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248B1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248B1
KR102165248B1 KR1020130070339A KR20130070339A KR102165248B1 KR 102165248 B1 KR102165248 B1 KR 102165248B1 KR 1020130070339 A KR1020130070339 A KR 1020130070339A KR 20130070339 A KR20130070339 A KR 20130070339A KR 102165248 B1 KR102165248 B1 KR 102165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generating member
heat transfer
transfer contro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002A (ko
Inventor
김용범
홍진표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411,791 priority Critical patent/US9766006B2/en
Priority to PCT/KR2013/005615 priority patent/WO2014003422A1/ko
Priority to EP13810478.1A priority patent/EP2869003B1/en
Priority to CN201380034235.6A priority patent/CN104412051B/zh
Publication of KR20140004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8Producing ice by immersing freezing chambers, cylindrical bodies or plates into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8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for different type of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냉각유닛에 연결된 얼음생성부재와 얼음생성부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물과의 열전달량이 얼음생성부재의 부분별로 다르도록 하여 얼음생성부재에, 예컨대 각이 없는 둥근 얼음, 특히 구형얼음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의 얼음이 생성되게 할 수 있는 제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냉각유닛(200); 및 상기 냉각유닛(200)에 연결되며 물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어 얼음(I)이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얼음생성부재(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얼음생성부재(300)와 상기 얼음생성부재(3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물과의 열전달량이 상기 얼음생성부재(300)의 부분별로 다르도록 하여 상기 얼음생성부재(300)에 다양한 형상의 얼음(I)이 생성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얼음생성부재에 다양한 형상의 얼음이 생성되게 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고, 둥글거나 구형 또는 반구형의 제빙틀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각이 없는 둥근 얼음, 특히 구형 얼음을 만들 수 있으며, 각이 없는 둥근 얼음, 특히 구형 얼음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Description

제빙기{ICE MAKER}
본 발명은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유닛에 연결된 얼음생성부재와 얼음생성부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물과의 열전달량이 얼음생성부재의 부분별로 다르도록 하여 얼음생성부재에, 예컨대 각이 없는 둥근 얼음, 특히 구형얼음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의 얼음이 생성되게 할 수 있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제빙기는 물을 빙점인 0℃ 이하로 냉각하여 얼음을 만들고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빙기는 얼음이 필요한 냉장고나 얼음정수기 등에 구비된다.
제빙기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침지부재가 물에 잠기도록 하여 침지부재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침지식 제빙기나,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 등의 냉각유닛이 구비된 제빙틀에 물이 분사되도록 하여 제빙틀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분사식 제빙기, 또는 물이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 등의 냉각유닛이 구비된 제빙틀을 흐르도록 하여 제빙틀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유수식 제빙기 등이 있다.
한편,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의 형상은 제빙틀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제빙틀의 형상에 따라 각얼음이나 둥근 얼음 등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제빙틀을 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하면, 구형 얼음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원하는 형상의 얼음을 만들려면 만들고자 하는 얼음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빙틀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각이 없는 둥근 얼음을 만들려면 둥근 제빙틀을 사용해야만 했으며, 특히 구형 얼음을 만들려면 구형 또는 반구형의 제빙틀을 사용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얼음, 예컨대 각이 없는 둥근 얼음이나 구형 얼음을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제빙틀을 사용해야만 하기 때문에, 각이 없는 둥근 얼음이나 구형 얼음을 만드는 경우에는, 제빙시 둥글거나 구형 또는 반구형의 제빙틀에 물이 담겨 있어야만 하는 등의 이유로, 제빙기의 구성이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제빙기에서는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용이하게 만들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빙기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빙틀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만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용이하게 만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둥글거나 구형 또는 반구형의 제빙틀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각이 없는 둥근 얼음, 특히 구형 얼음을 만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각이 