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327A -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 Google Patents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327A
KR20120076327A KR1020110145528A KR20110145528A KR20120076327A KR 20120076327 A KR20120076327 A KR 20120076327A KR 1020110145528 A KR1020110145528 A KR 1020110145528A KR 20110145528 A KR20110145528 A KR 20110145528A KR 20120076327 A KR20120076327 A KR 20120076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casing
evaporator
tray
m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정희도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1/01030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091484A2/ko
Publication of KR20120076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이 수용되는 케이싱(110); 상기 케이싱의 상측에 배치되고 냉매 유로(121a)가 형성되는 증발기 몸체(121)와, 상기 증발기 몸체(121)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110)의 물에 침지되어 제1얼음(10)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핑거(123)를 포함하는 증발장치(120); 및 상기 증발장치(1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장치(120)의 상측 냉기에 의해 제2얼음(20)이 형성되도록 하는 얼음 트레이(130);를 포함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ICE MAK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IFFERENT SHAPE ICES}
본 발명은 다른 형상의 얼음을 동시에 제조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얼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 이온수기, 냉장고 등의 수처리장치가 있다. 그리고, 수처리장치에는 얼음을 얼릴 수 있도록 제빙기가 설치될 수 있다.
제빙기는 물을 분사하여 얼음이 형성되도록 하는 분사식과, 물이 유동되는 상태에서 얼음이 형성되도록 하는 유수식과, 증발기의 핑거가 침지된 상태에서 핑거에 얼음이 형성되도록 하는 침지식 등이 있다.
제빙기는 수처리장치의 설계 형태에 따라 특정 제빙기가 선택적으로 채용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제빙기는 얼음의 제조 형태에 따라 동일한 형태의 얼음만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얼음 선택폭을 감소시켰다.
또한, 제빙기는 증발기의 일부에서 발생되는 냉기만을 이용하므로,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냉기가 대부분 얼음을 제조하는데 사용되지 못할 수 있었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얼음 선택폭을 증대시킬 수 있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장치 또는 열전모듈을 포함하는 전자제빙장치에서 발생한 보다 많은 냉기가 얼음을 제조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물이 수용되는 케이싱; 케이싱의 상측에 배치되고 냉매 유로가 형성되는 증발기 몸체와, 증발기 몸체의 하측에 구비되며 케이싱의 물에 침지되어 제1얼음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핑거를 포함하는 증발장치; 및 증발장치의 상측에 설치되어 증발장치의 상측 냉기에 의해 제2얼음이 형성되도록 하는 얼음 트레이;를 포함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를 제공한다.
상기 얼음 트레이는 증발기 몸체의 상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얼음 트레이의 하면에는 증발기 몸체의 상측면과 접촉되도록 접촉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얼음 트레이는 외부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증발장치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얼음 트레이는 얼음 트레이를 이동시키도록 얼음 트레이에 연결된 구동유닛에 의해서 제2얼음이 필요한 경우에 증발장치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증발장치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케이싱을 포함하며, 얼음 트레이는 제1케이싱과 함께 회전되지 않고 증발장치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제1케이싱의 일측에 연결되어 증발장치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2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장치에 저온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여 다수의 핑거에는 제1얼음이 형성되고 얼음 트레이에는 제2얼음이 형성되도록 하며, 증발장치에 고온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여 다수의 핑거에 형성된 제1얼음이 다수의 핑거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증발장치에 저온 냉매가 유동하도록 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증발장치에 고온 냉매가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핑거에 형성된 제1얼음이 소정 크기가 되면 증발장치에 고온 냉매가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물이 수용되는 케이싱; 케이싱의 상측에 배치되는 열전달부재와, 열전달부재의 일측과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열전모듈, 열전달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며 케이싱의 물에 침지되어 제1얼음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핑거를 포함하는 전자제빙장치; 및 전자제빙장치의 상측에 설치되어 전자제빙장치의 상측 냉기에 의해 제2얼음이 형성되도록 하는 얼음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얼음 트레이는 열전달부재의 상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얼음 트레이의 하면에는 열전달부재의 상측면과 접촉되도록 접촉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얼음 트레이는 