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929B1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929B1
KR102316929B1 KR1020150001113A KR20150001113A KR102316929B1 KR 102316929 B1 KR102316929 B1 KR 102316929B1 KR 1020150001113 A KR1020150001113 A KR 1020150001113A KR 20150001113 A KR20150001113 A KR 20150001113A KR 102316929 B1 KR102316929 B1 KR 102316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unit
shape
making frame
ice m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891A (ko
Inventor
이경민
이현우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1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929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8Packaged or self-contained boilers, i.e. water heaters with control devices and pump in a singl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제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얼음이 생성되는 얼음생성부가 형성된 제1제빙틀; 상기 얼음생성부에 생성된 얼음의 모양을 확정하는 모양확정부가 형성된 제2제빙틀; 및 상기 얼음생성부에 물을 분사하여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물분사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빙기{ICE MAKER}
본 발명은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제빙틀의 얼음생성부에 생성된 얼음의 모양을 제2제빙틀의 모양확정부에 의해서 확정하여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제빙기는 얼음을 만드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빙기로는, 제빙틀에 담긴 물에 증발기에 연결된 침지부재가 잠기어 침지부재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침지식과, 증발기가 접촉된 제빙틀에 물을 분사하여 제빙틀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분사식 및, 증발기가 접촉된 제빙틀에 물이 흘러서 제빙틀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유수식이 있다.
이중, 침지식의 경우에는 침지부재의 형상에 의해서 얼음의 모양이 결정되며, 분사식과 유수식의 경우에는 얼음이 생성되도록 제빙틀에 형성되는 얼음생성부의 형상에 의해서 얼음의 모양이 결정된다.
그리고, 얼음의 모양의 측면에서는 분사식과 유수식과 같이 제빙틀의 얼음생성부에 얼음을 생성하는 것이 원하는 형상의 얼음과 보다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구형 얼음 등과 같이 특수한 모양의 얼음을 만드는 데에는, 예컨대 반구형의 얼음생성부가 형성된 2개의 제빙틀을 합쳐서 구형 얼음을 만든다고 하더라도, 2개의 제빙틀 사이로 누수가 발생하는 등의 여러 가지 제약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구형 얼음 등 다양한 모양의 얼음을 용이하게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제1제빙틀의 얼음생성부에 생성된 얼음의 모양을 제2제빙틀의 모양확정부에 의해서 확정하여 얼음을 만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제빙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제빙기는 얼음이 생성되는 얼음생성부가 형성된 제1제빙틀; 얼음생성부에 생성된 얼음의 모양을 확정하는 모양확정부가 형성된 제2제빙틀; 및 얼음생성부에 물을 분사하여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물분사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제빙틀은 제1제빙틀 아래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생성부는 하부가 개방되고 모양확정부는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얼음생성부에 얼음이 생성되면, 제2제빙틀이 제1제빙틀에 삽입되도록 이동하고, 얼음생성부에 생성된 얼음의 일부가 모양확정부에 의해서 녹아서 얼음의 모양이 확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생성부는 생성된 얼음이 모양확정부에 의해서 녹지 않는 얼음잔류부; 및 얼음잔류부에 연결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제2제빙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틀삽입부;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양확정부의 형상은 얼음잔류부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잔류부와 모양확정부의 단면은 반원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제빙틀에는 모양확정부와 연통되는 물배출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제빙틀이 제1제빙틀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 물배출구멍에는 얼음이동가이드가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제빙틀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유로는 얼음생성부 주위의 제1제빙틀의 부분에 형성될 수 잇다.
그리고, 상기 제1제빙틀에는 냉각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유닛은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유닛은 열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분사부는 물공급원에 연결된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은 제2제빙틀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제2제빙틀 주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제빙틀을 가열하는 히터;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제빙틀의 얼음생성부에 생성된 얼음의 모양을 제2제빙틀의 모양확정부에 의해서 확정하여 얼음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형 얼음 등 다양한 모양의 얼음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제빙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제1실시예
이하,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2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는 제1제빙틀(200), 제2제빙틀(300) 및, 물분사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제빙틀(200)에는 얼음생성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얼음생성부(210)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얼음생성부(210)는 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분사부(400)로부터 얼음생성부(210)에 물이 분사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생성부(210)에 분사된 물이 냉각되어 얼음생성부(210)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얼음생성부(210)는 얼음잔류부(211)와 틀삽입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얼음잔류부(211)는 이에 생성된 얼음(I)이 제2제빙틀(300)에 형성된 후술할 모양확정부(310)에 의해서 녹지 않을 수 있다.
