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271B1 -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 Google Patents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271B1
KR100584271B1 KR1020040019963A KR20040019963A KR100584271B1 KR 100584271 B1 KR100584271 B1 KR 100584271B1 KR 1020040019963 A KR1020040019963 A KR 1020040019963A KR 20040019963 A KR20040019963 A KR 20040019963A KR 100584271 B1 KR100584271 B1 KR 100584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ice
ice making
making
compartmen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9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4673A (ko
Inventor
정성훈
서창호
김성재
이명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9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271B1/ko
Priority to EP05290395.2A priority patent/EP1580504B1/en
Priority to US11/071,149 priority patent/US7228703B2/en
Priority to JP2005082702A priority patent/JP4808980B2/ja
Priority to CNB2005100590014A priority patent/CN1324286C/zh
Publication of KR20050094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271B1/ko
Priority to US11/750,210 priority patent/US749377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에 있어서, 특히 냉장실 도어의 단열 공간에 제빙장치를 설치하고, 상기의 단열 공간 후벽인 단열부재에 덕트를 형성시켜 줌으로써, 제빙냉기를 순환시켜 주어 제빙 효율을 향상시키는 줄 수 있도록 한 제빙 냉기 유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는, 냉장실 도어의 내측 단열공간에 아이스 메이커 및 아이스뱅크를 구비한 제빙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제빙장치로의 제빙 냉기 유로에 있어서, 상기 제빙장치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냉장실 도어 내측에 설치되며, 일측 상단에 관통된 냉기 흡입구 및 하단 외면에 냉기 배출구가 형성된 단열 케이스와; 상기 단열 케이스 전면에 결합되는 단열 덮개와; 상기 제빙장치에서 제빙에 사용된 냉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단열 케이스의 타측 내면에 형성된 냉기 배기구 및 상기 냉기 배출구를 연통시켜 주는 제빙용 냉기 배출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장고, 제빙장치, 덕트, 유로

Description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Cold air path structure of cold storage room door}
도 1은 종래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의 제빙 장치를 설치한 구성도.
도 3은 일반적인 제방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를 나타낸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 4에서 냉장실 및 냉동실로의 냉기 공급 유로를 나타낸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 4에 있어서, 냉장실 도어에 설치된 제방장치의 구조.
도 7은 본 발명의 도 4에 있어서, 냉장실 도어 내측에 형성된 단열 케이스 내의 덕트 구성예를 나타낸 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공간에서의 제빙용 냉기 유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냉기 배출덕트를 나타낸 단열 케이스의 측 단면도 및 평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빙용 냉기 배출덕트를 나타낸 투시도.
도 11은 본 발명 도 10의 설치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에서의 제빙장치의 유로를 적용한 적용 예시도.
도 13은 일반적인 단열 공간 내에서의 제빙 냉기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냉장고 102...냉장실
103...냉동실 104,105,204...도어
107...증발기 108...송풍팬
109,110...냉기귀환덕트 111...베리어
120,121,128...냉기 공급 덕트 130...제빙장치
130a,230a...단열공간 131...단열덮개
132,232...단열케이스 133...아이스 메이커
134...아이스 뱅크 137...디스펜서
124,224...냉기 흡입구 125,225...제빙용 냉기 배출덕트
본 발명은 냉장고에 있어서, 특히 냉장실 도어의 단열 공간에 제빙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단열 부재에 제빙용 냉기 덕트를 구비하여, 제빙 용 냉기의 유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제빙실 냉기 유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동실과 냉장실이 상/하로 구획된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Type)과, 냉장실과 냉동실이 상/하로 구획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Type)으로 나뉘어진다.
여기서,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2) 및 냉동실이 베리어(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며, 상부 냉장실(2)을 개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가 설치되고, 하부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한 냉동실 도어가 설치된다.