외부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전자제빙장치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얼음 트레이는 얼음 트레이를 이동시키도록 얼음 트레이에 연결된 구동유닛에 의해서 제2얼음이 필요한 경우에 전자제빙장치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전자제빙장치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케이싱을 포함하며, 얼음 트레이는 제1케이싱과 함께 회전되지 않고 상기 전자제빙장치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제1케이싱의 일측에 연결되어 전자제빙장치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2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모듈에 의해서 열전달부재를 냉각하여 다수의 핑거에는 제1얼음이 형성되고 얼음 트레이에는 제2얼음이 형성되도록 하며, 열전모듈에 의해서 열전달부재를 가열하여 다수의 핑거에 형성된 제1얼음이 다수의 핑거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열전모듈에 의해서 열전달부재를 냉각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열전모듈에 의해서 열전달부재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핑거에 형성된 제1얼음이 소정 크기가 되면 열전모듈에 의해서 열전달부재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 트레이에는 서로 격리된 형태의 다수의 얼음 큐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얼음 트레이에 물을 공급한 후 얼음 트레이의 물이 상기 케이싱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는 얼음 저장고와 냉수탱크가 구비되며, 다수의 핑거에 형성된 제1얼음은 얼음 저장고에 보내져서 저장되거나 냉수탱크로 보내져서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얼음 트레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증발장치 또는 전자제빙장치의 상하측에서 서로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얼음 선택폭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증발장치 또는 전자제방장치의 상측과 하측의 냉기가 얼음을 제조하는데에 사용되므로, 보다 많은 양의 냉기가 얼음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소정의 온도 이하로 냉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수탱크에 저장된 비교적 온도가 낮은 물을 얼음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하여 얼음의 제조가 용이하고 적은 에너지로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에서 핑거로부터 분리된 얼음이 하부의 얼음 저장고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의 얼음 트레이를 제2얼음이 필요한 경우에 구동유닛에 의해서 증발장치 또는 전자제빙장치의 상측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의 얼음 트레이와 케이싱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에서 핑거로부터 분리된 얼음이 하부의 얼음 저장고로 배출되는 다른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에서 핑거로부터 분리된 얼음이 하부의 냉수탱크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는 정수기, 이온수기, 냉장고 등 다양한 종류의 수처리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는, 케이싱(110), 증발장치(120) 및, 얼음 트레이(130)를 포함한다.
케이싱(110)의 내부에는 물이 수용된다. 케이싱(110)은 증발장치(1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케이싱(111)을 포함한다. 또한, 케이싱(110)은 제1케이싱(111)의 일측에 연결되어 증발장치(120)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2케이싱(112)을 포함한다.
제1케이싱(111)과 제2케이싱(112)은 대략 수직한 형태로 배치되므로, 케이싱(110)이 회전될 때에 제1케이싱(111)과 제2케이싱(112)의 물이 서로 유동된다.
제1케이싱(111)의 양측에는 회전축(117)이 각각 돌출된다. 이때, 하나의 회전축(117)은 제빙기의 주위 구조물(도시되지 않음)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 하나의 회전축(117)은 모터의 회전축(117)에 연결된다. 또한, 제1케이싱(111)의 회전축(117)은 제2케이싱(112)의 반대편으로 편중되게 위치되어 케이싱(110)이 회전될 때에 제2케이싱(112)이 증발장치(120)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제2케이싱(112)의 개구측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그릴(115)이 형성된다. 그릴(115)은 제2케이싱(112)의 개구부 전체를 덮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110)의 상측에는 증발장치(120)가 배치된다. 케이싱(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냉매 유로(121a)가 형성되는 증발기 몸체(121)와, 증발기 몸체(121)의 하측에 케이싱(110)의 물에 침지되어 제1얼음(10)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핑거(123)를 포함한다. 이때, 증발기 몸체(121)는 제1케이싱(111)의 상측에 위치되고, 증발기 몸체(121)의 일측에는 제2케이싱(112)이 위치된다. 여기서, 제1얼음(10)은 핑거(123)의 외주면에 얼음이 형성되어 일단이 막혀있는 튜브 형태(컵 형태)로 형성된다.
증발기 몸체(121)는 전체적으로 "ㄷ" 형태를 갖는 원형 파이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핑거(123)의 단면은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증발기 몸체(121)의 냉매 유로(121a)에는 증발 및 팽창된 저온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증발기 몸체(121)의 저온 냉매가 증발기 몸체(121)와 핑거(123)를 냉각시켜 핑거(123)에 얼음, 즉 제1얼음(10)이 생성되도록 한다.
증발장치(120)는 압축기(미도시), 응축기(미도시) 및 팽창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냉매 시스템을 구성한다. 따라서, 압축기에서 냉매가 압축되고, 응축기에서 응축된 후 팽창장치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장치(120)로 공급된다. 증발장치(120)에서 토출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로 유입된다.