없는 둥근 얼음, 특히 구형 얼음을 용이하게 만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제빙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냉각유닛에 연결된 얼음생성부재와 얼음생성부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물과의 열전달량이 얼음생성부재의 부분별로 다르도록 하여 얼음생성부재에 예컨대, 각이 없는 둥근 얼음, 특히 구형 얼음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의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제빙기는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냉각유닛; 및 냉각유닛에 연결되며 물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얼음생성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얼음생성부재와 얼음생성부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물과의 열전달량이 얼음생성부재의 부분별로 다르도록 하여 얼음생성부재에 다양한 형상의 얼음이 생성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얼음생성부재에는 얼음생성부재와 열전달율이 다른 열전달조절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생성부재는 열전달율이 다른 2개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얼음생성부재는 부분별로 두께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생성부재에 각이 없는 둥근 얼음이 생성되도록, 얼음생성부재의 하단부는 둥글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얼음생성부재 하부에서의 열전달량은 얼음생성부재의 다른 부분에서의 열전달량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생성부재 하부 이외의 부분에서의 열전달량은 얼음생성부재의 위로 갈수록 작아지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얼음생성부재에는 얼음생성부재보다 열전달율이 작은 열전달조절부재가 구비되며, 열전달조절부재의 하단부는 얼음생성부재의 하단부와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조절부재에는 얼음생성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멍은 단면적이 아래로 갈수록 작아지게 경사져서, 관통구멍의 하단부는 얼음생성부재에 밀착되고 얼음생성부재와 관통구멍 사이의 공간은 위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은 얼음생성부재에 대응되는 형상이고, 열전달조절부재의 두께는 위로 갈수록 두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얼음생성부재가 물에 잠기어 물이 얼음생성부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생성부재에 물을 분사하여 물이 얼음생성부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얼음생성부재를 따라 물이 흐르도록 하여 물이 얼음생성부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조절부재에는 히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는 전열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열선은 열전달조절부재의 외주에 구비되거나 열전달조절부재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전달조절부재의 외주에는 전열선구비홈이 형성되고, 전열선은 전열선구비홈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얼음의 탈빙시에 열전달조절부재의 외주에 물이 흐르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전달조절부재 위에는 물공급원에 연결된 물공급관이 지나며, 물공급관에는 열전달조절부재의 외주에 물이 흐르도록 공급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생성부재와 얼음생성부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물과의 열전달량이 얼음생성부재의 부분별로 다르도록 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얼음생성부재에 다양한 형상의 얼음이 생성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둥글거나 구형 또는 반구형의 제빙틀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각이 없는 둥근 얼음, 특히 구형 얼음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이 없는 둥근 얼음, 특히 구형 얼음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열전달조절부재가 얼음생성부재로부터 분리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생성부재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 내지 도10은 도1의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또 다른 실시예로 얼음의 탈빙을 돕도록 열전달조절부재에 히터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a 내지 도12c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열전달조절부재에 히터가 구비되는 구성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또 다른 실시예로 얼음의 탈빙시 열전달조절부재의 외주에 물이 흐르도록 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제빙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냉각유닛에 연결된 얼음생성부재와 얼음생성부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물과의 열전달량이 얼음생성부재의 부분별로 다르도록 하여 얼음생성부재에 예컨대, 각이 없는 둥근 얼음, 특히 구형 얼음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의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는 냉각유닛(200)과 하나 이상의 얼음생성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냉각유닛(200)은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냉각유닛(200)은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증발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유닛(200)에는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그러나, 냉각유닛(200)은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증발기에 한정되지 않고, 냉각이 이루어지록 구성된 것이라면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열전모듈(도시되지 않음)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얼음생성부재(300)는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냉각유닛(20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유닛(200)에서 