종래의 제빙장치를 갖는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에 대하여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리어(11)에 의해 냉장실(2)과 냉동실(3)이 상/하측으로 구획된 냉장고 본체(1)와; 상기 냉장실(2) 및 냉동실(3)을 각각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4) 및 냉동실 도어(5)와; 기계실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6)와, 압축기(6)와 냉매관으로 연결되어 냉기 공급을 위해 냉동실 후벽에 설치된 증발기(7) 및 송풍팬(8)과, 냉기의 귀환을 위한 냉동실 냉기귀환 덕트(9) 및 냉장실 냉기 귀환덕트(10)와, 상기 냉동실 도어(5)의 내측에 설치되며, 냉동실(3)의 냉기를 이용하여 공급된 용수를 제빙하고 제빙된 얼음을 취출하고 보관하는 제빙장치(30)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제빙장치(12)는 냉동실로 공급된 냉기에 의해 공급 용수를 제빙하고 제빙된 얼음을 취출하는 아이스 메이커(ice maker, 20)와, 아이스 메이커(20)에 의해 취출된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 뱅크(3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의 제빙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7)에 의해 저온 저압의 기상상태로 상변화된 냉매가 압축기(6)로 유동되어 상기 압축기(6)를 통해 저온 저압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되고, 상기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는 응축기를 지나는 과정에서 냉각 응축되어 고압의 액상상태로 상변화되며, 상기와 같이 고압의 액상상태로 상변화된 냉매는 팽창밸브를 통과하면서 상기 증발기(7)에서 열 교환에 의해 증발되기 쉬운 상태로 감압(단열팽창)된 다음, 냉매의 증발과정이 이루어지는 증발기(7)로 유동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증발기(7)로 유입된 냉매는 냉장고 내부 열을 흡열하는 흡열작용을 통해 저온 저압의 기상상태로 상변화되면서 그 주위의 공기를 냉각시킨 후, 다시 압축기(6)로 유입되는 냉동 사이클을 이루게 된다.
이 때, 상기 증발기(7)와의 열 교환을 통해 냉매에 열을 빼앗기면서 냉각된 공기(냉기)는 증발기(7) 상단에 설치된 송풍팬(8) 구동에 의해 상기 냉동실(3)측으로부터 토출되는데, 이 때 상기 송풍팬(8) 구동에 의해 토출된 냉기는 댐퍼 작동에 따라 냉동실(2)과 냉장실(3)로 각기 분기 토출되게 된다.
특히 상기 냉동실(3) 측으로 토출되는 냉기는 냉동실(3)에 설치된 제빙장치(12)의 아이스 메이커(20)로 유입되어, 제빙장치(12)에서의 제빙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20)에는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실(21)과, 상기 제빙실(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빙실(2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21)은 대략 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얼음이 분리될 수 있도록 구획 리브(21a)가 소정 간격마다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빙실(21)의 후측 소정 부분에는 제빙장치를 냉동실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체결부(25)가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21)의 일측에는 모터부(23)가 설치된다. 이러한 모터부(23)에는 모터가 내장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는 이젝터(24)(ejector)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이젝터(24)는 상기 회전축이 제빙실(21)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젝터(24)의 회전축에는 회전축에 대략 수직하도록 다수개의 이젝터 핀(24a)이 소정 간격마다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각 이젝터 핀(24a)은 구획 리브(21a)에 의해 구획된 구간마다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빙실(21)의 전방측 상단부에는 대략 이젝터(24)의 회전축 근처까지 슬라이드 바(26)(slide bar)가 다수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빙실(21) 저면에는 히터(미도시)가 부착된다. 상기 히터는 제 빙실 표면을 짧은 시간동안 가열하여 제빙실 표면에 부착된 얼음 표면을 약간 녹여줌으로써 상기 얼음이 제빙실(21)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0)에는 아이스 뱅크(30)에 채워진 얼음의 양을 측정하도록 만빙감지 암(28)이 설치된다. 상기 만빙감지 암(28)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모터부(23)에 내장된 컨트롤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만빙감지 암(28)과 컨트롤부의 작용에 의해, 상기 아이스 뱅크(30)에 일정한 양의 얼음이 채워지게 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30)는 떨어지는 얼음을 보관하게 된다.