증발장치(120)의 상측에는 얼음 트레이(130)가 설치된다. 얼음 트레이(130)에는 증발장치(120)의 상측 냉기에 의해 제2얼음(20)이 형성된다.
얼음 트레이(130)는 증발기 몸체(121)의 상측면과 접촉된다. 이때, 얼음 트레이(130)의 하면에는 증발기 몸체(121)의 상측면과 접촉되도록 접촉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접촉홈(131)은 얼음 트레이(130)와 증발기 몸체(121)의 접촉면을 증대시킨다. 이러한 접촉홈(131)은 증발기 몸체(121)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얼음 트레이(130)는 외부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증발장치(120)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얼음 트레이(130)는 증발기 몸체(121)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인출되거나 또는 증발기 몸체(121)의 상측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얼음 트레이(130)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얼음 트레이(130)는 구동유닛(15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동유닛(150)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얼음(20)이 필요한 경우에 증발장치(120), 후술하고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100)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전자제빙장치(12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구동유닛(150)이 얼음 트레이(130)를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였으나, 얼음 트레이(130)를 수평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얼음 트레이(130)의 내부에는 다수의 리브(135)에 의해 서로 격리됨에 따라 다수의 얼음 큐브(1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얼음 큐브(133)는 다각형 형태 또는 원형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별모양이나 복주머니, 달, 또는 하트 형태나 이들이 조합된 형태 등 여러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얼음 큐브(133)의 형태에 따라 제2얼음(20)의 형태가 결정된다. 예컨대, 얼음 큐브(133)가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면, 제2얼음(20)은 다각형 각얼음 형태로 형성될 것이다. 또한, 얼음 큐브(133)가 원형 형태로 형성되면, 제2얼음(20)은 원통형 형태로 형성될 것이다.
물론, 얼음 트레이(130)에는 다각형 형태의 얼음 큐브와 원형의 얼음 큐브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얼음 트레이(130)에서는 다각형 각얼음 형태와 원형 얼음 형태의 제2얼음(20)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얼음 트레이(130)는 알루미늄, 구리 등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10)은 증발장치(120)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얼음 트레이(130)는 케이싱(110)과 함께 회전되지 않고 증발장치(120)의 상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1얼음(10)은 케이싱이 회전됨에 의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저장고(200)에 저장되고, 제2얼음(20)은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얼음 트레이(130)로부터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얼음(10)과 제2얼음(20)이 동시에 얼음 저장고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므로 제1얼음(10)과 제2얼음(20)이 혼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케이싱(11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물공급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물공급부(미도시)는 제1케이싱(111)에 필요한 만큼의 물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물공급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의 하부에 구비된 냉수탱크(300)가 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냉수탱크(3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얼음 트레이(1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연결관(310)과, 연결관(310)에 구비된 펌프(320)에 의해서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이 먼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트레이(130)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 트레이(130)에 공급된 물이 넘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에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물이 얼음 트레이(130)와 케이싱(110)에 공급될 수 있어서 제2얼음(20)과 제1얼음(10)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적은 에너지로 제2얼음(20)과 제1얼음(10)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예 이외에도 물공급부는 얼음 트레이(130)와 제1케이싱(111)에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얼음 트레이(130)에는 물공급부에 의해 물이 공급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물을 채워넣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는 케이싱(110), 전자제빙장치(120') 및 얼음 트레이(130)를 포함한다. 케이싱(110)과 얼음 트레이(13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전자제빙장치(120')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전자제빙장치(120')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케이싱(1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열전달부재(122)와, 열전달부재(122)의 일측과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열전모듈(124), 열전달부재(122)의 하측에 구비되며 케이싱(110)의 물에 침지되어 제1얼음(10)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핑거(123)를 포함한다.
열전모듈(124)은 전원이 인가되면 일측은 냉각되고 타측은 가열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열전모듈(124)의 냉각측이 열전달부재(12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전모듈(124)에 전원이 인가되면 열전달부재(122)가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싱(110)의 물에 침지된 다수의 핑거(123)에 제1얼음(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얼음 트레이(130)에 제2얼음(20)이 형성될 수 있다.
