)과 냉동실(12)의 냉각을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변,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동사이클이 구비된다.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는, 상기 냉장고(10)의 후면 하단에 형성되는 기계실(미도시)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30)와 압축기(20)에 연결되어 냉기를 냉장실(11) 또는 냉동실(12)에 공급하는 고내용 증발기(50)(도 4 참조.)는 상기 냉장고(10)의 후면이나 측면 또는 상면 또는 상기 냉장실(11)과 냉동실(12)을 구획하 는 격벽(15)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고내용 증발기(50)는 한 개만 설치되어 냉기가 냉장실(11)과 냉동실(12)에 분배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냉장실(11)과 냉동실(12)에 각각 고내용 증발기(50)를 구비하여 독립적으로 냉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냉동실(12)의 상측에는 상기 냉동실(12)과 구별되게 제빙실(100)이 구비된다.
상기 제빙실(100)에는 얼음조각을 제조하는 제빙용 증발기(110), 얼음조각의 제조를 위한 물을 저장하며 또 제조된 얼음조각이 이빙(離氷)되어 저장되는 제빙용기(1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빙용기(120)에 저장된 얼음조각이 이송되어 저장되는 얼음저장용기(140)가 상기 냉동실도어(14)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빙실(100)은, 구획부재(130)에 의해 상기 냉동실(12)과 구획되게 형성되며, 상기 냉동실도어(14)가 닫혔을 때 상기 냉동실도어(14)의 배면과 밀착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냉동실(12)의 냉기가 상기 제빙실(1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의해, 상기 제빙용기(120)에 저장된 물이 냉동실(12)의 냉기에 의해 그 수면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제빙용 증발기(110)에 의해 제빙시 물 속에 존재하는 기포가 분리될 수 있게 되므로 투명한 얼음조각의 제빙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빙실(100)의 위치를 상기 냉장실(11)의 내부에 마련하 는 것은, 상기 제빙실(100)에서 제빙된 얼음조각을 상기 냉동실(12)에 구비되는 상기 얼음저장용기(140)로 이송하기 위해서 별도의 이송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상기 얼음저장용기(140)를 상기 냉장실(11)의 내부 또는 상기 냉장실도어(13)에 구비하는 것은 상기 얼음저장용기(140)에 저장되는 얼음이 녹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냉동실(12)의 냉기를 유도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구획부재(130)에는 상기 제빙용기(120)로부터 얼음조각이 상기 얼음저장용기(140)로 이송될 수 있게 개구(13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빙용기(120)로부터 상기 구획부재(130)로 떨어지는 얼음조각이 상기 개구로 모일 수 있게, 상기 구획부재(130)의 상면을 상기 개구(131) 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냉동실도어(14)의 전면에는 상기 얼음저장용기(140)에 저장된 얼음조각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상기 얼음저장용기와 연통되는 디스펜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용 증발기(110)는, 그 일부가 상기 제빙용기에 저장된 물에 잠긴 상태로 그 내부에 상기 고내용 증발기(50)를 통과하는 냉매를 흐르게 함으로써 얼음조각을 생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빙용 증발기(11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제빙용 증발기와 제빙용기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있어서 I-I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빙용 증발기(110)는,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유입구(113)와 배출구(114)를 가지고 'ㄷ'자 모양으로 절곡되는 냉매배관부(111)와, 그 냉매배관부(111)의 저면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돌출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얼음형성부(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얼음형성부(112)의 길이는 상기 제빙용기(120)의 물에 소정의 길이가 잠길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매배관부(111)와 상기 얼음형성부(112)는 그 내부가 서로 연통되게 구비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냉매배관부(111)의 내주면 상측에서 상기 얼음형성부의 하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얼음형성부의 돌출방향으로 냉매가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냉매안내판이 구비된다.
상기 냉매안내판(115)은, 그 하단에서 각 얼음형성부(112)의 전후 양쪽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얼음형성부(112)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냉매는 상기 냉매안내판(115)에 유도되어 상기 얼음형성부(112)의 전체를 고르게 순환하게 된다.