이러한 제빙장치의 동작을 보면, 제빙작용을 통해 아이스 메이커(20) 내에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20) 저면에 설치된 히터를 통해 얼음이 분리되기 쉬운 상태로 아이스 메이커(20)의 하단을 가열한 후, 상기 아이스 메이커(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젝터(24)의 회동작용을 통해 얼음을 분리하여 상기 아이스 메이커(20) 하단에 설치된 아이스 뱅크(30)에 보관된다.
그리고, 증발기 및 송풍팬에 의해 공급된 냉기가 냉장실 후벽에 설치된 냉기공급덕트(2a)를 통해 공급되며 냉기 토출구(2b)에 의해 냉장실로 공급된다. 냉장실(2)에 의해 사용된 냉기는 다시 귀환 덕트(10)를 통해서 증발기 하부로 귀환된다.
그러나, 종래의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는 제방장치가 냉동실에 설치되어 있는 제품에는, 아이스 디스펜서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또 냉동실에 제빙장치를 설치함에 따라 제빙장치가 차지하는 공간만큼 고내 용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전체적으로 고내의 사용 용적이 줄어들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냉장실 도어에 설치되는 제빙장치의 제빙 효율 향상을 위해, 단열공간 내에서의 냉기 유동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단열부재 내에 제빙용 냉기 덕트를 형성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제빙 냉기 유로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열 공간에 설치되는 아이스 메이커 및 아이스 뱅크에서의 제빙 효율 향상을 위해 단열공간에서의 냉기의 흡입 및 배출 위치가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될 수 있도록 냉기구멍을 형성한 제빙 냉기 유로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빙장치를 수용하는 단열 케이스 내에 덕트를 형성함으로써, 제빙용 냉기가 단열 공간으로의 흡입과 단열공간에서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제빙 냉기 유로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는,
냉장실 도어의 내측 단열공간에 아이스 메이커 및 아이스뱅크를 구비한 제빙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제빙장치로의 제빙 냉기 유로에 있어서,
상기 제빙장치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냉장실 도어 내측에 설치되며, 일측 상 단에 관통된 냉기 흡입구 및 하단 외면에 냉기 배출구가 형성된 단열 케이스와;
상기 단열 케이스 전면에 결합되는 단열 덮개와;
상기 제빙장치에서 제빙에 사용된 냉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단열 케이스의 타측 내면에 형성된 냉기 배기구 및 상기 냉기 배출구를 연통시켜 주는 제빙용 냉기 배출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냉기 배기구는 단열 케이스의 타측 하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냉기 배기구는 단열 케이스의 타측 중심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빙용 냉기 배출 덕트는 단열 케이스의 일측 하단의 냉기 배출구 및 타측 내면의 냉기 배기구에 연통되도록, 단열 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냉기 흡입구 및 냉기 배기구는 서로 대각선 방향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냉기 유로 구조는,
냉장실 도어의 내측 단열공간에 설치되며 공급용수를 냉기로 제빙하는 아이스 메이커 및 제빙된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뱅크로 이루어진 제빙장치와;
상기 제빙장치의 단열을 위해 냉장실 도어의 내측에서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단열부재와;
상기 단열부재의 일측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단열공간과 연통되는 제 1 냉기구멍과;
상기 단열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단열부재의 타측 내면에 형성된 제 2냉기구멍 및 일측에 형성된 제 3냉기구멍에 연통되어, 상기 단열공간과 연통시켜 주기 위한 제빙용 냉기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열부재는 냉장실 도어 내측에 소정의 두께 및 소정의 형상으로 상기 제빙장치를 수용하는 단열 케이스와, 상기 단열 케이스에 개폐되어 단열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단열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빙용 냉기 덕트는 단열 케이스 또는 단열덮개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냉기구멍은 냉기 흡입구이고, 상기 제빙용 냉기 덕트는 냉기 배출을 위해 제 2냉기구멍으로 배출되는 냉기를 유동시켜 제 3냉기구멍을 통해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냉기구멍은 냉기 배출구이며, 