얼음잔류부(211)의 단면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반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얼음잔류부(21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제빙틀(300)의 후술할 모양확정부(310)의 단면은 상부가 개방된 반원 형상일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인 구형 얼음(I)이 얼음잔류부(211)와 모양확정부(310) 사이에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얼음잔류부(21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모양확정부(310)와 함께 소정 모양의 얼음(I)을 생성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제1제빙틀(200)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로(R)가 형성될 수 있다. 냉매유로(R)는 얼음생성부(210) 주위의 제1제빙틀(200)의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냉매유로(R)는 얼음생성부(210)와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냉매유로(R)가 형성되는 제1제빙틀(200)의 부분과 제1제빙틀(2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부분과 형상이라면 어떠한 부분과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제1제빙틀(200)의 냉매유로(R)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는 상태에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분사부(400)로부터 제1제빙틀(200)의 얼음생성부(210)에 물이 분사되도록 하면, 분사된 물이 냉각되어 얼음생성부(210)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이외, 제1제빙틀(200)의 얼음생성부(210)에 생성된 얼음(I)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제빙틀(300)의 모양확정부(310)에 의해서 모양이 확정된 후, 제1제빙틀(200)의 냉매유로(R)에 뜨거운 냉매가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제빙틀(200)의 얼음생성부(210)에 접촉되는 얼음(I)의 부분이 녹아서, 얼음(I)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생성부(2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틀삽입부(212)는 얼음잔류부(21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가 개방되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제빙틀(300)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하부를 통해 틀삽입부(21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제빙틀(200)의 얼음생성부(210)에 생성된 얼음(I)의 일부가 제2제빙틀(300)의 모양확정부(310)에 의해서 녹아서 그 모양이 확정될 수 있다.
이러한 틀삽입부(21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얼음잔류부(211)에 연결되며 제2제빙틀(3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제2제빙틀(300)에는 모양확정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제빙틀(300)의 모양확정부(310)에 의해서, 제1제빙틀(200)의 얼음생성부(210)에 생성된 얼음(I)의 모양을 확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형상의 모양확정부(310)가 형성된 제2제빙틀(300)을 교체하는 것에 의해서 다양한 모양의 얼음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제1제빙틀(200)의 얼음생성부(210)에 생성된 얼음(I)이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얼음생성부(210)에 생성된 얼음(I)이 잘 녹지 않을 수 있다.
모양확정부(310)는 하부가 개방된 제1제빙틀(200)의 얼음생성부(210)에 대응되도록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모양확정부(310)의 형상은 얼음잔류부(211)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양확정부(310)의 형상은 단면이 상부가 개방된 반원 형상인 얼음잔류부(211)에 대응되도록 단면이 하부가 개방된 반원 형상일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인 구형 얼음(I)이 제1제빙틀(200)의 얼음잔류부(211)와 제2제빙틀(300)의 모양확정부(310) 사이에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모양확정부(31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얼음잔류부(211)에 대응되며 얼음잔류부(211)와 함께 소정 모양의 얼음(I)을 생성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제2제빙틀(300)은 제1제빙틀(200) 아래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제빙틀(300)은, 예컨대 유압실린더 등의 틀이동유닛(700)에 의해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제2제빙틀(300)을 이동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2제빙틀(300)을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모터와 기어를 포함하는 구성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빙틀(200)의 얼음생성부(210)에 얼음(I)이 생성되면, 제2제빙틀(300)이 제1제빙틀(200)에 삽입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제빙틀(300)의 모양확정부(310)에 의해서 얼음생성부(210)에 생성된 얼음(I)의 일부가 녹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얼음(I)의 모양이 확정될 수 있다. 예컨대, 얼음(I)의 모양이 단면이 원형인 구형으로 확정될 수 있다.
한편, 제2제빙틀(300)에는 모양확정부(310)와 연통되는 물배출구멍(3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제빙틀(300)의 모양확정부(310)에 의해서 얼음(I)의 일부가 녹아서 물이 발생하면, 제2제빙틀(300)의 물배출구멍(320)을 통해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제빙틀(200)의 얼음잔류부(211)와 제2제빙틀(300)의 모양확정부(310) 사이의 얼음(I)에 물이 잔류하지 않게 되어, 잔류하는 물에 의해서 얼음(I)이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분사부(400)로부터 제1제빙틀(200)의 얼음생성부(210)에 분사된 물이 제2제빙틀(300)의 모양확정부(310)로 낙하한다고 하더라도, 물배출구멍(3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제빙틀(300)의 모양확정부(310)에 물분사부(400)로부터 분사된 물이 담기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2제빙틀(300)이 상기 제1제빙틀(200)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 제2제빙틀(300)의 물배출구멍(320)에는 얼음이동가이드(330)가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제빙틀(200)의 얼음생성부(210)로부터 분리된 얼음(I)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하면, 얼음이동가이드(330)에 의해서 얼음(I)이 얼음저장고(도시되지 않음)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제빙틀(300)을 이루는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제빙틀(200)의 얼음생성부(210)에 생성된 얼음(I)의 일부를 녹일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라도 가능하다.