냉각이 이루어지면, 얼음생성부재(300)가 냉각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냉각유닛(200)이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라면 얼음생성부재(300)에도 냉매가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얼음생성부재(300)에 냉매가 유동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증발기인 냉각유닛(200)에 냉매가 유동하면 얼음생성부재(300)가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냉각유닛(200)이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열전모듈이라면 얼음생성부재(300)는 냉각유닛(200)인 열전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유닛(200)인 열전모듈이 구동되면 얼음생성부재(300)가 냉각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얼음생성부재(300)의 상단부가 냉각유닛(2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얼음생성부재(300)가 냉각유닛(200)에 연결되는 부분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얼음생성부재(300)의 하단부나 중앙부가 냉각유닛(200)에 연결될 수도 있는 등 냉각유닛(200)에 연결될 수 있는 부분이라면 어떠한 부분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얼음생성부재(300)에는 물이 직접 접촉될 수도 있고, 간접적으로, 즉 얼음생성부재(300)에 접촉된 물이나 얼음생성부재(300)에 접촉된 다른 물질에 접촉되는 등의 방법으로 물이 간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물이 얼음생성부재(3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서,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생성부재(300)는 물에 잠길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생성부재(300)의 하부에 위치한 트레이부재(500)에 물이 공급되어 담기며, 트레이부재(500)에 공급되어 담긴 물에 얼음생성부재(300)가 잠길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하고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된 구성 이외에도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얼음생성부재(300)에 물을 분사하여 물이 얼음생성부재(3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얼음생성부재(300)를 따라 물이 흐르도록 하여 물이 얼음생생부재(3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될 수도 있다. 그러나, 물이 얼음생성부재(3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유닛(200)에 의해서 냉각이 이루어지면, 얼음생성부재(300)가 냉각될 수 있다. 예컨대, 냉각유닛(200)이 증발기인 경우에 증발기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면, 얼음생성부재(300)가 냉각되거나 얼음생성부재(300)에도 차가운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냉각유닛(200)이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열전모듈이라면 냉각유닛(200)인 열전모듈의 구동에 의해서 냉각유닛(200)이 냉각되어 얼음생성부재(300)가 냉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얼음생성부재(3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된 물, 예컨대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생성부재(300)가 잠긴 물, 즉 트레이부재(500)에 담기어 얼음생성부재(300)가 잠긴 물로부터 얼음생성부재(300)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유닛(200)이 증발기이고 얼음생성부재(300)에도 냉매가 유동한다면, 트레이부재(500)에 담긴 물로부터 얼음생성부재(300)를 유동하는 냉매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얼음생성부재(300) 주위의 물이 빙점인 0℃이하로 냉각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생성부재(300)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에서는 얼음생성부재(300)와 얼음생성부재(3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물과의 열전달량이 얼음생성부재(300)의 부분별로 다르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냉각유닛(200)이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이고 얼음생성부재(300)에도 냉매가 유동한다면, 얼음생성부재(300)를 유동하는 냉매와 얼음생성부재(300)가 잠기는 물과의 열전달량이 얼음생성부재(300)의 부분별로 다르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얼음생성부재(300)와 얼음생성부재(3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물과의 열전달량이 얼음생성부재(300)의 부분별로 다르게 하는 것과, 얼음생성부재(300)의 형상, 예컨대 얼음생성부재(300)의 부분 중 얼음(I)이 처음으로 생성되는 얼음생성부재(300)의 하단부 등의 형상을 다양하게 하는 것에 의해서,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생성부재(300)에 각이 없는 둥근 얼음(I), 특히 구형 얼음(I)을 포함하여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얼음(I)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얼음(I), 예컨대 각이 없는 둥근 얼음(I)이나 구형 얼음(I)을 만들기 위해서, 이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빙틀, 예컨대 둥글거나 구형 또는 반구형의 제빙틀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얼음생성부재(300)에 다양한 형상의 얼음(I)이 생성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얼음생성부재(300)에는 얼음생성부재(300)와 열전달율이 다른 열전달조절부재(400)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열전달조절부재(400)는 얼음생성부재(300)보다 열전달율이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3 내지 도6과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달조절부재(400)가 구비되지 않은 얼음생성부재(300)의 부분에 생성되는 얼음(I)의 부분의 크기가 열전달조절부재(400)에 생성되는 얼음(I)의 부분보다 클 수 있다. 그러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한 구성으로 각이 없는 둥근 얼음(I), 특히 구형 얼음(I)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의 얼음(I)을 만들 수 있다. 열전달조절부재(400)는 전술한 바와는 달리 얼음생성부재(300)보다 열전달율이 클 수도 있다.