상기 제빙용 냉기 덕트는 냉기 흡입을 위해 제 3냉기구멍으로 흡입된 냉기를 유동시켜 제 2냉기구멍을 통해 단열공간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냉기구멍은 제 1 및 제 3냉기 구멍에 대해 삼각형 구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몸체(101) 내부에서 냉장실(102) 및 냉동실(103)이 상/하로 구획하는 베리어(111)와, 냉장실(102) 및 냉동실(103)의 개폐를 위한 도어(104)(105), 증발기(107) 및 복수개의 송풍팬(108,108b)과, 냉기귀환덕트(109)(110)와, 베리어(111)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 2송풍팬(108b)에 의해 토출되는 냉기를 유동시키는 제 1냉기공급덕트(120)와, 제 1냉기공급덕트(120)에 일측이 연통되고 측벽에 형성된 제 2냉기공급덕트(121)와, 냉장실 도어(104)의 내측 단열공간에 설치되고 제 2냉기공급덕트(121)의 냉기를 공급받아 공급된 용수를 제빙하고 제빙된 얼음을 보관하는 제빙장치(130)와, 상기 제빙장치(130)에서 사용된 냉기를 유동시켜 주어 타측의 냉동실(103)로 배출하는 제 3냉기공급덕트(12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빙장치(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 도어 내부에서 단열공간(130a)을 형성하기 위한 단열 덮개(131) 및 단열 케이스(132)와, 단열공간 내부에 설치된 아이스 메이커(133) 및 아이스 뱅크(134)와, 단열 케이스(132)의 일측 상단으로 냉기를 흡입시키는 냉기 흡입구(124)와, 단열 케이스(132)의 일측 하단 외측에 형성된 냉기 배출구(126)와, 상기 단열공간(130a)의 타측 하단의 냉기배기구 및 상기 냉기 배출구(126)를 연통시킨 제빙용 냉기배출덕트(125)와, 취출구(136) 및 디스펜서(137)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100)는 냉장실(102) 및 냉동실(103)이 베리어(1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며, 일측 냉장실 도어(104)의 내부 단열공간(또는 제빙공간)에 제빙장치(130)가 설치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104)의 내측으로 제빙장치(130)가 설치됨에 따라, 공급되는 냉기의 유로는 제빙장치(130), 냉동실(103) 및 냉장실(104)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빙장치(130)는 냉장실 도어(104)의 내측 단열공간(130a)에 설치되므로, 상기의 제빙장치(130)에 제빙을 위한 냉기 공급 유로를 확보하여야 하며, 또 냉동실(103) 및 냉장실(104)로의 냉기 공급 유로는 기존과 같은 유로(도 5참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107) 및 증발기 상부 타측에 설치된 제 2송풍팬(108b)에 의해 토출된 냉기를 제 1, 제 2냉기공급덕트(120,121)를 통해서 제빙장치(130)로 공급하는 제 1냉기 공급 유로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107) 및 제 1송풍팬(108)에 의해 토출된 냉기를 냉장실(103) 및 냉동실(104)로 공급하는 제 2냉기 공급 유로로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냉기 공급 유로를 각각 구분하여 작동시키거나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냉기 공급 유로는 급속 제빙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급속 제빙이 아닐 경우에는 제 2냉기 공급 유로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드들은 외부에서 사용자의 선택 제어 및 제어부에서의 제빙시간 제어를 통해서 각각의 모드별로 사용되거나, 공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2 송풍팬(108b)은 냉기공급덕트(120,121)를 통해 냉기를 공급하여야 하기 때문에 고정압 팬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압 팬은 일정하게 높은 압력으로 냉기를 토출시켜 주므로 토출 냉기와 냉동실의 온도차를 줄일 수 있는 풍량을 증대시켜 줄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 예로서, 단일개의 송풍팬을 설치하 여 정해진 냉기 공급 경로를 제공하여, 냉동실 및 냉동실, 그리고 제빙공간으로 공급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제빙장치(130)는 단열 케이스(132) 및 단열 덮개(131)로 형성되는 단열공간(130a)에 설치되고, 도 6과 같이 아이스 메이커(133) 및 아이스 뱅크(134)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제빙장치(130)는 상기 제 2송풍팬(108b)에 의해 토출되는 냉기가 베리어(111) 및 냉장고 측벽에 형성된 제 1 및 제 2냉기공급덕트(120,121)를 통해 제빙공간(130a)으로 공급되므로 온도를 일정 이하로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이스 메이커(133)는 공급된 용수를 제빙시키고, 제빙된 얼음을 취출한 후 아이스 뱅크(134)에 보관하게 된다. 그리고, 제빙용으로 사용된 냉기는 냉기 배출구(126)를 통해서 제 3냉기공급덕트(128)를 따라 유동하여 단부의 냉기 토출구(129)를 통해 냉동실로 공급된다.