여기서, 도 2에서 상기 얼음형성부(112)와 상기 냉매배관부(111)는 일체로 제작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와 다르게, 복잡한 형상으로 인한 제작의 곤란성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얼음형성부(112)는 상기 냉매배관부(111)와 별도로 제작되어 그 냉매배관부(111)의 외표면에 조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얼음형성부(112)는 히트파이프 또는 구리나 그 외의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로 된 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빙용 증발기(110)는, 상기 냉매배관부(111)의 유입구(113)로 유입되는 냉매가 배출구(114)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각 얼음형성부(112)의 내부에 마련된 냉매안내판(115)에 의해 각 얼음형성부(112)의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냉매가 각 얼음형성부(112)의 내부를 고르게 순환하게 되어 상기 얼음형성부(112)는 짧은 시간에 빙점 이하로 냉각된다. 상기 얼음형성부(112)의 표면 온도가 주변의 온도, 즉 제빙실(100)의 온도보다 더 낮게 되어 그 얼음형성부(112)의 표면에서부터 결빙이 시작되고, 그 결빙을 빙핵(氷核)으로 하여 주변의 물이 신속하게 얼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빙용기(120)가 물의 결빙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상기 제빙실(100)에 설치되므로, 상기 제빙용기(120)에 저장되는 물의 표면이 결빙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빙용기(120)의 물속에서 발생되는 기포는 아직 얼지 않은 물 표면쪽으로 이동하여 빠져나가게 되므로 기포가 남지 않는 투명빙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상기 얼음형성부(112)로 히트파이프나 열전달봉을 사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즉, 상기 히트파이프나 열전달봉의 일단이 차가운 제빙용 증발기(110)에 접촉하게 되므로 그 히트파이프나 열전달봉이 짧은 시간에 냉각되어 상기 히트파이프나 열전달봉의 표면에 결빙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제빙용기(120)의 물을 신속하게 제빙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빙용기(120)의 물속에 생긴 기포가 아직 얼지 않은 물 표면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므로 얼음의 투명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빙용 증발기(110)에 의해 얼음조각의 제조 및 그 분리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빙용 증발기를 포함한 냉동사이클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빙용 증발기(110)를 포함한 냉동사이클은 압축기(20), 응축기(30), 고내용 증발기(50), 제빙용 증발기(110)가 폐루프를 이루면서 차례대로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20)와 응축기(30)의 사이에는 냉매전환밸브(21)가 설치되며, 상기 냉매전환밸브(21)는 메인관(70)과 이에서 분관되어 상기 제빙용 증발기(110)의 유입구(113)와 연결되는 바이패스관(116)으로 선택적으로 냉매를 전환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30)와 고내용 증발기(50)의 사이에는 팽창변(40)이 설치된다.
이에 의해, 상기 고내용 증발기(50)를 거쳐 제빙용 증발기(110)로 유입되는 냉매는 그 제빙용 증발기(110)의 상기 얼음형성부(112)를 짧은 시간에 냉각시켜 얼음이 결빙되도록 함으로써 제빙시간을 크게 단축하는 동시에 얼음에 기포가 남지 않도록 하여 투명빙을 만들 수 있다.
반면, 이빙시에는 상기 냉매전환밸브(21)를 이용하여 고온의 냉매가 바이패스관(116)을 통해 상기 제빙용 증발기(110)로 유입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상기 제빙용 증발기(110)의 얼음형성부(112)를 가열하여 결빙된 얼음이 신속하게 이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얼음의 이빙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에서 미설명 부호 60은 드라이어를, 80은 어큐물레이터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빙용기(120)에 저장된 얼음조각이 상기 얼음저장용기(140)로 이송되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 있어서 II-II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빙용 증발기(110)에서 이빙되어 상기 제빙용기(120)에 저장된 얼음조각(121)은, 상기 제빙용기(120)가 그와 결합된 용기구동장치(150)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구획부재(130)로 이송된다.
상기 제빙용기(120)의 회전축(152)은, 회전시 상기 제빙용 증발기(110)와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빙용 증발기(110)의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L)만큼 이격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구동장치(150)는, 정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기구동장치(1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빙용기(120)에 저장된 얼음은 상기 구획부재(130)의 상면으로 떨어지게 되며, 상기 구획부재(130)에 구비된 개구(131)를 통해 그 하부에 구비되는 얼음저장용기(140)로 이송되게 된다.
한편, 상기 냉동실도어(14)의 개방시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냉동실(12)로 얼음조각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용기구동장치(150)는, 상기 냉동실도어(14)의 개방시에는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구동장치(150)는, 제빙중에 물에서 기포가 신속하게 빠져나 갈 수 있도록 그 제빙용기(120)를 소정의 속도로 정역회전되게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빙용기(120)에 제빙을 위한 물이 공급되고 이빙시 물을 회수하는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빙용기에 급배수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빙용기(120)는, 제빙시 상기 제빙용기(120)로 물을 공급하고, 이빙(離氷)시 상기 제빙용기(120)로부터 물을 회수하는 급배수장치(160)와 결합된다.