이러한 열전달조절부재(400)의 하단부는 도1과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얼음생성부재(300)의 하단부와 소정 거리(D) 이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생성부재(300)의 하단부에는 이에 대응되는 형상이고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얼음(I)의 부분이 형성되고 열전달조절부재(400)에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얼음(I)의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열전달조절부재(400)에는 얼음생성부재(300)가 관통하는 관통구멍(4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구멍(410)은 도1과 도2 및 도4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단면적이 아래로 갈수록 작아지게 경사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4와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달조절부재(400)의 위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도록 열전달조절부재(400)에 얼음(I)의 부분이 생성되거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달조절부재(400)에 얼음(I)이 생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열전달조절부재(400)의 관통구멍(410)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얼음생성부재(300)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달조절부재(400)에는 얼음생성부재(300)에 대응되는 형상, 도시된 예에서는 원통형의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열전달조절부재(400)는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얼음생성부재(300)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달조절부재(400)에 얼음(I)이 생성되지 않아서, 링형상의 얼음(I)을 만들 수도 있다.
그러나, 열전달부재(400)의 형상이나 얼음생성부재(300)에서의 위치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얼음(I)을 생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이나 위치라도 가능하다.
각 얼음생성부재(300)에 구비되는 열전달조절부재(400)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복수개의 열전달조절부재(400)가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한 번에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300)에 복수개의 열전달조절부재(400)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각 얼음생성부재(300)에 구비되는 열전달조절부재(400)는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서로 분리될 수도 있고, 일부만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얼음생성부재(300)와 얼음생성부재(3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물과의 열전달량이 얼음생성부재(300)의 부분별로 다르도록 하기 위해서, 얼음생성부재(300)는 도7의 (a)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열전달율이 다른 2개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이를 위해서 도7의 (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얼음생성부재(300)는 부분별로 두께가 다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의 얼음생성부재(300)는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이 없는 둥근 얼음(I)이 생성되도록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그 하단부가 둥글 수 있다. 그리고, 얼음생성부재(300) 하부에서의 열전달량은 얼음생성부재(300)의 다른 부분에서의 열전달량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얼음생성부재(300) 하부 이외의 부분에서의 열전달량은 얼음생성부재(300)의 위로 갈수록 작아지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달량이 큰 얼음생성부재(300) 하부에 먼저 얼음(I)이 생성되며 상대적으로 빨리 얼음(I)이 성장할 수 있다. 그리고, 열전달량이 얼음생성부재(300)의 하부보다 작은 얼음생성부재(300)의 다른 부분은 나중에 얼음(I)이 생성되고 상대적으로 늦게 얼음(I)이 성장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생성부재(300)에 각이 없는 둥근 얼음(I), 특히 구형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이 없는 둥근 얼음(I), 특히 구형 얼음(I)을 만들기 위해서 종래와 같이 둥글거나 구형 또는 반구형의 제빙틀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각이 없는 둥근 얼음(I), 특히 구형 얼음(I)을 만들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용이하게 각이 없는 둥근 얼음(I), 특히 구형 얼음(I)을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얼음생성부재(300)에는 얼음생성부재(300)보다 열전달율이 작은 열전달조절부재(400)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얼음생성부재(300)는 열전달율이 비교적 큰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열전달조절부재(400)는 열전달율이 비교적 작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얼음생성부재(300)와 열전달조절부재(400)를 이루는 소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열전달조절부재(400)의 열전달율이 얼음생성부재(300)의 열전달율보다 작은 소재라면 주지의 어떠한 