그리고, 냉동실 냉기를 제빙장치(130)로 공급 및 배출하는 제빙 냉기 유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냉기공급덕트(120)는 베리어(111)에 형성되며 냉기 발생수단인 증발기(107) 및 제 2송풍팬(108b)에 의해 발생된 냉기를 유동시켜 냉기 유입구(123)를 통해 제 2냉기공급덕트(121)에 공급하게 된다. 제 2냉기공급덕트(121)는 냉장고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냉기 유입구(123)를 통해 유입된 냉기를 냉장실 도어(104)의 단열케이스(132) 상단에 형성된 냉기 흡입구(124)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 케이스(132)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냉기 흡입구(124)로 흡입되는 냉매는 단열 공간으로 유입되어 아이스 메이커(133) 및 아이스 뱅크(134)의 제빙 온도를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토록 한다.
그리고, 제빙장치(130)에 의해 제빙에 사용된 냉기는 다시 배출되는데, 상기 냉기는 단열 케이스(132)의 내면 좌측 하단에 형성된 냉기배기구(125a)를 통해서 제빙용 냉기배출덕트(125)를 따라 유동하여 냉기 배출구(126)로 배출된다.
이러한 냉기배출덕트(125)는 단열 케이스(132)의 하단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냉기배기구(125a)가 냉기 흡입구(124)와 대각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도 8과 같이 제빙용 냉기가 단열공간 내에서 아이스 메이커(133) 및 아이스 뱅크(134)에 대해 제빙작용을 충분히 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제빙용 냉기배출덕트(125)는 단열 케이스(132)의 하단 둘레에 형성되며, 냉기배기구(125a)와 냉기배출구(126)가 서로 반대 방향에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도 9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용 냉기 배출덕트(125)는 상단의 냉기 흡입구(124)를 통해 흡입되는 냉기는 대각선 방향에 형성된 냉기 배기구(125a)로 유입된 후 냉기배출덕트(125)를 따라 유동한 후 냉기 배출구(126)로 배출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냉장실 도어(204)의 내측에 구비된 단열 케이스(232)의 상단 일측에 관통된 냉기 흡입구(224) 및 하단 일측에 형성된 냉기 배출구(226)와, 상기 단열 케이스(232)의 타측 내면 중심부에 형성된 냉기 배기구(225a)와, 상기 냉기 배기구(225a) 및 냉기 배출구(226)를 연통시킨 제 빙용 냉기 배출덕트(225)로 구성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공간(230a)에 설치되는 아이스 메이커(233) 및 아이스 뱅크(234)의 제빙 온도로 유지시켜 주기 위해 단열 케이스(232)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냉기 흡입구로 냉기가 흡입되고, 단열 케이스(232)의 타측 내면에 형성된 냉기 배기구(225a)로 배출된다. 상기 냉기 배기구(225a)로 배출되는 냉기는 경사지게 형성된 제빙용 냉기배출덕트(225)를 따라 유동하여 단열 케이스(232)의 일측 하단에 형성된 냉기 배출구(226)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제빙용 냉기의 순환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는 냉기 흡입구(224)의 위치 대비 냉기 배기구(225a)의 위치가 중간에 위치하더라도 아이스 뱅크까지 충분하게 제빙 냉기를 공급시킨 후 배출되는 구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실 도어 내측의 단열 케이스에 제빙용 냉기가 유동할 수 있는 덕트를 구비함으로써, 단열 공간 내에서의 제빙용 냉기 유동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3과 같이 일반적으로 단열 공간(430a)의 일측에 위치한 단열 케이스(432)의 일측에 냉기 흡입구(424) 및 냉기 배출구(426)를 형성할 경우, 제빙용으로 흡입된 냉기는 단열 공간(430a)에서 큰 유동 없이 곧바로 냉기 배출구(426)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내부의 아이스 메이커(433) 및 아이스 뱅크(434)에 의한 제빙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에서도 상기한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300)의 냉동실(302)과 냉장실303)은 베리어(311)에 의해 좌/우측으로 구획되며, 상기 냉동실(302) 및 냉장실(303)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304,305)가 결합된다. 이러한 냉장실 도어(305)의 내측 소정 높이에 제빙장치(330)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제빙장치(330)는 아이스 메이커, 아이스 뱅크를 필수 구성요소로 하여 단열 케이스(332) 및 단열덮개(331)에 의해 형성된 단열공간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빙장치(330)는 냉장실 도어(305)의 내측에 설치된 단열 케이스(332)의 일측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냉기 흡입구(324)로 제빙용 냉기가 흡입되고 냉기 배출구(326)을 통해 배출된다.