물분사부(4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빙틀(200)의 얼음생성부(210)에 물을 분사하여 얼음(I)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물분사부(400)는 물공급원에 연결된 분사노즐(4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사노즐(410)은 제2제빙틀(300)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제2제빙틀(300) 주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의 물이 분사노즐(410)을 통해 제1제빙틀(200)의 얼음생성부(210)로 분사되어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는 히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600)는 제2제빙틀(300)을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얼음(I)의 모양을 확정하기 위해서 제1제빙틀(200)의 얼음생성부(210)에 생성된 얼음(I)의 일부를 녹임에 따라 냉각된 제2제빙틀(300)을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계속해서 제1제빙틀(200)의 얼음생성부(210)에 생성된 얼음(I)을 녹여서 얼음(I)의 모양을 확정할 수 있다.
히터(60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2제빙틀(300)을 가열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전열선이나 물이 유동하는 유동관 등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600)에 의해서 제2제빙틀(300)을 가열할 수도 있으나, 온수에 의해서 제2제빙틀(300)을 가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예컨대 제2제빙틀(300)에 직접 온수를 분사하거나, 온수가 유동하는 온수유동관(도시되지 않음)이 제2제빙틀(300) 둘레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히터(600)에 의해서만 제2제빙틀(300)을 가열하거나, 온수에 의해서만 제2제빙틀(300)을 가열할 수도 있으나, 히터(600)와 온수를 모두 사용하여 제2제빙틀(300)을 가열할 수도 있다.
제2실시예
이하, 도7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상기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제빙기와는, 제1제빙틀(200)에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로가 형성되지 않고 냉각유닛(500)이 구비되며, 냉각유닛(500)은 증발기(51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6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의 제1제빙틀(200)에는 냉각유닛(5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유닛(500)에 의해서 제1제빙틀(200)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물분사부(400)로부터 제1제빙틀(200)의 얼음생성부(210)에 물이 분사되면, 얼음생성부(210)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냉각유닛(500)은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5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발기(510)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면 제1제빙틀(200)이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물분사부(400)로부터 얼음생성부(210)에 물이 분사되면, 얼음생성부(210)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510)에 뜨거운 냉매가 유동하면 제1제빙틀(200)이 가열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제빙틀(300)의 모양확정부(310)에 의해서 모양이 확정된 얼음(I)이 제1제빙틀(200)의 얼음생성부(2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3실시예
이하, 도8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상기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제빙기와는, 제1제빙틀(200)에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로가 형성되지 않고 냉각유닛(500)이 구비되며, 냉각유닛(500)은 열전모듈(52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6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의 제1제빙틀(200)에는 냉각유닛(5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유닛(500)에 의해서 제1제빙틀(200)이 냉각된 상태에서, 물분사부(400)로부터 제1제빙틀(200)의 얼음생성부(210)에 물이 분사되면, 얼음(I)이 얼음생성부(210)에 생성될 수 있다.
냉각유닛(500)은 열전모듈(520)을 포함할 수 있다. 열전모듈(520)은 전원에 연결되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져, 일측은 냉각되고 타측은 가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전모듈(520)의 냉각측을 제1제빙틀(2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시키면, 제1제빙틀(200)이 냉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전모듈(520)에 의해서 제1제빙틀(200)이 냉각된 상태에서, 물분사부(400)로부터 얼음생성부(210)에 물이 분사되면, 얼음생성부(210)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열전모듈(520)에 연결되는 전원의 방향을 반대로 하면, 열전모듈(520)의 냉각측은 가열되고 가열측은 냉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제빙틀(200)이 가열될 수 있다. 그리고, 모양이 확정된 얼음(I)이 얼음생성부(2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열전모듈(520)의 가열측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싱크(53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히트싱크(530)에는 팬(5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팬(540)의 구동으로 히트싱크(530)에 외기가 유동함에 따라, 열전모듈(520)의 가열측이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열전모듈(520)이 계속해서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를 사용하면, 제1제빙틀의 얼음생성부에 생성된 얼음의 모양을 제2제빙틀의 모양확정부에 의해서 확정하여 얼음을 만들 수 있으며, 구형 얼음 등 다양한 모양의 얼음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제빙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제빙기 200 : 제1제빙틀
210 : 얼음생성부 211 : 얼음잔류부
212 : 틀삽입부 300 : 제2제빙틀