소재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열전달조절부재(400)의 하단부는 얼음생성부재(300)의 하단부와 소정 거리(D)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얼음생성부재(300) 하부에서의 열전달량이 얼음생성부재(300)의 다른 부분에서의 열전달량보다 크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열전달조절부재(400)가 얼음생성부재(300)에 구비되도록 하기 위해서, 열전달조절부재(400)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얼음생성부재(300)가 관통하는 관통구멍(4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구멍(410)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단면적이 아래로 갈수록 작아지게 경사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관통구멍(410)의 하단부는 얼음생성부재(300)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얼음생성부재(300)와 관통구멍(410) 사이의 공간(S)은 위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관통구멍(410)에 형성되는 공기층의 두께가 위로 갈수록 두꺼워지기 때문에, 얼음생성부재(300) 하부 이외의 부분에서의 열전달량이 얼음생성부재(300)의 위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이외에도, 얼음생성부재(300) 하부에서의 열전달량이 얼음생성부재(300)의 다른 부분에서의 열전달량보다 크면서 얼음생성부재(300) 하부 이외의 부분에서의 열전달량이 위로 갈수록 작아지게 하기 위해서, 열전달조절부재(400)가 얼음생성부재(30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관통구멍(410)이 얼음생성부재(300)에 대응되는 형상이고 열전달조절부재(400)의 두께가 위로 갈수록 두꺼워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유닛(200)에서 냉각이 이루어져서 얼음생성부재(300)가 냉각되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냉각유닛(200)과 냉각유닛(200)에 연결된 얼음생성부재(300)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면, 먼저 열전달량이 상대적으로 큰 얼음생성부재(300) 하부에서부터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얼음생성부재(300)의 하단부가 둥글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생성부재(300)의 하부에 둥근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생성부재(300) 하부 이외의 부분은 아직 얼음(I)이 생성될 정도로 그 주위의 물이 빙점인 0℃이하로 냉각되지 않았기 때문에, 얼음(I)이 생성되지는 않는다.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얼음생성부재(300) 주위의 물로부터 얼음생성부재(300)로 열전달이 계속 이루어져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생성부재(300) 하부 이외의 부분 주위의 물도 빙점인 0℃이하로 냉각되어 얼음(I)이 생성되기 시작할 수 있다. 얼음생성부재(300) 하부 이외의 부분은 위로 갈수록 열전달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얼음생성부재(300) 하부 이외의 부분에 생성되는 얼음(I)의 크기는 위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이와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이 얼음생성부재(300) 하부에 먼저 생긴 얼음(I)은 성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얼음생성부재(300)에는 각이 없는 둥근 얼음(I), 특히 구형 얼음(I)이 생성되어 성장할 수 있다. 그리고,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생성부재(300)에 생성된 각이 없는 둥근 얼음(I), 특히 구형 얼음(I)은 성장하여 소정 크기가 될 수 있다. 이후에는, 증발기인 냉각유닛(200)과 얼음생성부재(300)에 뜨거운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거나, 냉각유닛(200) 또는 얼음생성부재(300)에 구비된 히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얼음생성부재(300)를 가열하여 얼음생성부재(300)로부터 각이 없는 둥근 얼음(I), 특히 구형 얼음(I)이 분리되도록 한다. 그리고, 분리된 각이 없는 둥근 얼음(I), 특히 구형 얼음(I)은 얼음저장고(도시되지 않음)로 공급되어 저장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7의 (a)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얼음생성부재(300)는 열전달율이 다른 2개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얼음생성부재(300)의 하부는 상대적으로 열전달율이 큰 소재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얼음생성부재(300)의 부분은 상대적으로 열전달율이 작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열전달율이 작은 소재로 이루어진 얼음생성부재(300)의 하부 이외의 부분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위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이외에도, 얼음생성부재(300)는 도7의 (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분별로 두께가 다를 수도 있다. 