즉, 냉동실 냉기가 냉기가 베리어(311)의 냉기 유입구(310)를 통해 단열 케이스(330)의 냉기 흡입구(324)를 통해 단열 공간으로 흡입되고, 제빙장치(330)에 의해 제빙용으로 사용된 냉기가 상기 단열케이스(332)의 냉기 배출구(326) 및 베리어(311)의 냉기 배기구(315)를 통해 냉동실(302)로 배출되는 냉기 순환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의 냉기 유입구(310) 및 냉기 흡입구(324), 냉기 배출구(326) 및 냉기 배기구(315)는 요철 형상으로 형합되어, 냉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공간의 일측 냉기 흡입구와 타측 냉기 배출구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서 하 방향으로 냉기가 공급되고 상 방향으로 냉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제 2 및 제 3냉기공급덕트의 단부 위치만을 변경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단열 케이스의 타측 내면에 형성된 냉기 배기구는 냉기 흡입구 및 냉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위치와 삼각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빙용 냉기 배출덕트를 단열 부재인 단열 케이스가 아닌 단열 덮개에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장실 도어의 내측에 제빙장치를 설치하고, 제빙장치를 위해 단열시키기 위한 단열 부재에 제빙용 냉기 배출 덕트를 형성시켜 주는 것으로서,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뿐만 아니라, 냉동실과 냉장실이 상/하로 구획된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Type)의 냉장실 도어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에 의하면, 냉장실 도어의 단열 공간에 설치되는 제빙장치로의 냉기 흡입 방향과 배출 방향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단열부재에 덕트를 형성시켜 줌으로써, 제빙 냉기 유로를 확보하여 제빙 효율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냉장실 도어의 내측 단열공간에 아이스 메이커 및 아이스뱅크를 구비한 제빙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제빙장치로의 제빙 냉기 유로에 있어서,
    상기 제빙장치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냉장실 도어 내측에 설치되며, 일측에 관통된 냉기 흡입구 및 냉기 배출구가 형성된 단열 케이스와;
    상기 단열 케이스 전면에 결합되는 단열 덮개와;
    상기 제빙장치에서 제빙에 사용된 냉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단열 케이스의 타측 내면에 형성된 냉기 배기구 및 상기 냉기 배출구를 연통시켜 주는 제빙용 냉기 배출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배기구는 단열 케이스의 타측 하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배기구는 단열 케이스의 타측 중심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냉기 유로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용 냉기 배출 덕트는 단열 케이스의 일측 하단의 냉기 배출구 및 타측 내면의 냉기 배기구에 연통되도록, 단열 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냉기 유로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흡입구 및 냉기 배기구는 서로 대각선 방향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냉기 유로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흡입구 및 냉기 배출구는 상기 냉기 배기구에 대해 삼각형 구조의 위치에 해당하는 단열 케이스 내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냉기 유로 구조.