열전모듈(124)의 가열측에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방열핀(125)과 냉각팬(126)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전모듈(124)에 전원이 인가되어 가열된 가열측을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후술할 바와 같이 열전모듈(124)에 전원을 역으로 인가하면, 전술한 열전모듈(124)의 냉각측은 가열되고 가열측은 냉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전달부재(122)를 가열하여 다수의 핑거(123)에 형성된 제1얼음(10)을 다수의 핑거(123)로부터 각각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얼음 트레이(130)는 전자제빙장치(1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전자제빙장치(120')의 상측 냉기에 의해 제2얼음(2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얼음 트레이(130)는 열전달부재(122)의 상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 트레이(130)의 하면에는 열전달부재(122)의 상측면과 접촉되도록 접촉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얼음 트레이(130)는 외부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전자제빙장치(120')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 트레이(130)는 얼음 트레이(130)를 이동시키도록 얼음 트레이(130)에 연결된 구동유닛(150)에 의해서 제2얼음(20)이 필요한 경우에 전자제빙장치(12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싱(110)은 상기 전자제빙장치(120')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케이싱(111)과 제1케이싱(111)의 일측에 연결되어 전자제빙장치(120')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2케이싱(112)을 포함하며, 얼음 트레이(130)는 제1케이싱(111)과 함께 회전되지 않고 전자제빙장치(12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물공급부(미도시)에서는 제1케이싱(111)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한다. 이때, 물공급부는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 만큼의 물을 제1케이싱(111)에 공급하여 제1케이싱(111)의 수위가 증발장치(120)의 핑거(123)를 침지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얼음 트레이(130)에는 물공급부에 의해 또는 사용자에 의해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외에 전술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부는 케이싱(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냉수탱크(300)일 수 있다. 그리고, 냉수탱크(300)에 연결된 연결관(310)의 펌프(320)를 구동하여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을 연결관(310)에 의해서 얼음 트레이(13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트레이(130)의 물이 넘쳐서 케이싱(110)에 공급될 수도 있다.
증발장치(120)에는 팽창장치에서 팽창된 증발 냉매가 유입된다. 이때, 증발기 몸체(121)의 냉매 유로(121a)를 따라 증발 냉매가 유동된다. 증발 냉매는 증발기 몸체(121)와 핑거(123)를 냉각시킨다. 핑거(123)가 냉각됨에 따라 제1케이싱(111)에 수용된 물이 핑거(123)의 표면에서 얼음으로 변하고, 얼음들이 성장함에 따라 제1얼음(10)이 형성된다.
동시에, 증발기 몸체(121)는 얼음 트레이(130)를 냉각시킨다. 얼음 트레이(130)가 냉각됨에 따라 얼음 트레이(130)의 얼음 큐브(133)들에서는 제2얼음(20)이 형성된다. 이때, 제1얼음(10)과 제2얼음(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다.
증발장치(120)의 핑거(123)에 제1얼음(10)이 형성되면, 제어부에서는 냉매 시스템을 역으로 가동하여 증발장치(120)에 고온 냉매를 공급한다. 이때, 증발장치(120)에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직접 유입된다.
고온 냉매는 증발기 몸체(121)와 핑거(123)를 가열한다. 이때, 제1얼음(10)에서 핑거(123)와 접촉면이 용융되므로 제1얼음(10)은 핑거(123)로부터 제1케이싱(111)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제1케이싱(111)에는 얼음과 물이 혼합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장치(120)에 저온 냉매가 유동하도록 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증발장치(120)에 고온 냉매가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핑거(123)에 형성된 후 분리된 제1얼음(10)의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수의 핑거(123)에 형성된 제1얼음(10)이 소정 크기가 되면 상기 증발장치(120)에 고온 냉매가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도, 다수의 핑거(123)에 형성된 후 분리된 제1얼음(10)의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제1얼음(10)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해서, 제1케이싱(111)에는 전자기파센서(도시되지 않음)나, 제1케이싱(111)에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선회부재(도시되지 않음)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1얼음(10)의 크기를 감지하는 구성은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1얼음(10)의 크기를 감지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동일한 크기의 제1얼음(10)을 얻기 위해서,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100)의 경우에는 열전모듈(124)에 의해서 열전달부재(122)를 냉각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열전모듈(124)에 의해서 열전달부재(122)를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핑거(123)에 형성된 제1얼음(10)이 소정 크기가 되면 열전모듈(124)에 의해서 열전달부재(122)를 가열할 수도 있다.