예컨대, 얼음생성부재(300)의 하부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고 나머지 얼음생성부재(300)의 부분은 얼음생성부재(300)의 하부보다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그리고, 두께가 두꺼운 얼음생성부재(300)의 부분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위로 갈수록 두께가 더 두꺼워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얼음생성부재(300) 하부에서의 열전달량은 얼음생성부재(300)의 다른 부분에서의 열전달량보다 크고, 얼음생성부재(300) 하부 이외의 부분에서의 열전달량은 위로 갈수록 작아지게 되어, 얼음생성부재(300)에 소정 크기의 각이 없는 둥근 얼음(I), 특히 구형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도1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열전달조절부재(400)에는 히터(4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얼음생성부재(300)에 생성된 얼음(I)의 탈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생성부재(300)에 소정 크기의 각이 없는 둥근 얼음(I)이 생성된 경우, 냉각유닛(200)에 뜨거운 냉매가 유동하도록 함과 함께 히터(420)가 작동되도록 하면, 얼음생성부재(300)와 열전달조절부재(400)가 0℃ 이상으로 가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얼음생성부재(300)와 열전달조절부재(400)에 접촉하는 얼음(I)의 접촉면이 녹게 되어 얼음(I)이 얼음생성부재(300)와 열전달조절부재(400)로부터 분리되고 자중에 의해서 낙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낙하된 얼음(I)은 얼음저장고(도시되지 않음)로 이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
히터(420)는 도1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얼음(I)이 생성되는 열전달조절부재(400)의 부분,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열전달조절부재(4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1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열전달조절부재(400)에 구비되는 히터(420)는 전열선일 수 있다. 그리고, 전열선은 도12a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열전달조절부재(400)의 외주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전열선은 열전달조절부재(400)의 외주에 나선형으로 감겨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12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열선은 열전달조절부재(400)에 삽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히터(420)가 열전달조절부재(4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성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 열전달조절부재(400)에는 도12c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열선구비홈(40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열선구비홈(400a)은 예컨대 나선형으로 열전달조절부재(40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열선은 열전달조절부재(400)의 이러한 전열선구비홈(400a)에 구비될 수 있다.
각 열전달조절부재(400)에 구비된 전열선은 도1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히터(420)는 전술한 전열선 이외에도 면상발열체 등 열전달조절부재(400)에 구비되어 얼음(I)의 탈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각 열전달조절부재(400)에 구비된 히터(420)는 서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각각 전원공급원에 연결될 수도 있다.
얼음(I)의 탈빙시에는 도1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열전달조절부재(400)의 외주에 물이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냉각유닛(200)에 뜨거운 냉매가 유동하도록 함과 함께 열전달조절부재(400)의 외주에 물이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열전달조절부재(400)와 얼음(I)이 접촉하는 부분이 더 용이하게 녹을 수 있어서, 얼음(I)이 얼음생성부재(300)와 열전달조절부재(4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열전달조절부재(400) 위에는 도1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공급관(430)이 지날 수 있다. 물공급관(430)은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물공급관(430)으로는 물이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물공급관(430)에는 열전달조절부재(400)의 외주에 물이 흐르도록 공급구멍(431)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급구멍(431)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열전달조절부재(400)의 외주에 물이 흐르도록 하는 구성은 전술하고 도13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를 사용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얼음생성부재에 다양한 형상의 얼음이 생성되게 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고, 둥글거나 구형 또는 반구형의 제빙틀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각이 없는 둥근 얼음, 특히 구형 얼음을 만들 수 있으며, 각이 없는 둥근 얼음, 특히 구형 얼음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제빙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제빙기 200 : 냉각유닛
300 : 얼음생성부재 400 : 열전달조절부재
400a : 전열선구비홈 410 : 관통구멍
420 : 히터 430 : 물공급관
431 : 공급구멍 I : 얼음
D : 거리 S : 공간

Claims (20)

  1.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냉각유닛(200);
    상기 냉각유닛(200)에 연결되며 물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어 얼음(I)이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얼음생성부재(300); 및