KR1020040019963A 2004-03-24 2004-03-24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KR100584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963A KR100584271B1 (ko) 2004-03-24 2004-03-24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EP05290395.2A EP1580504B1 (en) 2004-03-24 2005-02-22 Cold air guide structure for ice-making chamber in cold chamber door
US11/071,149 US7228703B2 (en) 2004-03-24 2005-03-04 Cold air guide structure of ice-making chamber of cold chamber door
JP2005082702A JP4808980B2 (ja) 2004-03-24 2005-03-22 冷蔵室ドア製氷室の冷気ガイド構造
CNB2005100590014A CN1324286C (zh) 2004-03-24 2005-03-24 冷藏室门内制冰室的冷气引导结构
US11/750,210 US7493777B2 (en) 2004-03-24 2007-05-17 Cold air guide structure of ice-making chamber of cold chamber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963A KR100584271B1 (ko) 2004-03-24 2004-03-24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673A KR20050094673A (ko) 2005-09-28
KR100584271B1 true KR100584271B1 (ko) 2006-05-26

Family

ID=37275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963A KR100584271B1 (ko) 2004-03-24 2004-03-24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2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8886A1 (en) * 2008-11-24 2010-05-2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332018B1 (ko) * 2006-08-11 2013-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343092B1 (ko) * 2006-11-03 2013-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도어 제빙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3177B2 (en) 2004-09-27 2013-01-15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ice from a bottom mount refrigerator
US7340914B2 (en) 2005-01-03 2008-03-11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a water and ice dispenser having a retractable ledge
US7726148B2 (en) 2005-05-18 2010-06-01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ice compartment seal
US7337620B2 (en) 2005-05-18 2008-03-04 Whirlpool Corporation Insulated ice compartment for bottom mount refrigerator
US7568359B2 (en) 2005-05-27 2009-08-04 Maytag Corporation Insulated ice compartment for bottom mount refrigerator with controlled heater
DE102006063089B3 (de) 2005-09-23 2023-07-20 Lg Electronics Inc. Kühlschranktür
KR100751106B1 (ko) * 2005-12-22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실이 구비된 냉장실도어
KR100797155B1 (ko) * 2006-05-12 2008-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냉기유동구조
KR100716254B1 (ko) * 2006-08-18 200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715806B1 (ko) 2015-06-16 2017-03-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시스템 및 제빙방법
KR101705666B1 (ko) * 2015-06-17 2017-02-10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빙방법
US10401072B2 (en) 2015-08-31 2019-09-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EP4220051A1 (en) 2015-08-31 2023-08-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ES2893956T3 (es) 2015-08-31 2022-02-10 Lg Electronics Inc Frigorífic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018B1 (ko) * 2006-08-11 2013-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343092B1 (ko) * 2006-11-03 2013-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도어 제빙실
WO2010058886A1 (en) * 2008-11-24 2010-05-2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8302424B2 (en) 2008-11-24 2012-11-0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673A (ko) 200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8980B2 (ja) 冷蔵室ドア製氷室の冷気ガイド構造
KR100547341B1 (ko) 냉장고
KR101715806B1 (ko) 냉장고의 제빙시스템 및 제빙방법
EP3059526B1 (en) Ice-making tray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KR101980540B1 (ko) 냉장고
KR100584271B1 (ko)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US20160252286A1 (en) Refrigerator
KR20050077844A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
KR100621235B1 (ko)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의 제빙용 냉기 유로 구조
KR100584272B1 (ko)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KR100584273B1 (ko) 도어 제빙실의 냉기 유로 구조
KR20060007245A (ko) 냉장고의 제빙 제어 장치
KR100758325B1 (ko) 냉장고
KR100584270B1 (ko)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KR100531317B1 (ko) 냉장고
KR100621237B1 (ko) 냉장고의 냉기유로구조
KR20060053952A (ko) 냉장고
KR100607286B1 (ko) 냉장고의 냉기 유로 구조
KR100884951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KR20170010305A (ko) 냉장고
KR100585695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의 댐퍼
KR100763150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의 냉기 공급장치
KR100498385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KR100763151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의 냉기 공급장치
KR101263437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