도 3은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에서 핑거로부터 분리된 얼음이 하부의 얼음 저장고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핑거(123)로부터 제1얼음(10)이 모두 낙하하면, 케이싱(110)의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케이싱(110)은 회전축(117)을 중심으로 일방향(도 3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제1케이싱(111)은 제2케이싱(112)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고, 제2케이싱(112)은 약간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제1케이싱(111)에 있는 제1얼음(10)과 물은 제2케이싱(112)측으로 유동된다. 그리고, 제1케이싱(111)의 물은 그릴(115)을 통과하여 제2케이싱(112)에 집수되고, 제1얼음(10)은 그릴(115)을 따라 미끌어지면서 얼음저장고(200)로 낙하하게 된다.
또한, 얼음 트레이(130)는 케이싱이 회전되더라도 증발장치(120)의 상측에 그대로 위치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얼음 트레이(130)를 꺼내어 얼음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의 하부에는 얼음 저장고(200)와 냉수탱크(3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핑거(123)에 형성된 제1얼음(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저장고(200)에 보내져서 저장될 수 있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300)로 보내져서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이 얼음 저장고(200)로 제1얼음(10)을 보낼 때보다 더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소정 온도 이하가 될 때까지 냉수탱크(300)에 제1얼음(10)을 보낼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하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을 얼음 트레이(13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증발장치(120) 또는 전자제빙장치(120')의 하측에서는 일단이 막힌 튜브 형태 또는 컵 형태를 갖는 제1얼음(10)이 형성되고, 증발장치(120) 또는 전자제빙장치(120')의 상측에서는 다양한 형상의 제2얼음(20)이 형성된다. 따라서, 다른 형상의 얼음을 동시에 제조하여 사용자의 선택권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증발장치(120) 또는 전자제빙장치(120')의 상측과 하측에서 동시에 얼음을 제조하므로, 증발장치(120) 또는 전자제빙장치(120')의 상측과 하측의 냉기를 얼음을 만드는데에 최대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소정의 온도 이하로 냉각시킬 수 있고, 냉수탱크에 저장된 비교적 온도가 낮은 물을 얼음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하여 얼음의 제조가 용이하고 적은 에너지로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
10: 제1얼음 20: 제2얼음
110: 케이싱 111: 제1케이싱
112: 제2케이싱 115: 그릴
117: 회전축 120: 증발장치
120' : 전자제빙장치 121: 증발기 몸체
121a: 냉매 유로 122 : 열전달부재
123: 핑거 124 : 열전모듈
125 : 방열핀 126 : 냉각팬
130: 얼음 트레이 131: 접촉홈
133: 얼음 큐브 135: 리브
150 : 구동유닛 200 : 얼음저장고
300 : 냉수탱크

Claims (24)

  1. 물이 수용되는 케이싱(110);
    상기 케이싱(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냉매 유로가 형성되는 증발기 몸체(121)와, 상기 증발기 몸체(121)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110)의 물에 침지되어 제1얼음(10)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핑거(123)를 포함하는 증발장치(120); 및
    상기 증발장치(1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장치(120)의 상측 냉기에 의해 제2얼음(20)이 형성되도록 하는 얼음 트레이(130);를 포함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트레이(130)는 상기 증발기 몸체(121)의 상측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트레이(130)의 하면에는 상기 증발기 몸체(121)의 상측면과 접촉되도록 접촉홈(1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트레이(130)는 외부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증발장치(120)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트레이(130)는 상기 얼음 트레이(130)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얼음 트레이(130)에 연결된 구동유닛(150)에 의해서 제2얼음(20)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증발장치(12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0)은 상기 증발장치(120)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케이싱(111)을 포함하며,
    상기 얼음 트레이(130)는 상기 제1케이싱(111)과 함께 회전되지 않고 상기 증발장치(120)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0)은 상기 제1케이싱(111)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증발장치(120)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2케이싱(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장치(120)에 저온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여 상기 다수의 핑거(123)에는 제1얼음(10)이 형성되고 상기 얼음 트레이(130)에는 제2얼음(20)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증발장치(120)에 고온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여 상기 다수의 핑거(123)에 형성된 제1얼음(10)이 상기 다수의 핑거(123)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장치(120)에 저온 냉매가 유동하도록 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증발장치(120)에 고온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핑거(123)에 형성된 제1얼음(10)이 소정 크기가 되면 상기 증발장치(120)에 고온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11. 물이 수용되는 케이싱(110);
    상기 케이싱(1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열전달부재(122)와, 상기 열전달부재(122)의 일측과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열전모듈(124), 상기 열전달부재(122)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110)의 물에 침지되어 제1얼음(10)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핑거(123)를 포함하는 전자제빙장치(120'); 및