    상기 얼음생성부재(300)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얼음생성부재(300)와 다른 열전달율을 갖는 열전달조절부재(400); 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조절부재(400)에는 상기 얼음생성부재(300)가 관통하는 관통구멍(410)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구멍(410)의 하단부는 상기 얼음생성부재(300)에 밀착되며,
    상기 열전달조절부재(400)는 상기 냉각유닛(200)과 소정 거리 이격되는 제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모양의 얼음(I)을 생성하도록 상기 얼음생성부재(300)와의 이격거리가 서로 다른 형상의 상기 열전달조절부재(400)를 상기 얼음생성부재(300)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된 제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생성부재(300)는 열전달율이 다른 2개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생성부재(300)는 부분별로 두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생성부재(300)에 각이 없는 둥근 얼음(I)이 생성되도록, 상기 얼음생성부재(300)의 하단부는 둥근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생성부재(300) 하부에서의 열전달량은 상기 얼음생성부재(300)의 다른 부분에서의 열전달량보다 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생성부재(300) 하부 이외의 부분에서의 열전달량은 상기 얼음생성부재(300)의 위로 갈수록 작아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조절부재(400)는 상기 얼음생성부재(300)보다 열전달율이 작으며,
    상기 열전달조절부재(400)의 하단부는 상기 얼음생성부재(300)의 하단부와 소정 거리(D)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410)은 단면적이 아래로 갈수록 작아지게 경사져서,
    상기 관통구멍(410)의 하단부는 상기 얼음생성부재(300)에 밀착되고 상기 얼음생성부재(300)와 관통구멍(410) 사이의 공간(S)은 위로 갈수록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410)은 상기 얼음생성부재(300)에 대응되는 형상이고,
    상기 열전달조절부재(400)의 두께는 위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생성부재(300)가 물에 잠기어 물이 상기 얼음생성부재(3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생성부재(300)에 물을 분사하여 물이 상기 얼음생성부재(3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생성부재(300)를 따라 물이 흐르도록 하여 물이 상기 얼음생성부재(3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조절부재(400)에는 히터(4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420)는 전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은 상기 열전달조절부재(400)의 외주에 구비되거나 상기 열전달조절부재(400)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조절부재(400)의 외주에는 전열선구비홈(400a)이 형성되고,
    상기 전열선은 상기 전열선구비홈(400a)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9. 제1항에 있어서, 얼음의 탈빙시에 상기 열전달조절부재(400)의 외주에 물이 흐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조절부재(400) 위에는 물공급원에 연결된 물공급관(430)이 지나며,
    상기 물공급관(430)에는 상기 열전달조절부재(400)의 외주에 물이 흐르도록 공급구멍(4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KR1020130070339A 2012-06-29 2013-06-19 제빙기 KR102165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11,791 US9766006B2 (en) 2012-06-29 2013-06-25 Ice maker
PCT/KR2013/005615 WO2014003422A1 (ko) 2012-06-29 2013-06-25 제빙기
EP13810478.1A EP2869003B1 (en) 2012-06-29 2013-06-25 Ice maker
CN201380034235.6A CN104412051B (zh) 2012-06-29 2013-06-25 制冰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185 2012-06-29
KR20120071185 2012-06-29
KR1020120098329 2012-09-05
KR20120098329 2012-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002A KR20140004002A (ko) 2014-01-10
KR102165248B1 true KR102165248B1 (ko) 2020-10-13

Family

ID=50140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339A KR102165248B1 (ko) 2012-06-29 2013-06-19 제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66006B2 (ko)
EP (1) EP2869003B1 (ko)
KR (1) KR102165248B1 (ko)
CN (1) CN104412051B (ko)
WO (1) WO20140034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89629A1 (en) * 2014-06-20 2017-03-30 Dae Chang Co., Ltd. Ice maker,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ce maker heater
KR102466208B1 (ko) * 2015-10-02 2022-11-15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냉각장치
US11454437B2 (en) * 2019-04-08 2022-09-27 Ii-Vi Delaware, Inc. Frozen substance maker
KR102071263B1 (ko) * 2019-08-05 2020-01-30 포시엠컴퍼니(주) 아이스볼 메이커
JP7392981B2 (ja) * 2019-12-25 2023-12-06 アクア株式会社 製氷機及び製氷機を備えた冷蔵庫