상기 급배수장치(160)는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61)와, 그 물탱크(161)의 물을 제빙시에는 제빙용기(120)에 펌핑하여 공급하는 반면 이빙시에는 제빙용기(120)의 물을 펌핑하여 배수시키는 급배수라인(163) 및 물펌프(16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급배수장치(160)는, 상기 냉장실(11)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 제빙용기(120)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결빙온도에 근접한 상태로 공급되므로 상기 제빙용 증발기(110)에 의해 신속하게 얼음조각이 생성되게 되며, 또한 상기 얼음조각의 생성에 쓰이는 냉매의 양이 절감되어 냉동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물탱크(161)의 입구에는 새롭게 유입되는 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물필터(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장치에 있어서 구획부재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장치는, 상기 구획부재(230)에 형성되는 상기 개구(23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2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재(240)는 상기 개구(231)의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도어(14)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개폐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냉동실도어(14)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개폐부재(240)가 닫혀지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개폐부재(240)의 일 면에 랙(241)을 형성하고, 상기 랙(241)에 대응되게 상기 구획부재(230)의 내부에 피니언(242)을 구비함으로써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개폐감지센서는, 별도의 센서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냉동실도어(14)의 개방시 상기 냉장실(11)의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장치(미도시)를 점등하기 위해 구비되는 도어스위치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하며,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사상과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장치가 적용된 냉장고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제빙용 증발기와 제빙용기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 있어서 I-I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빙용 증발기를 포함한 냉동사이클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도 2에 있어서 II-II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빙용기에 급배수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장치에 있어서 구획부재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4)

  1. 냉동실 및 냉장실이 형성된 냉장고에 구비되며,
    상기 냉동실의 일측에 구획부재에 의해 구획되어 마련되는 제빙실;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며, 제빙(製氷)되는 물이 저장되는 제빙용기;
    상기 제빙용기의 물에 그 일부가 잠겨 내부에 흐르는 냉매에 의해 얼음조각을 생성하는 제빙용 증발기; 및
    상기 구획부재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얼음조각이 이송되어 저장되는 얼음저장용기;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용 증발기는,
    냉매의 유입구와 배출구를 가지는 냉매배관부; 및
    상기 냉매배관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빙용기의 물에 잠기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냉매배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얼음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배관부와 상기 얼음형성부는, 그 내부가 서로 연통되게 구비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얼음형성부의 그 돌출방향으로 냉매가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냉매안내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에는 압축기,응축기,증발기,팽창변을 포함하는 냉동사이클이 구비되며,
    상기 제빙용 증발기에는, 제빙시 상기 팽창변에서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며, 이빙(離氷)시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저장용기는,
    상기 냉동실을 차폐하는 냉동실도어의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의 온도는,
    물의 결빙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용 증발기에서 이빙되어 상기 제빙용기에 저장된 얼음조각은, 상기 제빙용기가 그와 결합된 용기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구획부재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용기의 회전축은,
    회전시 상기 제빙용 증발기와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빙용 증발기의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용기는,
    제빙시 상기 제빙용기로 물을 공급하고, 이빙(離氷)시 상기 제빙용기로부터 물을 회수하는 급배수장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급배수장치는,
    상기 냉장실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급배수장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물을 펌핑하여 제빙용기에 공급하거나 제빙용기의 물을 펌핑하여 배수하는 급배수라인 및 물펌프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그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개폐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냉동실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개폐부재가 닫혀지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개구 쪽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80006359A 2008-01-21 2008-01-21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0936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359A KR100936610B1 (ko) 2008-01-21 2008-01-21 냉장고용 제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359A KR100936610B1 (ko) 2008-01-21 2008-01-21 냉장고용 제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433A true KR20090080433A (ko) 2009-07-24
KR100936610B1 KR100936610B1 (ko) 2010-01-13

Family

ID=41291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359A KR100936610B1 (ko) 2008-01-21 2008-01-21 냉장고용 제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6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2859A (ko) 2016-07-14 2019-03-06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분말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KR20210053276A (ko) * 2014-05-19 2021-05-11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248B1 (ko) 2012-06-29 2020-10-13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
KR101644836B1 (ko) * 2015-01-16 2016-08-03 (주) 유앤아이 냉매공급 및 배출을 일체형 구조로 구현하는 제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1559B1 (ko) * 1999-03-09 2001-09-22 전주범 음파 냉동을 이용한 자동 제빙기 및 상기 자동 제빙기를 채용한 냉장고
KR20040039092A (ko) * 2002-10-31 2004-05-10 히데오 나까조 제빙기
KR20050110213A (ko) * 2004-05-18 2005-11-23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KR100820675B1 (ko) 2006-09-06 2008-04-11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제빙기의 증발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3276A (ko) * 2014-05-19 2021-05-11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22859A (ko) 2016-07-14 2019-03-06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분말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KR20210013310A (ko) 2016-07-14 2021-02-03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분말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610B1 (ko)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5087B2 (en) Ice-making tray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KR101452762B1 (ko) 냉장고
CN107631528B (zh) 制冰器及具有制冰器的冰箱
EP3062048B1 (en) Refrigerator
KR101696860B1 (ko)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이의 제상수 포집 방법
US20090293508A1 (en) Refrigerator including high capacity ice maker
US20100031675A1 (en) Ice making system and method for ice making of refrigerator
KR20180080021A (ko) 제빙장치,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제빙방법
KR20140001465A (ko) 냉장고
KR101208550B1 (ko) 제빙 장치
KR101437173B1 (ko) 냉장고
US8572999B2 (en) Refrigerator
KR100584271B1 (ko)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KR100936610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0846890B1 (ko) 제빙 시스템 및 제빙 방법
KR100584273B1 (ko) 도어 제빙실의 냉기 유로 구조
KR20050094671A (ko)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의 제빙용 냉기 유로 구조
KR101507037B1 (ko) 제빙기의 함체
KR101596502B1 (ko) 냉장고
US20180209711A1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 clear icemaker
KR100565612B1 (ko) 냉장고용 제빙기
KR20170010305A (ko) 냉장고
KR20070110769A (ko) 냉장고
KR20040085596A (ko) 일체형 단열구조의 얼음저장고를 가지는 제빙기
KR100846889B1 (ko) 제빙 시스템 및 제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