310 : 모양확정부 320 : 물물배출구멍
330 : 얼음이동가이드 400 : 물분사부
410 : 분사노즐 500 : 냉각유닛
510 : 증발기 520 : 열전모듈
530 : 히트싱크 540 : 팬
600 : 히터 700 : 틀이동유닛
R : 냉매유로

Claims (17)

  1. 얼음이 생성되는 얼음생성부가 형성된 제1제빙틀;
    상기 얼음생성부에 생성된 얼음의 모양을 확정하는 모양확정부가 형성된 제2제빙틀;
    상기 얼음생성부에 물을 분사하여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물분사부; 및
    상기 제2제빙틀을 가열하는 히터; 를 포함하며,
    상기 얼음생성부에 얼음이 생성되면, 상기 제2제빙틀이 상기 제1제빙틀에 삽입되도록 이동하고, 상기 얼음생성부에 생성된 얼음의 일부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모양확정부에 의해서 녹아서 얼음의 모양이 확정되는 제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빙틀은 상기 제1제빙틀 아래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생성부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모양확정부는 상부가 개방된 제빙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생성부는
    생성된 얼음이 상기 모양확정부에 의해서 녹지 않는 얼음잔류부; 및
    상기 얼음잔류부에 연결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2제빙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틀삽입부;
    를 포함하는 제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양확정부의 형상은 상기 얼음잔류부에 대응되는 형상인 제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잔류부와 모양확정부의 단면은 반원 형상인 제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빙틀에는 상기 모양확정부와 연통되는 물배출구멍이 형성되는 제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빙틀이 상기 제1제빙틀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물배출구멍에는 얼음이동가이드가 관통되는 제빙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빙틀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로가 형성되는 제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유로는 상기 얼음생성부 주위의 상기 제1제빙틀의 부분에 형성되는 제빙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빙틀에는 냉각유닛이 구비되는 제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열전모듈을 포함하는 제빙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부는 물공급원에 연결된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제빙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제2제빙틀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상기 제2제빙틀 주위에 위치하는 제빙기.
  17. 삭제
KR1020150001113A 2015-01-06 2015-01-06 제빙기 KR102316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113A KR102316929B1 (ko) 2015-01-06 2015-01-06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113A KR102316929B1 (ko) 2015-01-06 2015-01-06 제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891A KR20160084891A (ko) 2016-07-15
KR102316929B1 true KR102316929B1 (ko) 2021-10-26

Family

ID=56505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113A KR102316929B1 (ko) 2015-01-06 2015-01-06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9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269B1 (ko) * 2017-10-30 2019-08-01 주식회사 마스터마인딩그룹 내부에 공동을 포함하는 얼음 제조 장치 및 얼음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1141B1 (ja) * 2015-07-28 2016-10-0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乗場ドア装置
JP7097968B2 (ja) * 2017-12-05 2022-07-08 サウジ アラビアン オイル カンパニー 坑井管状部材の付加製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564A (ko) * 2009-09-23 2011-03-3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제빙기
KR20130110875A (ko) * 2012-03-30 2013-10-10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1141B1 (ja) * 2015-07-28 2016-10-0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乗場ドア装置
JP7097968B2 (ja) * 2017-12-05 2022-07-08 サウジ アラビアン オイル カンパニー 坑井管状部材の付加製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891A (ko) 2016-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0874A (ko) 제빙기
KR100620785B1 (ko)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에 사용되는 열용착 장치
JP4934501B2 (ja) 流下式製氷機の散水案内器
KR20130110875A (ko) 제빙기
KR102165248B1 (ko) 제빙기
CN109416210A (zh) 制作冰的机器
KR102316929B1 (ko) 제빙기
CN203834257U (zh) 用于挂烫机的发热组件及挂烫机
KR20160084930A (ko) 제빙기
KR102354052B1 (ko) 제빙기
KR102475151B1 (ko) 제빙기
KR20150025823A (ko) 제빙기
KR20110054759A (ko) 제빙기
KR101826872B1 (ko) 제빙기
US20130015606A1 (en) Plastics injection moulding tool and method for plastics injection moulding
KR101644181B1 (ko) 실링 겸용 구형 얼음 제빙장치 및 방법
KR20010001514U (ko) 웰드 라인 방지부를 가지는 사출 성형용 금형
KR101871741B1 (ko) 냉매와 직접접촉방식으로 제빙과 냉수를 동시에 수행하는 증발기의 제조방법
KR101904736B1 (ko) 제빙기용 냉수 및 얼음 생성장치
KR102193470B1 (ko) 제빙기
KR20160060934A (ko) 냉매 증발관이 형성되는 제빙기
KR102226421B1 (ko) 제빙기
JP2009190335A (ja) 射出成形装置及び射出成形品の冷却方法
CN209334953U (zh) 一种带有防火花飞溅结构的激光切割机
KR102466208B1 (ko) 제빙용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