US20210222933A1 (en) * 2020-01-16 2021-07-2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ce-making appliances and methods for dispensing ice above a sink
WO2022200843A1 (en) * 2021-03-26 2022-09-29 Ram Prakash Sharma A conductive protrusion assembly for an evaporator of an ice-making ma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7619A (ja) * 2003-03-24 2008-07-10 Mitsubishi Electric Corp 製氷装置、冷凍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3030A (en) * 1967-06-19 1969-03-18 Gen Motors Corp Automatic liquid freezer
FR2333420A7 (fr) * 1975-11-28 1977-06-24 Coval Perfectionnements aux machines pour fabriquer des glacons
US4458503A (en) * 1980-05-16 1984-07-10 King-Seeley Thermos Co. Ice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US4685304A (en) * 1986-02-13 1987-08-11 Essig Robert 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ube of frozen liquid
US4959966A (en) * 1989-02-17 1990-10-02 Berge A. Dimijian Ice forming apparatus
US5187948A (en) * 1991-12-31 1993-02-23 Whirlpool Corporation Clear cube ice maker
JPH0719684A (ja) * 1993-06-30 1995-01-20 Showa Alum Corp 製氷板
JPH09203573A (ja) * 1996-01-25 1997-08-0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製氷器
WO2006002224A2 (en) * 2004-06-22 2006-01-05 The Trustees Of Dartmouth College Pulse systems and methods for detaching ice
KR20040085605A (ko) * 2003-04-01 2004-10-0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제빙기의 제빙기판
CN2755518Y (zh) * 2004-12-01 2006-02-01 吴江市荣达制冷配件有限公司 制冰机用蒸发器
JP2008530497A (ja) * 2005-02-15 2008-08-07 コントロール・デヴァイシ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氷を検出し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80022479A (ko) * 2006-09-06 2008-03-11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제빙기의 증발관
KR100820675B1 (ko) * 2006-09-06 2008-04-11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제빙기의 증발관
KR100936610B1 (ko) * 2008-01-21 201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0936691B1 (ko) * 2009-06-16 2010-01-13 주식회사 태성 제빙용 냉매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264618B1 (ko) * 2010-06-24 2013-05-27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7619A (ja) * 2003-03-24 2008-07-10 Mitsubishi Electric Corp 製氷装置、冷凍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69003A4 (en) 2015-06-24
CN104412051A (zh) 2015-03-11
EP2869003B1 (en) 2018-12-19
US20150143838A1 (en) 2015-05-28
EP2869003A1 (en) 2015-05-06
KR20140004002A (ko) 2014-01-10
CN104412051B (zh) 2017-10-27
US9766006B2 (en) 2017-09-19
WO2014003422A1 (ko) 201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5248B1 (ko) 제빙기
KR20130110874A (ko) 제빙기
CN102549359A (zh) 冷冻冷藏库的制冰装置
KR20130110875A (ko) 제빙기
US8534088B2 (en) Controlling method of ice maker
US9752813B2 (en) Refrigerator with thermoelectric device control process for an icemaker
KR101660962B1 (ko) 구형 얼음을 제빙할 수 있는 제빙장치 및 방법
CN101520264A (zh) 冰箱制冰组件及其控制方法
EP3714223B1 (en) An evaporator assembly for a horizontal type ice making machine
KR101463904B1 (ko) 제빙 유닛을 냉수 탱크 하부에 배치한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WO2009013128A3 (de) Kältegerät mit ausgabeklappe
KR20120076327A (ko)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KR20110054759A (ko) 제빙기
KR101826872B1 (ko) 제빙기
JP2005090814A (ja) 噴射式製氷機
KR101644181B1 (ko) 실링 겸용 구형 얼음 제빙장치 및 방법
US9638451B2 (en) Clad metal ice cube tray
KR102193470B1 (ko) 제빙기
KR102316929B1 (ko) 제빙기
KR102201819B1 (ko) 제빙기
KR102466208B1 (ko) 제빙용 냉각장치
US20100186421A1 (en) Ice cube prepar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ice cube preparer
KR20220037824A (ko)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JP2004045002A (ja) 製氷器
KR20170101405A (ko) 응축수 절감 제빙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