    상기 전자제빙장치(1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제빙장치(120')의 상측 냉기에 의해 제2얼음(20)이 형성되도록 하는 얼음 트레이(130);를 포함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트레이(130)는 상기 열전달부재(122)의 상측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트레이(130)의 하면에는 상기 열전달부재(122)의 상측면과 접촉되도록 접촉홈(1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트레이(130)는 외부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전자제빙장치(120')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트레이(130)는 상기 얼음 트레이(130)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얼음 트레이(130)에 연결된 구동유닛(150)에 의해서 제2얼음(20)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전자제빙장치(12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0)은 상기 전자제빙장치(120')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케이싱(111)을 포함하며,
    상기 얼음 트레이(130)는 상기 제1케이싱(111)과 함께 회전되지 않고 상기 전자제빙장치(120')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0)은 상기 제1케이싱(111)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제빙장치(120')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2케이싱(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124)에 의해서 상기 열전달부재(122)를 냉각하여 상기 다수의 핑거(123)에는 제1얼음(10)이 형성되고 상기 얼음 트레이(130)에는 제2얼음(20)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열전모듈(124)에 의해서 상기 열전달부재(122)를 가열하여 상기 다수의 핑거(123)에 형성된 제1얼음(10)이 상기 다수의 핑거(123)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124)에 의해서 상기 열전달부재(122)를 냉각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열전모듈(124)에 의해서 상기 열전달부재(122)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핑거(123)에 형성된 제1얼음(10)이 소정 크기가 되면 상기 열전모듈(124)에 의해서 상기 열전달부재(122)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21.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트레이(130)에는 서로 격리된 형태의 다수의 얼음 큐브(1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22.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트레이(130)에 물을 공급한 후 상기 얼음 트레이(130)의 물이 상기 케이싱(110)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0)의 하부에는 얼음 저장고(200)와 냉수탱크(300)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핑거(123)에 형성된 제1얼음(10)은 상기 얼음 저장고(200)에 보내져서 저장되거나 상기 냉수탱크(300)로 보내져서 상기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을 상기 얼음 트레이(130)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KR1020110145528A 2010-12-29 2011-12-29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KR20120076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10303 WO2012091484A2 (ko) 2010-12-29 2011-12-29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7652 2010-12-29
KR1020100137652 2010-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327A true KR20120076327A (ko) 2012-07-09

Family

ID=46710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528A KR20120076327A (ko) 2010-12-29 2011-12-29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632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700A (ko) * 2013-08-01 2015-02-11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
WO2016037908A1 (en) * 2014-09-10 2016-03-17 Arcelik Anonim Sirketi A cooling device wherein ice is obtained quickly
WO2023172030A1 (ko) * 2022-03-08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 장치 및 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700A (ko) * 2013-08-01 2015-02-11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
WO2016037908A1 (en) * 2014-09-10 2016-03-17 Arcelik Anonim Sirketi A cooling device wherein ice is obtained quickly
WO2023172030A1 (ko) * 2022-03-08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 장치 및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700B1 (ko) 두 개의 물받이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US10670317B2 (en) Use of thermoelectric elements for clear ice making, ice harvesting, and creating a temperature condition for clear ice making
KR101798553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20090049858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208550B1 (ko) 제빙 장치
CN106257216A (zh) 冰箱以及在冰箱中供应水的方法
WO2017071071A1 (zh) 制冰装置和冰箱
KR102165248B1 (ko) 제빙기
KR20120076327A (ko)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US2291826A (en) Refrigerating mechanism
KR20150025823A (ko) 제빙기
KR101443984B1 (ko) 얼음 정수기
KR101649329B1 (ko) 제빙기를 이용한 냉풍기
ES2882558T3 (es) Un conjunto de evaporador para una máquina de fabricación de hielo de tipo horizontal
US20230026532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WO2012091484A2 (ko) 다른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KR20170023277A (ko) 제빙기
KR200467123Y1 (ko) 얼음이 출빙되는 냉온수기
KR102195416B1 (ko) 얼음이송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KR101798557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1659965B1 (ko) 제빙기를 이용한 냉수공급장치
WO2023202519A1 (zh) 具有风冷式透明制冰装置的冰箱
KR20150031021A (ko) 제빙기
JP2022099967A (ja) 製氷機
KR20200120383A (ko) 급속 제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